KR100268169B1 -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 Google Patents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169B1
KR100268169B1 KR1019980019024A KR19980019024A KR100268169B1 KR 100268169 B1 KR100268169 B1 KR 100268169B1 KR 1019980019024 A KR1019980019024 A KR 1019980019024A KR 19980019024 A KR19980019024 A KR 19980019024A KR 100268169 B1 KR100268169 B1 KR 100268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hread
drive shaft
spur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089A (ko
Inventor
서명원
Original Assignee
서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IDW99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ID24877A/id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70022419A external-priority patent/KR970058610A/ko
Application filed by 서명원 filed Critical 서명원
Priority to KR1019980019024A priority patent/KR100268169B1/ko
Priority to ES98925944T priority patent/ES2193531T3/es
Priority to TR1999/02944T priority patent/TR199902944T2/xx
Priority to JP50051599A priority patent/JP3247993B2/ja
Priority to PCT/KR1998/000137 priority patent/WO1998054391A1/en
Priority to US09/423,717 priority patent/US6199727B1/en
Priority to CA002290480A priority patent/CA2290480A1/en
Priority to CN98805644A priority patent/CN1093576C/zh
Priority to DE69811519T priority patent/DE69811519T2/de
Priority to AT98925944T priority patent/ATE232918T1/de
Priority to IL13313198A priority patent/IL133131A/xx
Priority to PT98925944T priority patent/PT1017892E/pt
Priority to EP98925944A priority patent/EP1017892B1/en
Priority to AU77890/98A priority patent/AU7789098A/en
Priority to BR9809559-5A priority patent/BR9809559A/pt
Publication of KR1998004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089A/ko
Publication of KR10026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HK00107360A priority patent/HK1028072A1/xx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셔츠나 브라우스 및 양복 등과 같은 직물지에 재봉된 단추의 재봉실이 풀려서 단추가 이탈되는 것을 예방하고, 재봉실 외면에서 결박상태로 수회 감는 측면감기용 실을 안전하고 간단 용이하며 편리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하면서 양호한 매듭상태를 이루게 하는 걸어감기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면서 의복착용시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갖도록 하는 재봉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단추를 결박하는 재봉실을 수회 감아주는 걸어감기실은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걸어감을 때에 걸어감기 결박을 하지 않고도 강하게 돌려감는 것으로만으로도 결박성과 갈음하는 상태를 이루게 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남으로서 상기 걸어감기실의 탄성력이 약화되면 강하게 감고 있던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서서히 장력이 약화됨과 동시에 풀리게 되어 안전한 감기상태를 이룰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14)의 상단으로 모우터(16)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주회전축(18)에 설치된 평기어(20)와, 상기 평기어(20)와 타이밍벨트(200)로 연결하는 평기어(20a)를 보유하는 종동축(42)과, 상기 종동축(42)의 또다른 평기어(20b)와 타이밍벨트(200a)로 연결하는 평기어(20c)에 의해 구동하는 편심캠(210)과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으로 구동축(218)을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이송대(28)와, 상기 이송대(28)의 전방에서 구동축(218) 상에 배치하여 종동축(42)과 타이밍벨트(200b)로 연결하여 드럼(26)을 회전하는 평기어(22d)와, 상기 드럼(26)의 외면 소정지점에 설치하여 걸어감기실(56)을 걸기 위한 실걸이판(44)의 회전량에 따라 대응하면서 걸어감기실(56)이 꼬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실걸이판(44)으로부터 걸어감기실(56)을 완전 이탈시키도록 회동하는 구동축(218) 선단에 부착하는 꼬임회전구(52)와, 상기 꼬임회전구(56)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소정시간 경과 후 구동축(218) 내에서 직선운동으로 전진 및 반전운동을 이루는 구동축(318)의 선단에 부착하는 꼬임운동구(54)와, 상기 꼬임운동구(54)의 회전비에 대응하여 소정대기시간 경과 후 상승하면서 걸어감기실 (56)을 잡아 돌려주는 이탈구(214)와, 상기 드럼(26)내에서 걸어감기실(56)이 회전과 직선운동을 이루면서 단추(10)를 부착하는 재봉실(12)을 결박하며 수회 감을 수 있는 단추걸이대(58)를 드럼(26) 전방에 배치하여서 단추가 재봉된 재봉실에 꼬임 감기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재봉실의 풀림을 방지하면서 재봉된 단추가 의복 결속 시에 안전하고 양호하게 결속을 이루게 하여 편리하면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것으로 작업의 신속함과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본 발명은 와이셔츠나 블라우스 및 양복과 같은 상의(上衣)에 재봉수단으로 부착하는 단추의 재봉실로 풀림방지용 걸어감기실을 감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지에 재봉된 단추의 재봉실이 풀려서 단추가 이탈되는 것을 예방하고, 재봉실 외면에서 결박상태로 수회 감는 측면감기용 실을 안전하고 간단 용이하며 편리하게 감을 수 있도록 하면서 양호한 매듭상태를 이루게 하고, 걸어감기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면서 의복착용시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갖도록 하는 재봉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에는 착용과 탈복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단추가 사용되고 단추에는 의복과 편리하고 신속한 재봉을 이룰 수 있는 소정 형상의 단추구멍이 마련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단추에 마련되는 구멍을 통하여 의복에 실로 메달아서 의복과 결속을 이루게 하고 있었으며, 의복의 대량생산을 하고 있는 작업장에서는 수작업을 통한 단추달기 작업은 비능률적이어서 재봉미싱을 구비하여 재봉으로 단시간에 대량의 단추를 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생산성을 증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미싱에 의하여 재봉되는 단추는 일정한 간격으로 재봉바늘에 걸려진 반복운동하는 실이 단추와 직물을 꿰어서 단추를 부착하고 있으나 단추와 옷감이 밀착된 상태로 재봉을 하고 있어서 재봉 후 의복을 착용할 때 단추구멍으로 단추를 집어넣기가 여간 어렵지 않았다.
