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1431B1 -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1431B1
KR100261431B1 KR1019970044123A KR19970044123A KR100261431B1 KR 100261431 B1 KR100261431 B1 KR 100261431B1 KR 1019970044123 A KR1019970044123 A KR 1019970044123A KR 19970044123 A KR19970044123 A KR 19970044123A KR 100261431 B1 KR100261431 B1 KR 100261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terminal
electromagnet
terminals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657A (ko
Inventor
심양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4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전자석의 척력이 적절히 랙기어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운전자가 적절한 조향조작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도 저렴하게 구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운전자의 핸들조작방향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핸들 조작방향감지수단이 구비되고, 이 감지수단의 공급신호를 받아서 특정 차속을 기준으로 2개의 라인을 통해 어느 하나의 라인으로 공급하는 스위치수단이 상기 핸들 조작방향감지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핸들의 운동을 기어수단을 매개로 전달받아 핸들의 조작방향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되는 랙기어의 위쪽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석의 척력으로 랙기어에 힘을 가해주는 가력수단이 설치되고, 차속을 감지함과 더불어 감지한 차속에 따라 운전자의 핸들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나 혹은 반대방향으로 랙기어에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스위치수단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가력수단에 인가해주는 속도감지센서가 상기 스위치수단과 가력수단에 각각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본 발명은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전자석의 척력을 랙기어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가하여 운전자의 핸들조작감을 조절해 줄 수 있도록 된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운전자가 차륜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꿀수 있도록 장착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하여 그 조작력을 각 기구로 전달하기 위해 조향 휠과 조향 축 및 칼럼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기구와, 조향축의 회전을 감속함으로써 조작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 기구에 전달하는 기어기구 및, 기어기구의 움직임을 앞바퀴에 전달함과 동시에 좌우 바퀴의 관계위치를 올바르게 유지하기 위해 피트먼 암과 드래드 링크 및 너클 암과 타이로드 등으로 구성된 링크 기구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대형 자동차나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차량에서는 앞바퀴의 접지저항이 크기 때문에 핸들의 조작력이 크게 되고 신속한 조향 조작이 안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가볍고 신속한 조향조작을 하기 위해 동력조향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동력조향장치는 동력원이 되는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와 압력조절밸브 및 유량제어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유닛 등으로 구성된 동력장치와, 오일펌프에서 발생한 유압을 기계적인 힘으로 바꾸어 조향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실린더를 사용하는 작동장치 및, 이 작동장치에 이르는 유로를 개폐하고 핸들의 조작에 상응해서 유로를 바꾸어 동력실린더의 작동방향과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계식 조향장치나 동력조향장치에서는 차속에 따라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감각이 일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속주행시에 필요한 무거운 조향감각이나 저속주행시의 가벼운 조향감각을 동시에 느끼도록 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도 차속에 따라 조향감각이 달라지도록 하는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가 제안되어 있는 바,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핸들(11)이 장착된 조향축(12)이 조향기어박스(13)와 연결되고, 이 조향기어박스(13)의 상부에는 제어밸브가 설치되면서 이 제어밸브를 통해 유압펌프(14)에 의해 펌핑된 오일탱크(15)의 오일이 공급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밸브는 제어유닛(16)에 의해 제어전류를 인가받아 작동되게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어유닛(16)에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계(17)가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의 유압시스템을 도시한 것인 바, 이 유압시스템으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예컨대 20 ㎞ / h 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어유닛(16)은 제어밸브(18)에 제어전류를 인가하여 유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운전자가 예컨대 조향핸들(11)을 우측으로 돌리면, 조향축(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밸브피스톤(19)을 아래쪽으로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압력오일은 우측 작동실(20)로 유입됨과 동시에 체크밸브(21)를 거쳐 우측 반작용실(22)로 유입됨과 더불어 2개의 스로틀(23,24)를 통해 좌측 반작용실(25)로도 유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2개의 반작용실(20,22)내의 유압은 서로 동일하게 될 뿐만 아니라 토션바(26)에는 반작용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유압배력을 손실없이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 느끼는 핸들의 조작력이 가볍게 된다.
