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677B1 - 가스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677B1
KR100264677B1 KR1019950013328A KR19950013328A KR100264677B1 KR 100264677 B1 KR100264677 B1 KR 100264677B1 KR 1019950013328 A KR1019950013328 A KR 1019950013328A KR 19950013328 A KR19950013328 A KR 19950013328A KR 100264677 B1 KR100264677 B1 KR 100264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mount
consumption
leak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476A (ko
Inventor
박만식
Original Assignee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1995001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677B1/ko
Publication of KR96004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시설물과 시설물 사이의 가스 배관 계통의 가스 누설을 감지하여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소비량 증가시 공급량도 증가하고 소비량 증가인지, 누설량 증가인지를 구분하기 어려워 사고 구간의 밸브를 신속히 차단하지 못하여 대형 사고의 우려가 많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스 시설물과 시설물 사이의 단위 배관에 대해 각각 공급측과 소비측에 가스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한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를 설치하고, 이들을 통신 회선을 통해 중앙 통제실의 가스 누설량 분석기에 연결하며, 그 가스 누설량 분석기가 가스 공급량과 가스 소비량을 비교 분석하여 가스 누설인지를 판단하며, 그 가스 누설 판단에 의해 원격 제어기가 경보 발생 및 각 현장 제어기에게 가스 누설에 따른 원격 제어를 하여 현장 제어기가 전동밸브를 통해 가스를 차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스 누설량 분석기는 가스량 비교기의 영점을 조정하는 영점 조정회로, 거리 차를 보상하는 지연회로, 최소오차 보정을 위한 기준값과 비교하여 가스 누설을 판단하는 누설 판단기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중앙 통제실에서는 양측의 가스 유량 표시 및 원격 제어 상태를 근무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가스 누설에 따른 대형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가스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가스 설비에 있어서 가스의 누설을 검출하여 가스 차단 및 경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 공급측과 가스 소비측의 가스량을 비교 검출하여 가스의 누설량을 판정하고, 그 가스 누설량에 의해 가스 공급 차단 및 경보를 할 수 있도록 한 가스 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스 시설에 있어서 가스의 누설에 따른 사고는 커다란 피해를 주는데, 예를 들어, 서울 아현동 LNG 도시가스 기지 폭발 사고(94. 12. 7)에 이어 대구 지하철 공사장 LPG 도시가스 폭발 사고(95. 4.)로 수백명의 인명사상 및 수천억원의 물적피해가 발생하였음에도 크고 작은 도시가스 누출사고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가스관 매설부근의 주민들은 언제 대형참사가 일어날지 모를 시한폭탄을 안고 생업에 종사하는 불안에 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도되는 도시가스 안전 대책에는 지하 매설 도면 전산화, 도로굴착방지법 제정, 도로 굴착 사전 심사 의무화, 순시 점검 철저, 관련자 문책 등 예년에 대해 특별한 근본 기술적인 해결책이 보이지 않고 있으며, 현재 가스 회사에서는 도시가스 누설 사실을 대부분 주민 신고와 순회 점검에 의존하는 등 시한폭탄과 같은 도시가스 누설에 대한 안전관리를 원시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가스 폭발 사고 원인을 분석해본 결과 대부분 도로 굴착 등 각종 공사로 인하여 가스배관 파손으로 인한 가스 누설로 가스 밸브를 즉시 차단만 하였더라면 대형 참사를 사전에 예방하였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소비시설에 공급되는 가스량과 지하에 누설되는 가스량을 기술적으로 구분하여 가스 누설량이 많을 경우 누설구간을 경보 혹은 자동 차단하므로 대형사고를 사전예방하여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해서는 많은 예산이 소요되겠지만 우선 순위가 높은 구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대형 사고 1건만 사전 예방하여도 투자비가 회수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생산시설(10)에서 저장시설(11), 분배시설(12)을 통하여 소비시설(13)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계통의 시설과 시설 사이의 분기 없는 가스배관(14)의 가스 공급측(21)과 가스 소비측(22)에 각각 압력센서(25)와 속도센서(26) 및 온도센서(27)를 설치하여 가스의 흐름량을 검출하고, 가스 누설(23) 검출시 가스 차단을 제어하는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 및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와, 상기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의 가스량 검출 정보를 통신회선(30)을 통해 수신받아 상호 비교하여 가스 누설(23)인지를 판단하는 가스 누설 비교 분석기(31)와, 그 가스 누설 비교 분석기(31)의 가스 누설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경보기(33)에 자동경보 발생하는 원격제어기(32), 또한 가스 누설 비교 분석기(31)의 가스 누설 검출신호를 통제근무자가 확인하여 가스누설로 판단되면 통신회선(30)을 통하여 상기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에게 가스 차단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제어기(32)와, 상기 원격제어기(32)의 가스 차단 제어신호에 의해서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제어기(19)측에 있는 가스 공급측 전동밸브(28)와 가스 소비량 현장 제어기(29)측에 있는 가스 소비측 전동밸브(28)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누설 비교 분석기(31)는,
