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529B1 -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7529B1
KR100257529B1 KR1019980000827A KR19980000827A KR100257529B1 KR 100257529 B1 KR100257529 B1 KR 100257529B1 KR 1019980000827 A KR1019980000827 A KR 1019980000827A KR 19980000827 A KR19980000827 A KR 19980000827A KR 100257529 B1 KR100257529 B1 KR 100257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high frequency
input
frequency filt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5506A (ko
Inventor
이만형
김강보
정진영
Original Assignee
김충환
대한민국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대한민국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1998000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75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7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75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2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suppressing or attenuating harmonic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40Automatic matching of load impedance to source impedance

Landscapes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를 공개한다. 그 장치는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 컨넥터, 고주파 여파기의 신호 입력 핀이 인가되는 입력 핀 연결부, 입력 컨넥터와 입력 핀 연결부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1 저항과 제 1 인덕터, 입력 핀 연결부와 접지 단자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 2 인덕터와 제 1 캐패시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컨넥터, 고주파 여파기의 신호 출력 핀이 인가되는 출력 핀 연결부, 출력 컨넥터와 출력 핀 연결부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2 저항과 제 3 인덕터, 및 출력 핀 연결부와 접지단자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 4 인덕터와 제 2 캐패시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기생용량을 제거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저항과 저항의 리드선에 의해서 만든 인덕터를 입출력 신호 라인에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임피이던스 매칭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본 발명은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파수 여파기의 임피이던스 매칭을 고려한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소자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주변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데 이를 위하여 최적의 임피이던스 매칭을 시켜야 한다. 이러한, 매칭 회로를 구성함에 있어 미소 조정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코일 값을 정확하게 조정해서 접속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세한 기판 패턴상에 복수개의 매칭소자를 도입할 경우에 연결부인 리드선에 의해 기생용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특성 측정을 위한 장치 제작시에 인쇄회로 기판 및 주변환경에 의해서 발생하는 기생용량을 제거할 수 있는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는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 컨넥터, 고주파 여파기의 신호 입력 핀이 인가되는 입력 핀 연결부, 상기 입력 컨넥터와 상기 입력 핀 연결부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1 저항과 제 1 인덕터, 상기 입력 핀 연결부과 접지 단자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 2 인덕터와 제 1 캐패시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컨넥터, 상기 고주파 여파기의 신호 출력 핀이 인가되는 출력 핀 연결부, 상기 출력 컨넥터와 상기 출력 핀 연결부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2 저항과 제 3 인덕터, 및 상기 출력 핀 연결부와 상기 접지단자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 4 인덕터와 제 2 캐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장치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종래의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의 평면도로서, 입력 및 출력 컨넥터들(10, 12), 인덕터들(L1, L2)(16, 18), 캐패시터들(C1, C2)(14, 20), 입력 및 출력 핀 연결부들(22, 24), 접지전압 연결부(26, 28), 및 저항(R1)으로 구성되어 있다. 30번으로 표시한 것은 쉴딩 접지(shielding ground)를 나타내는 것이다.
인덕터 및 캐패시터(L1, C1)은 신호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주파수 튜닝을 위해서 사용된다. 인덕터 및 캐패시터(L2, C2)는 신호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주파수 튜닝을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연결부(22)에는 고주파 여파기의 신호 입력 핀이, 연결부(24)에는 고주파 여파기의 신호 출력 핀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컨넥터(10)으로는 주파수 특성 측정을 위하여 본체(미도시)로 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한다. 컨넥터(12)는 고주파 여파기의 의해서 발생된 신호가 출력되어 본체로 입력된다. 본체는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이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원하는 출력이 얻어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장치는 튜닝을 위하여 인덕터 및 캐패시터의 값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미소한 조정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코일 값을 정확하게 접속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세한 기판상에 복수개의 매칭 소자를 도입할 경우에 연결부인 리드선에 의해서 기생용량이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의 평면도로서,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장치의 입력 컨넥터(10)와 코일(L1)과 캐패시터(C1)의 공통점사이에 인덕터(L3)와 저항(R1)을 직렬 연결하고, 출력 컨넥터(12)와 코일(L4)와 캐패시터(C2)의 공통점사이에 인덕터(L4)와 저항(R2)를 직렬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장치의 등가 회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력 단자(IN)는 입력 컨넥터(10)에 연결되고, 출력 단자(OUT)는 출력 컨넥터(12)에 연결되고, 입력단자(IN)와 입력 핀 연결부(22)사이에 인덕터(L2)와 저항(R1)을 직렬 연결하고, 출력 단자(OUT)와 출력 핀 연결부(24)사이에 인덕터(L2)와 저항(R2)를 직렬 연결하고, 입력 핀 연결부(22)와 접지 전압(30)사이에 병렬로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를 병렬 연결하고, 출력 핀 연결부(24)와 접지 전압(30)사이에 병렬로 인덕터(L2)와 캐패시터(C2)를 병렬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입력 및 출력 신호 라인에 인덕터와 저항을 직렬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덕터는 저항의 리드선을 감아서 인덕터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입력 및 출력 신호 라인에 연결된 저항과 인덕터와 이들과 병렬로 연결된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 및 인덕터(L2)와 캐패시터(C2)는 측정되는 고주파 여파기의 임피이던스 매칭을 위하여 사용된다. 즉, 미소 조정이 필요한 부분에 있어서는 캐패시터 및 인덕터 등을 정확하게 조정하여 접속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판 패턴상에 복수개의 매칭 소자를 도입할 경우에 연결부인 리드선에 의해 기생용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의 리드선을 감아서 코일로 이용하면 감은 횟수에 의해 간단하게 임피이던스 매칭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는 인쇄회로 기판 및 주변환경에서 발생하는 기생용량을 제거함으로써 주파수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저항과 저항의 리드선에 의해서 만든 인덕터를 입출력 신호 라인에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임피이던스 매칭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Claims (3)

