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620B1 - 적층지, 적층지의 제조방법 및 적층지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적층지, 적층지의 제조방법 및 적층지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620B1
KR100267620B1 KR1019980027924A KR19980027924A KR100267620B1 KR 100267620 B1 KR100267620 B1 KR 100267620B1 KR 1019980027924 A KR1019980027924 A KR 1019980027924A KR 19980027924 A KR19980027924 A KR 19980027924A KR 100267620 B1 KR100267620 B1 KR 10026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eal
heat
paper
laminated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835A (ko
Inventor
후미오 가쿠다
Original Assignee
후미오 가쿠다
가쿠다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미오 가쿠다, 가쿠다 시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미오 가쿠다
Publication of KR2000000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적층지의 융착면적을 적게 하더라도 충분한 융착강도를 얻을 수 있어, 전체의 볼륨감도 증대할 수가 있게 한다.
크레이프지(1)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대략 직선형상으로 뻗는 선형상부(11a)를 주름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빗겨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선형상부(11a) 사이를 점형상부(11b)에 의해 접속하여,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와 불직포(2)에 융착부(11)를 형성하고, 또한, 인접하는 융착부(11)를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선형상부(11a)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넓은 폭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지, 적층지의 제조방법 및 적층지의 제조장치
본 발명은 종이물수건, 페이퍼타올 등에 사용가능한 적층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여 열융착하는 적층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종이물수건 등에 사용가능한 적층지로서, 본원 발명의 발명자의 발명 내지 고안에 관한 일본국 특허공고 평 4-24480호 공보 또는 일본국 실용공고 평 4-15116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에서는, 크레이프를 갖는 흡습지와 열융착성 시트(합성 섬유를 혼초(混抄)한 흡습지 또는 부직포)를 적층하여, 흡습지의 크레이프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도록 히트 세트부 내지 히트 시일부를 형성하여, 그들을 열융착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이 기술은, 촉감이 좋고, 외관 및 사용감에도 뛰어난 적층지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적층지의 히트 시일을 저온으로 할 수 있으며,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원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뛰어난 효과를 갖는 종래의 적층지를 더욱 개량하여, 특히,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의 히트 시일부의 융착탄도를 대폭 향상하여, 또한, 전체의 볼륨감을 각별히 증대하여 외관을 더욱 향상할 수가 있는 기술을 확립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융착면적을 적게 하더라도 충분한 융착강도를 얻을 수 있고, 전체의 볼륨감도 증대할 수가 있는 적층지, 이러한 적층지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발명자는,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여 융착하여 되는 적층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사이의 융착강도를 보다 증대할 수가 있는 기술을 확립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융착강도를 증대할 수가 있는 적층지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별도의 과제로 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를 제 1 도의 A-A선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주요부단면도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를 제 1 도의 B-B선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주요부단면도이다.
제 6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8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면을 전개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제 2 안내로울러 주변의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별도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레이프지 2 : 부직포(열융착성시트)
11a : 선형상부(제 1의 부분) 11b : 점형상부(제 2의 부분)
22 : 지지로울러 24 : 지지로울러
30 : 히트 시일로울러 31 : 히트 시일부
31a : 히트 시일면 40 : 히트 시일로울러
41 : 히트 시일부 41a : 선시일면(제 1의 부분)
41b : 점시일면(제 2의 부분) 52 : 안내로울러
제 1 항의 적층지는, 한방향으로 뻗는 주름을 갖는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여, 그들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프지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가 대략 직선형상으로 뻗는 제 1의 부분을, 상기 주름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소정간격 빗기어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부분사이를 제 2의 부분에 의해 접속하여,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에 융착부를형성하고, 또한, 인접하는 융착부를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제 1의 부분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넓은 폭으로 하였다.
제 2 항의 적층지는, 제 1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의 제 2의 부분을 제 1의 부분보다 넓은 폭으로 하여, 상기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상기 제 1의 부분으로서는 선형상으로, 제 2의 부분으로서는 점형상으로 융착하였다.
제 3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한방향으로 뻗는 주름을 갖는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는 적층공정과, 대향배치한 한 벌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사용하여, 상기 크레이프지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가 대략 직선 형상으로 뻗는 제 1의 부분을 상기 주름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소정간격 빗기어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부분사이를 제 2의 부분에 의해 접속하여 상기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에 융착부를 형성하고, 또한, 인접하는 융착부를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제 1의 부분간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으로 하는 융착공정을 구비한다.
제 4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제 3 항의 구성에 있어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를, 대향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 로울러의 일측에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한편을 둘레면을 접어 그들 사이에 도입하여, 그 반대측에 도출한다.