즉, 단추구멍으로 삽입되는 단추의 재봉상태가 직물지와 단추의 이격 여유가 없기 때문에 결속에 불편이 많았으며, 또한 한 줄기 재봉실이 지그재그 반복운동으로 재봉되고 있어 매듭이 안전하지 못한 상태로 재봉되었을 경우 조금만 실이 풀려도 모두가 풀려 버리게 되므로 단추는 직물지로부터 안전하게 부착되지 못하고 이탈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렇게 단추가 단추구멍으로 삽입될 때 좀더 편리하고 여유있는 체결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도 11에서와 같이 단추(1)를 재봉한 재봉실(2)의 둘레를 촘촘하게 걸어감기실(3)로 감아서 재봉실의 풀림을 방지함은 물론 직물지와 단추를 소정거리로 이격시켜서 단추를 단추구멍에 집어넣고 뺄 때에 불편함 없이 용이하고 안전한 결속과 이탈을 이루게 하였으나, 걸어감기실은 재봉실로부터 그 냥 둘러감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세탁기에서 강력한 세탁을 끝내고 나면 재봉실에 감겼던 걸어감기실이 풀린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어서 오랜시간을 지속하지 못하면서 감겼던 걸어감기실 모두가 풀리게 되어 재봉실의 견고성은 미약하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재봉실마져 풀림이 이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실의 소재를 나이론 사와 같은 신축성있는 소재로 만들어서 이를 재봉선의 둘레로 팽팽히 감은 상태에서 마무리시 최대 인장력을 부여하여 절단을 이루게 함으로써 절단부위가 감겨진 걸어감기실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풀림을 예방하고 있지만 이는 시간이 지남으로서 걸어감기실의 인장력이 약화되거나 실 자체가 변질되기 때문에 신축성이 상실되어 감김 지속력이 떨어지면 풀림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안전하고 경제적인 사용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재봉수단으로 단추를 부착하는 재봉실의 측면으로 걸어감기실을 수회 결박상태로 감아 주어서 걸어감기실은 물론 재봉된 단추가 강력세탁이나 착용 중에도 풀리거나 이탈됨이 없이 양호한 재봉 및 부착상태를 유지하도록하고, 편리하고 안전한 걸어감기 작업을 이룸과 동시에 신속한 작업으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생산성을 증대하는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봉수단에 의해 의복에 의복용단추를 부착하는 재봉실에 걸어감기실을 감아 주는 장치에 있어서,
지지대의 상단으로 모우터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주회전축에 설치된 평기어와, 상기 평기어와 타이밍벨트로 연결하는 평기어를 보유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또다른 평기어와 타이밍벨트로 연결하는 평기어에 의해 구동하는 편심캠과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으로 구동축을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의 전방에서 구동축 상에 배치하여 종동축과 타이밍벨트로 연결하여 드럼을 회전하는 평기어와, 상기 드럼의 외면 소정지점에 설치하여 걸어감기실을 걸기 위한 실걸이판의 회전량에 따라 대응하면서 걸어감기실이 꼬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실걸이판으로부터 걸어감기실을 완전 이탈시키도록 회동하는 구동축 선단에 부착하는 꼬임회전구와, 상기 꼬임회전구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소정시간 경과 후 구동축 내에서 직선운동으로 전진 및 반전운동을 이루는 구동축의 선단에 부착하는 꼬임운동구와, 상기 꼬임운동구의 회전비에 대응하여 소정대기시간 경과 후 상승하면서 걸어감기실을 잡아 돌려주는 이탈구와, 상기 드럼내에서 걸어감기실이 회전과 직선운동을 이루면서 단추를 부착하는 재봉실을 결박하며 수회감을 수 있는 단추걸이대를 드럼 전방에 배치하여서 구성하는 것과,
상기 종동축과 타이밍벨트로 연결하는 구동축 상에 설치된 평기어의 기어 비는 1:4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평기어의 하단에 설치하는 한 쌍의 편심캠은 종동축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비를 갖으면서 일정 소정시간 경과 후 연결구에 의해 반정구동축과 보조반전구동축을 회전시키고 이들을 연결하는 헬리컬기어에 의하여 이탈구유동속도가 증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
상기 종동축의 평기어와 타이밍벨트로 연결하여 편심캠을 구동시키는 평기어의 기어비는 1:4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구동축 상에 설치된 이송대의 일측 선단에는 2절링크와 연결된 연결핀를 편심캠과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상기 구동축의 내부에 배치하는 이동축 선단에는 평기어를 설치하여 정역회전을 이루는 부채꼴기어와 대응하도록 구성한 하는 것과,
