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944B1 -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944B1
KR100263944B1 KR1019970056908A KR19970056908A KR100263944B1 KR 100263944 B1 KR100263944 B1 KR 100263944B1 KR 1019970056908 A KR1019970056908 A KR 1019970056908A KR 19970056908 A KR19970056908 A KR 19970056908A KR 100263944 B1 KR100263944 B1 KR 100263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lamp
outer circumference
fuel tank
clamp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171A (ko
Inventor
윤현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7005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944B1/ko
Publication of KR1999003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 포트에 호스(3)가 연결된다. 호스(3)의 외주는 클램프(5)에 의해 감겨 지지된다. 호스(3)의 외주에는 걸림홈(31)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31)에 끼워지는 걸럼턱(51)이 클램프(5)의 내주에 형성된다. 한편, 클램프(5)는 공구(6)에 의해 고른 힘으로 눌려지게 된다. 공구(6)는 반원 단면 형상을 갖으면서 힌지(63)로 연결된 한 쌍의 집게(61,62)에 레버(64)가 연결된 것으로서, 레버(64)를 누르게 되면, 각 집게(61,62)가 클램프(5)의 외주를 고른 힘으로 누르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 가스를 연소실로 유도하기 위한 호스를 연료 탱크의 밸브에 클램핑시키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 탱크 등의 연료계에서 발생되는 증발 가스는 종래에 있어서는 대기중으로 방출하였으나, 증발 가스 중에는 대기를 오염시키는 탄화수소(HC)가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연소실로 유도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연료 증발 가스 배출 억지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장치의 조건으로는,
1) 상기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중에 유해성분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을것.
2) 상기 장치는 소형으로 원리적으로 간단하며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을 것.
3) 자동차의 성능에 나쁜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4) 최소의 설계변경으로 모든 차에 장착이 가능할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연료 증발 가스 배출 억지 장치로서는 크랭크 케이스 저장 방식과 캐니스터 방식(canister system)이 있으며, 이중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인 캐니스터 방식은 증발 가스를 활성탄에 흡착시켜 저장하였다가 외기와 함께 연소실로 보내는 방식으로서, 그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료 탱크내의 증기압이 상승하면 체크 밸브가 열리고, 증발 가스는 캐니스터내로 흘러 들어가며, 엔진 정지시에는 퍼지 밸브가 닫혀 있기 때문에, 증발 가스는 엔진쪽으로 흐르지 않고 캐니스터내에 멈추게 되어 공기만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엔진 작동시에는 엔진의 흡입 부압에 의해 퍼지 밸브가 열리고, 외기가 캐니스터를 통과하면서 캐니스터내에 흡착된 증발 가스가 흡기 매니폴드를 거쳐 실린더로 보내진다. 이때, 캐니스터내의 활성탄은 외기에 의해 청소되므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연소실에 분사되는 연료량은 계속적으로 전자 제어 유니트(ECU)에 의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의 상부에는 증발 가스가 배출되는 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밸브에 캐니스터로 연결되는 호스를 클램핑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탱크(1)의 상부에는 밸브(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밸브(2)에 캐니스터(미도시)로 이어지는 호스(3)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호스(3)는 도 1의 Ⅱ 부위의 상세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2)가 끼워진 상태하에서, 그 외주를 얇은 금속판과 같은 클램프(4)로 감아서 클램핑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내로 밸브(2)의 포트가 진입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프(4)를 호스(3)에 감은 다음, 도 2와 같이 클램프(4)의 양단을 매듭지면서 견고히 조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호스(3)와 밸브(2) 포트, 및 클램프(4)간의 재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조립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클램프(4)의 양단을 매듭지면서 호스(3)를 클램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매듭이 지는 부분은 견고히 조여지게 되지만, 그 외의 나머지 부분은 힘이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서, 견고히 조여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호스 클램핑 구조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호스와 클램프의 재질을 동일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호스 전체의 외주에 클램핑력이 고르게 분산가능한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연료 탱크의 밸브 포트에 호스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 부위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호스 클램핑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클램핑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공구의 상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호스 5 - 클램프
6 - 공구 31 - 걸림홈
51 - 걸림턱 61,62 - 집게
63 - 힌지 64 - 레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연료 탱크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 포트에 호스가 클램프에 의해 클램핑된다. 호스의 외주 전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클램프의 내주에는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클램프의 외주가 공구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공구는 반원 형상을 갖는 2개의 집게의 각 일단이 힌지로 연결된 것으로서, 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각 집게가 회전되어서, 클램프의 외주 전체를 고르게 누를 수가 있다. 또한, 클램프의 외측면은, 축방향을 향하는 호스의 단부면에 밀착되게 된다. 특히, 클램프와 호스의 재질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클램프와 호스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므로써, 조립하기가 한결 수월해지고, 아울러 공구에 의해 클램프 외주 전체가 동시에 고르게 눌려지게 되므로써, 클램핑력도 대폭 강화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스 클램핑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에 연료 탱크(미도시)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 포트(미도시)가 끼워진다. 호스(3)의 외주에 클램프(5)가 감겨져 견고히 눌러지게 된다. 호스(3)와 클램프(5)는 동일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호스(3)의 외주에는 전체를 따라 걸림홈(31)이 형성되고, 걸림홈(31)에 끼워지는 걸림턱(51)이 클램프(5) 일단 내주에 형성된다. 또한, 클램프(5)의 타단(52)은 호스(3)의 단부면에 맞대어진다. 즉, 클램프(5)의 타단(52)은 걸림턱(51)의 내경보다 더 작으면서 호스(3)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으므로써, 호스(3)의 단부면에 맞대어지게 된다.