제 5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제 3 항의 구성에 있어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를, 대향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일측에 배치한 제 1 안내로울러로 부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한쪽의 둘레면을 지나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다른측에 배치한 제 2 안내로울러로 이끌어, 그 제 2 안내로울러를 되돌려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 사이에 도입하여, 그 반대측에 도출함과 동시에, 운전시에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안내 로울러와 반대방향에 이격되는 사용위치에 배치하여, 운전정지때는 상기 제 2 안내 로울러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대기위치로 배치한다.
제 6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한방향으로 뻗는 주름을 갖는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는 적층공정과, 대향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사용하여, 상기 크레이프지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융착부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 상기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에 형성하는 융착공정을 구비하여, 상기 융착공정에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를, 대향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일측에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한쪽 둘레면을 접어 그들 사이에 도입하여, 그 반대측에 도출한다.
제 7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제 3 항의 구성에 있어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를, 대향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일측에 배치한 제 1 안내로울러로 부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한쪽의 둘레면을 지나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다른 측에 배치한 제 2 안내로울러로 이끌어, 그 제 2 안내로울러를 접어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 사이에 도입하여, 그 반대측에 도출함과 동시에, 운전시에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으로 부터 상기 제 1 안내 로울러와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는 사용위치에 배치하여, 운전정지때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대기위치에 배치한다.
제 8 항의 적층지의 제조장치는, 한방향으로 뻗는 주름을 갖는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여 열융착하는 적층지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는 평탄한 히트 시일면을 갖는 돌출형의 히트 시일부를, 축심방향에 소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와, 둘레방향으로 소정길이 직선적으로 뻗는 제 1의 부분을 축심방향으로 소정간격 빗기어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부분사이를 제 2의 부분에 의해 접속하여 되는 히트 시일면을 갖는 돌출형의 히트 시일부를, 축심방향으로 상기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와 동일간격으로 배치하고 또한, 인접하는 히트 시일부를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제 1의 부분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으로 하고, 상기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에 대향배치하는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구비한다.
제 9 항의 적층지의 제조장치는, 제 8 항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의 제 2의 부분을 제 1의 부분보다 넓은 폭으로 하고, 상기 제 1의 부분을 선형상의, 제 2의 부분을 점형상의 히트 시일면으로 하였다.
제 10 항의 적층지의 제조장치는, 제 8 항 또는 제 9 항의 구성에 있어서, 더욱, 롤감기열융착성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로울러를 복수단배치하여, 그들의 사이에서 열융착성 시트를 전환하여 공급이 자유롭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의 형태에 관하는 적층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의 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를 도 1의 A-A선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주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를 도 1의 B-B선으로 절단하여 나타내는 주요부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지(10)는, 한방향으로 뻗는 다수의 주름(크레이프)를 전면에 갖는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여, 그들을 열융착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지(10)는, 한 벌의 크레이프지(1) 사이에 열융착성 시트으로서의 부직포(2)를 끼워 적층하고 있다. 부직포(2)는, 내부에 융점이 높은 열가소성합성 수지섬유(예컨대 폴리프로필렌)을 혼입하여, 표면측에 융점이 낮은 열가소성합성 수지섬유(예컨대 폴리에스텔)을 혼입한 것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지(10)의 좌우방향에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융착부(11)가 열융착에 의해 형성되어, 부직포(2)의 용융합성 섬유에 의해 양측의 크레이프지(1)을 융착하고 있다. 융착부(11)의 사이에는 팽출부(12)가 형성된다.
각 융착부(11)는, 제 1의 부분으로서의 선형상부(11a) 및 제 2의 부분으로서의 점형상부(11b)보다 구성되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지(10)의 길이 방향 내지 권취 방향(도면중 상하방향)에 따라 뻗는 소정의 평면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다수의 융착부(11)를 적층지(10)의 폭방향(도면중 좌우방향)에 일정패턴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각 융착부(11)는, 크레이프지(1) 원래의 주름이 뻗는 방향(도면중 좌우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면중 상하방향)에 소정길이가 대략 직선형상으로 뻗는 다수의 선형상(11a)을 상기 주름의 방향과 동일방향인 좌우방향으로 소정간격 빗기어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선형상부(11a) 사이를 점형상부(11b)에 의해 접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인접하는 융착부(11)는, 그 평면형상이 대칭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선형상부(11a) 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으로 하고 있다. 또, 도 1속에서는, 크레이프지(1) 원래의 주름은 도시하지 않지만, 다수의 주름이 적층지(10)의 전면에 걸쳐 대략 좌우방향으로 다수 뻗어 있다.