가스 누설이 없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량과 상기 가스 소비량의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한 영점 조정회로(40)에 의해 영점 조정이 되고, 가스공급량분석 현장제어기(19)에서 검출된 가스공급량과 가스소비량분석 현장제어기(29)에서 검출된 가스소비량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른 가스누설 검출 출력이 발생하는 가스량 비교기(31a)와, 상기 가스공급량분석 현장제어기(19)와 가스소비량분석 현장제어기(29) 양단의 거리차에 따라 가스누설이 없음에도 가스소비량분석 현장제어기(29)의 가스 순간변동량이 가스공급량분석 현장제어기(19)에 지연 검출되어 가스 누설 검출 출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가스량 비교기(31a)의 출력을 적분하여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출력 보상기(31b)와, 그 지연출력보상기(31b)의 출력을 입력받아 소정의 허용오차에 대해 미리 정해둔 오차보상 기준값(41)과 비교하여 그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가스 누설로 판단하여 상기 원격 제어기(32)에 가스 누설 검출 출력을 보내는 가스 누설 판단기(31c)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은 매 구간마다 공급량-소비량=누설량을 측정하여 감시 제어를 하며, 중앙 통제실에서 각 현장 제어기와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분산된 배관 분기점에 대해 각 단위 배관의 가스 누설을 원격 감시(측정량, 경보), 원격 제어(차단, 공급)를 하도록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가스 시설물의 배관 계통 경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누설량 자동 경보 제어 시스템의 단위 구간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중앙 통제 시스템에 의한 가스 누설량 검출 자동 경보 제어 시스템의 계통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누설량 자동 경보 제어 시스템의 가스 누설량 비교 분석기의 상세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 통제 시스템 회선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생산시설 11 : 저장시설
12 : 분배시설 13 : 소비시설
14 : 가스배관 19 :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
20 : 단위 가스 배관 21 : 가스 공급측
22 : 가스 소비측 23 : 가스 누설량
24 : 가스누설감지기 25 : 압력센서
26 : 속도센서 27 : 온도센서
28 : 전동밸브 29 :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
30,51 : 통신회선 31 : 가스 누설 비교 분석기
31a : 가스량 비교기 31b : 지연 출력 보상기
31c : 가스 누설 판단기 32 : 원격 제어기
33 : 경보기 40 : 영점 조정회로
41 : 오차 보상 기준값 52 : 중앙제어장치
53 : 현장 제어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가스 시설물의 가스 배관 계통 경로도이다.
가스 배관 계통 경로는, 가스 생산시설(10)에서 생산된 가스는 가스 배관(14)을 통해서 각 계통별로 복수의 경로로 분기되어 저장시설(11), 분배시설(12) 및 소비시설(13)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각 시설간 가스배관(14)을 통해서 공급되는 가스의 흐름은 생산시설(10)을 기점으로 전량 소비시설(13) 방향으로 흐르도록 트리(TREE) 형태로 분기된 가스배관(14)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즉, 생산된 가스는 전량 생산시설(10)에서 복수의 경로로 분기된 저장시설(11)로 흐르고, 다시 전량 저장시설(11)에서 복수의 분배시설(12)로 흐르고, 다시 전량 분배시설(12)에서 복수의 소비시설(13)로 흐르며, 서로 다른 장소에 분산된 각종 가스 시설(10, 11, 12, 13)간에는 가스배관(14)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위 가스배관(14) 양단으로 흐르는 “가스 공급량-가스 소비량=가스 누설량” 공식이 성립하므로 매 가스배관(14) 구간마다 가스누설량을 하드웨어(H/W) 혹은 소프트웨어(S/W)의 방법으로 정확히 계산 판단하여 가스누설량을 알아 내어 가스누설을 원격감시, 자동경보발생 및 원격제어(차단/공급)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누설량 검출 자동 경보 제어 시스템의 단위 구간 구성도이다.
제1도의 배관 계통에서 분기 없는 가스배관(14)의 1개 구간에 대하여 공급측과 소비측에서 각각의 가스량을 측정하여 두 곳의 가스량을 비교검출 하는 방식으로 가스 누설량을 검출하고, 가스 누설 검출에 따라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구간의 시설물 배관(14)(20)에 있어서 가스 공급측(21)과 가스 소비측(22)에서 각각의 가스 유량을 검출하여 제어하는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를 각기 설치한다.
