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2112A -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 Google Patents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2112A
KR20030002112A KR1020010038853A KR20010038853A KR20030002112A KR 20030002112 A KR20030002112 A KR 20030002112A KR 1020010038853 A KR1020010038853 A KR 1020010038853A KR 20010038853 A KR20010038853 A KR 20010038853A KR 20030002112 A KR20030002112 A KR 20030002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wall
insula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8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010038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2112A/ko
Publication of KR20030002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211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5Details of the adhesive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 시공된 단열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벽에 단열재를 시공 설치하되, 벽 두께를 최대한 얇게형성하여 실내의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고, 단열재의 시공성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도 단열효과를 극대화하여 열손실을 최소화 하므로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 벽체의 설치 시공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하므로서 공사기간을 단축 시키고,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에너지 손실을 줄일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시 시공된 단열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체의 내면에 단열재를 수직선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먹줄을 이용한 금긋기 작업을 하는 먹줄작업 공정과, 외벽체의 내면과 교차되는 천정면에 "┏┓"형 단면구조의 고정플레이트를 스크류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과, 상기 "┏┓"형 고정플레이트에 단열재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그 하단부에는 별도의 가고정수단에 의해 단열재를 받쳐주어 고정하는 단열재 결합 공정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단열재를 반복 연속해서 연장설치하는 벽체연결 공정과, 상기 단열재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고정수단을 제거하고 "┫"형 고정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단열재의 내측 하단부를 외벽체의 내면에 스크류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 수단으로고정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과, 상기 단열재의 외측 하단부에 "┗"형 고정플레이트를 스크류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과,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 석고보드를 스크류 또는 고정못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부착시켜 마무리 하는 석고보드 부착 공정을 거쳐서 단열재를 설치 시공하므로서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 시공된 단열벽체를 제공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 시공된 단열벽체.{Installation method of the building adiabatic wall and the adiabatic wall utilizing there of}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 시공된 단열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벽에 단열재를 시공 설치하되, 벽 두께를 최대한 얇게형성하여 실내의 공간을 더욱 넓게 확보하고, 단열재의 시공성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도 단열효과를 극대화하여 열손실을 최소화 하므로서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총 에너지 소비량 중 건축물 부분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량이 대략 25%에 달해 건축물에서 손실되는 에너지를 무시할 수 없는 것이므로 건축물 단열에 의한 에너지 절약문제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건축물에서의 단열은 에너지 절감뿐만 아니라,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여 작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라이프 사이클코스트를 낮춰준다.
도 1에 도시된 내용은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주택(건축물)의 경우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의 경로와 건축물 전체의 각 부위별 열손실에 대한 비율을 개략도로 표시한 것이다.
여기서 가장 많은 손실을 나타내는 부분이 외벽체임을 알 수 있어 외벽체의 단열성능을 강화하면 건축물에서 손실되는 에너지의 약 40 ~ 50% 정도를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손실되는 에너지를 아파트나 주택의 경우, 특히 건축물의 경우에 외부와의 온도차로 인한 내부의 난방 및 냉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외벽체의 내부에 단열재를 시공하여 단열효과를 얻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파트나 일반가옥등의 각종 건축물 외벽체의 내면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건축물의 단일벽체 시공방법 및 그 물품에 대해서 언급하기로 한다.
도2는 종래의 단열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일예시도로서, 벽면에 구멍을 뚫어 박거나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매립되는 목편이 콘크리트 벽면(1)에 배열된다. 상기 목편(2)의 중심을 따라 격자형으로 목재 프레임(3)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방음효과가 뛰어난 스티로폴 또는 유리면과 같은 단열재를 설치한다. 하지만 프레임을 만들고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콘크리트 벽면에서부터 차곡차곡 붙여 나가고 마감재를 붙여서 마무리하는 작업은 대단히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열재 시공방법에서 곧 바르지 못하고 변형된 목재프레임을 사용하면 프레임 사이에 단열재를 긴밀하게 설치하지 못하고 접착제의 접착력이 떨어지면 단열벽체 내에 미세한 공기층이 생겨 온도변화에 따라 결로현상이 일어나고 단열성능이 떨어진다.