또한, 상기 융착부(11)의 점형상부(11b)는 선형상부(11a)보다 넓은 폭이라고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융착부(11)는, 크레이프지(1)와 부직포(2)를 선형상부(11a)의 부분에서는 선형상으로, 점형상부(11b)의 부분에서는 점형상으로 융착하고 있다. 이 점형상부(11b)는, 상하에 인접하는 선형상부(11a)를 비스듬히 접속하여, 융착부(11)는, 전체로서, 대략 사다리꼴을 적층지(10)의 상하방향으로 번갈아서 연속한 평면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형상부(11b)는, 선형상부(11a)의 약 2배의 폭을 갖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적층지(10)는, 크레이프지(1)와 부직포(2)를 적층 융착한 단계에서는, 2장의 크레이프지(1)와 1장의 부직포(2)의 두께의 대략 합계의 두께이며, 그 표면에 크레이프지(1) 원래의 주름만이 존재한다. 그러나, 적층지(10)는, 건조상태로부터, 예컨대, 종이물수건 등으로 가공하기 위해서 알맞은 수분을 함침시킴으로써, 융착부(11)사이에, 융착부(11)의 평면형상 및 배치패턴에 해당한 평면형상의 팽출부(12)가 형성된다. 이것은, 크레이프지(1)의 팽윤율이 부직포(2)의 팽윤율보다 크기 때문에, 부직포(2)의 급수에 의한 팽창에 비하여, 크레이프지(1)가 급수하여 적층지(10)의 두께 방향에 크게 팽창하는 한편, 융착부(11)에 의해 크레이프지(1)와 부직포(2) 사이의 어긋남이 억제되어, 그것들의 사이에 느슨함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리고, 팽출부(12)는, 넓은 폭의 선형상부(11a) 사이에서는 넓은 폭부분(12a)이 되고, 좁은 폭의 선형상부(11a) 사이에서는 좁은 폭부분(12b)이 된다. 또한, 융착부(11)에 의해 팽출부(12)의 팽창이 규제되기 때문에, 팽출부(12)에는 적층지(10)의 대략 좌우방향으로 뻗는 큰주름(12c)이 상하방향으로 대략 균등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더욱, 큰주름(12c)은, 넓은 폭부분(12a)에서는 좁은 폭부분(12b)보다 더욱 큰 주름이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의 적층지(10)를 예컨대 종이물수건의 원료지로서 사용하고, 수분을 함유시키면, 포장시 및 사용시 함께, 전체의 볼륨감이 대폭 증대한다. 특히, 소위 관음접기의 종이물수건으로 하였을 때에는 한층 더 볼륨감이 증대한다. 또한 팽출부(12)의 큰 지름(12c)은, 함수한 적층지(10)를 다시 건조하여도 그대로 남게 되고, 전체의 볼륨감은 유지된다. 따라서, 팽출부(12)에 의해, 염가인 재료를 사용하여 염가에 제조되는 종이물수건이면서, 천물수건에 가까운 볼륨감 및 양호한 촉감을 얻을 수가 있고, 소프트한 느낌 및 고급감도 부여할 수가 있다. 더욱, 팽출부(12)에 의해 충분한 보수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덧붙여, 종이물수건 특유의 효과인 청결성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팽출부(12)는, 넓은 폭부분(12a) 및 좁은 폭부분(12b)을 교대로 배치하여, 큰 주름(12c)을 다수 갖는 한편, 넓은 폭부분(12a)에서는 좁은 폭부분(12b)보다 한층 큰 주름(12c)이 형성되기 때문에, 볼륨감이 상하방향으로 교대로 변화하여, 독특한 의장적 효과를 부여할 수가 있고, 또한, 특유의 촉감을 줄 수도 있다.
