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8346B1 -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8346B1
KR100258346B1 KR1019970080577A KR19970080577A KR100258346B1 KR 100258346 B1 KR100258346 B1 KR 100258346B1 KR 1019970080577 A KR1019970080577 A KR 1019970080577A KR 19970080577 A KR19970080577 A KR 19970080577A KR 100258346 B1 KR100258346 B1 KR 10025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inter
memory
input
err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355A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0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346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6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bit detection or demodulation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 기술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DVD 드라이브의 재생신호의 호스트 전송에 요구되는 각 기능부의 유기적인 메모리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드라이브의 재생신호의 신호처리부와 호스트 인터페이스부의 각 내부 버퍼링 메모리의 유기적인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신호 처리부의 내부 버퍼용 메모리에 재생신호의 복조된 데이터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위치를 나타내는 에러정정포인터와, 에러정정된 데이터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로의 출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출력포인터를 마련하고, 호스트 인터페이스부의 내부 버퍼용 메모리에는 재생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입력포인터를 마련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포인터를 마련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시 재생신호 처리부에서는 에러정정포인터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며, 데이터출력포인터는 에러정정포인터를 뒤따르게 각 재생신호의 복조 동작과, 에러정정동작 및 데이터출력 동작을 수행하며, 호스트 인터페이스부에서는 데이터전송포인터는 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게 각 데이터 입력동작과, 데이터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디.브이.디(DVD: Digital Video Disc 혹은 Digital Versatile Disc)드라이브(이하 드라이브고도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의 재생을 겸하는 DVD 드라이브에서의 메모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핀들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광디스크 상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면에 대한 레이저빔 반사광의 변화량으로서 정보를 읽어낸다.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기능상, 특성상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나 모든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 로딩/언로딩(loading/unloading) 메카니즘(mechanism)과, 광디스크 회전에 필요한 스핀들모터(spindle motor)와, 컨트롤부의 제어하에 광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드라이브전자회로부와, 컨트롤(control)부를 포함한다. 컨트롤부는 커맨드(command)의 흐름과, 여러 플래그(flag)의 상태 및 퍼스널컴퓨터 등과 같은 호스트와 드라이브전자회로부사이의 정보 전송을 관리한다.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동작에서,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스핀들모터를 정선속도(CLV: Constant Linear Velocity)나 정각속도(CAV: Constant Angular Velocity)로 고속으로 제어하며, 그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하는 광디스크상에 기록된 디지털 정보를 광픽업을 이용하여 고주파(RF)신호의 형태로 독출한다. 이러한 고주파신호는 이후 여러 신호처리 과정을 거처 재생 데이터로 변환된다.
한편 광디스크와,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현재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이 중 DVD계열은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의 디지털 영상을 2시간 이상 저장할 수 있는 등, CD(Compact Disc)계열에 비해 7배 이상의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DVD 드라이브는 통상 CD계열의 디스크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DVD와 CD의 신호포맷이나 변복조방식 등에는 예를 들어, CD는 EFM, DVD는 ESM 변복조방식을 사용하는 등 차이가 있으므로, DVD 드라이브는 CD 데이터를 재생하여 처리하는 CD 신호처리 부분과, DVD 데이터를 재생하여 처리하는 DVD 신호처리 부분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런데 각 신호처리 부분은 재생된 데이터의 버퍼링 및 에러정정에 필요한 메모리가 요구되고, 또한 호스트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부분에도 전송 버퍼용 메모리가 요구되어, 각 메모리에 데이터 입출력 관계 및 전송 동작의 상호 유기적 동작 연결 관계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VD 드라이브의 재생신호의 호스트 전송에 요구되는 각 기능부의 유기적인 메모리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DVD 드라이브의 재생신호의 신호처리부와 호스트 인터페이스부의 각 내부 버퍼링 메모리의 유기적인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신호 처리부의 내부 버퍼용 메모리에 재생신호의 복조된 데이터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위치를 나타내는 에러정정포인터와, 에러정정된 데이터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로의 출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출력포인터를 마련하고, 호스트 인터페이스부의 내부 버퍼용 메모리에는 재생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입력포인터를 마련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포인터를 마련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시 재생신호 처리부에서는 에러정정포인터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며, 데이터출력포인터는 에러정정포인터를 뒤따르게 각 재생신호의 복조 동작과, 에러정정동작 및 데이터출력 동작을 수행하며, 호스트 인터페이스부에서는 데이터전송포인터는 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게 각 데이터 입력동작과, 데이터 전송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 중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전송 데이터를 위한 신호처리부와 인터페이스부의 동작 과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중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1메모리와 제2메모리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
도 4는 도 3중 제1메모리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신호 버퍼링 과정의 흐름도
도 5는 도 3중 제1메모리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정정 과정의 흐름도
도 6은 도 3중 제1메모리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메모리로의 데이터출력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도 3중 제2메모리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메모리에서 출력된 데이터 버퍼링 과정의 흐름도
도 8은 도 3중 제2메모리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진행 과정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DVD-롬 드라이브를 일 예로 들었다. 도 1을 참조하면,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픽업 14에 의해 광디스크 10에 기록된 정보가 재생된다.
