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878B1 -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878B1
KR100261878B1 KR1019980010280A KR19980010280A KR100261878B1 KR 100261878 B1 KR100261878 B1 KR 100261878B1 KR 1019980010280 A KR1019980010280 A KR 1019980010280A KR 19980010280 A KR19980010280 A KR 19980010280A KR 100261878 B1 KR100261878 B1 KR 100261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crete
concrete block
porous concre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834A (ko
Inventor
김규형
Original Assignee
김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형 filed Critical 김규형
Priority to KR101998001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87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28B1/26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pressure being applied on the slip in the filled mould or on the moulded article in the mould, e.g. pneumatically, by compressing slip in a closed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2Selection of the hardening environment
    • C04B40/0263Hardening promoted by a rise in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1Organic co-binders for mineral binder compositions
    • C04B2103/0092Organic co-binders for mineral binder compositions for improving green str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84Materials permeable to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 시멘트, 물, 강도증진제, 보강섬유 및 혼화제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0인 상태에서 성형기를 이용하여 진동기로 진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형틀내로 채우고 가압하여 성형하며, 성형품을 탈형하고, 탈형된 성형품을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교대 옹벽 수로관, 건축물 등의 구조물 배면에 사용하는 경우 간단한 블록 조립에 의해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투수성이 우수하여 지반 침하 방지에 적합하고, 환기 작용 및 영구토 탈수 효과를 나타내므로 생태계 보호 및 환경 보호에도 적합하다.

Description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투수성이 우수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수성이 우수하여 지반 침하 방지에 적합하고, 환기 작용 및 영구토 탈수 효과를 나타내므로 생태계 보호 및 환경 보호에도 적합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이와 같은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대 옹벽, 개착구 터널, 지하 통로, 수로관, 건축물 등의 구조물 배면에는 침수, 출수 및 우수 등의 노면 침투수가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면서 흙이 유실되고 이로 인해 구조물이 균열 및 파괴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면 필터 층으로서 자갈 또는 모래층을 두고 성토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은 시공후에 층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렵고, 배면 필터층 입자들 사이로 토사가 유실 되며, 유실된 토사로 인한 지반 침하와 더불어 토압 및 수압이 함께 작용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건축물 등에 균열이 발생하고 내구성이 저하되며, 배수된 물에 의해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한 구조물 배면에는 연속 배면 배수 공법에 의해 두께 약 30 내지 50㎝의 뒷채움 잡석층 및 구조물의 전면부로 관통하는 수로구(직경 약 5 내지 10㎝)를 설치하므로써 노면 침투수는 집수된 후 배면 배수 처리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속 배면 배수 공법은 시공상에 있어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배면의 뒷채움 잡석층 입자들 사이로 토사의 미립분이 유실 되거나 수로구가 잡석 및(또는) 이물질에 의해 막힘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물의 배면 필터층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어 왔으며, 이러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에 관한 선행 기술로는 한국 특허 공고 제96-11337호를 들 수 있다. 이 문헌은 투수성이 우수하고 미끄럼저항이 큰, 보도블록, 계단석 제조 등에 적합한 무늬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문헌에 기재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미끄럼 저항이 우수한 외부 표면 미관용 블록으로서, 표면층과 이면층이 구분되고 블록에 무뉘를 부여하기 위하여 2종류 이상의 콘크리트를 구분하여 사용한다. 이로 인해,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제1, 2, 3차 등의 여러 차례에 걸쳐 콘크리트를 종류별로 공급하고, 형틀마다 왁수를 처리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야 하는 등 성형시 여러 공정이 요구되고, 성형 및 양생이 완료된 후에도 이형제를 제거하고 건조시켜 에폭시로 코팅해야 하므로 양생 후에도 여러 공정이 요구되는 등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에폭시를 코팅하므로 블록의 공극이 지나치게 메워지는 경우 투수가 잘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이 이와 같이 투수성이 우수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0인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형틀로 성형한 후 바로 탈형을 하므로써 성능이 우수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 시멘트, 물, 강도증진제, 보강섬유 및 혼화제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0인 상태에서 성형기를 이용하여 진동기로 진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형틀내로 채우고 가압하여 성형하며, 성형품을 탈형하고, 탈형된 성형품을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잇점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 덮개용의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수로관 덮개용의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시공된 교대 옹벽의 측면도이다.