각 가스량 분석 현장 제어기(19)(29)는, 가스 공급측(21)과 가스 소비측(22)에서 각 현장의 가스 누설을 감지하는 가스 누설 감지기(24), 가스 배관의 가스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5), 배관 내에서 가스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26), 가스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7) 및 상기 가스 배관의 가스를 차단하기 위한 전통밸브(28)가 포함되어 가스 공급측(21)과 가스 소비측(22)의 가스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가 서로 통신회선(30)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가스 공급량과 가스 소비량을 서로 전송 및 수신하여 상대측과 차이를 분석하고, 가스 누설량(23)을 정확히 측정하여 가스누설 감시 경보를 발생하고, 가스누설 경보 출력을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측에 설치한 전동밸브(28)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측에 설치한 진동밸브(28)를 자동/수동 원격제어(차단/공급)한다. 가스량 측정 방법은, (압력×속도/절대온도)에 의해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는 통신회선(30)을 통해서 상호 가스 검출량을 비교하여 가스 누설을 판단하고 전동밸브(28)를 제어하는 수단이 내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제3도와 같이 원격지의 중앙통제실에서 가스량 비교 분석에 의해 가스 누설에 따른 원격 제어를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감시구간 외부 사각지대에 위치하는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 압력센서(25), 속도센서(26), 온도센서(27), 전동밸브(28) 등 본 발명품의 현장시설물이 설치되는 현장 제어기(53)용 박스에 가스누설감지기(24)를 각기 설치하여 직접 현장의 가스 누설을 측정하여 경보발생 및 원격제어 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중앙 통제 시스템에 의한 가스 누설 감시 시스템의 제어 계통도이다.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제어기(19)에서 측정한 가스공급량(21)과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제어기(29)에서 측정한 가스소비량(22)은 각각 통신회선(30)을 통하여 가스누설 비교 분석기(31)로 전송하고 이를 원격제어기(32)로 보내어 가스누설을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경보기(33)에 보내어 원격경보를 발생케하고, 또한 판단결과를 통제근무자의 판단에 따라 통신회선(30)을 통하여 가스공급량 분석 현장제어기(19)와 가스소비량 분석 현장제어기(29)의 전동밸브(28)를 자동/수동 원격제어(차단/공급)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누설량 자동 경보 제어 시스템의 가스 누설량 비교 분석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가스 누설이 없는데 가스공급량분석 현장제어기(19)에서 수신한 가스공급량과 가스소비량분석 현장제어기(29)에서 수신한 가스소비량간에 미소 오차가 발생할 경우 가스량 비교기(31a)의 가스누설 검출 출력이 나오지 않도록 영점조정회로(40)로 보상하여 오동작을 방지한다. 이와같이 영점조정회로(40)에 의해 영점조정이 되는 가스량 비교기(31a)는, 가스 공급량분석 현장제어기(19)에서 검출된 가스 공급량과 가스 소비량분석 현장제어기(29)에서 검출된 가스 소비량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른 가스 누설 검출 출력을 발생한다.
또한, 제2도의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 간의 단위 가스배관(20) 거리 차에 따라 가스 누설이 없음에도 가스순간변동량이 공급측(21)이나 소비측(22)의 한곳에만 지연검출되어 가스 누설 검출 출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가스누설로 오동작되는 현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연출력 보상기(31b)에서 상기 가스량 비교기(31a)의 가스 누설 검출 출력을 적분시켜 거리차에 따른 오차를 보상한다. 이와 같이 일정한 시간동안 지연됨에 따라 지연출력 보상기(31b)의 출력이 감소하는 경우 혹은 오차보상을 위한 기준값(41) 이하의 누설량은 가스누설 판단기(31c)에서 출력이 나오지 않게 정상처리하며, 오차보상을 위한 기준값(41) 이상의 경우에 가스누설 판단기(31c)의 판단결과를 원격제어기(32)에 보내어 경보기(33)에서 경보가 발생하게 하고, 판단결과와 측정된 감시자료를 근무자의 확인 판단에 의하여 원격제어기(32)에서 각 가스량분석 현장제어기(19)(29)에 연결된 전동밸브(28)에 차단신호를 자동/수동으로 보내는 방법으로 구성하여 오동작 및 오차보상에 대처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 통제 시스템 회선 구성도로서, 분산 시설된 여러 개소의 현장 제어기(53)에서 검출된 가스흐름량(누설, 압력, 속도, 온도 등) 등 각종자료를 통신회선(51)을 이용하여 중앙제어장치(52)로 전송하여 가스누설을 판단처리 감시 경보하고, 처리결과를 동일한 통신회선(51)을 이용하여 해당 현장제어기(53)의 전동밸브를 원격제어하는 가스 종합통제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제2도와 같은 분기 없는 단위 가스배관(20) 구간 수가 작을 경우에는 단위 가스배관(20) 양단 서로간에 통신회선(30)으로 직접 연결한 단독시설방식으로 구성하고, 제2도와 같은 단위 가스배관(20) 구간이 많이 있을 경우에는 제5도와 같이 중앙제어장치(52)를 둔 중앙집중방식으로 구성한다.
