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266B1 -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266B1
KR100264266B1 KR1019960063988A KR19960063988A KR100264266B1 KR 100264266 B1 KR100264266 B1 KR 100264266B1 KR 1019960063988 A KR1019960063988 A KR 1019960063988A KR 19960063988 A KR19960063988 A KR 19960063988A KR 100264266 B1 KR100264266 B1 KR 100264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vehicle
control box
detect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777A (ko
Inventor
강석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2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2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5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responsive to speed and another condition or to plural spee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앞차와의 거리와 제동거리를 비교한 후, 그 비교결과 및 그 회전속도센서의 센싱값에 의해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앞차와의 제동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와; 차량의 전단부분에 부착되어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2)와; 구동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속도 센서(3)와; 상기 차속센서(1)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와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앞차와의 거리를 비교하고, 상기 회전속도센서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를 비교한 후, 그 각각의 비교결과에 따라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5),(6)의 개폐를 제어하는 E. C. U(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전단부에 거리센서를 부착하여 그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앞차와의 거리와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는 제동거리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브레이크 또는 브레이크 및 액세러레이터를 제어하여 앞차와의 제동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 주행시나 장기간 운전시 운전자가 졸음운전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졸음운전의 경우 운전자가 속도감각이 마비되어 고속으로 주행하여도 그 고속 주행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앞차가 속도를 늦추는 경우 졸음 운전자는 이를 인식하고 브레이크 등을 제어하여도 그 제동거리가 너무 짧아 앞차와 충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단부에 거리센서를 부착하여 그 거리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와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는 제동거리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브레이크 또는 브레이크 및 액세러레이터를 제어하여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단부분에 부착된 거리센서, 차속센서 및 회전속도센서의 센싱값을 각각 인식하고, 그 인식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앞차와의 거리와 제동거리를 비교한 후, 그 비교결과 및 그 회전속도센서의 센싱값에 의해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앞차와의 제동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전단부분에 부착된 거리센서 및 차속센서의 센싱값을 각각 인식하고, 그 인식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앞차와의 거리와 제동거리를 비교한 후, 그 비교결과에 의해 브레이크 및 엑세러레이터를 제어하여 앞차와의 제동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의 블록도.
도 2 는 도 1 에서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의 블록도.
도 4 및 도 5 는 도 3 에서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도 1 및 도 3 에서의 거리센서에서 센싱된 거리와 차속센서에서 센싱된 차량속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00 : 차속센서 2, 101 : 거리센서
3 : 회전속도센서 4 : E. C. U
5, 6, 103-106 : 솔레노이드 밸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차량의 전단부분에 부착되어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구동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속도 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와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앞차와의 거리를 비교하고, 상기 회전속도센서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를 비교한 후, 그 각각의 비교결과에 따라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E. C. U; 파워 스티어링 펌프와 제어 박스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그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오일을 그 제어 박스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오일 리저버와 상기 제어 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어박스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차량의 전단부분에 부착되어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와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앞차와의 거리를 비교하고, 그 기교결과에 따라 제1 내지 제4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E. C. U와; 제1 파워 스티어링 펌프와 제1 제어 박스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오일을 상기 제1 제어 박스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1 오일 리저버와 상기 제1 제어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 제어박스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제1 오일 리저버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 파워 스티어링 펌프와 제2 제어 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그 제2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오일을 그 제2 제어 박스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 오일 리저버와 상기 제2 제어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2 제어박스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제2 오일 리저버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4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도 1 에서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및 도 5 는 도 3 에서의 솔레노이드 밸블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 은 도 1 및 도 3 에서의 거리센서에서 센싱된 거리와 차속센서에서 센싱된 차량속도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와; 차량의 전단부분에 부착되어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2)와; 구동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속도센서(3)와; 상기 차속센서(1)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와 상기 거리센서(2)에서 감지된 앞차와의 거리를 비교하고, 상기 회전속도센서(3)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를 비교한 후, 그 각각의 비교결과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펌프(7)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5) 및 오일 리저버(8)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6)의 개폐를 제어하는 E. C. U(4)와 상기 파워 스티어링 펌프(7)와 제어 박스(9)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4)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그 파워 스티어링 펌프(7)의 오일을 그 제어 박스(9)에 공급 및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브(5)와, 상기 오일 리저버(8)와 상기 제어박스(9)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4)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어박스(9)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8)에 공급 및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6)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박스(9)는 브레이크 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에 의해 상기 파워 스티어링 펌프(5)에서 오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에 의해 내부의 오일이 상기 오일 리저버(8)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물체(9a)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의 동작을 도 6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의 전단부분에 거리센서(2)가 부착된 자동차를 주행하게 되면, 상기 거리센서(2)는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거리값을 E. C. U(4)에 제공하게 된다.