한편, 융착부(11)는, 다수의 선형상부(11a)를 점형상부(11b)에서 접속한 소정 평면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의 융착길이가 커지고, 융착탄도가 증대한다. 즉, 융착폭을 작게 하더라도, 전체의 융착면적은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특히, 선형상부(11a)에서는 팽출부(12)의 면적을 크게 확보하여, 볼륨감의 증대에 기여하여, 점형상부(11b)에서는 큰 융착면적을 확보하여 강고한 융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의 볼륨감을 유지하면서, 크레이프지(1)와 부직포(2)사이의 박리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제품불량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적층지(10)는, 선형상부(11a)에서는 가는 폭으로 융착되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약간 늘어날 수 있고, 전체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10)의 제조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지의 제조장치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롤감기크레이프지(1A)를 회전공급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로울러(21)와, 롤감기부직포(2A)를 회전공급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로울러(22)와, 다른쪽의 롤감기 크레이프지(1A)를 회전공급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로울러(23)를 좌우에 정간격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다. 롤감기크레이프지(1A)에서는 크레이프지(1)가, 롤감기부직포(2A)에서는 부직포(2)가, 끌어 내어 공급되어, 상하 한벌의 크레이프지(1)사이에 부직포(2)를 끼워 적층한 상태로 공급된다. 상기 지지로울러(21)의 왼쪽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제 1 안내로울러(51)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지지로울러(21∼23)로부터 공급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를, 아래쪽으로 접어 안내한다. 제 1 안내로울러(51)의 아래쪽으로는,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및 (40)이 평행하게 대향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아래쪽으로는, 제 2 안내로울러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 1 안내로울러(51)부터의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를, 오른쪽경사 위쪽으로 접어 안내한다. 제 2 안내로울러(52)부터의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에 도입되어, 윗쪽으로 수직방향(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접점의 접선방향)에 도출된다. 이들 제 1 및 제 2의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에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가 열융착되어, 상기와 같은 융착부(11)를 갖는 적층지(10)가 형성된다.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의 수직방향 윗쪽에는, 제 3 안내로울러(53)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부터의 적층지(10)를 왼쪽경사 아래쪽으로 접어 안내한다.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의 왼쪽에는, 제 4 안내로울러(54)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 3 안내로울러(53)부터의 적층지(10)를 왼쪽으로 대략 수평으로 되돌려 안내한다. 제 4 안내로울러(54)의 왼쪽에는 권취로울러(55)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 4 안내로울러(54)부터의 적층지(10)를 감아 롤감기적층지(10A)로 한다. 이 롤감기적층지(10A)는, 권취로울러(55)로부터 떼어, 종이물수건 등의 원료지로서 사용된다.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제 4 안내로울러(54)와 권취로울러(55)와의 사이에는, 슬리터가 배치되어, 적층지(10)를 폭방향에 복수로 절단하여, 소정폭의 적층지(10)를 복수 나란히 설치하여 권취로울러(55)에 감아서 꺼내게 되고 있다.
다음에,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면을 전개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는, 소정경의 원통형에 형성되어, 그 주위면에 다수의 돌출형의 히트시일부(31)를 스트라입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각 히트 시일부(31)는,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의 둘레방향에 직선으로 뻗는 평탄한 히트 시일면(31a)을 가지며, 이러한 히트 시일부(31)가,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의 축심방향에 소정간격으로 다수 스트라입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는,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와 동일경의 원통형에 형성되어, 그 주위면에 다수의 돌출형의 히트 시일부(41)를 스트라입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히트 시일부(41)는,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축심방향에 상기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의 히트 시일부(31)와 동일간격으로 다수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로서는,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의 히트 시일부(31)와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히트 시일부(41)는 동일폭의 돌출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히트 시일부(41)는, 제 1의 부분으로서의 선시일면(41a) 및 제 2의 부분으로서의 점시일면(41b)로 구성되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둘레방향에 따라 뻗어있는 소정의 평면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다수의 히트 시일부(41)를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축심방향으로 일정한 패턴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각 히트 시일부(41)는,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길이 대략 직선형상으로 뻗는 다수의 선시일면(41a)을,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축심방향으로 소정간격 빗겨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선시일면(41a) 사이를 점시일면(41b)에 의해 접속하여 형성된다. 또한, 인접하는 히트 시일부(41)는, 그 평면형상이 대칭적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선 시일면(41a)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히트 시일부(41)의 점시일면(41b)은 선시일면(41a)보다 넓은 폭으로 되어 있다. 이 점시일면(41b)는,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선시일면(41a)을 비스듬하게 접속하여, 히트 시일부(41)는, 전체로서, 대략 사다리꼴의 테이블(41c)을 둘레방향으로 번갈아서 연속하여 배치한 평면형상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점시일면(41b)은, 선시일면(41a)의 약 2배의 폭을 갖고 있다. 