한편 고속주행시에는 상기 제어유닛(16)에 의해 제어밸브(18)가 완전히 개방되고, 우측작동실(20)의 오일은 우측 체크밸브(21)와 스로틀(23) 및 제어밸브(18)를 통해 오일탱크로 리턴되며, 상기 우측 반작용실(22)은 스로틀(23)의 스로틀작용에 의해 좌측 반작용실(25)보다 큰 압력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조향축에는 좌측으로 회전시킬려는 반작용 모멘트가 발생되고, 이 모멘트는 밸브피스톤(19,27)을 중립위치로 리턴시키므로, 결국에는 동력조향용 유압배력이 더 이상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조작력이 무겁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에서는 복잡한 유압시스템 및 전자장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비용도 비싸지게 된다고 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전자석의 척력이 적절히 랙기어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운전자가 적절한 조향조작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도 저렴하게 구성시킬 수 있도록 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의 유압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조향핸들 32-기어
33a,33b-감지로드 38a,38b-가동단자
39,40-고정단자 41-하우징
42-가동스위치 48-속도감지센서
49-지침판 50-지침축
52,53,54-고정단자 62,63-피스톤
64a,64b,64c-전자석 65a,65b,65c-전자석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핸들조작방향으로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핸들 조작방향감지수단이 구비되고, 이 감지수단의 공급신호를 받아서 특정 차속을 기준으로 2개의 라인을 통해 어느 하나의 라인으로 공급하는 스위치수단이 상기 핸들 조작방향감지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핸들의 운동을 기어수단을 매개로 전달받아 핸들의 조작방향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되는 랙기어의 위쪽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석을 매개로 랙기어를 좌측 혹은 우측으로 힘을 가해주는 가력수단이 설치되고, 차속을 감지함과 더불어 감지한 차속에 따라 운전자의 핸들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나 혹은 반대방향으로 랙기어에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스위치수단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가력수단에 인가해주는 속도감지센서가 상기 스위치수단과 가력수단에 각각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인 바, 즉 조향핸들(30)이 장착된 조향칼럼(31)의 외주에는 다수개의 이빨을 가진 기어(32)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기어의 양측에는 조향핸들의 회전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핸들 조작방향감지센서가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 조작방향감지센서는 상기 기어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열되면서 조향칼럼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기어이빨의 회전궤적내로 뻗은 2개의 감지로드(33a,33b)를 갖추고 있는 데, 이 감지로드는 측면은 리턴스프링(3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감지로드의 상단부에는 각각 피스톤헤드(35a,35b)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헤드는 실린더(36)내에 수용되어 스프링(37)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헤드의 상면에는 각각 가동단자(38a,38b)가 부착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각 실린더의 소정 내면에는 고정단자(39,40)가 설치되어, 이들 단자(38,39)가 서로 접속되면 그 신호를 후술하는 다음의 장치로 보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고정단자(39,40)는 하우징(41)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스위치(42)와 연결되어 있는 바, 즉 상기 가동스위치(42)는 상하로 2쌍의 단자(43a,43b;44a,44b)를 갖춤과 더불어 상기 제1고정단자(39)는 상기 가동스위치의 2개의 단자(43a,44b)와 각각 연결되는 반면에 상기 제2고정단자(40)는 가동스위치(42)의 다른 2개의 단자(43b,44a)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스위치의 양쪽 측부에는 2개의 전자석(45a,45b)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가동스위치의 각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2쌍의 고정단자(46a,46b;47a,47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자는 차속을 감지하는 속도센서(48)와 연결되어 있는 바, 즉 여기서 상기 속도센서(48)는 원판형상을 한 부도체의 지침판(49)을 갖추고 있고, 이 지침판(49)의 중심에 지침축(5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이 지침축(50)의 상단에는 지침(51)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지침판(49)에는 지침축을 중심으로 2개의 원호형상의 단자판(52,53)이 동심원으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각 단자판(52,53)은 차속에 따라 다수개의 단자로 구획지워져 있는 데, 예컨대 제1단자(52a,53a)는 차속이 제로에서 20km/h의 구간에서는 제1단자(52a,53a), 차속이 20km/h에서 60km/h의 구간에서는 제2단자(52b,53b), 차속이 60km/h에서 100km/h의 구간에서는 제3단자(52c,53c), 차속이 100km/h 이상에서는 제4단자(52d,53d)로 각각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지침축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지침판에 부착된 다른 단자판(54)은 상기 제4단자(52d,53d)와 일부 중첩되게 배열되어 있고, 이 단자판(54)은 차속이 제로에서 100km/h의 구간인 제1단자(54a)와 100km/h의 구간인 제2단자(54b)로 구획지워져 있다.