이어서, 차속센서(1)는 운전자의 주행에 따라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속도값을 상기 E. C. U(4)에 제공하고, 회전속도 센서(3)는 운전자의 주행에 따라 구동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값을 상기 E. C. U(4)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E. C. U(4)는 상기 거리센서(2)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1)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와 비교하고, 상기 회전속도 센서(3)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준 회전속도를 비교하여 그 각각의 비교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5), (6)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거리센서(2)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1)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2)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 즉 도 6 에 도시된 b 점인 경우 그리고 상기 회전속도센서(3)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준 회전속도의 비교결과 상기 회전속도센서(3)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가 기준 회전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E. C. U(4)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를 개방시켜 파워 스티어링 펌프(7)의 오일을 제어 박스(9)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박스(9)내에 구비된 이동물체(9a)는 그 공급된 오일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브레이크 페달(10)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차량의 속도가 늦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거리센서(2)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1)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2)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짧거나 같지만, 상기 회전속도 센서(3)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의 비교결과 상기 회전속도 센서(3)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가 기준 회전속도보다 느린 경우, 상기 E. C. U(4)는 상기 구동휠의 로킹상태일 때 차량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를 개방시켜 상기 제어 박스(9)내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8)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박스(9)내에 구비된 이동물체(9a)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브레이크 페달(10)도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차량의 속도는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거리센서(2)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1)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2)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크고, 상기 회전속도 센서(3)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준 회전속도의 비교결과 상기 회전속도 센서(3)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가 기준 회전속도보다 느린 경우, 상기 E. C. U(4)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를 개방시켜 상기 제어 박스(9)내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8)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게 제어박스(9)내에 구비된 이동물체(9a)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브레이크 페달(10)도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차량의 속도는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00)와, 차량의 전단부분에 부착되어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101)와, 상기 차속센서(100)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와 상기 거리센서(101)에서 감지된 앞차와의 거리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따라 파워 스티어링 펌프(107)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03), 오일 리저버(108)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04), 파워 스티어링 펌프(109)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05) 및 오일 리저버(110)에 연결된 솔레노이드 밸브(106)의 개폐를 제어하는 E. C. U(102)와, 상기 파워 스티어링 펌프(107)와 제어 박스(111)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102)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그 파워 스티어링 펌프(107)의 오일을 그 제어 박스(111)에 공급 및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03)와, 상기 오일 리저버(108)와 상기 제어박스(111)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102)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어박스(111)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108)에 공급 및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04)와, 상기 파워 스티어링 펌프(109)와 제어 박스(11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102)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그 파워 스티어링 펌프(109)의 오일을 그 제어 박스(112)에 공급 및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05)와, 상기 오일 리저버(110)와 상기 제어박스(11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102)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어박스(112)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110)에 공급 및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06)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박스(111)는 브레이크 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3)에 의해 상기 파워 스티어링 펌프(107)에서 오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6)에 의해 내부의 오일이 상기 오일 리저버(110)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물체(112a)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의 동작을 도 6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의 전단부분에 거리센서(101)가 부착된 자동차를 주행하게 되면, 상기 거리센서(101)는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거리값을 E. C. U(102)에 제공하게 되고, 차속센서(100)는 운전자의 주행에 따라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속도값을 상기 E. C. U(102)에 제공된다.
상기 E. C. U(102)는 상기 거리센서(101)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100)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103-106)의 개폐를 각각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거리센서(101)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100)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101)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 즉 도 6 에 도시된 b 점인 경우, 상기 E. C. U(102)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3), (105)를 각각 개방시켜 상기 파워 스티어링 펌프(107)의 오일을 제어박스(111)에 제공하고, 상기 파워 스티어링 펌프(109)의 오일을 제어박스(112)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박스(111) 내에 구비된 이동물체(111a)는 그 공급된 오일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브레이크 페달(113)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차량의 속도가 늦쳐지게 되지만, 상기 제어박스(112)내에 구비된 이동물체(112a)는 그 공급된 오일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엑세러레이터 페달(114)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차량의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차량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리센서(101)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100)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101)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긴 경우, 상기 E. C. U(102)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04), (106)를 개방시켜 상기 제어박스(111) 내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108)에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제어박스(112) 내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110)에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박스(111) 내에 구비된 이동물체(111a)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브레이크 페달(10)도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차량의 속도는 빨라지게 되지만, 상기 제어박스(112) 내에 구비된 이동물체(112a)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엑세러레이터 페달(114)도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차량의 속도는 느려지게 되어 차량의 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정한 제1, 제2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여러 수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이것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재되었으며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일치하는 본 발명 및 모든 수정이 커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단부에 거리센서를 부착하여 