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783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783B1
KR100258783B1 KR1019980014368A KR19980014368A KR100258783B1 KR 100258783 B1 KR100258783 B1 KR 100258783B1 KR 1019980014368 A KR1019980014368 A KR 1019980014368A KR 19980014368 A KR19980014368 A KR 19980014368A KR 100258783 B1 KR100258783 B1 KR 10025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rmwork
slab
plate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835A (ko
Inventor
카즈토시 토리사와
Original Assignee
김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수 filed Critical 김수수
Priority to KR1019980014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78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going through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Corn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1,2)을 연결해서 형성한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 A를 형성하고, 내측 거푸집 판(2)의 상단부에 브래킷(4,5)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브래킷(4,5)에 평판(6)을 가설하고, 상기 평판(6)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11)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법이 제공되며, 사용을 마친 가설재의 철거량이 매우 적고, 공사기간의 단축 및 신속화와 공사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1) 토목 기술자에 의한 지면 고르기 및 기초 공사 공정, 2) 콘크리트 기술자에 의한 레벨링(levelling) 콘크리트의 타설공정, 3) 철근 기술자에 의한 바닥 철근 설치공정, 4) 콘크리트 기술자에 의한 바닥 콘크리트의 타설공정, 5) 거푸집 목수에 의한 일측 벽의 거푸집 조립공정, 6) 철근 기술자에 의한 벽 철근의 배근공정, 7) 거푸집 목수에 의한 타측 편 벽 거푸집 조립공정, 8) 거푸집 목수에 의한 슬래브 거푸집 조립공정, 9) 철근 기술자에 의한 슬래브 철근의 배근공정, 10) 콘크리트 기술자에 의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공정, 11) 거푸집 목수 또는 해체 기술자에 의한 거푸집 철거공정 등의 일련의 공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여러 업종의 전문 기술자가 구조물의 구축에 관여하고 있다.
긴 역사를 통해서 이들 여러 업종에 있어서의 전문직화가 진행되어, 각 전문직이 품질 향상에 기여해 왔다. 그러나 공사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각 공정 사이에 빈틈이 없게 해당 전문직이 작업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공정 관리가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그런데, 업종간의 공정 시차에 의한 공사 기간 연장이나, 반나절이면 완료할 수 있는 일도 한 사람분의 노임을 지급해야 하는 것과 같이 노동 비용의 낭비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콘크리트 거푸집으로는 일반적으로 나왕이나 베니어판을 이용한 목재 거푸집이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 목재 자원이 대단히 부족한 상태이고, 지구 자원의 보전이라는 관점에서 특히 열대 우림의 보호가 주장되고 있다. 또한 목재 거푸집의 사용은 사용 후에 산업 폐기물로 남게 되므로 그 처리가 문제로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없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동 비용이 높은 숙련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비숙련된 노동자라도 조립 작업이 가능하여 한 사람으로 여러 가지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공정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의 해체 공정을 제거하므로써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 양생기간에서의 콘크리트에 대한 충격 문제의 해소, 방음, 단열 성능의 향상, 방습 성능의 향상, 한랭 시기의 콘크리트 타설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거푸집에 목재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성 재료로 남겨서 산업 폐기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축물 구축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종단측면도.