광픽업 14는 스핀들모터 12에 의해 회전되는 광디스크(상기 예에서는 DVD-롬 디스크) 10의 데이터 기록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광학적으로 픽업하여 이를 아날로그의 전기적 신호인 고주파(RF)신호로 변환하여 RF증폭부 20으로 인가한다. 광픽업 14는 이송모터 26에 의해 지지되며, 광디스크 10의 내곽과 외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RF증폭부 20은 광픽업 14로부터 인가되는 RF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의 잡음 및 왜곡을 파형등화 회로에 의해 제거하고 파형정형된 RF신호, 즉 데이터스트림을 신호처리부 30에 인가한다. RF증폭부 20은 CD에서 재생한 RF신호와 DVD에서 재생한 RF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CD.RF증폭부와 DVD.RF증폭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RF증폭부 20은 포커스서보 및 트래킹서보를 위한 신호들, 즉 포커스에러신호(FE; Focus Error signal)와, 트래킹에러신호(TE; Tracking Error signal)를 서보신호처리부 22로 인가한다. 서보신호처리부 22는 상기 포커스에러신호 및 트래킹에러신호에 의거하여 포커스서보를 위한 제어신호와, 트래킹서보를 위한 제어신호 등을 서보구동부 24로 출력한다. 서보구동부 24는 상기 서보신호처리부에서 인가되는 각종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광픽업 14, 및 이송모터 26으로. 트래킹서보 및 포커스서보의 수행을 위한 동작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신호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30은 상기 RF증폭부 20에서 인가되는 RF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데이터의 에러 정정을 수행하여 이를 인터페이스부에 인가한다. 또한 신호처리부 30은 스핀들모터구동부 28로 스핀들모터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스핀들모터구동부 28이 스핀들모터 12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신호처리부 30은 DVD에서 재생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VD신호처리부와 CD에서 재생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CD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진다. 인터페이스부 34는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호스트컴퓨터와 드라이브 사이에 인가되는 각종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를 하며 신호처리부 30에서 인가되는 데이터를 호스트컴퓨터로 전송한다. 제2메모리 36은 상기 인터페이스부 34의 전송 데이터 버퍼용 메모리로 사용되며, 제1메모리 32상기 신호처리부 30의 버퍼용 및 에러정정용 메모리로 사용된다. 상기 제1메모리 36과 제2메모리 32는 다이나믹램(DR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마이컴 40은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롬(ROM)과, 각종 동작 수행에 요구되거나 동작 수행시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RAM)으로 구성되는 내부 메모리를 구비하며, 드라이브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DVD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 중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호스트 전송 데이터를 위한 신호처리부와 인터페이스부의 동작 과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데이터의 전송 요구신호가 입력되면, 드라이브는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 동작을 시작한다. 재생되는 데이터는 신호처리부 30에 인가되어 도 2의 100단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링, 에러정정 등의 처리를 거처 인터페이스부 34에 인가되고 인터페이스부 34는 200단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가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게 된다.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가 계속 재생 중일 때에 상기 100단계와 200단계에 도시된 신호처리부 30 및 인터페이스부 34은 서로 유기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호스트 컴퓨터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를 디스크에서 모두 재생하여 인터페이스부 34에서 모두 전송할 때까지 계속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신호처리부 30의 100단계에서의 동작과, 인터페이스부 34의 200단계에서의 동작은 각각 제1메모리 32와 제2메모리 36과 관련하여 동작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신호처리부 30의 동작을 보면 재생한 데이터(RF로 표시)를 일단 저장하는 동작과, 저장된 데이터를 에러정정하여 다시 저장하는 과정과, 에러정정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으로 크게 살펴볼 수 있는데, 상기 재생한 데이터를 일단 저장하는 동작과, 에러정정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은 각기 다른 메모리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메모리 즉, 제1메모리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하 상기한 신호처리부 30과 인터페이스부 34의 메모리 관련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메모리 32와 제2메모리 36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중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1메모리와 제2메모리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모리 32에는 재생신호의 ESM 복조방식으로 복조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데, 그러한 복조된 데이터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이하 RF입력포인터라 함) P1과,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되는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에러정정포인터(이하 ECC포인터라 함) P2와, 에러정정된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부 34로의 출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출력포인터 P3이 마련된다.