상기 평기어의 하단에는 한 쌍의 편심캠를 설치하는 보조구동축이 회전함에 따라 부채꼴기어를 설치하는 반전구동축 상의 연결구가 한 쌍의 편심캠과 대응하여 반전운동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과,
상기 반전구동축과 이탈구를 설치하는 보조반전구동축 일측에는 한 쌍의 헬리컬기어를 설치하여 반전 회전력을 전달 하는 기술적 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즉, 직물지에 재봉된 단추가 단추설치대에 올려지고 공급하는 걸어감기실이 드럼의 회전력으로 회동하는 실걸이판이 1차적으로 걸어감기실 단추와 직물을 재봉한 재봉실의 외면을 감고 3/4지점에 이르면 꼬임회전구에 의해 재차 걸어감기 작업을 수행하면서 회전하여 드럼이 3/4지점을 초과하면서 실걸이판에 걸려있는 실을 이탈시킴과 동시에 꼬임회전구가 드럼의 원중심으로부터 1/3지점에서 이르면 꼬임운동구가 회전하면서 상기 꼬임운동구에 걸려있는 걸어감기실을 걸어 주고, 재차 이탈구를 작동하여 꼬임운동구로부터 걸어감기실이 이탈되도록 유도하는데 이때 드럼의 일측에 설치하는 실이탈안내베어링에 의하여 걸어감기실이 갑자기 외부로 벗어나 드럼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걸이감기실을 재봉실에 안전한 결박상태로 수회 감아 재봉실의 풀림 방지와 편리한 단추의 결속상태를 이루게 하여 안전하면서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걸어감기용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걸어감기용 장치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축과 드럼의 구성을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부채꼴기어와 평기어의 구동상태 요부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이탈구의 구동장치 요부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이탈구의 작동상태 요부측면도,
도 7 는 본 발명에 의한 걸어감기실의 이동상태 정면도로써
(a)는 실감기 최초상태도이고
(b)는 실걸이판이 3/4지점에 이동된 상태이고
(c)는 꼬임운동구가 1차 걸이실의 하단부를 잡고 회전하는 상태이고
(d)는 (c)상태에서 1회전을 이룬 상태이고
(e)는 이탈구에 의해 꼬임회전구로부터 실을 이탈시키기 의한 상태이고,
(f)는 이탈구에 의해 꼬임회전구로부터 실을 이탈시키는 상태이고,
(g)는 꼬임 회전구로부터 걸어감긴실이 이탈된 상태이고,
(h)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걸어감기실이 단추에 감기는 상태 정면도로써,
(a)는 초기감기상태이고,
(b)는 걸어감기실이 걸어감긴 상태로 꼬임되는 상태이고,
(c)는 걸어감긴실이 꼬임 직전의 상태이고,
(d)는 걸어감긴실이 꼬임상태이고,
(e)는 걸어감간실이 완전 꼬임상태를 나태낸다.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단추걸이대의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단추의 재봉 및 걸어감긴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11 은 종래기술에 의한 단추의 재봉 및 걸어감긴 상태의 요부 사시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의복용단추 12 : 재봉실
14 : 지지대 16 : 모우터
18 : 주회전축 20,20a,20b,20c,20d,20y : 평기어
26 : 드럼 28 : 이송대
42 : 종동축 44 : 실걸이판
52 : 꼬임회전구 54 : 꼬임운동구
56 : 걸어감기실 58 : 단추걸이대
100 : 실이탈방지베어링
200a,b : 타이밍벨트 210 : 편심캠
212 : 한쌍의 편심캠 214 : 이탈구
218 : 구동축 220 : 2절링크
222 : 연결핀 224 : 부채꼴기어
300 : 보조구동축 302 : 반전구동축
304 : 보조반전구동축 306, 306a : 헬리컬기어
이하, 첨부된 일 실시예 도면을 참고적으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걸어감기용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걸어감기용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구동축과 드럼의 구성을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부채꼴기어와 평기어의 구동상태 요부 측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이탈구의 구동장치 요부 저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이탈구의 작동상태 요부측면도로써, 본 발명의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는 재봉수단에 의해 의복으로 의복용단추(10)를 부착하는 재봉실(12)에 걸어감기실(56)을 감아주기 위해 지지대(14)의 상단에 