도3은 콘크리트 벽용 거푸집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확대횡단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콘크리트 벽, B: 콘크리트 슬래브
1,2: 발포합성수지제 콘크리트 거푸집 판
3: 벽 콘크리트 4,5: 브래킷
6: 평판(flat deck) 7: 받침목
8: 보조 받침대 9: 천정 단열재
10: 앵커볼트 11: 슬래브 콘크리트
20: 레벨링 콘크리트 21: 내압 콘크리트 바닥
22: 팽창 실 23: 금속제 라이너
24: 콘크리트 못 25: 세퍼레이터(separator)
26: 볼트 27: 너트
29,30: 피스 31,32: 철근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을 연결하여 형성한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을 만들고, 내측 거푸집 판의 상단부에 브래킷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브래킷에 평판(flat deck)을 가설(架設)하고, 그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는 구축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축법은, 콘크리트 벽의 구축에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을 이용하고, 이 거푸집 판은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남겨서 단열재로 이용하는 공법이므로, 거푸집의 철거 작업이 없고 산업 폐기물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 구축은, 콘크리트 벽의 구축에 이용한 내측 거푸집 판의 상단부에 연결한 브래킷에 평판을 가설하고, 상기 평판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는 공법을 채택하고, 평판도 그대로 남기는 구축법이므로, 종래와 같이 다량의 산업 폐기물을 남기지 않으며, 또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은 강성이 약하다는 결점이 있지만, 평판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평 버팀목(brace)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거푸집 전체의 강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축물 구축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종단측면도, 도3은 콘크리트 벽용 거푸집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확대횡단평면도이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A는 콘크리트 벽이고, B는 콘크리트 슬래브이다. 콘크리트 벽 A의 구축은, 벽철근을 배근함과 동시에 그 양쪽에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1,2)을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와 연결구 등으로 연결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벽 콘크리트(3)를 거푸집 판(1,2) 사이에 타설하여 콘크리트 벽 A를 구축한다.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1,2)을 쌓아 올릴 때 접착제로 접착하여 연결하고, 일체의 구조로 하는 것과 함께 거푸집 판 사이에 방수성을 가지게 된다.
콘크리트 슬래브 B는, 내측에 있는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2,2)의 상단부에 합성수지 또는 금속제 브래킷(4,5)을 피스(29)로 조이고, 상기 브래킷(4,5)에 평판(6)을 가설하는 동시에, 피스(30)로 조여 적당한 몇 개 곳에 받침목(7)을 끼워 보조 받침대(8)로 지지하고, 평판(6) 위에 천정 단열재(9)를 깔고, 적당한 몇 개 곳에 앵커볼트(10)를 설치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11)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B를 완성한다.
이 경우, 거푸집을 구성하는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1,2)은 그대로 남게 되며, 철거하는 가설(假設) 재료는 받침목(7)과 보조 받침대(8) 뿐이므로, 철거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발명의 구체예)
본 발명을 적용해서 콘크리트제 지상 건물을 구축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도면을 기초로 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서 20은 레벨링 콘크리트, 21은 내압 콘크리트 바닥이다. 콘크리트 벽 A의 구축은, 우선 내압 콘크리트 바닥(21)을 조성한 후, 그 위에 벽 철근(31)을 조립하고, 그 내외의 내압 콘크리트 바닥(21) 위에 부틸 고무계 팽창 실(seal: 22)을 끼워서 디귿자 모양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제 라이너(23)를 콘크리트 못(24)으로 고정하고, 상기 라이너(23) 위에 발포 폴리스틸렌제 콘크리트 거푸집 판(1,2)을 세워,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25)를 끼워 볼트(26)와 너트(27)로 연결하여 거푸집을 완성한다.
28은 볼트 머리에 용접한 봉으로서, 삽입 구멍에 볼트(26)를 끼워 넣을 때 손으로 잡기 위해 사용하며, 너트(27)를 체결한 후에는 꺾어서 제거한다.
발포 폴리스틸렌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1,2)을 연결하는 수단은 도시된 방법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양단에 T자 모양의 연결부를 설치한 세퍼레이터를 이용해서 연결하는 방법과, 걸쇠 모양의 연결대를 이용해서 연결하는 방법 등을 채택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하여 쌓아 올린 거푸집 내에, 벽 콘크리트(3)를 흘려 넣어서 콘크리트 벽 A를 구축 완성한다.
콘크리트 슬래브 B의 구축은, 우선 내측 거푸집 판(2)의 상단부에 합성수지제 또는 금속제 브래킷(4,5)(도2에서 5는 생략됨)을 피스(29)로 조이고, 브래킷(4,5)에 평판(6)을 가설하여 피스(30)로 조이는 동시에 필요한 곳을 보조 받침대(8)로 지탱한 후, 그 위에 천정 단열재(9)를 깐다. 그리고 슬래브 철근(32)을 배근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11)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B를 완성한다.
