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623B1 -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 - Google Patents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623B1
KR100267623B1 KR1019970039491A KR19970039491A KR100267623B1 KR 100267623 B1 KR100267623 B1 KR 100267623B1 KR 1019970039491 A KR1019970039491 A KR 1019970039491A KR 19970039491 A KR19970039491 A KR 19970039491A KR 100267623 B1 KR100267623 B1 KR 100267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iner
rubber
phr
tire
natural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806A (ko
Inventor
권순남
Original Assignee
조충환
한국타이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충환, 한국타이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충환
Priority to KR101997003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623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1Brakes for tapes or tape re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인너라이너와 제1인너라이너의 미가류 접착을 개선시켜 접속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내공기 투과성 또한 향상된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로서, 제1인너라이너와 제2인너라이너로 이루어진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에 있어서, 제2인너라이너의 고무 성분의 조성이 천연 고무 8내지 14phr, 부틸 고무 86 내지 92ph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
본 발명은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2인너라이너와 제1인너라이너의 미가류 접착을 개선시켜 접속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내공기 투과성 또한 향상된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시켜 주는 제2인너라이너, 제2인너라이너와 카카스층의 완충부로 작용하는 제1인너라이너 및 타이어의 몸체 역할을 하는 카카스층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카카스에 사용되는 배합고무는 텍스타일과의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천연고무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며(통상 천연 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의 비는 60:40 내지 90:10이다), 제2인너라이너와 카카스층의 완충부로 작용하는 제1인너라이너는 카카스 토핑고무와의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 카카스 고무와 유사하게 천연 고무의 함량이 높은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져 있다.
제2인너라이너의 경우, 종래에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부틸 고무 60 내지 80phr, 천연 고무 20 내지 40phr을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타이어의 내공기 투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틸 고무함량을 더욱 증가시켜야 하지만, 부틸 고무함량이 증가하게 되면 제1인너라이너와의 점착 및 접착력이 저하되어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의 접속 부분이 벌어지게 된다.
제1인너라이너와 제2인너라이너의 접속 부분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인너라이너와 제2인너라이너는 카카스층 아래에서 서로 맞붙어 있고, 이 끝부분은 제1인너라이너와 제2인너라이너가 맞붙은 다른 쪽 끝과 겹쳐져 있다. 겹쳐져서 접속되어 있는 부분은 카카스층 밑에 제1인너라이너, 그 아래에 제2인너라이너, 그 아래에 겹쳐져 접속되는 제1인너라이너, 그 아래에 제2인너라이너의 순서로 되어 있다. 겹쳐져서 접속되는 부분은 부틸 고무 함량이 높은 고무 조성물로된 제2인너라이너와 천연 고무 함량이 높은 고무 조성물로된 제1인너라이너로 구성되는데, 접속 부분이 벌어지는 곳은 겹쳐진 부분의 제2인너라이너와 제1인너라이너 사이에서 이다.
이러한 접속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에서는 부틸 고무함량이 높은 화합물의 경우 접속 부분에 접속 테이프를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 타이어 성형시 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점착조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접속 부분이 벌어지는 현상을 개선시키지는 못한다. 즉, 부틸 화합물 100 중량부만을 사용하고, 각종 점착조제(쿠마론-인덴 수지, 페놀계 점착조제, 로진계 접착조제 등)를 사용하여 접속 부분이 벌어지는지를 관찰한 실험에서, 각기 다른 접착조제의 사용시에도 접속 부분이 벌어지는 현상이 방지되지는 않는데, 이 결과로 부틸이 다량 함유된 고무 조성물과 천연 고무가 다량 함유된 고무 조성물간의 미가류 상태에서의 점착력은 각종 점착조제 등에 의해서는 개선이 불가능하고, 고무-고무간의 상용성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제2인너라이너의 고무 성분의 조성이 천연 고무 8 내지 14phr, 부틸 고무 86 내지 92phr로 이루어질 경우, 제2인너라이너와 제1인너라이너의 미가류 접착이 개선되어 접속 부분의 벌어짐이 방지되고, 내공기 투과성도 향상된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제2인너라이너와 제1인너라이너의 미가류 접착이 개선되어 접속 부분의 벌어짐이 방지되고, 내공기 투과성도 향상된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인너라이너와 제2인너라이너로 이루어진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에 있어서, 제2인너라이너의 고무 성분의 조성이 천연 고무 8 내지 14phr, 부틸 고무 86 내지 92ph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인너라이너의 고무 성분으로, 천연 고무 8 내지 14phr과 부틸 고무 86 내지 92phr을 사용한다.
천연 고무의 첨가는 제2인너라이너와 제1인너라이너의 접속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 고무를 8phr이상 첨가하면 제2인너라이너와 제1인너라이너의 미가류 접착이 개선되어 접속 부분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지만, 14phr이상 첨가하면 타이어의 내공기 투과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천연 고무가 8내지 14phr함유되는 경우에 통상의 제2인너라이너 고무 성분인 천연 고무가 20phr 함유된 경우보다 내공기 투과성이 약 30%향상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틸 고무로는 재생 부틸 고무 또는 할로겐화 부틸고무를 사용할 수 있는데, 할로겐화 부틸 고무에는 클로로 부틸 고무, 브로모 부틸 고무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물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공기투과계수
고무 시편 양쪽에 1기압(760mmHg)의 공기압 차이를 작용시킬 때 1시간 동안, 시편의 단위 면적당(㎠), 시편의 두께(mm)를 통해 이동된 공기의 양으로 1기압, 25℃ 조건[STP]에서 측정시 공기의 부피(㎖)로 나타낸 것이다.
