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7110B1 - Apparatus for horizontally moving turntable i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orizontally moving turntable i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57110B1 KR100257110B1 KR1019970058484A KR19970058484A KR100257110B1 KR 100257110 B1 KR100257110 B1 KR 100257110B1 KR 1019970058484 A KR1019970058484 A KR 1019970058484A KR 19970058484 A KR19970058484 A KR 19970058484A KR 100257110 B1 KR100257110 B1 KR 1002571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rntable
- lift
- pallet
- vehicle
- lif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 E04H6/28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 E04H6/287—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turntables, rotary elevators or the like on which the cars are not permanently parked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Elevator type Park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입출장의 하부에도 승강로와 주차실에 설치되는 상부 승입형 또는 중간 승입형 주차설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 횡행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는 중앙에 승강통로가 형성되고 이 승강통로의 좌우측에 복수층의 주차실이 구비된 타워형(Tower type) 구조로서, 상기 승강통로를 통해 리프트(Lift)가 승강하면서 상기 복수츠으이 주차실에 차량을 주차시키거나 상기 주차실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시키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an elevator parking lot is a tower type structure in which a lifting passag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are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passage, and the lift is lifted through the lifting passage. For example, the vehicle is parked in a parking space or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pace is shipped.
이러한 통상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는 승강속도의 향상 및 소요동력의 절감을 ㅜ이해 리프트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장치 자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이 설계시의 중요한 요건이다.In such a conventional elevator parking lot,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weight of the lift and to reduce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by the device itself by improving the lifting speed and reducing the power required.
종래 이러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일례로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92-18228호로 알려진 "팰리트 횡행/승강식 주차장치"가 있다.An example of such an elevator type parking lot value is a "pallet transverse / elevating parking lot value" known as Korean Utility Model No. 92-18228.
이 주차장치에서는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프로킷에 감겨진 체인의 일단에 리프트가 고정되고 이 체인의 타단에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가 고정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주행하는 체인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리프트와 밸런스 웨이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되어 있으며, 각 주차실의 각층에는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주차 팰리트(Pallet)를 지지하는 팰리트 지지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In this parking lot, the lift is fixed to one end of the chain wound on the sprocket driven by the drive motor, and the balance weight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hain and fixed to both ends of the chain driven by the drive motor. The lift and the balance weight are lift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each pallet of each parking space is provided with a pallet support for supporting a parking pallet for loading a vehicle.
이러한 주차장치에서 차량을 입고시키는 경우에는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빈리프트를 입고 지정층의 팰리트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리프트에 설치된 팰리트 횡행(橫行)수단에 의하여 팰리트를 리프트의 상부로 이동시킨 다음 리프트를 승입출장(乘入出場)으로 하강시켜 리프트위에 얹혀진 팰리트위에 차량을 탑재하고, 다시 리프트를 지정층으로 이동시켜 차량이 탑재된 팰리트를 팰리트 지지대에 얹혀지게 한 후, 리프트를 다시 승입, 출장으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차량 1대의 주차가 완료된다.When the vehicle is put in the parking lot, the empty motor is put on by the driving motor and the pallet is moved to a lower position than the pallet on the designated floor, and the pallet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 by the pallet traversing means installed on the lift. After the lift is lowered to the entrance and exit, the vehicle is mounted on the pallet placed on the lift, and the lift is moved to the designated floor again so that the pallet on which the vehicle is mounted is placed on the pallet support. The parking of one vehicle is completed by entering and descending to a business trip again.
상술한 바와 같이 입고된 차량을 출고시키는 경우에는 빈 리프트를 지정층의 팰리트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횡행수단에 의하여 차량이 탑재된 팰리트를 리프트위로 이동시킨 다음 리프트를 하강시키며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탑승하여 승출(乘출出)하고 나면, 다시 리프트를 지정층으로 이동시켜 팰리트를 횡행수단에 의하여 팰리트 지지대위에 얹혀놓고 리프트를 승입출장으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차량 1대의 출고가 완료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leaving the car as described above, the empty lift is moved to a lower position than the pallet on the designated floor, the pallet loaded with the vehicle is moved on the lift by the transverse means, and the driver is lowered. After the boarding and exiting, the vehicle is finished by moving the lift to the designated floor, placing the pallet on the pallet supporter by the transverse means, and lowering the lift to the loading gate. .