모우터(16)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주회전축(18) 상에 평기어(20)를 설치하고, 상기 평기어(20)와 종동축(42) 상에 설치하는 평기어(20a)를 타이밍벨트(200)로 연결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42)에는 또 다른 평기어(20b)를 설치하여 회전축(18a)에 설치하는 평기어(20c)와 타이밍벨트(200a)로 연결하여서 회전축(18a)에 설치하여 구동하는 편심캠(210)을 구동하도록 하고, 상기 편심캠(210)에는 연결핀(222)을 결합하여 연결핀(222)을 부착한 2절링크(220)의 일측을 구동축(218)과 일체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이송대(28)에 연결시키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이송대(28)의 전방에서 구동축(218) 상에 평기어(22d)를 배치하여 종동축(42)과 타이밍벨트(200b)로 연결하여 드럼(26)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드럼(26)의 외면 소정지점에는 걸어감기실(56)을 걸기 위하고 걸림부위가 곡면상으로 기울기를 갖는 실걸이판(44)을 설치하여 회전량에 따라 걸어감기실(56)이 대응하면서 꼬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실걸이판(44)으로부터 걸어감기실(56)을 완전 이탈시키도록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는 구동축(218) 선단에 꼬임회전구(52)를 회동가능하게 부착하는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시 실걸이판(44)은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편차각에 의하여 걸어감기실(56)의 걸린 상태가 전후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218) 내부에 배치하여 직선왕복운동을 이루고 일측에 부채꼴기어(224)와 대응하는 평기어(20y)를 설치하는 이동축(318)을 마련하고 상기 이동축(318)의 타측에는 꼬임운동구(54)를 부착하여 반전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꼬임운동구(54)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소정대기시간 경과 후 하부에서 곡선운동으로 상승하면서 걸어감기실 (56)을 잡아 돌려주는 이탈구(214)를 마련하고, 상기 드럼(26)내에서 걸어감기실(56)이 회전과 직선운동을 이루면서 재봉실(12)을 결박하며 수회감을 수 있는 단추걸이대(58)를 드럼(26) 전방에 배치하여서 구성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평기어(20c)의 하단에 설치하는 한 쌍의 편심캠(212)은 종동축(42)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비를 갖으면서 소정시간 경과 후 연결구(46)에 의해 반전구동축(302)과 보조반전구동축(304)을 연결하는 헬리컬기어(306)(306a)에 의 속도비에 의하여 보조반전구동축(304)에 설치하는 이탈구(214)의 유동속도가 증속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주회전축(18)에 배치된 평기어(20)와 대응하여 타이밍벨트(200)로 연결하는 종동축(42)에 설치하는 평기어(20a)의 기어 비는 3: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종동축(42)과 타이밍벨트(200b)로 연결하는 구동축(218)상의 평기어(22d)의 기어 비는 1:4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구동축(218)상에 설치된 이송대(28)의 일측 선단에는 2절링크(220)와 연결된 연결핀(222)를 편심캠(210)과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축(218)의 내부에 배치하는 이동축(318) 선단에는 평기어(20y)를 설치하여 정역회전을 이루는 부채꼴기어(224)와 대응하도록 구성하여 정역회전을 유도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평기어(20c)의 하단에는 한 쌍의 편심캠(212)를 설치하는 보조구동축(300)이 회전함에 따라 부채꼴기어(224)을 설치하는 반전구동축(302) 상의 연결구(46)가 한 쌍의 편심캠(212)과 대응하여 반전왕복운동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반전구동축(302)과 이탈구(214)를 설치하는 보조반전구동축(304) 일측에는 한 쌍의 헬리컬기어(306)(306a)를 설치하여 반전회전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도 1 및 도2에서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여 모우터(16)를 회전시키면 주회전축(18)이 회전함과 동시에 이 주회전축(18)에 설치된 평기어(20)을 구동시켜 평기어(20)와 타이밍벨트(200)로 연결하는 평기어(20a)에 의하여 종동축(42)을 구동하게 된다.
