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075B1 -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 Google Patents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075B1
KR100262075B1 KR1019960062580A KR19960062580A KR100262075B1 KR 100262075 B1 KR100262075 B1 KR 100262075B1 KR 1019960062580 A KR1019960062580 A KR 1019960062580A KR 19960062580 A KR19960062580 A KR 19960062580A KR 100262075 B1 KR100262075 B1 KR 100262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head
drowsiness
ecu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487A (ko
Inventor
박문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07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06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 G01P13/0013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of fluids or of granulous or powder-like substances by using a solid body which is shifted by the action of the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9/00Switches having at least one liquid contact
    • H01H29/002Inertia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6In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 자동차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ASV 개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는 설비 원가가 고가이며 사용 방법이 간단하지 못하여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예시된 도 1 과 같이 운전자의 헤드에 착용되는 졸음 방지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졸음 방지 밴드(10)에는 운전자가 졸음에 의해 고개가 기울어지게 되면 유동물체(20)에 의해 "온" 상태가 되는 관성 스위치(40)를 설치하며, 상기 관성 스위치(40)의 신호를 입력하는 E.C.U.(50)가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단하여 경고부저(60) 및 알람 램프(70)에 신호를 출력하게 함으로써 주행중 운전자의 졸음 운전을 경고 할 수 있게 구성한 것 임.

Description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본 발명은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관성 스위치가 부착된 밴드를 운전자가 착용하게 하여 주행중 졸음에 의해 고개를 숙이거나 뒤로 젖히게 되면 E.C.U.가 시간을 첵킹하여 졸음 상태를 판단하게 하고, 판단된 신호에 의해 경고부저와 알람 램프가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중 졸음 방지를 위해 긴요하게 사용 할 수 있게 한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졸음 방지를 위해 차량에 적용 설치되는 졸음 방지 장치는 운전자의 눈동자를 통한 동공 및 표정을 감시하기 위한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나 주행중 운전자의 맥박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단하게 함으로써 이를 경보하게 하거나 혹은 운행을 일부 제한하는 제동 장치 및 액셀 페달을 통해 졸음 운전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ASV 개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는 사용 및 설치 방법이 복잡하여 현실적으로 많은 운전자가 간편하게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한 어려움이 있으며, 설비 원가가 이용자에게 부담을 주는 고가이며, 설치 후 부품의 관리와 사용방법이 간단하지 못하여 이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비효율적인 문제를 유발하였다.
즉, 종래 자동차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ASV 개념의 졸음 운전 방지 장치는 설비 원가가 고가이며 사용 방법이 간단하지 못하여 사용 및 관리에 여러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운전중 운전자의 헤드 부분에 착용 할 수 있게 된 밴드를 통해 운전자의 고개가 졸음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는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관성 스위치와 경고부저를 발생할 수 있는 부저 및 알람 램프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및 전원 스위치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주행중 졸음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시 착용케 하고 착용되는 동안 운전자의 졸음을 경고 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졸음 방지 밴드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관성 스위치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졸음 방지 밴드의 제어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설명 **
10 : 졸음 방지 밴드 20 : 유동 물체
30 : 작동 전원 스위치 40 : 관성 스위치
50 : E.C.U. 60 : 경고 부저
70 : 알람 램프 80 : 배터리
따라서, 본 발명은 예시된 도 1 과 같이 운전자의 헤드에 착용되는 졸음 방지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졸음 방지 밴드(10)에는 운전자가 졸음에 의해 고개가 기울어지게 되면 유동물체(20)에 의해 "온" 상태가 되는 관성 스위치(40)를 설치하며, 상기 관성 스위치(40)의 신호를 입력하는 E.C.U.(50)가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단하여 경고부저(60) 및 알람 램프(70)에 신호를 출력하게 함으로써 주행중 운전자의 졸음 운전을 경고 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주행중 졸음 운전을 할 우려가 있을 경우 예시된 도 1 과 같이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하는 졸음 방지 밴드(10)를 구비하며, 상기 졸음 방지 밴드(10)에는 운전자의 고개가 기울어지게 되면 유동 물체(20)에 의해 "온" 상태가 되는 관성 스위치(40)를 설치하며, 상기 관성 스위치(40)의 상태 신호를 입력하여 운전자가 일정 시간 이상 고개를 기운채로 주행하게 되면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E.C.U.(5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E.C.U.(5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운전자의 졸음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 부저(60)와 알람 램프(70)를 예시된 도 3 과 같이 설치한다.
즉, 소형 배터리 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연결하는 작동 전원 스위치(30)와, 유동 물체(20)에 의해 "온" 상태가 되는 관성 스위치(40)와, 상기 관성 스위치(40)의 신호를 입력하는 E.C.U.(50)와, 상기 E.C.U.(5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경고 부저(60) 및 알람 램프(70)를 순차적으로 직렬 연결될 수 있게 본 발명의 졸음 방지 밴드(10)를 구성함으로써, 착용되는 동안 운전자의 졸음 상태를 판단하여 이를 경고 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예시된 도 1 의 졸음 방지 밴드(10)는 운전자가 주행중 졸음 운전을 할 우려가 있을 경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하며, 착용된 후에는 운전자가 졸음에 의해 고개를 일정 시간 이상 기울어지게 되면 경고 부저(60) 및 알람 램프(70)를 작동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을 경고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졸음 방지 밴드(10)에 설치된 작동 전원 스위치(30)는 소형 배터리 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연결하는 작용을 하며, 관성 스위치(40)는 운전자의 고개가 기울게 되면 위치가 변화되는 유동 물체(20)에 의해 접점이 연결/차단되어 E.C.U.(50)에 신호를 입력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E.C.U.(50)는 입력된 신호를 설정된 로직에 따라 분석하여 운전자의 졸음을 판단하게 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E.C.U.(5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경고 부저(60) 및 알람 램프(70)는 운전자의 졸음을 경고하여 졸음 운전을 방지 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졸음 방지 밴드는 필요에 따라 운전자의 헤드에 착용되어 주행중 운전자가 졸음에 의해 고개를 일정시간 이상 기울어지게 되면 경고부저 및 알람 램프를 통해 이를 경고하여 졸음 운전을 방지 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Claims (3)