또, 종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다른 예로서는 대한믹국 공개특허 94-7326호로 알려진 "팰리트 횡행/승강 및 리프트 승강식 주차장치"가 있다.In addition,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parking lot value is a "pallet transverse / lift and lift elevated parking lot value" known as Korea Publication No. 94-7326.
이 주차장치는 상기한 주차장치의 리프트에 회전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입고 및 출고시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arking lot is provided with a rotary support on the lift of the above parking lot so a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receipt and release of the vehicle.
또 종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의 또 다른 예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1-8092호로 알려진 "팰리트 횡행/리프트 승강식 주차장치"가 있다.In addition, another example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parking lot value is a "pallet transverse / lift type parking lot value" known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1-8092.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차설비에서는 승강로와 주차실이 승입출장의 상방에만 형성되는 하부 승입형 주차설비들로서 승입출장의 하방에도 승강로와 주차실이 형성되는 상부 승입형 또는 중간 승입형 주차설비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arking facilities, the lower entry type parking facilities in which the hoistway and the parking compartment are formed only above the entrance hall are applicable to the upper entrance type or intermediate entrance type parking facility in which the elevated roadway and the parking compartment are formed even below the entrance hall. It was not.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승입출장의 하부에도 승강로와 주차실이 설치되는 상부 승입형 또는 중간 승입형 주차설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 횡행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rntable traversing device for an elevator type parking facility, which can be applied to an upper riding type or an intermediate riding type parking facility, in which a hoistway and a parking room are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the entrance.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턴테이블 횡행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n elevator-type parking facility to which the turntable traver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턴테이블 횡행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리프트와 팰리트를 포함하여 보인 평면도.Figure 2 is a plan view including a lift and a pallet of an elevator parking system to which the turntable traver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턴테이블 횡행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팰리트와 턴테이블을 포함하여 보인 평면도.3 is a plan view including a pallet and a turntable of an elevator parking facility to which a turntable traver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턴테이블 횡행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부분 사시도.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parking facility to which the turntable traver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턴테이블 횡행장치를 보인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turntable traver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제5도의 A-A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메인프레임 200 : 리프트100: mainframe 200: lift
210 : 전방 리프트 220 : 후방 리프트210: front lift 220: rear lift
300 : 팰리트 400 : 턴테이블300: pallet 400: turntable
410 : 턴테이블베이스 420 : 회전체410: turntable base 420: rotating body
450 : 턴테이블횡행안내레일 460 : 턴테이블횡행안내롤러450: turntable traverse guide rail 460: turntable traverse guide roller
470 : 턴테이블횡행구동모터 480 : 턴테이블횡행구동체인470: turntable transverse drive motor 480: turntable transverse drive chain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승강로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와, 승강로의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층의 주차실에 횡행가능하게 지지되는 팰리트 및 승입출장에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승입출장의 바닥 높이에 설치되는 턴테이블횡행안내레일과, 상기 턴테이블에 굴대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횡행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턴테이블횡행안내롤러를 가지는 턴테이블횡행안내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을 횡행구동시키는 턴테이블횡행구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 횡행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 is installed in the hoistway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frame, and the pallets and entrances that are supported transversely in a plurality of floors parking spac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istway. An elevator parking apparatus having a turntable for changing a direction of a vehicle, comprising: a turntable traversing guide rail installed at a floor height of the entrance and exit, and a turntable traversal guided along the turntable traversing rail provided with a mandrel on the turntable. A turntable traversing apparatus for an elevator parking facility is