상기 종동축(42)의 회전력을 구동축(218)에 그대로 전달하기 위하여 종동축(42)과 구동축(218)상에는 동일기어비를 갖는 평기어(20g)(20h)를 타이밍벨트(200f)로 연결하여 구동을 이루게 함으로서 모우터(16)로부터 회전력을 갖는 종동축(42)과 동일한 회전력을 갖는 구동축(218)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꼬임운동구(54)와 꼬임회전구(52)의 운동을 이루게 한다.
또한 상기 종동축(42)의 구동력을 평기어(20C)와 타이밍벨트(200a)로 연결하여 회전축(18a)을 회전하여 회전축(18a)의 평기어(20c)와 연결하는 구동축(18b)에 마련된 평기어(20j)가 타이밍벨트(200j)로 연결하여 평기어(20k)를 회전함으로 보조구동축(300)에을 회전시켜 보조구동축(300)에 설치된 한 쌍의 편심캠(212)을 구동하여 편심캠(212)과 연결된 이탈구(214)가 반원운동하게 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의 편심캠(212)을 보조구동축(300)에 배치하고 상기 한 쌍의 편심캠(212)에는 분리되어 있는 반전구동축(302)에 부착한 연결구(46)를 결속하여 편심운동을 하도록 하기 때문에 일측 연결구(도면에서 왼쪽;46)은 부채꼴기어(224)을 반전운동시키고 타측 연결구(도면에서 오른쪽;46)은 헬리컬기어(306)을 반전시키게 한다.
또한 상기 부채꼴기어(224)는 이동축(318)에 설치하고 있는 평기어(20y)와 대응하여 구름운동을 이루기 때문에 이동축(318)도 반전운동을 하게 되므로 이동축(318)의 선단에서 드럼(26)내에 설치하고 있는 꼬임운동구(54)를 반전 시켜 걸어감기실(56)이 꼬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축(18a)의 소정위치에 설치하여 구동하는 편심캠(210)에 연결핀(222)가 끼워지고 있어서 연결핀(222)을 부착한 2절링크장치(220)가 링크운동을 이루게 되믈로 이송대(28)를 도3에서와 같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구동축(218)을 좌, 우로 직선운동 가능케 함으로서 후술한 바와 같이 조임회전구(52)로 걸어감기실(56)의 꼬임작업을 이룰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종동축(42)의 선단에는 기어비를 조정하기 위하여 직경이 작은 평기어(20x)와 1:4의 기어비를 갖으며 구동축(218)에서 상기 이송대(28)의 일측에 설치한 평기어(22d)를 타이밍벨트(200b)로 연결하므로 종동축(42)의 회전력으로 평기어(22d)를 회전할 수 있어서 드럼안내대(60)에 설치하고 있는 드럼(26)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럼(26)의 외면에는 실걸이판(44)을 설치하여서 걸어감기 작업을 위하여 실장력구(30)를 통하여 유입하는 걸어감기실(56)을 잡고 초기 걸어감기작업을 진행하므로 단추걸이대(58)에 단추(10)을 전방으로 하고 직물지(62)를 후방으로 하여 재봉실(12)을 걸어 일부를 노출한 상태에서 도 7(a)에서와 같이 실걸이판(44)이 초기 작업을 위하여 단추(10)에 임의로 걸어 놓은 걸어감기실(56)을 걸어 초기지점으로부터 180。~270°(3/4범위내)회전하게 되면 도 7(b)와 같이 꼬임회전구(52)가 구동하여 상기 실걸이판(44)에 의하여 걸어감긴 두가닥 걸이감긴실(56a)(56b)중 하부쪽을 걸어감긴실(56b)을 걸어을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실걸이판(44)은 곡면으로부터 일정 경사면을 보유하고 있어서 걸리 두가닥의 배치각도는 아래쪽의 걸어감진실(56b)이 후술하는 꼬임회전구(52)에 의하여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꼬임회전구(52)이 걸어감기실(56)을 감고 회전함과 동시에 나머지 실걸이판(44)에 걸려 있던 걸어감긴실(56a)마져 도 7(c)와 같이 실걸이판(44)으로부터 회전하면서 피복하여 걸어감진실(56a)(56b)을 꼬기 직전의 상태에서 꼬아주면 도 7(d)와 같이 꼬임 상태를 이루게 하고 이어서 도 7(d)와 같이 꼬임운동구(54)가 이송대(28)에 의하여 전진하는 구동축(218)과 함께 전진하고 부채꼴기어(224)와 대응하는 평기어(20y)를 설치한 이동축(318)이 전진하면서 반전운동하므로 상기 꼬임회전구(52)에 걸려 꼬여 있던 걸어감기실(56)을 꼬임운동구(54)가 잡아 꼬임회전구(52)로부터 피복하여 단추(10)를 부착하는 재봉선(12)은 완전이 꼬아감겨지는 상태를 이루게 한다.