제5도는 필터층을 시공하지 전의 제4도의 교대 옹벽의 배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시공된 하천 호안의 예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교대 옹벽 B :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C : 상부 덮개용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D : 수로관 덮개용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E : 수로관 F : 필터층
G : 부직포 H : 철선
일반적으로, 구조물에는 토질 상태, 지항수, 우수, 지지력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침수, 출수 및 우수 등의 수압이 작용하며, 이로 인해 구조물은 균열되거나 심지어 파괴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요구되어 왔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성능을 갖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개발되지 못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골재, 시멘트, 물, 강도증진제, 보강 섬유 및 혼화제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0인 상태에서 성형기를 이용하여 진동기를 작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형틀내로 채우고 가압하여 성형하며, 성형품을 탈형하고, 탈형된 성형품을 양생시키므로서 제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골재는 15 ㎜체를 100% 통과하는 쇄석 골재 및 8㎜체를 95% 이상 통과하는 모래로 이루어지며, 쇄석 골재 대 모래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9:1 내지 9.5:0.5가 바람직하다. 또한, 시멘트 대 골재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4 내지 1:6이 바람직하며, 이는 최종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에 요구되는 강도와 사용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아울러, 물은 시멘트의 중량의 30 증랭%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증진제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양생시 강도 증진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조제로서, 그 예로는 동양 Σ1000 (동양시멘트(주) 제품)등을 들 수 있으며, 시멘트 중량의 8 내지 13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섬유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내부에 섬유망을 형성하여 철근과 같이 강도 증진 및 균열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유리 섬유 등을 들수 있으며, 이 중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 섬유는 골재 총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0.09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화제는 콘크리트의 공기량, 사용된 물의 양 (단위 수량), 응결 시간, 초기 경화 속도 등에 미치는 효과에 따라 구별되며, 이들 혼화제로서는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AE제 및 단위 수량을 감소시키는 감수제가 주로 사용되고, 그 외에 수축 저감제 (균열 방지제), 응결시간 조정제, 방수제, 방청제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혼화제의 사용량은 사용되는 물과 혼화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0.02 내지 0.04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상기 구성성분들의 혼합은 누적 또는 개별 계량 방법에 의해 계량하여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시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0인 상태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슬럼프란 콘크리트의 연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값이 크면 클수록 콘크리트가 더 연한 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성형 및 탈형 공정에 있어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형틀로 성형한 후 즉시 탈형 과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양생 과정 이전에 성형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탈형이 먼저 수행된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0이 아닌 경우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성형된 후 양생 과정없이 바로 탈형하면 성형품이 흐트러지거나 변형되고, 양생시 작은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0인 상태에서 제품을 성형하여야 탈형 후 제품이 형틀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며 양생 과정이 원활히 수행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반드시 0인 상태에서 성형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성형품의 탈형이 양생전에 이루어지므로, 탈형된 성형품을 양생실로 이동시키는데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의 성형 과정을 파레트 상에서 수행한 후 탈형된 성형품을 파레트와 함께 양생실로 옮겨 양생 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성형시 파레트상에 형틀을 탑재시킨 상태에서 성형하고 형틀을 위로 올려서 탈형한 후, 탈형된 성형품이 실린 파레트를 양생실로 이송할 수 있다.
양생은 초기 양생 시간 2 내지 3시간 후에 매시간 20℃ 이하로 승온시켜 65℃ 내지 70℃의 온도에서 4 내지 5시간 유지하므로써 수행되며, 이 때 총 양생 시간은 10 ± 1시간이 되고 습도는 100%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양생시 양생 온도를 최고 온도로 바로 상승시키지 않는 이유는 양생실내의 온도가 급격히 변화되는 경우 제품 균열 및 강도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양생 후 양생실 문을 개방할 때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심한 경우 외부의 찬공기로 인해 제품에 균열이 발생되고 제품이 변형되기 쉬우므로 제품에 급격한 온도 변화를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양생된 제품은 자연 양생을 7일 이상 수행하여 본 발명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완성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공극의 구성이 개미집처럼 형성되고 공극이 큰 공극과 작은 공극이 서로 반복되어 구성되며, 또한 최종 용도에 따라 블록 중앙에 큰 구멍을 두어 연결하므로써 침투수 등이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면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 시간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살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된 본 발명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구조물 배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단면적에 대한 압축 강도는 80 내지 170kgf/㎠이고, 공극률은 12% 이상이며, 수평 휨 강도는 25kgf/㎠ 이상이고, 투수 계수는 0.4 내지 2㎝/초이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상기 특성을 시험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1) 압축 강도 시험
시험하려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가압되는 양면을 수평으로 얇고 평평하게 시멘트 모르타르를 사용하든가, 또는 시멘트와 소석고의 반죽 또는 소석고만을 사용하여 캐핑하고, 그 후 실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사용될 때를 모사하기 위하여 2시간 동안 수중에 담가 물을 흡수시켜서 심험체로 한다. 시험체를 사용시 실제로 하중을 받는 방향으로 전체면에 걸쳐 고르게 가압되는 전단면적 1㎠당 매초 약 1kgf의 속도로 가압한다. 압축 강도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한다.