provided, comprising a turntable traverse guide means having a guide roller and a turntable transverse drive means for transversely driving the turntabl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장치 및 그 주차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evator parking lot value and the par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턴테이블 횡행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방식 주차설비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장치의 외곽을 형성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승강로(T)가 형성되고 이 승강로(T)의 좌우 양측에 복수층의 주차실(P)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승강로(T)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200)와, 상기 주차실(P)의 각 층에 설치되어 차량을 적재하는 팰리트(300)와, 상기 리프트를 승강구동시키는 리프트승강구동수단과, 상기 리프트(200)에 설치되어 상기 팰리트(300)를 주차실(P)과 승강로(T)측으로 횡행시키는 팰리트 횡행수단 및, 상기 승강로(T)의 최하단에 설치되는 턴테이블(400)로 구성된다.1 to 3 show an elevator parking facility to which the turntable traver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1, an elevator T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n outside of the parking lot is formed. Each of the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H빔 등의 형강으로 된 4개의 주기둥(110)과 이 주기둥(110) 사이사이에 설치되어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조기둥(도시되지 않음) 및 주기둥(110)들과 보조기둥들을 연결하는 횡간(120)들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상기 본 발명의 장치가 독립된 타워형으로 설치될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을 외장판(130)에 의하여 씌우며, 건물내에 설치될 경우에는 외장판 없이 메인프레임(100)을 건물 내에 설치한다.Whe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independent tower type,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외장판(13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전면에 차량이 승입, 승출되는 승입출구(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이 승입출구에는 도어(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며, 외장판(130)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건물 자체에 승입출구가 설치되며, 이에 도어가 설치된다.When the
상기 승강로(T)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승입출장의 상층과 하층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hoistway T is provided over the upper and lower floors of the entrance and exit hall located at the top of the
상기 승입출구 바닥에는 소정 깊이의 피트(140)가 형성된다. 이 피트(140)는 턴테이블(400)이 위치함과 아울러 리프트(200)가 턴테이블(400)보다 하부에 위치할 경우 그 작동공간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차실(P)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횡간(12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팰리트지지간(150)에 의하여 각 층별로 구획된다.The parking space (P) is partitioned for each floor by a pallet support interval (150)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transverse (120) of the main frame (100).
상기 리프트(200)는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입출구측인 전방 리프트(210)과 그 반대측인 후방 리프트(2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상기 각 리프트(210)(220)는 상기 리프트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트 프레임(211)(221)과, 이 리프트프레임(211)(221)에 고정되어 승강로(T)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간(212)(222)과, 이 지지간(212)(222)에 고정되어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리프트포크(230)(240)로 구성된다.The
상기 전후방측 리프트(210)(220)의 리프트포크(230)(240)에는 차량의 전륜(前輪) 또는 후륜(後輪)이 안착되는 것으로, 차량이 전면 승입상태로 탑재되는 경우에는 전방 리프트(210)의 리프트포크(230)에는 차량의 전륜이 안착되고 후방측 리프트(220)의 리프트포크(240)에는 차량의 후륜이 안착되며, 차량이 후면 승입상태로 탑재되는 경우에는 전방 리프트(210)의 리프트포크(230)에는 차량의 후륜이 안착되고 후방측 리프트(220)의 리프트포크(240)에는 차량의 전륜이 안착되는 것이다.The front wheels or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are seated on the
상기 리프트프레임(211)(221)과 지지간(212)(222)은 연결간(213)(223)에 의하여 연결고정되며, 상기 지지간(212)(222)의 좌우방향 폭은 승강로(T)의 좌우방향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간(213)(223)의 좌우방향 폭은 상기 지지간(212)(222)의 좌우방향 폭보자 좁게 형성된다.The
상기 지지간(212)(222)은 틀재와 철판 등에 의하여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틀재만을 사용하여 골격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리프트포크(230)(240)들은 상기 지지간(212)(222)들을 횡으로 가로질려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간(212)(222)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그 연장부에 차량(V)의 차륜(W)이 얹혀지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전,후측 리프트(210)(220)의 지지간(212)(222)들은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단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후술하는 팰리트(300)의 연결간(312)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간(213)(223)들은 후술하는 팰리트(300)의 횡행안내롤러지지대(31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좁게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상기 리프트(210)(220)들은 리프트승강안내수단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안내됨과 아울러 리프트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것이다.The
상기 리프트승강안내수단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프레임(211)(221)에 굴대설치는 승강안내롤러(250)(260)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승강안내롤러(250)(260)을 안내하는 다수개(도면에서는 4개)의 리프트승강안내레일(27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lift elevating guide means is provided with a mandrel installed on the