최근에 와서는 진공압축 발포폴리스티렌 보온단열재인 방수단열재와 그라스울 보온 단열재 및 규산칼슘계의 광석으로 된 미네랄울 보온 단열재 등의 각종 우수한 단열재들이 개발 됨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열재와 석고보드를 벽체에 접착 시공하되, 단열재의 양면에 접착제를 접착시킨 후, 일측면은 콘크리트 벽체에 타측면은 석고보드에 각각 부착시공 하거나, 일차로 단열재와 석고보드를 접착제에 의해 상호 접착시켜 일체화 다음, 단열재를 접착제로 벽체에 부착시공 하는 등의 여러 공법들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법중 첫번째 공법은 접착제를 10 ~ 20㎜정도의 두께로 사용함으로 시공후 벽체가 두꺼워져 내부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고, 두번째 공법은 석고보드와 단열재를 접착제로 먼저 접착함으로서 이렇게 접착된 상태에서 상당기간동안 다음 작업을 할 수 없어 공사기간을 연장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석고보드와 단열재의 열팽창계수 차이로 인한 휨현상의 발생으로 단열벽체의 시공작업후 석고보드의 표면에 부착시킨 벽지에 손상을 주거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작한 것으로, 단열 벽체의 설치 시공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하므로서 공사기간을 단축 시키고, 보다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에너지 손실을 줄일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시 시공된 단열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 외벽체의 내면에 단열재를 수직선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먹줄을 이용한 금긋기 작업을 하는 먹줄작업 공정과, 외벽체의 내면과 교차되는 천정면에 "┏┓"형 단면구조의 고정플레이트를 스크류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과, 상기 "┏┓"형 고정플레이트에 단열재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그 하단부에는 별도의 가고정수단에 의해 단열재를 받쳐주어 고정하는 단열재 결합 공정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단열재를 반복 연속해서 연장설치하는 벽체연결 공정과, 상기 단열재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고정수단을 제거하고 "┫"형 고정플레이트를 설치하여단열재의 내측 하단부를 외벽체의 내면에 스크류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과, 상기 단열재의 외측 하단부에 "┗"형 고정플레이트를 스크류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과,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 석고보드를 스크류 또는 고정못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부착시켜 마무리 하는 석고보드 부착 공정을 거쳐서 단열재를 설치 시공하므로서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 시공된 단열벽체를 제공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옥형태의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각 부위별 열손실에 대한 비율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건축물에 시공된 단열 벽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공정도.
도 4a ~4h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각 공정별 작업내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라 설치시공되는 단열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도 4의 공정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건축물 외벽체(10)의 내면에 먹줄을 이용한 수직선을 맞추어 금긋기 작업을 하는 먹줄작업 공정(A)과; 상기 외벽체(10)의 내면과 교차되는 천정면(11)에 "┏┓"형 단면구조의 고정플레이트(20)를 나사못 또는 스크류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B)과; 상기 "┏┓"형 고정플레이트(20)에 단열재(30)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그 하단부에는 별도의 블럭의 가고정수단(31)에 의해 단열재(30)를 받쳐주어 가고정하는 단열재 결합 공정(C)과; 상기 고정플레이트(20)와 단열재(30)를 반복 연속해서 연장설치하는 벽체연결 공정(D)과; 상기 단열재(30)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고정수단(31)을 제거하고, "┫"형 고정플레이트(40)를 설치하여 단열재(30)의 내측 하단부를 외벽체의 내면에 나사못 또는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E)과; 상기 단열재(30)의 외측 하단부에 "┗ "형 고정플레이트(50)를 나사못 또는 스크류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형 플레이트 설치 공정(F)과; 상기 단열재(30)의 표면에 석고보드(60)를 나사못 또는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부착시켜 마무리 하는 석고보드 부착 공정(G)을 거쳐서 단열 벽체의 설치시공을 완료한 다음, 상기 석고보드(60)에 벽지(70)를 부착하는 벽지부착 공정(H)을 거쳐서 설치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 시공되는 본 발명의 건축물의 단열벽체의 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공정별 작업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공정(먹줄 작업 공정)
먼저 외벽체(10)의 내면에 설치되는 단열재(20)의 설치 위치 및 배열과 정확한 설치 시공을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먹줄로 수직선의 금을 표시하는 먹줄작업을 한다.
제 2공정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
외벽체(10)의 내면과 교차되는 천정면(11)에 "┏┓"형 단면의 구조를 갖는 고정플레이트(20)를 나사못 또는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21)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하되, 고정플레이트(20)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서 고정수단(21)에 의해 고정하기 전에 가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형 고정플레이트는 플레이트 상면에 등간격으로 관통공을 천공하여 고정수단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규격은 50×72×50㎜등으로 형성하고, 길이는 단열재의 폭과 동일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관통공에 대응되도록 천정에 별도로 전동드릴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구멍을 미리 천공하고, 천공된 체결구멍에 나사 결합으로 설치하여 결합하여도 된다.