  1.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 컨넥터;
    고주파 여파기의 신호 입력 핀이 인가되는 입력 핀 연결부;
    상기 입력 컨넥터와 상기 입력 핀 연결부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1 저항과 제 1 인덕터;
    상기 입력 핀 연결부과 접지 단자 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 2 인덕터와 제 1 캐패시터;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컨넥터;
    상기 고주파 여파기의 신호 출력 핀이 인가되는 출력 핀 연결부;
    상기 출력 컨넥터와 상기 출력 핀 연결부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2 저항과 제 3 인덕터; 및
    상기 출력 핀 연결부와 상기 접지단자 사이에 병렬 연결된 제 4 인덕터와 제 2 캐패시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덕터는 상기 제 1 저항의 리드선을 감아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인덕터는 상기 제 2 저항의 리드선을 감아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KR1019980000827A 1998-01-14 1998-01-14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KR100257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827A KR100257529B1 (ko) 1998-01-14 1998-01-14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827A KR100257529B1 (ko) 1998-01-14 1998-01-14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506A KR19990065506A (ko) 1999-08-05
KR100257529B1 true KR100257529B1 (ko) 2000-06-01

Family

ID=1953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827A KR100257529B1 (ko) 1998-01-14 1998-01-14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7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08B1 (ko) * 2002-02-18 2004-03-25 전자부품연구원 고주파 신호 전송선로의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408B1 (ko) * 2002-02-18 2004-03-25 전자부품연구원 고주파 신호 전송선로의 특성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506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755B1 (ko) 집적 회로 인터페이스용 필터 구조물
KR100757577B1 (ko) 고대역폭 수동 집적회로 시험기 탐침 카드 조립체
WO1999041812A1 (en) Ic socket
KR0145183B1 (ko) Lc 노이즈 필터
US6337571B2 (en) Ultra-high-frequency current probe in surface-mount form factor
EP0707354A1 (en) Antenna device
KR100257529B1 (ko) 고주파 여파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 장치
Pierquet et al. A fabrication method for integrated filter elements with inductance cancellation
US5850143A (en) Antenna system for a diagnostic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JPH11177274A (ja) プリント配線基板とケーブルおよび筐体との接続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6075713A (en) Laser trimmable electronic device
JP3568546B2 (ja) 半導体装置
JPH0897036A (ja) 電子回路基板
JPS6025873Y2 (ja) 多連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524666B2 (ko)
JPS645877Y2 (ko)
KR200162280Y1 (ko) 모듈 커패시터
JP3046803B2 (ja) 誘電体フィルタ
JPH04359532A (ja) 発振防止プローブカード
JPH10190392A (ja) 高周波フィルタ
KR960015676B1 (ko) 4단자형 노이즈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H03258004A (ja) Lc複合回路における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
KR20010092583A (ko) 표면탄성파 필터의 측정용 지그 구조
JPH0318110A (ja) ノイズフィルタの取付け構造
JPH0786802A (ja) 高周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