상기 승강안내롤러(250)(260)들은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프레임(211)(221)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승강안내롤러지지대(253)(263)에 굴대설치된다.The lifting
에 설치되는 승강구동모터(280)에 의하여 주행되는 복수 가닥의 로프(R)(예컨대 8가닥)의 일단을 밸런스웨이트(B)에 고정함과 아울러 각 2가닥의 로프(R)의 타단을 리프트(210)(220)의 리프트프레임(211)(221)에 고정하는 것이다.While fixing one end of the plurality of strands of rope (R) (for example, eight strands) driven by the elevating
상기 승강구동모터(280)에는 로프(R)들을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시브(28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로프(R)들은 안내시브(282)(283)(284)들을 통하여 그 방향을 전환되어 각각 리프트(210)(220)와 밸런스 웨이트(B)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The lifting
상기 각 주차실의 팰리트(300)들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주기둥(110)과 보조기둥들 사이에 횡으로 설치되는 전후 한쌍의 팰리트지지간(150)(제1도)에 승강로(T)와 주차실(P)사이에서 횡행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팰리트프레임(310)과, 이 팰리트프레임(310)에 고정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프트(200)의 리프트포크(230)(240)들과 교호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팰리트포크(320)로 구성된다.
상기 팰리트프레임(310)은 좌우 한쌍의 지지간(311)과 이 지지간(311)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간(312)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지지간(311)은 그 좌우방향 내측 폭이 상기 리프트(200)의 리프트포크(230)(240)의 양단 사이의 폭보다 넓게 배치되어 이 지지간(311)사이로 상기 리프트(210)(220)가 상하로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간(312)은 그 전후방향 폭이 상기 리프트(210)(220)의 양측 지지간(212)(222)의 끝단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리프트(210)(220)와 팰리트(300)가 상하로 교차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supporting
또한 상기 리프트(200)의 리프트포크(230)(240)와 팰리트(300)의 팰리트포크(320)들도 리프트(200)와 팰리트(300)가 상하로 교차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팰리트횡행안내수단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측 주차실(P)의 상기 팰리트지지간(15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횡행안내레일(330)과, 상기 팰리트프레임(310)에 굴대설치되어 상기 횡행안내레일(330)에 구름접촉되는 횡행안내롤러(340)로 구성된다.The pallet transverse guide means is a pair of left and right
상기 좌우 한쌍의 횡행안내레일(330)은 그 내측단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이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리프트(210,220)의 연결간(213,223)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pair of left and right
상기 횡행안내롤러(340)는 상기 팰리트프레임(310)의 양단에서 직각의 이루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연장된 횡행안내롤러지지간(311)에 굴대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양측 횡행안내롤러지지간(311)은 그 끝단 사이의 간격이 상기 리프트(210,220)의 연결간(313,323)의 좌우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리프트(210,220)와 팰리트(300)가 상하로 교차할 때 상기 팰리트(300)의 횡행안내롤러지지간(311)과 리프트(210,220)의 연결간(213,223)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횡행안내롤러(340)는 각 횡행롤러지지간(311)마다 각각 2개씩 팰리트(300) 전체에 전후 각 4개식 설치되며, 각 롤러간의 간격(축간거리)은 상기 양측 횡행안내레일(330)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팰리트(300)의 횡행 이동시 팰리트(300)가 일측 횡행안내레일에서 타측 횡행안내레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2개 이상의 횡행안내롤러(340)가 동시에 상기 횡행안내레일(330)사이의 간격내에 위치하지 않고 항상 적어도 3개의 횡행안내롤러(340)는 양측 횡행안내레일(330)중 어느 한쪽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어 팰리트(300)가 항상 평행을 이루면서 안정되게 횡행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팰리트횡행구동수단은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210,220)의 리프트프레임(211,221)에 설치되어 횡행이동되는 걸고리부재(352,362)와, 상기 팰리트(300)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부재(352,362)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부재(370)으로 구성된다.The pallet transverse driving means is provided on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installed on the lift frames 211 and 221 of the
상기 걸고리부재(352,362)는 리프트프레임(211,221)에 굴대설치되어 팰리트 횡행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볼스크류(도시되지 않음)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박스(도시되지 않음)에 고정결합되어 볼스크류와 너트박스의 작용으로 횡행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그 상하단에는 상,하측 걸고리(353a, 353b),(363a,363b)가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서 걸고리(353b,363b)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걸고리(353a,363a)와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hook members 352 and 362 are mounted on the lift frames 211 and 221 to a nut box (not shown) which is screwed onto a ball screw (not shown) which is reversely rotated by a pallet transverse driving motor (not shown). It is fixedly coupled to move horizontally by the action of the ball screw and the nut box, and the upper and lower hooks 353a and 353b and 363a and 363b ar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In the drawing, hooks 353b and 363b are not shown but may be understood because they ar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hooks 353a and 363a.