상기 "┏┓"형 고정플레이트(20)의 효율적인 작업을 위하여, 고정플레이트 (20)의 외벽체(10)와 천정면(11)에 닿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고정시킨 후, 나사못이나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21)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외벽체(10)와 단열재(30)의 사이에 발생되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부(단열재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수직면을 못이룬 외벽체(10)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공간)를 처리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의 은박스폰지(22)를 고정플레이트(20)와 함께 설치하여 주므로서 방음 및 단열 효과와 단열벽체 시공 작업의 효율을 증대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제 3 공정 (단열재 결합 공정)
단열재(30)의 상단부를 상기 "┏┓"형 고정플레이트(20)의 홈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그 하단부에 대략 80 ~ 120 ㎜ 정도의 공간부를 형성하도록하여 별도의 블럭등의 가고정수단(31)에 의해 단열재(30)를 받쳐주어 가고정한다.
이때, 가고정하는 이유는 좌우로 연장설치되는 각 단열재(30)들과의 간격 및수직도를 조절하고, 수직하지 않는 경우에는 벽면과 단열재사이에 발생한 틈새를 쐐기형태로 미리 준비한 단열재편을 끼워 넣어서 단열재의 수평 및 수직등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열재는 진공 압출발포 폴리스티렌 보온재로써 표준규격에 따라 900×600, 1200×600, 1800×900, 2400×900, 1800×600 2400×600㎜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성형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제 4 공정 (벽체 연결 공정)
상기 2공정과 3공정을 반복하여 고정플레이트(20)와 단열재(30)를 좌,우로 반복 연속해서 연결설치하되, 정밀하고 일정한 높이 및 수직하게 각도를 유지시키면서 하단에는 계속해서 블럭등의 고정수단으로 단열재를 가고정한다.
또한, 도5에 나타낸 바와같이 단열재(30)의 양측면에는 돌기부(30a)와 요홈부(30b)를 형성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하도록하고, 인접하는 단열재와 단열재는 별도의 "┏┓"형 고정플레이트(33)의 양끝단을 양측 단열재(30)(30)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설치하되, 고정플레이트(33)의 내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호 견고하게 고정하게 한다.
상기 연결용 "┏┓"형 고정플레이트(33)의 크기는 10×50×1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공정 (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공정)
상기 단열재(30)의 하부에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여 가고정한 단열재(30)의 수직 및 수평을 조절한 후, 가고정수단(31)을 제거하고, 단열재(30)의 하단부 내측을 "┫"형 고정플레이트(40)에 의해 외벽체(10)의 내면에 고정함으로써 단열재 하부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형 고정플레이트(40)를 설치하기 전에도 벽면과 접촉하는 면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하여 가고정상태를 유지한 다음, 나사못이나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41)에 의해 단열재(30)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공정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
상기 단열재(30)의 하단부 외측에 "┗"형 고정플레이트(50)를 나사못 또는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51)에 의해 고정 설치하되, 필요에 따라 방수처리용 방수지를 "┗"형 고정플레이트(50)와 단열재(30) 사이에 삽입 설치하고, 역시 고정플레이트(50)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하여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 ┓"형 앵글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설치할 경우에 삽입부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함으로써 한층더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 7 공정 ( 석고보드 부착 공정)
상기 고정을 거쳐서 벽체가 완성된 상태에서 석고보드(60)를 부착설치하되, 각 단열재(30)가 연결설치된 부분이 석고보드(60)의 중앙부에 위치 하도록 단열재와 석고보드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게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석고보드는 단열재와 크기가 같은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석고보드의 부착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벽지(70)를 석고보드(60)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벽체가 형성된 하측의 공간부에는 바닥 마무리를 위하여 시멘트 몰탈(12)과 미장(13) 처리등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설치 시공공정을 거쳐서 단열벽체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으며, 그 공정에서 접착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단열벽체를 건식타입으로 시공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단열벽체 시공방법은 단열재와 석고보드의 설치시공을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수단에 의해서 간편 ·신속하게 설치시공할 수 있으므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단열재와 석고보드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함으로 인하여 발생하던 습기 및 곰팡이 등을 방지하며, 외벽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어 보다 넓은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를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건축물 외벽체의 내면에 단열재를 수직선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먹줄을 이용한 금긋기 작업을 하는 먹줄작업 공정과, 외벽체의 내면과 교차되는 천정면에 "┏┓"형 단면구조의 고정플레이트를 스크류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설치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과, 상기 "┏┓"형 고정플레이트에 단열재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그 하단부에는 별도의 가고정수단에 의해 단열재를 받쳐주어 고정하는 단열재 결합 공정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단열재를 반복 연속해서 연장설치하는 벽체연결 공정과, 상기 단열재의 하단부에 설치된 가고정수단을 제거하고 "┫"형 고정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단열재의 내측 하단부를 외벽체의 내면에 스크류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과, 상기 단열재의 외측 하단부에 "┗"형 고정플레이트를 스크류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는 "┗"형 고정플레이트 설치 공정과,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 석고보드를 스크류 또는 고정못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부착시켜 마무리 하는 석고보드 부착 공정을 거쳐서 설치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단열재의 양측면에는 돌기부와 요홈부를 형성하여 서로 견고하게 결합하도록하고, 인접하는 단열재와 단열재는 별도의 "┏┓"형 고정플레이트의 양끝단을 양측단열재에 각각 삽입하여서 설치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3. 제 1항의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 시공되어 "┏┓"형 고정플레이트와 단열재와 "┫"형 및 "┖"형 고정플레이트와, 석고보드를 주요 구성요소로 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단열벽체.