2) 접속 부위의 벌어짐 발생 여부
천연 고무 함량이 높은 고무 조성물로된 제1인너라이너를 미가류 상태에서 제2인너라이너와 접착시켜 약 50 내지 70% 신장에서 접속부분이 벌어지는지를 조사하였다(실제 래디알 타이어의 성형 공정에서 인너라이너 및 카카스층에 작용하는 신장율이 약 40 내지 70%이다).
3) 타이어 주행 내구 성능 평가
-타이어 사이즈 : 195-70R/14T
-노화 조건 : 3.5kg/㎠의 산소를 주입하여 80℃에서 5일간 노화
-주행 조건 : 80KpH에서 2시간 주행후 120KpH에서 주행을 시작하여 24시간마다 10KpH씩 증가시켜 주행함.
[실시예]
천연 고무 8, 10, 14phr 각각에 대해 부틸 고무 92, 90, 86phr 및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2인너라이너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여 각각을 실시예 1, 2, 3으로 하고, 각각의 공기투과계수, 접속 부분 벌어짐 발생시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실시예 1과 3의 타이어 주행 내구성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천연 고무 0, 4, 6, 17, 20 phr 각각에 대해 부틸 고무 100, 96, 94, 83, 80phr 및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2인너라이너의 고무 조성물을 제조하여 각각을 비교예 1, 2, 3, 4, 5로 하고, 각각의 공기투과계수, 접속 부분 벌어짐 발생시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교 비교예 3과 4의 타이어 주행 내구성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는 천연 고무 함량이 20phr로 통상 사용중인 인너라이너의 고무 조성물이다.
Figure kpo00001
1할로겐화 부틸(클로로 부틸, 브로모 부틸) 및 재생 부틸 고무 사용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냄.
2방향족 탄화수소 : 스티렌(평균분자량 300 내지 700, 연화온도 110 내지 130, 상품명 FR-120).
3점착제 : 말레인산 로진.
4MBTS : 디벤조 티아졸릴 디설파이드(가류 촉진제)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연 고무가 6phr 첨가될 경우(비교예 3), 접착한 후 약 8시간 경과후에 접속부분이 벌어져서 타이어 가류시 불량을 유발하게 되었다. 또, 천연 고무의 함량이 8phr인 경우(실시예 1)에 약 24시간 후에 접속부분이 미세하게 벌어졌다. 그러나, 천연 고무의 함량이 10phr과 14phr인 경우에는(실시예 2, 3)접속부분이 벌어지지 않고 안정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4, 5와 같이 천연 고무 함량이 14phr 이상인 경우, 공기투과계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타이어의 내공기 투과성이 저하되어 공기의 누출 및 타이어의 주행내구 성능의 저하를 가져왔다.
본 발명에 따라 제2인너라이너의 고무 성분의 조성을 천연 고무 8 내지 14phr, 부틸 고무 86 내지 92phr로 함으로써, 2 인너라이너와 제2인너라이너의 미가류 접착을 개선시켜 접속 부분이 벌어지지 않게한 내공기 투과성이 향상된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의 인너라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제1인너라이너와, 천연 고무 및 부틸 고무로 구성된 제2인너라이너로 이루어진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제2인너라이너의 고무 성분의 조성이 천연 고무 8내지 14phr, 부틸 고무 86 내지 92ph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
KR1019970039491A 1997-08-20 1997-08-20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 KR100267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491A KR100267623B1 (ko) 1997-08-20 1997-08-20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491A KR100267623B1 (ko) 1997-08-20 1997-08-20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806A KR19990016806A (ko) 1999-03-15
KR100267623B1 true KR100267623B1 (ko) 2000-11-01

Family

ID=1951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491A KR100267623B1 (ko) 1997-08-20 1997-08-20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7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335B1 (ko) * 2006-03-28 2007-08-0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인너라이너 고무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856A (ko) * 1991-04-16 1992-11-20 홍건희 대형타이어용 인너라이너 고무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9856A (ko) * 1991-04-16 1992-11-20 홍건희 대형타이어용 인너라이너 고무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806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5625A (en) Pneumatic tire having air retention innerliner
US8646500B2 (en) Multilayered gas-tight and anti-puncture laminate object including same
US9475344B2 (en) Pneumatic article with gas tight layer includ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US4539365A (en) Universal cement for natural and synthetic rubber tire compounds
US6426378B1 (en) Partially vulcanized shaped rubber composition and preparation of an article, including tires, having a component thereof
US20130109800A1 (en) Rubber Blend
EP0831122B1 (en) Tyre with tread of elastomer composition
EP2158083B1 (en) Tire repair with cured patch
US20130109799A1 (en) Rubber Blend
EP0589291B1 (en) Tire with apex rubber blend
EP0900826A1 (en) Tire tread compounds comprising partially crosslinked natural rubber
JP3234031B2 (ja) トレッドベースゴムブレンドを有するタイヤ
EP1424221A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0448905B1 (en) Pneumatic tire having air retention toeguard
EP1228900A2 (en) Pneumatic tire having dual air retention quasi envelopes
JPH08108491A (ja) トランス1,4−ポリブタジエンラバーを含有する硬化ラバーコンパウンドのインナーライナー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
EP0863027B1 (en) Tyre with chafer composition
CN1114934A (zh) 具有含低密度聚乙烯或线型低密度聚乙烯的硫化橡胶配合物气密层的充气轮胎
KR100267623B1 (ko) 승용차용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
JP7289722B2 (ja) 後硬化シーラント層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
EP1514899A1 (en) Tire with at least one of sidewall insert and/or apex of a rubber composition which contains a high vinyl polybutadiene
KR100333825B1 (ko) 튜브리스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용 고무조성물
JPH1045954A (ja) ゴムのサイドウォールを有するタイヤ
KR940006455B1 (ko) 대형타이어용 인너라이너 고무조성물
JP2004359806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