상기 상,하측 걸고리(353,363)은 상하단과 내측이 개방된 대략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370)는 팰리트프레임(310)의 내측 전후단부에 굴대설치되는 롤러로 구성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hooks 353 and 363 are formed in a roughly “c” 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the inner side are opened, and the locking
상기 턴테이블(400)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승입출장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트(140)상부에 위치하는 턴테이블 베이스(410)와,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4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420) 및, 상기 회전체(420)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회전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상기 턴테이블베이스(410)는 외곽간(411)과 이들 외곽간(411)의 중간부를 연결하며 상기 회전체(4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간(412)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회전체(420)는 상기 팰리트(3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리프트(210)(220)과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즉, 상기 회전체(420)는 승입출장의 바닥면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회전프레임(421)과, 상기 회전프레임(421)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연결간(422)과, 상기 회전프레임(422)의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고 안쪽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턴테이블포크(423)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421)의 내측폭은 상기 리프트(210)(220)의 리프트포크(230)(240)의 양단간의 길이보다 넓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턴테이블포크(423)는 상기 리프트포크(230)(240)와 교호로 배치되어 리프트(210)(220)와 턴테이블(400)이 상하로 교차할 때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턴테이블포크(423)들중 연결간(422)측에 근접한 내측포크(423a)들(도면에서는 전후 각 3개)은 연결간(422)에서 먼쪽에 위치하는 외측포크(423b)들(도면에서는 전후 각 3개)에 비하여 넓은 평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mong the
이와 같이 내측포크(423a)와 외측포크(423b)의 평면 넓이를 달리하는 것은 리프트(210)(220)가 턴테이블(400)의 위치로 하강하여 리프트포크(230)(240)의 턴테이블포크(423)들이 교호로 끼워진 상태에서 승입출구측의 내,외측포크(423a)(423b)는 전방 리프트(210)의 리프트포크(230)와 모두 교호로 끼워진 상태로 되지만 승입출구의 반대측(내측)에서는 외측포크(423b)만 후방 리프트(220)의 리프트포크(240)와 교호로 끼워진 상태로 되고 내측포크(423a)는 후방 리프트(220)의 리프트포크(240)와는 교호로 끼워지지 않게 되는 바, 내측포크(423a)의 평면 넓이를 외측포크(423b)와 같이 좁게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내측포크(423a)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되어 그 위에서 차량이 승입,승출할 때 충격이 심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s such, the plane widths of the
즉, 리프트(210)(220)이 턴테이블(400)의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서 턴테이블(400)의 내측포크(423a)중 어느 한쪽(후방측에 위치하는 쪽)의 내측포크는 후방 리프트(220)의 리프트포크(240)와 교호로 끼워지지 않은 상태로 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포크(423a)의 평면 넓이를 넓게 함으로써 리프트포크(230)(240)가 교호로 끼워지지 않은 내측포크(423a)상에서 차량이 승입, 승출하더라도 충격이 발생됨이 없이 안정된 상태로 승입, 승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상기 턴테이블(400)의 턴테이블베이스(410)의 전후방에는 상기 회전체(420)의 전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피트(140)의 상단인 승입출장의 평면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피트(140)의 상면을 막아 피트(140)로의 추락을 방지함과 아울러 승입출시 차량의 주행면을 제공하는 데크패널(Deck Pannel)(430)이 고정설치된다.Located in front and rear of the
상기 턴테이블회전구동수단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410)에 고정설치되는 턴테이블 회전구동모터(440)와, 상기 회전체(420)의 연결간(422)의 저면 중앙에 고정된 링기어(441)와, 상기 턴테이블 회전구동모터(44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링기어(441)에 맞물리는 피니언(442)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turntable rotation driving means includes a turntable