KR1020010038853A 2001-06-30 2001-06-30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KR20030002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853A KR20030002112A (ko) 2001-06-30 2001-06-30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8853A KR20030002112A (ko) 2001-06-30 2001-06-30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2112A true KR20030002112A (ko) 2003-01-08

Family

ID=2771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8853A KR20030002112A (ko) 2001-06-30 2001-06-30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2112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094A (ko) * 1994-11-29 1996-06-17 최훈 방습벽체구조
KR19980036043U (ko) * 1996-12-13 1998-09-15 임영호 건축용 단열재 및 석고보드 고정장치
KR19980076519A (ko) * 1997-04-10 1998-11-16 이용우 건물의 비내력벽 시공구조
KR19990001101U (ko) * 1997-06-17 1999-01-15 정연수 단열재
KR19990080835A (ko) * 1998-04-22 1999-11-15 김수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KR20000006637A (ko) * 1999-08-20 2000-02-07 윤용성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094A (ko) * 1994-11-29 1996-06-17 최훈 방습벽체구조
KR19980036043U (ko) * 1996-12-13 1998-09-15 임영호 건축용 단열재 및 석고보드 고정장치
KR19980076519A (ko) * 1997-04-10 1998-11-16 이용우 건물의 비내력벽 시공구조
KR19990001101U (ko) * 1997-06-17 1999-01-15 정연수 단열재
KR19990080835A (ko) * 1998-04-22 1999-11-15 김수수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축법
KR20000006637A (ko) * 1999-08-20 2000-02-07 윤용성 외벽단열재의 하부보강재 및 그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608A (en) Composite insulated framing members and envelope extension system for buildings
EP1004827A1 (en) Self-supporting, modular, prefabricated radiating panel, methods for its production and radiating surface obtained therewith
CN111188437A (zh) 一种可拼装、可移动的金属龙骨隔墙体系
CN111305503A (zh) 一种装配式墙板挂墙节点及其安装方法
KR20030002112A (ko) 건축물 단열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설치시공된 단열벽체.
KR101768683B1 (ko) 건축용 외장재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시공방법
US4548008A (en) Tile panel having convex and concave portions around substrate board,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N214006250U (zh) 一种装配式建筑隔音隔热预制墙板
CN111719740B (zh) 一种装饰一体化装配式墙体及其安装方法
JPH11166280A (ja) 集合住宅用間仕切り壁
RU2544181C2 (ru) Система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изоляции и способ изоляции фасада
CN220768520U (zh) 一种建筑用便于安装连接的轻质隔墙
KR100397833B1 (ko) 진공압출발포 폴리스티렌의 단열벽체 연결공법
CN214272765U (zh) 挂板龙骨结构
CN217679973U (zh) 一种节能型预制混凝土墙板
KR101140629B1 (ko) 건축물의 방음과 단열이 가능한 타일 적층식 단열구조물
KR200258539Y1 (ko) 조립식 천장판넬
CN214423861U (zh) 用于挂板的骨架安装结构、挂板和保温装饰一体板
CN214062114U (zh) 一种带饰面稳定层的节能板材
CN217480696U (zh) 一种装饰复合板安装结构
CN214062181U (zh) 一种超薄石塑墙板安装结构
CN220377582U (zh) 一种装配式装修墙体及用于该装修墙体的一体化地龙骨
JPH0225852Y2 (ko)
KR200366578Y1 (ko) 조립식 벽체에 사용되는 양면 반자돌림
JPH088189Y2 (ja) 建築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