압축 강도(kgf/㎠) = 최대하중/가압 전단면적
(2) 공극률 시험
먼저, 시험하려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용적 (A) 및 중량 (B)를 측정한다. 그 다음, 측정된 중량 (B)에 해당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불록 배합물 (다공성 블록의 구성성분들을 배합한 콘크리트)의 용적 (C)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측정한 상기 콘크리트의 비중 (D, D=B/C)을 사용하여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공극률 (E)를 계산한다.
E(%) = (A-C)/AX 100 = [A-(B/D)]A X 100
식 중, A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용적이고, B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중량이며, C는 B에 해당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배합물의 용적이고, D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배합물의 비중이다.
(3) 수평 휨 강도 시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물에 2시간 동안 담궜다가 꺼내어 심험체로 사용한다. 지름 30㎜의 강철제 둥근 봉 2개를 20㎝의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위치시킨 후, 이들 지지봉 위에 시험체를 중앙에 올려 놓는다. 또다른 상기 둥근 봉을 시험체의 중앙에 심험체 밑의 지지봉과 평행하게 하여 올려 놓고 하중을 균일하게 가하여 시험기 (SGB-202, 신강정밀공업(주) 제품)가 나타낸 최대 하중을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수평 휨 강도를 계산한다.
수평 휨 강도 (R) = 3 PL/2bd2
식 중, P는 시험기가 나타낸 최대 하중 (kgf/㎠)이고, L은 하부 지점간 거리 (㎝)이며, b는 하부 지점간 거리의 직각 방향의 평균 폭(㎝)이고, d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평균 두께 (㎝)이다.
(4) 투수 시험
<시험 장치>
시험 장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수평으로 넣을 수 있는 시험 챔버와, 상기 블록을 통과한 물이 집수되는 집수기 및 펌프로 이루어지며, 시험 챔버의 크기는 상기 블록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시험 후, 남아있는 물을 집수기로 배수시키고 시험 표본을 제거한 후, 또다른 표본을 넣고 물을 상부 용기로 다시 펌핑 시켜 다시 시험할 수 있다.
<시험 절차>
시험 수행시, 물을 챔버로부터 시험 표본을 통과하여 집수기로 흐르게 하며, 이때 수압의 크기가 일정하게 감소되도록 한다. 이때 시험 챔버 내의 초기 물의 높이 (h1)와 물이 집수기로 완전히 유입된 후의 최종 물의 높이 (h2)와 차 (Δh = h1 - h2)를 구하오, 이때 걸린 시간을 Δt로 표시하며, 이를 3회 반복한다.
<투수 계수>
투수 계수는 시험 표본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물성에 따라 좌우된다. 공극의 용적이 투수 계수에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투수 계수는 골재의 크기, 형상, 입도, 밀도 및 결합재의 용적에 의해 결정된다. 투수 계수(kf)는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계산하며, 표준 편파가 평균값의 10%를 초과하는 경우 시험을 반복 수행하여야 한다.
kf = (In h1/h2) d / Δt X 1 / 1+0.032(T-10)
kf는 투수 계수 (㎝/ch)를 나타내고,
h1 및 h2는 각각 시험 챔버 내의 초기 및 최종 물의 높이 (㎝)를 나타내고,
d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두께 (㎝)를 나타내고,
Δt는 물의 높이창에 따른 소요 시간 (초)를 나타내며,
T는 물의 온도 ℃)를 나타낸다.
특히,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종래에는 투수 계수가 커지면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투수성이 높으면서도 강도가 유지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상적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블록의 통상적인 제조 치수는 400x100x200(㎜)이다. 도 2 및 3은 각각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 덮개용 및 수로관 덮개용의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블록들은 통상적으로 각각 400x100x100(㎜) 및 500x280x100(㎜)의 치수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이 이들 치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 및 5는 교대 옹벽에 배면 처리용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시공하는 예의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시공하는 하천 호안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공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다공성 블록으로 시공할 수 잇다.