상기 링기어(440)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베이스(410)의 중앙부에 고정설치된 지지축(443)에 지지되며, 이 지지축(443)의 외주면과 상기 링기어(440)의 내주면 사이에는 베어링(444)이 설치되어 링기어(442)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443)은 그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원통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모터(440)에 감속기가 일체로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피니언(442)을 도시예와 같이 턴테이블 회전구동모터(440)의 회전축에 직결하여도 무방하나 회전구동모터(440)에 감속기가 일체로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전동기구를 통하여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 7, the
상기 턴테이블(400)은 승입출장의 하층 주차실(P)에 대한 입,출고시 리프트(200) 및 차량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텐테이블횡행수단에 의하여 승강로(T)의 위치와 이를 벗어난 위치(상층 주차실의 하단부에 상당하는 위치)사이에서 횡행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The
상기 턴테이블횡행수단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상기 승입 출장의 바닥 높이에 설치되는 턴테이블횡행안내레일(450)과, 상기 턴테이블 베이스(410)에 굴대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횡행안내레일(450)을 따라 안내되는 턴테이블 횡행안내롤러(460)를 가지는 턴테이블횡행안내수단과, 상기 턴테이블(400)을 횡행구동시키는 턴테이블횡행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turntable traversing means is provided with a turntable traversing
상기 턴테이블횡행안내수단의 턴테이블횡행안내레일(45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횡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채널형강을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설치하여 그 내측 저면에 상기 턴테이블횡행안내롤러(460)가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The turntable
상기 턴테이블횡행안내롤러(460)는 상기 턴테이블베이스(410)의 전후단부에 굴대설치된다. 상기 턴테이블횡행안내롤러(460)는 외곽간(411)의 전후단부에 고정결합된 롤러지지간(461)에 굴대설치된다.The turntable
상기 턴테이블횡행구동수단은 승입출장측에서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되는 턴테이블지지프레임(160)에 장착되는 정역구동형 턴테이블횡행구동모터(470)와, 상기 턴테이블베이스(410)에 일부가 고정되어 상기 턴테이블횡행구동모터(470)의 동력에 의하여 엔드레스형으로 주행하는 턴테이블횡행구동체인(480)으로 구성된다.The turntable transverse drive means is a forward and reverse type turntable
상기 턴테이블횡행구동모터(470)의 축에는 구동스프로킷(471)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횡행구동체인(480)은 상기 턴테이블지지프레임(160)에 굴대설치되는 한쌍의 회전축(481)(482)의 양단에 고정되는 아이들스프로킷(483)(484)에 감겨지며, 상기 일측 회전축(481)에는 상기 구동스프로킷(471)에 전동체인(473)으로 연결되는 전동스프로킷(472)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횡행구동모터(470)의 동력이 구동스프로킷(471)과 전동체인(473) 및 전동스프로킷(472)을 통하여 일측 회전축(481)에 전달되고 이 회전축(481)의 회전력이 상기 아이들스프로킷(483)(484)사이에 연결된 턴테이블횡행구동체인(48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A
상기 턴테이블베이스(410)의 일측 외곽간(411)과 상기 턴테이블횡행구동체인(480)은 연결편(485)에 의하여 연결된다.One outer edge 411 of the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턴테이블 횡행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urntable traverse device of the elevator p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턴테이블 횡행장치의 작동을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방식 주차설비의 입고 및 출고과정과 함께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turntable traver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leaving the elevator parking facilit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먼저, 입,출고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반복되는 리프트의 승강동작과 승강안내동작, 팰리트의 횡행동작, 및 턴테이블의 회전동작을 설명한다.First, in describing the entry and exit process, the repeated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pallet,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turntable will be described.