상기 지침축에는 지침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동단자(55)가 장착되어 있고, 이 가동단자에는 밧데리 전원이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가동단자의 끝부위는 제3단자판(54)과 항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침판의 이면에는 상기 지침축에 2개의 속도감지단자(56,57)가 각각 장착되어 있는 데, 제1속도감지단자(56)는 상기 제1단자판(52)의 단자들과 항상 접속되게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2속도감지단자(57)는 상기 제2단자판(53)가 항상 밀접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속도감지단자의 맞은편쪽 지침축에는 방향전환단자(58)가 속도감지단자와 소정각도를 두고 장착되어 있으며, 또 상기 제1속도감지단자는 라인(L1)을 통해 상기 단자(46a,46b)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2속도감지단자는 라인(L2)을 통해 상기 단자(47a,47b)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조향기어박스내에서 조향핸들의 조작력을 조향칼럼을 통해 전달받아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랙기어(59)에는 실린더(60,61)내에 수용된 2개의 피스톤(62,63)이 소정각도를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내의 각 피스톤과 대향하는 상부에는 직경이 각기 다른 링형상의 전자석(64a,64b,64c;65a,65b,65c)이 동심원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실린더의 각 전자석(64a,64b,64c)은 상기 제1단자판의 각 단자(52a,52b,52c)과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제2실린더의 각 전자석(65a,65b,65c)도 상기 제2단자판의 전자석(53a,53b,53c)과 연결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의 주행중에 차속이 예컨대 20km/h 이하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조향핸들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조향칼럼의 기어(32)에 한쪽 감지로드(33a)가 상승되면서 이와 함께 상기 피스톤헤드(35a)도 스프링(39)을 압착시키면서 상승되어, 상기 제1가동단자(38a)가 제1고정단자(39)에 접속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단자가 접속되면 전원이 단자들을 통해 가동단자로 전달되는 데, 상기와 같이 차속이 20km/h이하인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단자(55)가 제3단자판(53)의 제1단자(54a)와 접속된 상태에 있으므로, 전윈이 가동단자(55)와 제1단자(54a) 및 라인(L3)을 통해 왼쪽의 전자석(45a)에 인가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동스위치(42)는 도면에서 도시된 상태로 당겨져서 상기 가동단자(43a,43b)는 각각 고정단자(46b,47b)와 서로 접속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전원이 가동스위치의 단자(43a,44b)로 공급되면, 상기 단자(44b)는 다른 고정단자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이 단자(44b)를 통한 전원의 공급이 없게 되는 반면에 상기 단자(43a)는 고정단자(46b)와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 고정단자(46b)를 통해 라인(L1)을 매개로 속도센서(48)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속도센서로 공급된 전원은 제1속도감지단자(56)를 통해 제1단자(52a)를 매개로 제1실린더의 제1전자석(64a)에 인가되게 되고, 이와 같이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에 의해 척력이 발생되어 상기 랙기어(59)를 도면에서 왼쪽으로 밀러주게 되므로, 결국에는 운전자가 느끼는 핸들의 조작감각이 제일 가볍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점점 증가되어 차속이 20km/h에서 60km/h사이에 이르게 될 경우에 전원이 제1속도감지센서(56)와 제2단자(52b)를 통해 제1실린더의 제2전자석(64b)에 공급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전자석에 공급된 전원으로 인해 제2전자석의 척력이 랙기어에 작용해서 역시 운전자가 느끼는 핸들조작감이 가볍게 되는 바, 여기서 제1전자석(64a)의 면적이 제2전자석(64b)의 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제1전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척력도 제2전자석(64b)에 의해 발생하는 척력보다 크게 되며, 따라서 차속이 저속일수록 운전자가 느끼는 핸들조작감이 가볍게 된다.