그 거리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와 차량의 속도에 대응되는 제동거리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브레이크 또는 브레이크 및 액세러레이터를 제어하여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졸음운전 등으로 발생되는 앞차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차량의 전단부분에 부착되어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구동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속도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와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앞차와의 거리를 비교하고, 상기 회전속도센서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를 비교한 후, 그 각각의 비교결과에 따라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E. C. U; 파워 스티어링 펌프와 제어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그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오일을 그 제어 박스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오일 리저버와 상기 제어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어박스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브레이크 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상기 파워 스티어링 펌프에서 오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브레이크 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내부의 오일이 상기 오일 리저버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C. U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짧거나 같고, 상기 회전속도센서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준 회전속도의 비교결과 상기 회전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가 기준 회전속도보다 빠른 경우,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오일을 제어박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C. U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짧거나 같지만, 상기 회전속도센서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준 회전속도의 비교결과 상기 회전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가 기준 회전속도보다 느린 경우,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제어박스 내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C. U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크고, 상기 회전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와 기준 회전속도의 비교결과 상기 회전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구동휠의 회전속도가 기준 회전속도보다 느린 경우,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제어박스 내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오일 리저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7.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차량의 전단부분에 부착되어 앞차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와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앞차와의 거리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제1 내지 제4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E. C. U와; 제1 파워 스터이링 펌프와 제1 제어 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그 제1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오일을 그 제1 제어박스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1 오일 리저버와 상기 제1 제어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1 제어박스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제1 오일 리저버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 파워 스티어링 펌프와 제2 제어 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그 제2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오일을 그 제2 제어 박스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3 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 오일 리저버와 상기 제2 제어박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E. C. U의 제어에 의해 개폐되어 상기 제2 제어박스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제2 오일 리저버에 공급 및 차단하는 제4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박스는 브레이크 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상기 제1 파워 스티어링 펌프에서 오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좌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물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박스는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내부의 오일이 상기 제1 오일 리저버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물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박스는 브레이크 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3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상기 제2 파워 스티어링 펌프에서 오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물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박스는 브레이크 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4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내부의 오일이 상기 제2 오일 리저버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물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 C. U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제3 솔레노이드 밸브를 각각 개방시켜 상기 제1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오일을 상기 제1 제어 박스에 제공하고, 상기 제2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오일을 상기 제2 제어 박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공거리 유지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E. C. U는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와 상기 차속센서에서 감지된 차량속도에 대응되는 기준 제동거리의 비교결과, 상기 거리센서에서 감지된 거리가 기준 제동거리보다 긴 경우, 상기 제2, 제4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제1 제어 박스 내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제1 오일 리저버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제어 박스내에 공급된 오일을 상기 제2 오일 리저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KR1019960063988A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KR100264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988A KR100264266B1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988A KR100264266B1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777A KR19980045777A (ko) 1998-09-15
KR100264266B1 true KR100264266B1 (ko) 2000-09-01

Family

ID=1948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988A KR100264266B1 (ko) 1996-12-10 1996-12-10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2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77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9095B2 (en) Adjustment of anti-pinch parameters according to voltage
US647283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and regulating the movement of an electrically operated aggregate of a motor vehicle
EP0791771A4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EED CHANGE IN A HYDRAULIC TRANSMISSION INSTALLED ON A VEHICLE AND SPEED CHANGE DEVICE
KR20180113545A (ko) 특히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감속의 의미에서 자동차 도어에 영향을 주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09290A (ko) 자동차 또는 기타 차량의 주행 작동 제어 방법
JPS60121115A (ja) 自動車用動力式コンバ−チブル・ル−フの制御装置
JP2000509344A (ja) 車載の調整駆動装置を電気的に監視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11630243A (zh) 用于运行机动车的车身盖的驱动系统的方法
JP2007315069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0264266B1 (ko) 자동차의 제동거리 유지장치
US4889093A (en) Throttle opening controller
US7822525B2 (en) Travel control device and travel control method
EP1054128B1 (en) Safety arrangement for vehicle doors
KR100534321B1 (ko) 차량의 좌우구배인식에 의한 도어개폐시스템
KR20190068898A (ko) 차량의 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27358B1 (ko) 시내버스 출입문의 안전장치
KR20000006629U (ko) 자동차 바퀴의 슬립에 따른 주행 속도 제어 장치
KR100207830B1 (ko) 속도제한 장치가 부착된 버스의 중간문 안전장치
KR100215235B1 (ko) 차량 속도 제어방법
KR100231533B1 (ko) 차량의 고속주행시 사고방지장치
KR20040065876A (ko) 차량의 파워 윈도우 장치
KR19980035488A (ko) 물체의 접근시 록킹되는 도어록 장치
KR0140234Y1 (ko) 차량 주행중 자동 본넷트 잠금장치
KR200161417Y1 (ko) 자동차의 도어개폐시 시건장치
KR0175562B1 (ko) 자동차 안전주행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