한편 제2도의 단위 구간에 대한 가스 누설 검출에 있어서, 가스 공급량 현장 제어기(19)측의 가스 온도와 가스 소비량 현장 제어기(29)측의 가스 온도가 동일한 경우에는 제2도의 온도 센서(27)를 생략하여 경제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측의 전동밸브(28)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측의 전동밸브(28)를 차단한 후 압력 센서(25)의 측정값이 외기압 이상이고 일정하거나 속도센서(26)의 측정값이 “0”이면 감시 구간의 단위 가스배관(20)에는 가스 누설(23)이 없다고 판단하며, 압력센서(25)의 측정값이 서서히 감소하거나 속도센서(26)의 측정값이 “0”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단위 가스배관(20) 파손 혹은 전동밸브(28) 미동작이거나 고장으로 판단하여 보수요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적절한 조치를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 누설 비교 분석기(31)와 원격 제어기(32)를 포함하는 중앙 통제실 즉 제5도의 중앙제어장치(52)에서는 각 현장 제어기(53)의 가스 검출 유량을 표시함과 아울러 현재 각 현장 제어기(53)들의 원격 제어 상태를 표시하여 근무자가 현재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원격 감시 정보를 자료화시켜 감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각종 처리장치 즉,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 원격 제어기(32), 가스량 비교기(31a), 지연출력 보상기(31b), 가스누설 판단기(31c), 원격제어기(32), 중앙처리장치(52)의 계산 비교분석 원격감시 경보처리 원격제어 방식은 하드웨어(H/W) 방식과 소프트웨어(S/W) 방식을 병행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통신회선(51)은 가스사업자 자신의 가스배관을 따라 포설하는 방법, 기간통신사업자가 임대하는 전용회선 이용 방법, 한전 및 한국 통신에서 시설한 CATV 가입자 전송망을 이용한 방법, 무선 통신망 등으로 구성 가능하며 현장 상황에 따라 경제적인 방법을 선택한다.
① 대구 도시가스 폭발 사고, 도로굴착 등 도시가스 배관파손으로 인한 대형 도시가스 폭발사고에 대한 인적 물적 피해 사전예방.(※대구도시가스 폭발사고 인적 피해금액(사망보상비만) : 2억×100명=200억)
② 도시가스 공급중에도 가스 누설을 실시간 측정하므로 가스누설 즉시 긴급보수출동 가능하여 대형폭발사고 예방.
③ 가스 누설량 조기 발견으로 가스손실량 절감 및 가스 폭발 사고 예방.
④ 가스관 매설 지역 주민의 가스 폭발 사고에 대한 공포해소.