제2메모리 36에는 제1메모리 32, 즉 신호처리부 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입력되어 버퍼링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입력포인터 P4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포인터 P5가 마련된다.
상기 메모리들은 환형 구조이며, 소정 데이터 블록 단위로 포인터(pointer)가 할당되는데, 한 블록은 에러정정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 블록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통상 재생되는 데이터는 일 군의 바이트로 이루어지는 (일명) 프레임(frame) 단위로 재생되며, 에러정정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 블록은 16 프레임이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의 한 블록은 16 프레임의 데이터를 저장하게 설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메모리 32는 세 개의 포인터로 관리되므로 적어도 3개 이상의 블록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포인터들을 이용한 메모리들의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제어는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시 제1메모리 32에서는 ECC포인터 P2는 RF입력포인터 P1을 뒤따르며, 데이터출력포인터 P3은 ECC포인터 P2를 뒤따르게 이루어지며, 제2메모리 36에서는 데이터전송포인터 P5는 데이터입력포인터 P4를 뒤따르게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조를 갖는 메모리들의 제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중 제1메모리 3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신호 버퍼링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은 신호처리부 30의 메모리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먼저 110단계에서 RF입력포인터 P1, ECC포인터 P2, 데이터출력포인터 P3을 초기 일치시킨다. 이후 112단계에서 재생된 데이터스트림(RF로 표시)을 버퍼링하게 된다. 버퍼링이 진행됨에 따라 RF입력포인터 P1은 ECC포인터 P2나, 데이터출력포인터 P3에 비해 앞서나가게 된다. 이후 114단계에서는 RF입력포인터 P1이 데이터출력포인터 P3과 같은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116단계로 진행하여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며, 같으면 118단계로 진행하여 버퍼링을 중단하게 된다.
이는 데이터스트림의 버퍼링 속도와 데이터의 출력속도의 차이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버퍼링된 데이터는 에러정정의 과정을 거친 다음에 출력되므로 통상 데이터스트림의 버퍼링 속도는 데이터 출력속도에 비해 빠르다. 그러므로 예들 들어 데이터출력포인터가 P3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번 블록을 가리키고 있는 상황에서 데이터 스트림의 버퍼링이 빨리 진행되어 RF입력포인터 P1이 제1메모리 32의 n번 블록까지 이르고, 다시 0번, 1번 블록까지 이르러 1번 블록에 데이터의 버퍼링이 완료되면, 이후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RF입력포인터 P1은 데이터출력포인터 P3과 같게 된다. 그럴 경우에 버퍼링의 계속 진행은 에러를 일으키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4단계에서 이를 확인하여 이후 118단계에서 버퍼링을 중단하게 되는 것이다.
버퍼링을 중단한 이후에는 119단계로 진행하여 신호처리부 30은 마이컴 40으로 1 트랙 킥백(kick-back)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1 트랙 킥백신호란 통상 광디스크에서의 데이터 재생동작은 한 타이틀 내에서는 일련된 트랙을 계속 추종하며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현재 추종하고 있는 트랙에서 한 트랙 이전으로 되돌아가는 동작을 지시하는 신호이다. 이러한 1 트랙 킥백신호는 드라이브가 한 트랙 동안 데이터의 재생동작을 중단하게 한다. 데이터의 재생동작이 잠시 중단되므로, 결국 제1메모리 32에 입력되는 재생되는 데이터스트림의 버퍼링이 잠시 중단되어 그 동안 제1메모리 32에서의 데이터 출력 동작이 계속 진행되고, 상기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번 블록을 가리키는 데이터출력포인터 P3이 3번 블록 혹은 4번 블록 순으로 변하게 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114단계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이후 116단계로 진행, 버퍼링이 진행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재생된 데이터스트림의 제1메모리 32로의 버퍼링 동작이 진행된다.