이어서 외벽 마무리 및 내장을 하면 콘크리트 건물은 완성된다. 거푸집 판이 그대로 단열재로 이용되어 다시 단열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산업 폐기물도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상, 지상 콘크리트 건물을 구축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지하실을 구축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각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은 접착제에 의해 일체로 되므로, 지하실을 구축한 경우에도 방수성이 있기 때문에 방수의 문제점은 없다.
종래의 구축법에 의하면,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토목 기술자, 콘크리트 기술자, 철근 기술자, 거푸집 목수 등 여러 업종의 전문직을 필요로 하지만, 본 발명의 구축법은 조립, 시공이 용이한 공법이므로, 종래에는 다른 전문직이 수행했던 작업도 비전문직이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다음 공정의 전문직이 올 때까지 작업이 중지되는 일 없이 다음 공정의 작업을 속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정간에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가 해소되고, 또한 가설물(假設物)의 철거 작업이 많지 않기 때문에 공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결국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은 단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랭 기간 동안의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함과 동시에, 방음, 단열, 방습성능이 좋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구체예와 같이 평판(6)을 내측 거푸집 판(2)과 브래킷(4,5)에 피스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거푸집 및 평판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평판이 수평 버팀목 역할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에 의하면, 특히 숙련을 요하는 거푸집 목수의 일을 다른 직종의 사람이 병행해서 할 수 있어서 다기능화를 꾀할 수 있으므로, 가설 재료의 철거 작업이 현저하게 간단하게 되는 것과 더불어 공사 기간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에 목재를 사용하지 않아서 산업 폐기물이 나오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구축물의 구축에 관련된 열대 우림 보호 문제와 산업 폐기물 문제가 해소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벽 구축용 거푸집 판이 단열재로 작용하므로 종래와 같이 다시 단열재를 까는 수고를 없애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발포합성수지제의 콘크리트 거푸집 판을 연결해서 형성한 거푸집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을 형성하고, 내측 거푸집 판의 상단부에 브래킷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브래킷에 평판을 가설하고, 상기 평판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법.
KR1019980014368A 1998-04-22 1998-04-22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KR10025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368A KR100258783B1 (ko) 1998-04-22 1998-04-22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4368A KR100258783B1 (ko) 1998-04-22 1998-04-22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835A KR19990080835A (ko) 1999-11-15
KR100258783B1 true KR100258783B1 (ko) 2000-06-15

Family

ID=1953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368A KR100258783B1 (ko) 1998-04-22 1998-04-22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112A (ko) * 2001-06-30 2003-01-08 김동수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835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094B2 (en) Methods for finishing an edge of an insulated concrete form (ICF) wall
US2160225A (en) Building construction
US20060096236A1 (en) Structural wall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US20020020129A1 (en) Deep-ribbed, load-bearing, prefabricated insulative panel and method for joining
CN104120883B (zh) 免拆防火保温建筑构件模板的施工方法
US20130333318A1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CN108060789B (zh) 一种既有砌体结构隔震加固的墙体托换方法
US7661231B2 (en) Concrete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7147197B2 (en) Concrete home building
KR1002587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CN211973582U (zh) 一种地下室模板系统
KR100503237B1 (ko) 강화외피첨가 골조보강공법
CN211873413U (zh) 一种基于石膏空心砌块的免抹灰墙体
KR970005545Y1 (ko) 건축벽체의 판넬용 스페이서
CN220954030U (zh) 一体化施工的柔性连接拼装蒸压加气混凝土外墙大板系统
KR200296952Y1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위한 데크패널
US11585105B2 (en) Secondary joist profile for grid systems
US20220403641A1 (en) Method for using aerated autoclaved concrete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nstruction
SU863809A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 монолитного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
JPH1061204A (ja) 既存建物の耐震改修工法
JPH11619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法
JPH0455549A (ja) コンクリート製型枠
JPS58178745A (ja) 仕上げ下地兼用型枠材
RU2198988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стен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в несъёмной опалубке
KR20060127324A (ko) 건축물 단열 소재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