  1. 필요시 운전자의 헤드에 착용되며 운전자가 졸음에 의해 일정 시간이상 고개를 기울게 되면 경고 부저 및 알람 램프를 통해 졸음 운전을 경고 할 수 있게 된 졸음 방지 밴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졸음 방지 밴드는 소형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연결하기 위한 작동 전원 스위치와, 운전자의 고개가 일정 시간 이상 기울어지게 되면 유동 물체에 의해 "온" 상태가 되는 관성 스위치와, 상기 관성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하여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하는 상태를 판단하는 E.C.U.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경고 부저 및 알람 램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스위치는 운전자의 헤드가 정면을 바라보는 바른 상태에서는 수평을 유지하며 운전자의 고개가 일정 시간 이상 기울어지게 되면 수평 상태를 상실하는 유동 물체와, 상기 유동 물체가 수평을 상실 할 경우 접촉되어 "온" 상태가 되는 접점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KR1019960062580A 1996-12-06 1996-12-06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KR100262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580A KR100262075B1 (ko) 1996-12-06 1996-12-06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580A KR100262075B1 (ko) 1996-12-06 1996-12-06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487A KR19980044487A (ko) 1998-09-05
KR100262075B1 true KR100262075B1 (ko) 2000-08-01

Family

ID=19486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580A KR100262075B1 (ko) 1996-12-06 1996-12-06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0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487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4455A (en) Driver alert apparatus
US7061375B2 (en) System for warning a failure to wear a seat belt
KR940018270A (ko) 챠량용 졸음 경보장치 및 경보방법
JP2001158328A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の係合検出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システム
JPH06107031A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
KR20020068921A (ko) 음주운전과 졸음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100262075B1 (ko) 관성 스위치를 이용한 졸음 방지 밴드
JP2003327080A (ja) シートベルトリマインダ方法及びシートベルトリマインダ装置
JPH0635264B2 (ja) 居眠り状態検出装置
TWM609701U (zh) 警示系統
JP3821789B2 (ja) シートベルト未装着警報装置
KR100295849B1 (ko) 졸음운전방지장치및방법
KR19990004993A (ko) 뇌파 감지를 통한 졸음 방지 방법
KR100283321B1 (ko) 졸음 운전 방지 장치
JP3686183B2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
KR20000015128U (ko) 졸음 운전 경보 장치
KR200170183Y1 (ko) 차량의 중앙선 침범 경고장치
KR19990050660A (ko) 졸음운전 경보장치
EP0680728A1 (en) System for the automatic monitoring of the level of the attention of a human operator
KR200151614Y1 (ko) 자동차용 운전자 졸음 경보 장치
JP2000149162A (ja) 居眠り警報機
KR19990020497A (ko) 졸음 운전 경보장치 및 방법
KR970048696A (ko) 졸음 경고 장치를 갖는 안경
KR200182498Y1 (ko) 자동차의 졸음 방지 장치
KR970065230A (ko) 졸음 운전시의 경고 및 안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