이하 제1메모리 32에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버퍼링된 데이터의 에러정정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3중 제1메모리 3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러정정 과정의 흐름도이다. 제1메모리 32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에러정정은 한 블록씩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 블록의 버퍼링이 완료 되면 에러정정 작업이 시작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120단계에서 ECC포인터 P2가 RF입력포인터 P1과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12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을 진행한다. 120단계에서 ECC포인터 P2가 RF입력포인터 P1과 같다는 것은 현재 에러정정을 수행하려는 블록의 데이터스트림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뜻이므로 해당 블록의 데이터 버퍼링이 완료되도록 기다리게 된다. 122단계에서의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은 데이터를 읽어와서 신호처리부 30의 내부에 구성된 에러정정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에러 정정을 수행하고 이후 에러 정정이 완료된 블록 데이터는 다시 해당 블록에 저장하게 된다.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 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124단계에서 판단하여 이후 126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126단계에서는 ECC포인터 P2를 1 증가시키고, 다시 상기 120단계로 돌아가서 해당 블록의 데이터를 에러 정정하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에러정정이 완료된 블록의 데이터는 이후 제2메모리 36으로 출력되는데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중 제1메모리 3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메모리로 36으로의 데이터출력 과정의 흐름도이다.
제1메모리 32에 한 블록씩 에러정정된 완료된 데이터가 저장되면 이후 출력작업이 시작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130단계에서 데이터출력포인터 P3이 ECC포인터 P2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13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의 출력을 진행한다. 130단계에서 데이터출력포인터 P3이 ECC포인터 P2와 같다는 것은 현재 데이터를 출력하려는 블록의 데이터 에러정정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뜻이므로 해당 블록의 데이터의 에러정정 작업의 완료를 기다리게 된다. 132단계에서의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되면, 이후 134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출력포인터 P3을 1 증가시킨다. 이후 136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출력중단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데이터출력중단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이후 상기 130단계로 되돌아가서 해당 블록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기 136단계에서 데이터출력중단신호란 인터페이스부 34에서 신호처리부 30으로 인가되는 것으로, 제1메모리 32에서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출력되는 데이터의 제2메모리 34에 버퍼링되는 속도가 제2메모리 34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호스트 컴퓨터로의 데이터 전송속도보다 빠름에 의해 제2메모리 34에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더 이상 저장할 수 없을 때 출력되는 신호이다.
상기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제1메모리 32의 데이터 입력, 에러정정, 출력에 요구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이하 제2메모리의 데이터 버퍼링 및 전송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3중 제2메모리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메모리에서 출력된 데이터 버퍼링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은 인터페이스부 34의 메모리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먼저 210단계에서 데이터입력포인터 P4와 데이터전송포인터 P5를 초기 일치시킨다. 이후 212단계에서 제1메모리 3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게 된다. 버퍼링이 진행됨에 따라 데이터입력포인터 P4는 데이터전송포인터 P5에 비해 앞서나가게 된다. 이후 214단계에서는 데이터입력포인터 P4가 데이터전송포인터 P5와 같은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216단계로 진행하여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며, 같으면 218단계로 진행하여 버퍼링을 중단하게 된다.
이는 데이터의 버퍼링 속도와 전송속도의 차이에 의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전송포인터 P5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4번 블록을 가리키고 있는 상황에서 데이터의 입력이 빨리 진행되어 데이터입력포인터 P4가 제2메모리 36의 n번 블록을 거처 3번 블록까지 이르렀다면, 이후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데이터입력포인터 P4는 데이터전송포인터 P5와 같게 된다. 그럴 경우에 데이터 입력 동작의 계속 진행은 에러를 일으키게 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4단계에서 이를 확인하여 이후 218단계에서 버퍼링을 중단하게 되는 것이다.