상기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교대 옹벽, 하천 호안 등에 시공하므로써, 침투수를 하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고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며 수압에 따른 구조물의 균열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쇄석 골재 1140㎏과 모래 60㎏을 누적 계량하고 시멘트 240㎏을 별도 계량하였다. 또한 혼화제로서의 에이스-101 ((주)아주정밀화학 제품)이 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4 중량% 포함된 물 60㎏, 강도증진제로서 동양 Σ1000 (동양시멘트(주) 제품) 24㎏, 및 보강 섬유로서 슈퍼스트롱 콘 화이버 (등록상표)(폴리프로필렌 섬유, (주)에스에스산업으로부터 입수가능) 0.6㎏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자동 믹서기에 계량된 상기 골재와 시멘트를 투입하여 5초 정도 혼합하고, 상기 강도증진제와 보강 섬유를 투입하여 5초 정도 더 혼합한 후에, 상기 혼화제가 포함된 물을 투입하여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1분 이상 혼합하였다. 혼합된 콘크리트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성형기로 운반하였다.
성형기에서는 제품 치수가 400x100x200 (㎜)인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형틀과 가압판을 조립하고 제품을 성형할 파레트를 준비하여 두었다. 혼합 공정에서 혼합된 콘크리트가 컨베이어 벨트에 성형할 파레트를 준비하여 두었다. 혼합 공정에서 혼합된 콘크리트가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성형기로 운반되어 오면,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0인 상태에서 진동기를 작동시켜 진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형틀내로 투입하여 콘크리트가 형틀의 구석구석까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하였다. 이어서, 가압판으로 콘크리트가 규정 치수가 되도록 가압한 후 진동을 멈추었다. 성형 후, 가압판을 위로 올리면서 형틀도 위로 올려서 탈형하였다. 탈형 후, 자동화 방식에 의해 다음의 성형할 파레트는 성형된 제품이 실려있는 파레트를 밀어내고 성형 위치에 자동으로 안착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재료 혼합, 콘크리트 운반, 성형 및 탈형 과정을 반복하므로써 성형된 파레트가 체인 벨트에 의해 5 내지 6단으로 겹쳐 쌓이면 이를 양생실로 운반하였다.
성형품이 양생실에 입고되면 양생실 문을 밀폐하고 2시간 동안 초기 양생하였다. 초기 양생 후 스팀을 투입하여 매시간 18℃로 승온시켜 65℃에 도달한 후 습도 100%에서 5시간 동안 양생한 후, 스팀 공급을 중단하고 5시간 이상 유지시켰다.
양생된 제품은 자연 양생을 7일 이상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압축 강도는 135kgf/㎠이고, 수평 휨 강도는 59kgf/㎠이며, 공극률은 17.3%이고, 투수계수는 7.027 x 10-1㎝/초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쇄석 골재 900㎏, 모래 100㎏, 시멘트 200㎏, 물 55㎏, 실시예 1의 강도증진제 혼합물 20㎏, 슈퍼스트롱 콘 화이버 0.5㎏을 사용하고, 형틀로서 제품 치수가 400x100x100 (㎜)인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형틀을 사용하며, 양생시 최고 온도를 70℃에서 양생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 덮개용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압축강도는 149kgf/㎠이고, 수평 휨 강도는 62kgf/㎠이며, 공극률은 17.8%이고, 투수 계수는 6.704 x 10-1 ㎝/초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쇄석 골재 1350㎏, 모래 150㎏, 시멘트 300㎏, 물 80㎏, 실시예 1의 강도증진제 혼합물 28㎏, 슈퍼스트롱 콘 화이머 0.7㎏을 사용하고, 형틀로서 제품 치수가 500x280x100 (㎜)인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형틀을 사용하며, 양생시 최고 온도를 70℃에서 양생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수로관 덮개용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압축 강도는 165kgf/㎠이고, 수평 휨 강도는 65kgf/㎠이며, 공극률은 13.5%이고, 투수 계수는 6.173 x 10-1 ㎝/초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구조물 배면용으로 적합한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은 교대 옹벽, 수로관, 건축물 등의 구조물 배면에 사용하는 경우 간단한 블록 조립에 의해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투수성이 우수하여 지반 침하 방지에 적합하고, 환기 작용 및 영구토 탈수 효과를 나타내므로 생태계 보호 및 환경 보호에도 적합하다.

Claims (4)

  1. 골재, 시멘트, 물, 강도증진제, 보강섬유 및 혼화제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0인 상태에서 성형기를 이용하여 진동기로 진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형틀내로 채우고 단 1회만으로 채우고 가압하여 성형하며, 성형품을 탈형하고, 탈형된 성형품을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는 15㎜ 체를 100 통과하는 쇄석 골재 90 내지 95 중량% 및 8㎜체를 95%이상 통과하는 모래 5 내지 10중량%로 이루어지고, 시멘트 대 골재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4 내지 1:6이며, 물의 사용량은 시멘트 중량의 30 중량% 이하이고, 강도증진제의 사용량은 시멘트 중량의 8 내지 13 중량%이며, 보강 섬유의 사용량은 골재 총량의 0.05 내지 0.09 중량%이고, 혼화제의 사용량은 물과 혼화제의 총량의 0.02 내지 0.04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양생은 초기 양생 시간 2 내지 3시간 후에 매시간 20℃ 이하로 승온시켜 습도 100% 및 65℃ 내지 70℃의 온도에서 4 내지 5시간 유지하므로써 수행되며, 이때 총 양생 시간은 10 ± 1시간이 되는 방법.