상기 선시일면(41a) 및 점시일면(41a)에 의해, 히트 시일부(41)의 히트 시일면이 구성된다. 또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에는 각각 가열수단(도시 생략)이 내장되어, 각각의 히트 시일부(31, 41)를 소정온도로 가열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히트 시일부(41)는 선형상 및 점형상의 히트 시일면을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되며, 크레이프지(1)와 부직포(2)를 선시일면(41a)의 부분으로서는 선형상으로, 점시일면(41b)의 부분으로서는 점형상에 융착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히트 시일부(41)를 상기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의 히트 시일부(31)에 대향배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 1 안내로울러(51) 및 제 2 안내로울러(52)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제 2 안내로울러 주변의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1 안내로울러(51)는,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부(30, 40)의 오른쪽 위쪽으로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는, 제 1 안내로울러로부터,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둘레면을 지나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다른 측에 배치한 제 2 안내로울러(40)로 이끌어, 그 제 2 안내로울러(52)를 접어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에 도입하여, 그 반대측에 도출된다. 한편, 제 2 안내로울러(52)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등의 구동장치에 의해, 도 11(a)에 나타내는 사용위치와, 도 11(b)에 나타내는 대기위치 사이에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즉,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통상운전시에는, 제 2 안내로울러(52)는,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40)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안내로울러와 반대방향에 이격되는 사용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종이조각 등에 의한 운전정지시에는, 제 2 안내로울러(52)는,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에 이동하여 대기위치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안내로울러(52)는, 사용 위치에서는,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의 좌측밑쪽에 배치되어, 제 1 및 제 2 안내로울러(51, 52)는,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를 사이에 끼워 대략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안내로울러(52)는, 대기위치에서는,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또, 제 2 안내로울러(52)의 사용위치 및 대기위치사이에서의 이동은, 제어수단에 의해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운전정지등을 판단하고 자동적으로 행하여도 좋고, 수동으로 행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은, 상기 도 6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적층지의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우선, 운전개시에 앞서 준비공정으로서, 제 1 내지 제 3 지지로울러(21,22,23)로부터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를 적층상태로 끌어 내어, 제 1 안내로울러(51) 및 제 2 안내로울러(52)를 통해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에 도입한다. 이 때, 크레이프지(1)는, 그 주름(크레이프)가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히트 시일러(31, 41)와 대략 직교하는 상태로 도입된다. 그리고, 그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를 제 3 및 제 4 안내로울러(53, 54)를 통해 권취로울러(55)에 이끌어, 그 앞단을 권취로울러(55)에 고정한다. 다음에, 제 1 및 제 2의히트 시일로울러(30, 40)를 가열수단에 의해, 부직포(2)의 열가소성수지섬유의 융점온도이상으로 승온가열하여 그 온도로 유지하여, 권취로울러(55)를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자, 제 1 내지 제 3 지지로울러(21∼23)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가, 3층의 적층상태로 이송되어(적층공정), 제 1 및 제 2 안내로울러(51, 52)를 통해,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에 의해 가열하여 서로 융착된다(융착공정). 이 융착공정에서는, 3층인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는,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에서 열압착되어, 적층지(10)가 된다. 이 때, 적층지(10)에는 상기 구성의 융착부(11)가 형성된다.
이 때, 제 2 안내로울러(52)가 사용위치에 있고, 3층인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는,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에서 융착되기 전에, 제 2 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둘레면의 일부에서 일차 예비가열되어, 또한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의 둘레면의 일부에서 2차 예비가열된다. 예비가열온도는, 부직포(2)의 열가소성수지가 연화는 하지만 용융하지 않은 온도이다. 그 후,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에서 최종가열 및 압착되어, 부직포(2)의 열가소성수지가 용융하여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가 열융착된다. 따라서, 충분히 예비가열된 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는, 특히 접착제가 되는 부직포(2)의 외측의 열가소성수지가 연화하고 있기 때문에, 예비가열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에서 보다 강고히 열융착할 수가 있다. 