⑤ 이상의 사항에 대한 예상 효과를 금액으로 환산하기는 곤란하며, 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예산의 범위내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구간부터 순차적으로 시설하여 대형폭발사고 1건만 예방하더라도 투자비는 회수될 것이므로 본 시스템 채용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가스 생산시설(10)에서 저장시설(11), 분배시설(12)을 통하여 소비시설(13)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계통의 시설과 시설 사이의 분기 없는 가스배관(14)(20)의 가스 공급측(21)과 가스 소비측(22)에 각각 압력센서(25)와 속도센서(26) 및 온도센서(27)를 설치하여 가스의 흐름량을 검출하고, 가스 누설 검출시 가스 차단을 제어하는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 및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와, 상기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의 가스량 검출 정보를 통신회선(30)을 통해 수신받아 상호 비교하여 가스 누설인지를 판단하는 가스 누설 비교 분석기(31)와, 그 가스 누설 비교 분석기(31)의 가스 누설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경보기(33)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에게 가스 차단신호를 통신회선(30)을 통해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32)와, 상기 원격제어기(32)의 가스 차단 제어 신호에 의해서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가 각기 가스를 차단시키기 위한 가스 공급측(21)과 가스 소비측(22)의 가스 차단 전동밸브(2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누설 비교 분석기(31)는, 가스 누설이 없는 정상 상태에서 상기 가스 공급량(21)과 가스 소비량(22)간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한 영점 조정회로(40)에 의해 영점 조정이 되고,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제어기(19)에서 검출된 가스공급량(21)과 가스 소비량 현장 분석 제어기(29)에서 검출된 가스 소비량(22)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따른 가스 누설량(23) 검출 출력을 발생하는 가스량 비교기(31a)와, 상기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 간의 단위 가스배관(20) 거리 차에 따라 가스누설이 없음에도 가스 순간변동량이 가스 공급측(21)이나 가스 소비측(22)의 한곳에만 지연 검출되어 가스 누설량(23)으로 검출 출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영점 조정회로(40)의 출력신호를 적분하여 소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 출력 보상기(31b)와, 그 지연 출력 보상기(31b)의 출력을 입력받아 소정의 허용오차에 대해 미리 정해둔 오차보상 기준값(41)과 비교하여 그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가스 누설로 판단하여 상기 원격 제어기(32)에 가스 누설 검출 출력을 보내는 가스 누설 판단기(31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량 분석 현장 제어기(19)와, 상기 가스 소비량 분석 현장 제어기(29)는, 각각의 현장에서 외부로 직접 누설되는 가스를 감지하여 가스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가스 누설 감지기(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KR1019950013328A 1995-05-26 1995-05-26 가스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KR100264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328A KR100264677B1 (ko) 1995-05-26 1995-05-26 가스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328A KR100264677B1 (ko) 1995-05-26 1995-05-26 가스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476A KR960042476A (ko) 1996-12-21
KR100264677B1 true KR100264677B1 (ko) 2000-09-01

Family

ID=1941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328A KR100264677B1 (ko) 1995-05-26 1995-05-26 가스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574A1 (ko) * 2022-07-14 2024-01-18 주식회사 위디코 무선조작식 가스밸브장치를 구비한 통합형 가스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207B1 (ko) * 2001-11-23 2004-07-30 최진민 가스감지 오차자동조정장치
KR100659474B1 (ko) * 2004-07-09 2006-12-20 (주)누리텔레콤 가스 사용패턴 분석을 이용한 원격 누설가스 감지 시스템
CN107063774A (zh) * 2017-02-16 2017-08-1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基于本安防爆气体采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958A (ko) * 1988-03-17 1989-10-25 다니이 아끼오 가스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4958A (ko) * 1988-03-17 1989-10-25 다니이 아끼오 가스 차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4574A1 (ko) * 2022-07-14 2024-01-18 주식회사 위디코 무선조작식 가스밸브장치를 구비한 통합형 가스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476A (ko) 199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4536A1 (ko) 운전상태 분석알고리즘에 의한 수충격 방지시스템
JPH0961284A (ja) 配管漏洩監視装置
US20070095400A1 (en) Shut-off valve system
KR100969210B1 (ko) 압력식 유량 제어장치의 스로틀 기구 하류측 밸브의 작동 이상 검출방법
EA024948B1 (ru) Система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утечек текучей среды
KR100949428B1 (ko) 가스공급장치의 원격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64677B1 (ko) 가스누설량 검출 자동경보 제어시스템
KR101589127B1 (ko) 체크밸브 개폐특성 모니터링 및 진단을 수행하는 장치
KR20040076961A (ko) 배관상태 원격감시시스템
JP3538989B2 (ja) 配管漏洩監視装置
CA21703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pressure regulator in a corrosive gas distribution system
KR20130052915A (ko) 정압기 전동밸브의 오동작 방지장치
JP2020045932A (ja) ガス遮断装置
JP2604981B2 (ja) ガス漏洩監視装置
CN115574266A (zh) 基于物联网技术的市政管网健康度在线监测系统
KR102276567B1 (ko) Lng 등 가스수송용 이중배관의 이상상태 감지장치 및 방법
KR20220056917A (ko) 수도배관용 재난대비 차단밸브 시스템
JP2002333381A (ja) 水素ガス漏洩の検知方法
JP2023167534A (ja) 地区ガバナ監視システム
JP7093721B2 (ja) 検査システム、ガスメータ、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H0631403Y2 (ja) 埋設配管のガス漏洩検出装置
JPH10185100A (ja) ガバナ制御基盤及びそれを使用したガス導管網
KR20030067307A (ko) 정압기 개도율에 따른 가스공급시스템의 관리방법
Siebenaler et al. Field testing of negative-wave leak detection systems
JPH0829289A (ja) ガス漏洩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