한편, 클램프(5)의 외주는 공구(6)에 의해 전체가 동시에 견고히 눌려지게 된다. 공구(6)는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단면 형상을 갖는 2개의 집게(61,62)의 각 일단이 힌지(63)로 연결되고, 이 힌지(63)측에는 레버(64)가 연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서, 밸브 포트가 끼워진 호스(3)의 외주에 클램프(5)를 감게 되면, 걸림턱(51)이 걸림홈(31)내로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구(6)의 각 집게(61,62)를 벌려 클램프(5)의 외주를 잡은 상태에서, 레버(64)를 강한 힘으로 누르게 되면, 각 집게(61,6 2)가 오므려지면서, 클램프(5)의 외주를 견고히 누르게 된다. 이때, 각 집게(61,62)는 클램프(5)의 외주를 동시에 누르게 되므로써, 클램프(5)의 외주가 부위별로 눌려지는 힘이 상이하지 않게 된다. 즉, 레버(6 4)에서 가해지는 힘이 클램프(5)의 각 부분으로 고르게 분산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구(6)를 이용해서 클램프(5)의 전체 외주를 고르게 누를 수가 있게 되므로써, 힘이 클램프(5) 전체로 고르게 분산되게 되어, 클램핑력이 대폭 강화된다.
또한, 클램프(5)와 호스(3)의 재질이 동일하므로, 서로간의 밀착력이 상이한 재질보다 강화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연료 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 가스를 캐니스터로 보내기 위해,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 포트에 상기 캐니스터로 이어지는 호스를 클램프로 감아서 클램핑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호스와 상기 클램프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반원형 단면을 가지고 일단이 서로 힌지 연결되어 그 내주로 상기 클램프의 외주를 가압하는 한 쌍의 집게와 상기 집게를 동작시키기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공구에 의해 상기 클램프의 외주 전체에 균일한 체결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
KR1019970056908A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 KR100263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908A KR100263944B1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908A KR100263944B1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71A KR19990035171A (ko) 1999-05-15
KR100263944B1 true KR100263944B1 (ko) 2000-08-16

Family

ID=1952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908A KR100263944B1 (ko) 1997-10-31 1997-10-31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9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463A (ko) * 1988-05-25 1989-12-16 레미 베르네드, 제랑 클 램 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463A (ko) * 1988-05-25 1989-12-16 레미 베르네드, 제랑 클 램 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71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4265A (en) Canister system
US5957114A (en) Evaporative emission canister for an automotive vehicle
US6237574B1 (en) Evaporative emission canister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0263944B1 (ko) 자동차의 연료 탱크용 호스 클램핑 구조
JPH09228903A (ja) キャニスタ
JPS6153451A (ja) 車両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029938A (ja) 蒸発燃料制御装置
JP3235296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KR100422506B1 (ko) 탄화수소제거장치
JPH051643Y2 (ko)
JP2001165003A (ja) 燃料タンク
JPH065058B2 (ja) エンジン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09268952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2002310008A (ja) 燃料蒸気処理装置
JPS595177Y2 (ja) 自動車用の蒸発燃料吸着装置
JP2009024561A (ja) 燃料蒸発ガス排出抑止装置
KR100220417B1 (ko) 차량의 연료 가스 누출 방지장치
KR19990005687U (ko) 연료 증발 가스 방출 억제 구조가 구비된 연료 탱크
JPH06272554A (ja) 自動二輪車の二次空気装置
KR19990031300U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캡
KR19980030183A (ko) 자동차 연료장치 이배퍼레이션 라인의 리크 진단시스템
JP4273593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0126984Y1 (ko) 증발연료용 2 방향밸브
JPH0245498Y2 (ko)
JPH03135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