예컨대, 크레이프지(1)에 건조불량이 있는 경우라도, 열융착이 충분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이 때, 부직포(2)내부의 수지섬유는 융점이 외측의 수지섬유보다 높기 때문에, 용융하지 말고 고체인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부직포(2)전체가 형상변형 등으로 불량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종이조각이나 기계고장등에 의한 운전정지시에는, 제 2 안내로울러(52)가 사용위치인 상태에서는,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가,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둘레면에서 정지하여, 동일개소가 계속적으로 가열되어 눌어붙거나, 크레이프지(1)와 부직포(2)와의 사이에서 융착불량이 생기는 등의 불량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정지시에는, 제 2 안내로울러(52)를 대기위치에 이동하기 때문에,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와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와의 접촉면적은 최소한(점형상)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적층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52)를 생략하여 실시하더라도 좋고, 이 경우라도,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는,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한측(우측)으로부터,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대략 아래쪽 반주면에 접촉하여 접혀진 후,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사이에 도입되어, 그 반대측인 윗쪽에 도출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접점의 바로 아래에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를 도입하여 수직윗쪽에 도출하는 경우와 다르고,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가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와의 예비접촉에 의해 예비가열하여 승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의 안내로울러(51, 52)를 사용한 예비가열은, 상기 실시형태 이외의 적층지의 제조에 적용하여도 좋다. 즉, 상기 실시의 형태로서는, 제 1의 부분(선형상부(11a)) 및 제 2의 부분(점형상부(11b))부터되는 융착부(11)에 의해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를 융착한 적층지(10)를 제조할 때에,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부직포(2)를 예비가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예비가열은, 상기와 같은 융착부(11)이외의 구성의 융착부에 의해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1) 및 열융착성 시트를 융착하는 경우에 적용하더라도, 그 융착강도를 증대한다는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예컨대, 예비가열은, 융착부를 크레이프지(1)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도록 직선형상, 곡선형상등의 여러가지의 평면형상으로 형성한 적층지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특히, 각 융착부를 크레이프지(1)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도록 직선형상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융착부를 소정간격으로 직선 스트라입형상으로 배치한 적층지에 적용한 경우,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융착강도의 증대효과가 절대적인 것이 된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의 안내로울러(52)를 생략한 예비가열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적층지의 제조로서는, 기계운전정지시에, 제 2의 안내로울러(52)에 의해 적층지(10)를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로부터 대피하였다. 이 대피동작을 상기 실시형태이외의 적층지의 제조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로울러를 다단으로 배치하더라도 좋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지의 제조장치의 별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별예로서는, 롤감기부직포(2)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로울러를 좌우에 2단배치하여, 그들 사이에서 부직포(2)를 바꿔 공급자재로 하고있다. 즉, 제 1 지지로울러(21)와 제 2 지지로울러(22)의 사이에 제 4 지지로울러(24)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지로울러(22)의 부직포(2)가 없어졌을 때는, 제 4 지지로울러(24)로부터 부직포(2)를 끌어 내어, 크레이프지(1)사이에 끼워 적층함으로써, 롤감기부직포(2A)를 교환하기 위한 시간 낭비를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적층지의 제조장치를 운전정지하여 롤감기부직포(2A)를 교환하는 사이에, 부직포(2)의 수지가 용융하거나, 두 번째 경화하여 유연성을 손상하거나, 크레이프지(1)등이 눌어붙기도 하는 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의 형태로서는, 열가소성 시트로서 부직포(2)를 사용하고 있지만, 부직포(2) 대신에, 접착제가 되는 열가소성의 합성 수지섬유를 혼초한 크레이프지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로에서는, 한쌍의 크레이프지(1)의 사이에 부직포(2)를 끼우고 적층하여 열융착한 3층구조의 적층지(10)로 하고 있지만, 1장의 크레이프지(1)에, 열융착성 시트로서의 열가소성수지를 혼초한 크레이프지를 적층하여 열융착한 2층 구조의 적층지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적층지(10)의 융착부(11)의 점형상부(11b)는, 상하에 인접하는 선형상부(11a)를 경사지게 접속하는 일없이 적층지(10)의 좌우방향에 직선적으로 접속하고, 융착부(11)를, 전체로서, 대략 ㄷ자형상의 평면형상을 적층지(10)의 상하방향으로 번갈아서 연속한 평면형상으로서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히트 시일부(31, 41)를 해당하는 형상으로 한다. 그러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히트 시일부(31, 41)의 손상방지의 면에서, 점형상부(11b)에 의해 선형상부(11a)를 비스듬히 접속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트 시일부(41)의 폭을 히트 시일부(31)의 폭의 범위내로 하는 한, 선형상부(11a) 및 점형상부(11b)의 폭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점형상부(11b)는, 선형상부(11a)의 2배미만의 폭, 2배를 넘는 폭으로서도 좋다. 점형상부(11b)의 폭은, 상하에 연속하는 선형 상부(11a)의 좌우 배치간격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임의로 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30)의 히트 시일부(31)와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40)의 히트 시일부(41)를 동일간격으로 배치하여, 그들이 서로 정확히 대향하여 적층지(10)의 열융착을 할 수 있는 한, 히트 시일부(31)의 폭을 히트 시일부(41)의 폭보다 크게하는 등,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적층지(10)의 융착부(11)는, 상기 히트 시일로울러(30, 40)의 히트 시일부(31, 41)의 평면형상에 대응하는 평면형상으로 되지만, 실제로는, 흡수, 건조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 정확히 동일한 평면형상이 전사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지는, 상기 실시형태의 적층지의 제조장치와 다른 구성의 장치에 의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항의 적층지는, 상기 융착부에 의해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과의 융착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의 부분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으로 하였기 때문에, 급수시에 융착부사이의 크레이프지가 충분히 팽창하여, 큰 주름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융착면적을 적게 하더라도 충분한 융착강도를 얻을 수 있고, 전체의 볼륨감도 증대할 수가 있다.