  3. 제1 또는 2항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압축 강도가 80 내지 170kgf/㎠이고, 투수 계수가 0.4 내지 2㎝/초인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KR1019980010280A 1998-03-25 1998-03-25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61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280A KR100261878B1 (ko) 1998-03-25 1998-03-25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280A KR100261878B1 (ko) 1998-03-25 1998-03-25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834A KR19990075834A (ko) 1999-10-15
KR100261878B1 true KR100261878B1 (ko) 2000-07-15

Family

ID=1953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280A KR100261878B1 (ko) 1998-03-25 1998-03-25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8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251A (ko) * 2002-02-23 2003-08-30 윤미숙 섬유보강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42495B1 (ko) 2006-07-27 2006-11-10 한일 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저독성 수로관의 제조방법 및 그 수로관
KR101455264B1 (ko) * 2013-06-24 2014-10-31 (주)티시 휨 인성이 개선된 축사용 바닥재 제조방법 및 바닥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086B1 (ko) * 1999-07-22 2002-03-02 강형남 콘크리트 철근 연결용 그라우트 몰탈
KR100750565B1 (ko) * 2006-06-02 2007-08-20 (주)삼화기업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830545B1 (ko) * 2007-08-31 2008-05-22 신창훈 투수칼라 자연석 및 그 포장방법
KR100951712B1 (ko) * 2007-12-13 2010-04-07 황유하 다공성 필터가 설치된 보도블록
KR101241820B1 (ko) * 2012-08-13 2013-03-18 주식회사 씨엠디기술단 비소성 시멘트를 이용한 옹벽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402A (ko) * 1987-11-21 1989-07-10 황익현 유색투수성 콘크리트
KR950000605A (ko) * 1993-06-08 1995-01-03 황익현 무늬 다공성 콘크리트 패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402A (ko) * 1987-11-21 1989-07-10 황익현 유색투수성 콘크리트
KR950000605A (ko) * 1993-06-08 1995-01-03 황익현 무늬 다공성 콘크리트 패널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251A (ko) * 2002-02-23 2003-08-30 윤미숙 섬유보강 투수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42495B1 (ko) 2006-07-27 2006-11-10 한일 주식회사 친환경적인 저독성 수로관의 제조방법 및 그 수로관
KR101455264B1 (ko) * 2013-06-24 2014-10-31 (주)티시 휨 인성이 개선된 축사용 바닥재 제조방법 및 바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834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2935B2 (en) Shaped article an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alker Bond characteristics of earth block masonry
AU605762B2 (en) Brick panel walling
KR100261878B1 (ko) 다공성 콘크리트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Chandrappa et al. Laboratory investigations and field implementation of pervious concrete paving mixtures
Raju et al. Influence of layer thickness and plasticiz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cement-stabilized rammed earth
Atoyebi et al. Evaluation of laterized earth moist concrete in construction works
CN109291240B (zh) 一种粗骨料活性粉末混凝土预制桥面板制备工艺
Karolina et al. The utilization of stone ash on cellular lightweight concrete
Baiden et al. Effects of orientation and compaction methods of manufacture on strength properties of sandcrete blocks
JP4460656B2 (ja) 現場施工用透水コンクリート材料
JP2007022872A (ja) 透水性コンクリート部材
EP2773597A2 (en)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set plastic waste doped concre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 same
US2315732A (en) Porous concret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939729B2 (en) High strength porous cement-based materials
CN107986712A (zh) 一种高强快硬抗裂加固砂浆及其制备方法
Beigh et al. Experimental Study on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Ceramic Waste as Fine Aggregate and Steel Fiber as Coarse Aggregate
JP2020075825A (ja) ポーラス・スプリットン・ブロック
CN108996961A (zh) 再生路面铺装板及其制造工艺
Yehia et al. The impact of using Polymer Impregnated Porous Concrete in Structural Engineering Applications
RU2060332C1 (ru) Стеновой блок
Saeed et al. Study a new technique for producing Vacuum-dewatered concrete
CN108532985A (zh) 基础梁板施工方法
Onyeakpa et al. Improvement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interlocking blocks and its moulding machine
Jagadish et al. The influence of soil composition on the strength of stabilized s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