한편 자동차의 속도가 점점 증가해서 60km/h에서 100km/h사이에 이르게 되면, 전원이 제1속도감지센서(56)와 제3단자(52c)를 통해 제1실린더의 제3전자석(64c)에 공급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동작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전자석에 공급된 전원으로 인해 제2전자석의 척력이 랙기어에 작용해서 역시 운전자가 느끼는 핸들조작감이 가볍게 되는 바, 여기서 제3전자석(64c)의 면적은 제2전자석(64b)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제3전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척력도 제2전자석(64b)에 의해 발생하는 척력보다 작게 되며, 따라서 차속이 증가할수록 운전자가 느끼는 핸들조작감이 점점더 무겁게 된다.
한편 차속이 100km/h 이상이 되면, 상기 가동단자(55)가 제3단자판(54)의 제2단자(54b)와 접속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전원이 가동단자(55)와 제3단자판(54)의 제2단자(54b)를 통해 오른쪽 전자석(45b)에 인가됨에 따라 이 전자석의 자력으로 상기 가동스위치(42)가 오른쪽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가동단자(44a,44b)는 각각 고정단자(46a,47a)b)와 접속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핸들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전원이 가동단자(44b)와 고정단자(47a)를 통해 라인(L2)을 매개로 방향전환단자(58)로 공급되게 되고, 다시 이 방향전환단자(58)를 통해 전원이 상기 제2실린더(61)의 제3전자석(65c)에 공급됨에 따라 이 전자석으로 인해 척력이 발생되면서 제2피스톤(63)을 매개로 랙기어(59)를 도면상 오른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즉 차속이 100km/h이상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반시계방향으로 핸들을 조작해주면, 상기 랙기어는 도면에서 오른쪽으로 힘을 받아 이동될려고 라는 데, 이 랙기어에는 전자석(65c)의 척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운전자가 느끼는 조향핸들의 조작감은 무겁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는 그 구성요소의 대개가 1쌍씩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상기와는 달리 시계방향으로 조작할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작동하게 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속을 20km/h와 60km/h이하, 100km/h이하 및 100Km/h 이상으로 4단계로 나누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 또는 그 이항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또 차 속의 단계수에 따라 전자석과 단자들의 개수가 상응해서 달라지게 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에 의하면, 다수개의 전자석과 스위치 및 피스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 및 제작비용이 당연히 저렴하면서 차속에 따라 운전자가 적절한 핸들조작감을 느끼게 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운전자의 핸들조작방향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핸들 조작방향감지수단과, 이 감지수단의 공급신호를 받아서 특정 차속을 기준으로 2개의 라인을 통해 어느 하나의 라인으로 공급하는 스위치수단, 핸들의 운동을 기어수단을 매개로 전달받아 핸들의 조작방향에 따라 좌측 혹은 우측으로 이동되는 랙기어의 위쪽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자석의 척력으로 랙기어에 힘을 가해주는 가력수단, 차속을 감지함과 더불어 감지한 차속에 따라 운전자의 핸들조작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나 혹은 반대방향으로 랙기어에 힘이 가해지도록 상기 스위치수단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가력수단에 인가해주는 속도감지센서를 갖춘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조작방향감지수단이 핸들이 장착된 조향칼럼의 외주에 설치된 기어와, 이 기어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열되면서 조향칼럼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기어이빨의 회전궤적내로 뻗은 2개의 감지로드, 이 감지로드의 상단부에 각각 일체로 장착되면서 실린더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2개의 피스톤헤드, 이 피스톤헤드를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피스톤헤드의 상면에 각각 부착된 가동단자, 이 가동단자와 접속되면 신호를 보내기 위해 상기 각 실린더의 내면에 장착된 2개의 고정단자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로드가 측방향으로 요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감지로드의 