제 2 항의 적층지는, 또한, 상기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상기 융착부의 제 1의 부분으로서는 선형상에, 제 2의 부분으로서는 점형상에 융착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융착강도를 한층 더 증대할 수가 있다.
제 3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융착공정에서 상기 융착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과의 융착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의 부분사이의 피치가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이 되기 때문에, 급수시에 융착부사이의 크레이프지가 충분히 팽창하여, 큰 주름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융착면적을 적게 하더라도 충분한 융착강도를 가지며, 전체의 볼륨감도 증대한 적층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제 4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또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가, 열융착전에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한편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예비가열된다. 그 결과, 융착강도를 한층 더 증대한 적층지를 제조할 수가 있다.
제 5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운전시에는,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가, 열융착전에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예비가열된다. 그 결과, 융착강도를 한층 더 증대할 수가 있다. 또한, 운전정지시에는,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가,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둘레면과의 접촉이 거의 해제되어, 그들의 의도하지 않은 가열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의도하지 않은 가열에 의한 열융착성 시트의 용융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 6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적층지의 제조를 위한 운전시에는,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가, 열융착전에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둘레면에 접촉하여 예비가열된다. 그 결과, 융착강도를 증대한 적층지를 제조할 수가 있다.
제 7 항의 적층지의 제조방법은, 운전정지시에는,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가,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둘레면과의 접촉이 거의 해제되어, 그들의 의도하지 않은 가열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의도하지 않은 가열에 의한 열융착성 시트의 용융등의 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 8 항의 적층지의 제조장치는,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와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와의 사이에서, 크레이프지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가 대략 직선형상으로 뻗는 제 1의 부분을, 상기 주름의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소정간격 빗겨두고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부분사이를 제 2의 부분에 의해 접속하여,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에 융착부를 형성할 수가 있고, 또한, 인접하는 융착부를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제 1의 부분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융착면적을 적게 하더라도 충분한 융착강도를 가지며, 전체의 볼륨감도 증대한 적층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제 9 항의 적층지의 제조장치는, 상기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상기 융착부의 제 1의 부분으로서는 선형상으로, 제 2의 부분으로서는 점형상으로 융착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융착강도를 한층 더 증대한 적층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제 10 항의 적층지의 제조장치는, 복수단의 지지로울러 사이에서 열융착성 시트를 바꿔 공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열융착성 시트교환을 위한 시간낭비를 감소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한방향으로 뻗는 주름을 갖는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여, 그것들을 열융착하여 되는 적층지에 있어서,
    상기 크레이프지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소정길이가 대략 직선형상으로 뻗는 제 1의 부분을, 상기 주름의 방향과 동일방향에 소정간격 빗겨 놓아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부분사이를 제 2의 부분에 의해 접속하여,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에 융착부를 형성하여, 또한, 인접하는 융착부를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제 1의 부분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의 제 2의 부분을 제 1의 부분보다 넓은 폭으로 하여, 상기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상기 제 1의 부분으로서는 선형상으로, 제 2의 부분으로서는 점형상으로 융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
  3. 한방향으로 뻗는 주름을 가지는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는 적층공정과,
    대향배치한 한 벌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사용하여, 상기 크레이프지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대략 직선형상으로 뻗는 제 1의 부분을 상기 주름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빗기어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부분사이를 제 2의 부분에 의해 접속하여 상기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에 융착부를 형성하고, 또한, 인접하는 융착부를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제 1의 부분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으로 하는 융착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를, 대향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일측에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한편의 둘레면을 접어 그들 사이에 도입하여, 그 반대측에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를, 대향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일측에 배치한 제 1 안내로울러로부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한편의 둘레면을 지나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다른 측에 배치한 제 2 안내로울러로 이끌어, 그 제 2 안내로울러를 접어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 사이에 도입하여, 그 반대측에 도출함과 동시에, 운전시에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안내로울러와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는 사용위치에 배치하여, 운전정지때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대기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의 제조방법.