리프트의 승강동작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기계식(M)에 설치된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의 승강구동모터(280)가 가동되면 승강구동모터(280)의 동력이 감속기를 거쳐 구동시브(281)에 전달되어 리프트(210,220)와 밸런스 웨이트(B)가 연결된 로프(R)들이 안내시브(282,283,284)들의 안내를 받으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때 승강구동모터(280)의 구동방향이 정방향, 즉 로프(R)가 리프트(210,220)를 끌어올리는 방향으로 구동되면 리프트(210,220)는 상승하게 되고 밸런스 웨이트(B)는 하강하게 되며, 반대로 승강구동모터(280)의 구동방향이 역방향, 즉 로프(R)가 밸런스 웨이트(B)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구동되면 리프트(210,220)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elevating
리프트승강안내동작Lift Lift Guide Motion
이와 같은 리프트(200)의 승강작동에 있어서는 전후측 리프트(210,220)는 각각 리프트프레임(211,221)에 설치된 승강안내롤러(250,260)들이 승강안내레일(270)을 따라 안내된다.In the lifting operation of such a
팰리트의 횡행동작Transverse motion of the pallet
팰리트횡행수단의 횡행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과 볼스크류 및 너트박스(도시되지 않음)등에 의하여 걸고리부재(352,362)가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걸고리부재(352,362)의 횡행이동에 의하여 그 상하측 걸고리(357a,357b,367a,367b)에 걸림부재(370)이 걸려 있는 팰리트(300)가 횡행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 hook members 352 and 362 ar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transverse driving motor (not shown) and the ball screw and nut box (not shown) of the pallet traversing means, and by the transverse movement of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The
또한 리프트(210,220)가 팰리트(300)의 위치를 통과할 경우 걸고리(357a,357b,337a,367b)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과 상하단이 개방된 대략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부재(370)와 걸고리(357a,357b,367a,367b)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는 하측 걸고리(357b,267b)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리게 되고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는 상측 걸고리(357a,367a)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리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걸고리부재(352,362)의 상측 걸고리(357a,367a) 또는 하측 걸고리(357b,367b)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린 상태에서 걸고리부재(352,362)가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당해 걸림부재(370)가 결합된 팰리트(300)는 주차실(P)과 승강로(T)사이에서 횡행이동하게 된다.As such,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upper hooks 357a and 367a or the lower hooks 357b and 367b of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are caught by the locking
팰리트의 횡행안내동작Pallet movement
이때 팰리트프레임(310)에 설치된 횡행안내롤러(340)가 팰리트지지간(150)에 설치된 횡행안내레일(330)에 의하여 안내되므로 팰리트(300)의 횡행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상기 횡행안내롤러(340)는 각 팰리프프레임(310)의 전후방에 각각 4개씩 설치되며 그 사이의 간격은 상기 양측 횡행안내레일(330)의 내측단부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팰리트(300)가 횡행이동할 때 1개 이상의 횡행안내롤러(340)가 양측 횡행안내레일(330)의 내측단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지 않고 항상 적어도 3개 이상의 횡행안내롤러(340)가 횡행안내레일(330)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팰리트(300)의 횡행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Four
텐테이블의 회전동작Tentable Rotation
차량이 턴테이블(400)의 턴테이블포크(423)상에만 얹혀진 상태에서 턴테이블 회전구동모터(440)가 회전하면 회전구동모터(440)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442)이 회전하게 되고 턴테이블 베이스(410)에 고정된 지지축(443)에 지지됨과 아울러 회전체(42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피니언(442)에 맞물린 링기어(441)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420)가 회전하게 되어 턴테이블(400)의 회전체(420)의 전후방향을 바뀌게 되어 턴테이블(400)의 회전체(420)상에 탑재된 차량의 전후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turntable
이때 상기 회전체(420)는 턴테이블베이스(410)에 고정된 지지축(443)에 베어링(444)으로 지지된 링기어(441)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종래 롤러 구름 지지방식에 비하여 소음이나 유동없이 안정된 상태로 회전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상층입고동작Upper Level Operation
승입출장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층 주차실(P)에 차량을 입고함에 있어서는, 차량이 승입하기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리프트(210,220)를 하강시켜 리프트포크(230,240)와 턴테이블포크(423)가 승입출장의 지면과 대략 일치하는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교호로 배치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한다.When the vehicle is put into the upper parking space P located above the entrance hall, the