버퍼링을 중단한 이후에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인터페이스부 34는 마이컴 40으로 데이터출력중단신호를 출력하고 데이터의 입력 동작을 중단하게 한다. 데이터의 입력 동작이 잠시 중단되므로, 결국 제2메모리 36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버퍼링이 잠시 중단되어 그 동안 제2메모리 36에서의 데이터 전송 동작이 계속 진행되고, 상기 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번 블록을 가리키는 데이터전송포인터 P4가 5번 블록 혹은 6번 블록 순으로 변하게 된다.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214단계에서는 이를 확인하여 이후 216단계로 진행, 버퍼링이 진행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제1메모리 3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제2메모리 36으로의 버퍼링 동작이 진행된다.
한 블록에 입력이 완료된 데이터는 이후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되는데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3중 제2메모리 36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로의 데이터 전송 과정의 흐름도이다.
제2메모리 36에 한 블록씩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이후 출력작업이 시작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220단계에서 데이터전송포인터 P5가 데이터입력포인터 P4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222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의 호스트 컴퓨터로의 전송을 진행한다. 220단계에서 데이터전송포인터 P5가 데이터입력포인터 P4와 같다는 것은 현재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블록의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뜻이므로 해당 블록의 데이터 입력 작업의 완료를 기다리게 된다. 222단계에서의 해당 블록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이후 224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전송포인터 P5를 1 증가시킨다. 이후 상기 220단계로 되돌아가서 해당 블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제2메모리 36의 데이터 입력과 전송에 요구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메모리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도 3 내지 도 8에서 언급되는 포인터들은 메모리의 한 블록당 할당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메모리의 블록을 더 세분화하여 할당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토폴로지(topology)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여러 상세 구성요소들은 설계조건이나 통상적으로 가능한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경, 치환 또는 개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신호 처리부의 내부 버퍼용 메모리에 재생신호의 복조된 데이터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위치를 나타내는 에러정정포인터와, 에러정정된 데이터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로의 출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출력포인터를 마련하고, 호스트 인터페이스부의 내부 버퍼용 메모리에는 재생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입력포인터를 마련하고, 입력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데이터전송포인터를 마련하여,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시 재생신호 처리부에서는 에러정정포인터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며, 데이터출력포인터는 에러정정포인터를 뒤따르게 각 재생신호의 복조 동작과, 에러정정동작 및 데이터출력 동작을 수행하며, 호스트 인터페이스부에서는 데이터전송포인터는 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게 각 데이터 입력동작과, 데이터 전송 동작을 수행하므로, DVD 드라이브의 재생신호의 호스트 전송에 요구되는 각 기능부의 유기적인 메모리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드라이브의 재생신호의 신호처리부와 호스트 인터페이스부의 각 내부 버퍼링 메모리의 유기적인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20)

  1. 디.브이.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에 각각 제공되는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에 제공되는 메모리에 재생신호의 복조된 데이터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위치를 나타내는 에러정정포인터와, 에러정정된 데이터의 상기 인터페이스부로의 출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출력포인터를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제공되는 메모리에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전송포인터를 마련하는 과정과,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할시 상기 신호처리부에서는 상기 에러정정포인터는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며,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는 상기 에러정정포인터를 뒤따르게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는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는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게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의 재생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동작은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를 초기 일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버퍼링의 진행후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을 경우에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는 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의 진행후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상기 데이터의 재생작업을 잠시 중단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에러정정하는 동작은 상기 에러정정포인터가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을 경우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상기 에러정정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와 상기 에러정정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은 경우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 동작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데이터 출력 중단을 요구하는 신호가 입력될시 잠시 중단함읕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를 초기 일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는 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9. 디.브이.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에 각각 제공되는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에 제공되는 메모리에 재생신호의 복조된 데이터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위치를 나타내는 에러정정포인터와, 에러정정된 데이터의 상기 인터페이스부로의 출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출력포인터를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제공되는 메모리에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입력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전송포인터를 마련하는 과정과,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의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동작시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를 초기 일치시키고, 상기 버퍼링의 진행후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을 경우에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처리부의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에러정정시 상기 에러정정포인터가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을 경우에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처리부의 상기 에러정정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의 출력시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와 상기 에러정정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은 경우에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데이터의 상기 메모리에 버퍼링시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를 초기 일치시키고,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의 전송시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버퍼링의 진행시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상기 데이터의 재생작업을 잠시 중단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을 추가로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1. 디.브이.