  6. 한방향으로 뻗는 주름을 가지는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는 적층공정과,
    대향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사용하여, 상기 크레이프지의 주름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융착부를,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 상기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에 형성하는 융착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융착공정에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를, 상기 대향 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일측에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한편의 둘레면을 접어 그들 사이에 도입하여, 그 반대측에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적층상태의 크레이프지 및 열융착성 시트를, 대향배치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일측에 배치한 제 1 안내로울러로부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한편의 둘레면을 지나서,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다른 측에 배치한 제 2 안내로울러로 이끌어, 그 제 2 안내로울러를 접어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 사이에 도입하여, 그 반대측에 도출함과 동시에, 운전시에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안내로울러와 반대방향으로 이격되는 사용위치에 배치하여, 운전정지때는 상기 제 2 안내로울러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접점의 대략 접선방향에 이동하여 대기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의 제조방법.
  8. 한방향으로 뻗는 주름을 가지는 크레이프지와 열융착성 시트를 적층하여 열융착하는 적층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둘레방향에 직선적으로 뻗는 평탄한 히트 시일면을 갖는 돌출형의 히트 시일부를, 축심방향으로 소정간격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와,
    둘레방향으로 소정길이가 직선적으로 뻗는 제 1의 부분을 축심방향으로 소정간격 빗겨 두어 교대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의 부분 사이를 제 2의 부분에 의해 접속하여 되는 히트 시일면을 갖는 돌출형의 히트 시일부를, 축심방향으로 상기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와 동일 간격으로 배치하여, 또한 인접하는 히트 시일부를 대칭적으로 배치하여 제 1의 부분사이의 피치를 교대로 좁은 폭 및 넓은 폭으로서 상기 제 1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에 대향배치하는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의 제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히트 시일로울러의 히트 시일부의 제 2의 부분을 제 1의 부분보다 넓은 폭으로 하여, 상기 제 1의 부분을 선형상의, 제 2의 부분을 점형상의 히트 시일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의 제조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또한 롤감기열융착성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로울러를 복수단배치하여, 그들 사이에서 열융착성 시트를 바꿔 공급자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지의 제조장치.
KR1019980027924A 1998-06-04 1998-07-10 적층지, 적층지의 제조방법 및 적층지의 제조장치 KR100267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55655 1998-06-04
JP15565598A JP3653656B2 (ja) 1998-06-04 1998-06-04 積層紙、積層紙の製造方法及び積層紙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35A KR20000004835A (ko) 2000-01-25
KR100267620B1 true KR100267620B1 (ko) 2000-10-16

Family

ID=1561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924A KR100267620B1 (ko) 1998-06-04 1998-07-10 적층지, 적층지의 제조방법 및 적층지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53656B2 (ko)
KR (1) KR100267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1167B1 (ja) * 2016-07-26 2017-01-18 株式会社杉山 積層紙、及び積層紙の製造方法
JP6698894B2 (ja) * 2019-02-08 2020-05-27 角田紙業株式会社 積層紙、積層紙の製造方法、及び、積層紙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42090A (ja) 1999-12-14
KR20000004835A (ko) 2000-01-25
JP3653656B2 (ja) 200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987B1 (ko) 복합 신축 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25981B1 (ko) 와이프시트및그제조방법
RU2239349C2 (ru) Обтирочный лист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US20090211693A1 (en) Method for perforating heat meltable material
KR20010106216A (ko) 통기성을 가진 액체 불투과성 복합 시트
KR100642610B1 (ko) 탄성 복합 시트 제조 장치 및 탄성 복합 시트 제조 방법
JP2003313792A (ja) 抄紙機用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520420A (ja) 3布地層絶縁材並びに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267620B1 (ko) 적층지, 적층지의 제조방법 및 적층지의 제조장치
JP3673488B2 (ja) 積層紙
US20070023135A1 (en) Method and device to produce a perforated web material
US5021271A (en) Bellows
JPH0415116Y2 (ko)
JP2022022862A (ja) ガゼット袋の製造方法及びガゼット袋
CA1077666A (en) Method for t or butt sealing of laminated all-plastic material
JP5148401B2 (ja) 製紙用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4480B2 (ko)
JP6698894B2 (ja) 積層紙、積層紙の製造方法、及び、積層紙の製造装置
JP7366438B2 (ja) 紙おしぼり、紙おしぼり製品、及び衛生用品
AU626119B2 (en) Method of producing corrugated fiberboard article
JP2000070172A (ja) 紙おしぼり製造装置、紙おしぼり包装装置およびこれらを組み合わせた紙おしぼり製品製造設備とその製造方法
JP6480882B2 (ja) 積層紙、積層紙の製造方法、及び、積層紙の製造装置
JP5609017B2 (ja) 合成樹脂製気泡シート
JP2003328262A (ja) 刺繍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2010100961A (ja) 製紙用フェルトの製造方法及び製紙用フェ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