측면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이 상하로 배열되어 상기 핸들 조작방향감지수단의 각 고정단자와 연결된 2쌍의 가동단자를 갖추고서 하우징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스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상기 가동스위치의 각 단자와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그 접속신호를 보내는 2쌍의 고정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감지센서가 원판형상을 한 부도체의 지침판과, 이 지침판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지침축, 상기 지침판에 지침축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으로 부착됨과 더불어 차속을 다수 단계로 나누어서 각 차속단계에 상응하는 단자를 가진 2개의 원호형상의 단자판, 상기 지침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자판과 일부가 중첩되게 배열되면서 차속을 다수 단계로 나누어서 각 단계에 상응하는 단자를 가진 제3단자판, 상기 지침축에 일체로 장착되면서 상기 제3단자판과 항상 접속되는 가동단자, 상기 제1단자판의 단자들과 상기 제2단자판의 단자들과 항상 접속되게 지침축에 장착된 2개의 속도감지단자, 이 속도감지단자의 맞은편쪽 지침축에 소정각도를 두고 장착된 방향전환단자 및, 상기 제1속도감지단자와 제2속도감지단자를 각각 스위치수단의 고정단자와 연결시키는 라인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침축의 상단에는 지침이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수단이 상기 랙기어에 소정각도를 두고 연결되면서 실린더내에 수용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내의 각 피스톤과 대향하는 상부에 장착되면서 직경이 각기 다르게 형성된 다수개의 전자석을 갖추고, 상기 제1실린더의 각 전자석은 상기 제1단자판의 각 단자과 연결되는 반면에 상기 제2실린더의 각 전자석은 상기 제2단자판의 전자석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019970044123A 1997-08-30 1997-08-30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100261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23A KR100261431B1 (ko) 1997-08-30 1997-08-30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23A KR100261431B1 (ko) 1997-08-30 1997-08-30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57A KR19990020657A (ko) 1999-03-25
KR100261431B1 true KR100261431B1 (ko) 2000-07-01

Family

ID=1952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123A KR100261431B1 (ko) 1997-08-30 1997-08-30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986A (ko) * 2001-04-18 2002-10-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동력 조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57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5522B1 (en) Tilting vehicle
JP3816730B2 (ja) 車両の操舵装置
KR950017622A (ko) 4륜 조향 시스템
KR100261431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WO2020225716A1 (en) Leaning tricycle and its steering and leaning method
US20030230448A1 (en) Vehicle steering system, steer fee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teer feel
JP2738169B2 (ja) 車両の舵取り装置
KR200206514Y1 (ko) 전자석을이용한속도감응형동력조향장치
JPH049259Y2 (ko)
JPH0479868B2 (ko)
KR100291063B1 (ko) 속도감응형파워스티어링시스템
JPH0468187B2 (ko)
KR19980035574A (ko) 밴드식 속도감응형 조향장치
KR100276728B1 (ko) 전자석을이용한동력조향장치
KR100259536B1 (ko) 자동차의 동력조향장치
KR100339215B1 (ko) 인테그럴 타입 속도감응형 동력조향장치
KR0180387B1 (ko) 일체형 현가장치를 갖는 차량의 후륜 조향장치
KR19990040239A (ko) 자기력을 이용한 조향핸들 조작력 제어장치
KR20070040230A (ko) 자동차의 조향력 제어장치
KR19990059214A (ko) 조향력 조절수단을 갖춘 동력조향장치
KR0180391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2954243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529587B2 (ko)
KR19980061141A (ko) 전기감응형 유체를 이용한 조향핸들 조작력 제어장치
KR19980038318U (ko) 속도감응형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