이어서 한 쌍의 편심캠(212)에 의하고 헬리컬기어(306)(306a)에 의하여 구동하는 이탈구(214)가 호형운동으로 승강하면서 상기 꼬임운동구(54)에 걸려 있는 걸어감기실(56)을 잡아 도 7(e)에서와 같이 꼬임회전구(52)로부터 이탈시키게 하여 재봉실(12)에 안전한 결박상태로 감아주기를 이루게 한다.
이는 도8(a)에서와 같이 초기 감기 상태인 단추(10)에 걸어감기실(56)이 임의로 걸림 상태에서 도 8(b)와 같이 실걸이판(44)으로 끌어 당긴 후 도 8(c)와 같이 조임회전구(52)로 걸어주면 실걸이판(44)에 걸린 걸어감기실(56)을 피복하는 걸어감긴실이 꼬임상태가 되기 직전을 이루게 되고, 그 후 도 8(d)와 같이 꼬임운동구(54)로 꼬아 주면서 이탈구(214)에 의해 완전 피복상태를 이루면서 도 8(e)와 같이 완전 꼬임 및 결박상태를 이루게 한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걸어감기실(56)은 단추(10)의 재봉실(12)에 자동반복으로 꼬아 결박된 상태로 감아주게 되므로 풀림을 예방하면서 단추(10)가 단추구멍에 양호하게 결속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단추가 재봉된 재봉실에 꼬임 감기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재봉실의 풀림을 방지하면서 재봉된 단추가 의복 결속 시에 안전하고 양호하게 결속을 이루게 하여 편리하면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것으로 작업의 신속함과 편리성을 추구하면서 편리하고 신속한 작업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9)

  1. 재봉수단에 의해 의복에 의복용단추(10)을 부착하는 재봉실(12)에 걸어감기실(56)을 감아 주는 장치에 있어서,
    지지대(14)의 상단으로 모우터(16)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주회전축(18)에 설치된 평기어(20)와, 상기 평기어(20)와 타이밍벨트(200)로 연결하는 평기어(20a)를 보유하는 종동축(42)과, 상기 종동축(42)의 또다른 평기어(20b)와 타이밍벨트(200a)로 연결하는 평기어(20c)에 의해 구동하는 편심캠(210)과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으로 구동축(218)을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이송대(28)와, 상기 이송대(28)의 전방에서 구동축(218) 상에 배치하여 종동축(42)과 타이밍벨트(200b)로 연결하여 드럼(26)을 회전하는 평기어(22d)와, 상기 드럼(26)의 외면 소정지점에 설치하여 걸어감기실(56)을 걸기 위한 실걸이판(44)의 회전량에 따라 대응하면서 걸어감기실(56)이 꼬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실걸이판(44)으로부터 걸어감기실(56)을 완전 이탈시키도록 회동하는 구동축(218) 선단에 부착하는 꼬임회전구(52)와, 상기 꼬임회전구(56)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소정시간 경과 후 구동축(218) 내에서 직선운동으로 전진 및 반전운동을 이루는 구동축(318)의 선단에 부착하는 꼬임운동구(54)와, 상기 꼬임운동구(54)의 회전비에 대응하여 소정대기시간 경과 후 상승하면서 걸어감기실 (56)을 잡아 돌려주는 이탈구(214)와, 상기 드럼(26)내에서 걸어감기실(56)이 회전과 직선운동을 이루면서 단추(10)을 부착하는 재봉실(12)을 결박하며 수회감을 수 있는 단추걸이대(58)를 드럼(26) 전방에 배치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26)에 부착된 실걸이판(44)이 걸어감기실56)을 걸고 회전할 때 외부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드럼(26)의 일측 소정위치에 실이탈방지베어링(100)을 부착하여서 꼬임회전구(52)가 안전한 걸어감기실(56)의 이탈작업을 유도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42)과 타이밍벨트(200b)로 연결하는 구동축(218)상에 설치된 평기어(22d)의 기어 비는 1: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42)의 평기어(20b)와 타이밍벨트(200a)로 연결하여 편심캠(210)을 구동시키는 평기어(20c)의 기어비는 1: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18)상에 설치된 이송대(28)의 일측 선단에는 2절링크(220)와 연결된 연결핀(222)를 편심캠(210)과 결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18)의 내부에 배치하는 이동축(318) 선단에는 평기어(20y)을 설치하여 정역회전을 이루는 부채꼴기어(224)와 대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기어(20c)의 