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에 각각 제공되는 제1메모리와 제2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에 제공되는 제1메모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제공되는 제2메모리의 내부 버퍼 공간을 다수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에 포인터를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제1메모리의 포인터들을 재생신호의 복조된 데이터 입력되어 버퍼링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에러정정포인터와, 에러정정된 데이터의 상기 인터페이스부로의 출력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데이터출력포인터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제2메모리의 포인터들을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입력되어 버퍼링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블록을 나타내는 데이터전송포인터로 구분하는 과정과,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할시 상기 신호처리부에서는 상기 에러정정포인터는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며,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는 상기 에러정정포인터를 뒤따르게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는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는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를 뒤따르게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의 재생한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동작은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를 초기 일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버퍼링의 진행후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을 경우에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는 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링의 진행후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상기 데이터의 재생작업을 잠시 중단하도록 지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에러정정하는 동작은 상기 에러정정포인터가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을 경우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상기 에러정정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와 상기 에러정정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은 경우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 동작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데이터 출력 중단을 요구하는 신호가 입력될시 잠시 중단함읕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를 초기 일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는 단계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19. 디.브이.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호스트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에 각각 제공되는 제1메모리와 제2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에 제공되는 제1메모리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제공되는 제2메모리의 내부 버퍼 공간을 다수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에 포인터를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제1메모리의 포인터들을 재생신호의 복조된 데이터 입력되어 버퍼링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의 에러정정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에러정정포인터와, 에러정정된 데이터의 상기 인터페이스부로의 출력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데이터출력포인터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제2메모리의 포인터들을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입력되어 버퍼링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입력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블록을 나타내는 데이터전송포인터로 구분하는 과정과,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신호처리부의 재생한 데이터를 상기 제1메모리에 버퍼링하는 동작시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를 초기 일치시키고, 상기 버퍼링의 진행후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을 경우에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처리부의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에러정정시 상기 에러정정포인터가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을 경우에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신호처리부의 상기 에러정정된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로의 출력시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와 상기 에러정정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은 경우에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데이터의 상기 제2메모리에 버퍼링시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를 초기 일치시키고,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버퍼링을 계속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버퍼링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의 전송시 상기 데이터전송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입력포인터가 같은지를 확인하여 같지 않으면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의 버퍼링의 진행시 상기 재생신호복조데이터입력포인터와, 상기 데이터출력포인터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상기 데이터의 재생작업을 잠시 중단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을 추가로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제어 방법.
KR1019970080577A 1997-12-31 1997-12-31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 방법 KR10025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577A KR100258346B1 (ko) 1997-12-31 1997-12-31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577A KR100258346B1 (ko) 1997-12-31 1997-12-31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55A KR19990060355A (ko) 1999-07-26
KR100258346B1 true KR100258346B1 (ko) 2000-06-01

Family

ID=1953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577A KR100258346B1 (ko) 1997-12-31 1997-12-31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3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355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1980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US5999505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continuously and discontinuously processing recorded data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944859B2 (ja) データの高速ダビング方法
EP0613135B1 (en) Optical disc system
KR100233722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지털신호처리부 테스트장치
KR100258346B1 (ko) 디.브이.디 드라이브의 메모리 제어 방법
JP2001229619A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H08235773A (ja) ビデオコンパクトディスクドライブ
JP3453466B2 (ja) 録音媒体へのタイトル情報書き込み方法
JP3196205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2895360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228485B1 (ko) 복합형 광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와 데이터 기록/재생 제어방법
JPH1049994A (ja) 情報再生装置
JP2942071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装置
JPH1012498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2122488A (ja) Cd−romディスク再生装置
JPH11328881A (ja) ディスク信号再生装置のエラー補償装置
KR100396886B1 (ko) 호스트 컴퓨터로 광기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서브코드데이터 제공 방법
KR100251956B1 (ko)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램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기록 또는재생시 디펙트 섹터 검출장치 및 방법
JPH10112124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013309U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849369B2 (ja) 再生装置、記録装置
JPH0765507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3122064A (ja) 光デイスク再生装置
KR19990081276A (ko) 음반 제작자 정보가 기록된 디스크 및 그 정보의 기록 및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