하단에 설치하는 한 쌍의 편심캠(212)은 종동축(42)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비를 갖으면서 소정시간 경과 후 연결구(46)에 의해 반전구동축(302)과 보조반전구동축(304)을 연결하는 헬리컬기어(306)(306a)에 의 속도비에 의하여 보조반전구동축(304)에 설치하는 이탈구(214)의 유동속도가 증속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기어(20c)의 하단에는 한 쌍의 편심캠(212)를 설치하는 보조구동축(300)이 회전함에 따라 부채꼴기어(224)을 설치하는 반전구동축(302) 상의 연결구(46)가 한 쌍의 편심캠(212)과 대응하여 반전운동을 이루도록 구성함은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구동축(302)과 이탈구(214)를 설치하는 보조반전구동축(304) 일측에는 한 쌍의 헬리컬기어(306)(306a)를 설치하여 반전 회전력을 전달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KR1019980019024A 1997-05-31 1998-05-26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KR100268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DW991463A ID24877A (id) 1997-05-31 1997-05-30 Aparatus untuk mengikat benang yang melintasi kancing yang dijahit pada pakaian
KR1019980019024A KR100268169B1 (ko) 1997-05-31 1998-05-26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CN98805644A CN1093576C (zh) 1997-05-31 1998-05-30 用于捆扎缝在服装的钮扣上的钉扣线的设备
IL13313198A IL133131A (en) 1997-05-31 1998-05-30 Apparatus for binding thread running through button sewed on garment
JP50051599A JP3247993B2 (ja) 1997-05-31 1998-05-30 織物のボタンに通すボタン固定糸の周囲に結束糸を巻き付ける装置
PCT/KR1998/000137 WO1998054391A1 (en) 1997-05-31 1998-05-30 Apparatus for binding thread running through button sewed on garment
US09/423,717 US6199727B1 (en) 1997-05-31 1998-05-30 Apparatus for binding thread running through button sewed on garment
CA002290480A CA2290480A1 (en) 1997-05-31 1998-05-30 Apparatus for binding thread running through button sewed on garment
ES98925944T ES2193531T3 (es) 1997-05-31 1998-05-30 Aparato para fijar el hilo que atraviesa un boton cosido a una prenda de vestir.
DE69811519T DE69811519T2 (de) 1997-05-31 1998-05-30 Vorrichtung zum umwickeln der befestigungsfäden eines am kleidungsstück angenähten knopfes
AT98925944T ATE232918T1 (de) 1997-05-31 1998-05-30 Vorrichtung zum umwickeln der befestigungsfäden eines am kleidungsstück angenähten knopfes
TR1999/02944T TR199902944T2 (xx) 1997-05-31 1998-05-30 Bir giysiye dikilmi� d��meden ge�en ba�lama ipli�i i�in cihaz.
PT98925944T PT1017892E (pt) 1997-05-31 1998-05-30 Aparelho para ligar um fio que passa atraves dum botao cosido num vestuario
EP98925944A EP1017892B1 (en) 1997-05-31 1998-05-30 Apparatus for binding thread running through button sewed on garment
AU77890/98A AU7789098A (en) 1997-05-31 1998-05-30 Apparatus for binding thread running through button sewed on garment
BR9809559-5A BR9809559A (pt) 1997-05-31 1998-05-30 "aparelho para enrolar uma linha de debrum que passa através de um botão costurado em uma roupa".
HK00107360A HK1028072A1 (en) 1997-05-31 2000-11-17 An apparatus for binding button-fixing thread through button sewed on gar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419 1997-05-31
KR1019970022419A KR970058610A (ko) 1997-05-31 1997-05-31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KR97-22419 1997-08-19
KR1019980019024A KR100268169B1 (ko) 1997-05-31 1998-05-26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089A KR19980043089A (ko) 1998-08-17
KR100268169B1 true KR100268169B1 (ko) 2000-10-16

Family

ID=2663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024A KR100268169B1 (ko) 1997-05-31 1998-05-26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199727B1 (ko)
EP (1) EP1017892B1 (ko)
JP (1) JP3247993B2 (ko)
KR (1) KR100268169B1 (ko)
CN (1) CN1093576C (ko)
AT (1) ATE232918T1 (ko)
AU (1) AU7789098A (ko)
BR (1) BR9809559A (ko)
CA (1) CA2290480A1 (ko)
DE (1) DE69811519T2 (ko)
ES (1) ES2193531T3 (ko)
HK (1) HK1028072A1 (ko)
ID (1) ID24877A (ko)
IL (1) IL133131A (ko)
PT (1) PT1017892E (ko)
TR (1) TR199902944T2 (ko)
WO (1) WO1998054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877A (ko) * 2001-07-27 2003-02-06 서권용 단추 생크부의 감침 방법 및 장치
DE102006011149B4 (de) * 2005-03-11 2019-10-31 Juki Corp. Stielumwickel- und Knopfannähmaschine sowie Knopfannähverfahren
CN103653473A (zh) * 2012-09-12 2014-03-26 华东理工大学 一种纽扣缠绕压线设备
KR101448678B1 (ko) * 2013-08-12 2014-10-08 김형기 단추 재봉실의 뿌리감기 장치
JP6183100B2 (ja) 2013-09-25 2017-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蓄冷熱交換器
CN104041997B (zh) * 2014-06-30 2016-01-13 河南科技大学 一种鞋帮收口穿线装置
CN107747166B (zh) * 2017-09-01 2023-03-10 蔡永雄 一种纽扣捆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449A (en) * 1934-06-30 1935-09-03 John O Sibbald Button winding machine
SU781232A1 (ru) 1977-02-10 1980-11-23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Легкого И Тексти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Способ пришивани пуговицы на стойке из нити на швейном полуавтомат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JPS62281991A (ja) * 1986-05-30 1987-12-07 ジューキ株式会社 釦縫着機
JPS63279872A (ja) * 1987-05-11 1988-11-16 ジューキ株式会社 釦の縫着方法と装置
DE3815561A1 (de) 1987-05-11 1988-12-01 Yamato Sewing Machine Mf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naehen eines knopfes und zum umwickeln des stielfadens
DE4021938A1 (de) * 1989-08-16 1992-01-16 Allg Synthetische Gmbh Vorrichtung zum umwickeln des knopfstiels eines an ein kleidungsstueck angenaehten knopfes
KR100204270B1 (ko) * 1995-07-28 1999-06-15 이욱재 단추생크부 감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09559A (pt) 2000-10-17
US6199727B1 (en) 2001-03-13
DE69811519D1 (de) 2003-03-27
ID24877A (id) 2000-08-31
ATE232918T1 (de) 2003-03-15
CA2290480A1 (en) 1998-12-03
ES2193531T3 (es) 2003-11-01
AU7789098A (en) 1998-12-30
CN1258328A (zh) 2000-06-28
KR19980043089A (ko) 1998-08-17
PT1017892E (pt) 2003-06-30
TR199902944T2 (xx) 2000-06-21
HK1028072A1 (en) 2001-02-02
IL133131A (en) 2003-02-12
JP2000514701A (ja) 2000-11-07
WO1998054391A1 (en) 1998-12-03
JP3247993B2 (ja) 2002-01-21
EP1017892B1 (en) 2003-02-19
DE69811519T2 (de) 2004-02-19
EP1017892A1 (en) 2000-07-12
CN1093576C (zh) 2002-10-30
IL133131A0 (en) 200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8169B1 (ko)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US5950240A (en) Arrangement for retaining an article of wear to a jacket or other garment
CA2528695C (en) Drag harness
KR100532713B1 (ko)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감침장치
US20050284696A1 (en) Drag harness improvements
CN108950903A (zh) 拉腰机
CN105908394B (zh) 一种缝纫机的打线机构
US3328808A (en) Elastic neck form
CN208857476U (zh) 一种拉腰机
KR200160677Y1 (ko) 단추의 측면 걸어 매듭감기용 재봉실의 장력유지 및 절단장치
CN216674735U (zh) 一种带有防勾丝结构的上衣
CN210642659U (zh) 一种便于使用的运动裤裤绳
JP3234460U (ja) 簡易三角腕抜き
CN213681174U (zh) 一种鞋面料缝合装置
CN217695311U (zh) 一种防风效果好的毛呢大衣
CN213549753U (zh) 一种束紧运动裤
JPS62268589A (ja) ミシンの環状編み縫い装置
CA1098379A (en) Sewing machine
KR860001189Y1 (ko) 엽연초 재봉기
MXPA99010666A (en) Apparatus for binding thread running through button sewed on garment
CN2479040Y (zh) 工业缝纫机无梭心自动供线装置
US20190037826A1 (en) Adjustable fly lure tying apparatus
KR200314772Y1 (ko) 의류용 밴드직물
KR970058610A (ko) 단추의 재봉실 측면 걸어감기용 장치
JPH11243937A (ja) 葉編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