이와 아울러 상술한 승강바닥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승강바닥(500)을 턴테이블(40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위치시킨다.In addition, the elevating floor 500 is position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이 상태에서 승입출구를 통해 승입하는 차량은 상기 전방측 데크패널(430)을 거쳐 리프트포크(230,240)와 턴테이블포크(423)상을 주행하여 정위치에서 정지하여 차량의 승입이 완료된다.In this state, the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exits the
이때 상기 전방 리프트(210)의 리프트포크(230)는 턴테이블포크(423)의 내,외측포크(423a,423b) 모두에 대하여 교호로 끼워지게 되지만, 후방 리프트(220)의 리프트포크(240)는 턴테이블포크(423)중 외측포크(423b)에만 교호로 끼워지고 내측포크(423a)에 대하여는 교호로 끼워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턴테이블포크(423)중 외측포크(423b)는 평면 넓이가 좁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 사이에 리프트포크(230,240)가 교호로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결국 포크들 사이의 틈새가 미세하게 되어 차량이 주행할 때 충격없이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게 되며, 턴테이블 포크(423)중 내측포크(423a)는 그 사이에 리프트포크(230,240)가 교호로 끼워지지 않지만 그 평면 넓이가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주행할 때 충격없이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리프트(210,220)가 턴테이블(400)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리프트포크(230,240)와 턴테이블포크(423)상에서 주행하는 경우 충격없이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정위치에 정지한 차량은 그 차륜이 턴테이블포크(423)중 외측포크(423b)와 리프트포크(230,240)상에 위치하게 되어 추후 리프트(210,220)가 상승할 때 리프트포크(230,240)에 얹혀진 상태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In the vehicle stopped in the right position, the wheel is positioned on the
한편, 승입한 차량의 방향은 전방이 후방 리프트(220)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승입되는 것이 통례이며 이와 같은 상태로 주차후 출고시에는 차량의 후방이 승입출구를 향하게 되므로 승출이 번거롭게 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턴테이블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방향을 출고시 차량의 전방이 승입출구를 향하도록하여 승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entered is customary in the direction that the front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즉, 추후 출고시 차량의 전방이 승입출구를 향하도록 하여 승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리프트(210,220)와 턴테이블(400) 위에 차량이 승입한 상태에서 리프트(210,220)를 턴테이블(400)의 회전체(420)보다 낮은 위치로 약간 하강시켜 차량이 턴테이블(400)의 회전체(420)에만 얹혀진 상태로 한 후 턴테이블회전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체(4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켜 차량의 전방이 전방 리프트(210)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facilitate the ride, the front of the vehicle toward the entrance and exit at the time of later shipment, the
이와 같이 승입 및 운전자의 하차가 완료되면, 상술한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리프트(210,220)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리프트포크(230,240)는 턴테이블포크(423)중 외측포크(423b)를 벗어나서 상승하게 되고, 차량은 리프트포크(230,240)에만 얹혀진 상태에서 지정층까지 상승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entrance and the unloading of the driver are completed, the
이와 같이 리프트(210,22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팰리트횡행수단의 리프트(210,220)측에 설치된 걸고리부재(352,362)가 팰리트(300)측에 설치된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way, as the
즉, 팰리트횡행수단의 걸고리부재(352,362)는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비로서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지정층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팰리트횡행수단의 추가적인 작동없이 걸고리부재(352,362)의 하측걸고리(357b,367b)가 팰리트(300)측의 걸림부재(370)에 걸리게 된다.That is,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of the pallet transverse means do not move to a position where they can be caught by the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메인프레임(100)과 리프트(200)에 설치된 위치감지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그 위치를 감지하여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의 작동을 중지시켜 리프트(210,220)가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이 팰리트횡행수단의 걸고리부재(352,362)를 지정층으로의 이동 도중에 미리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추가 작동에 의하여 걸고리부재(352,362)를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추가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작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차량을 탑재한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정지되면, 팰리트횡행수단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걸고리부재(352,362)가 승강로(T)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고리부재(352,362)의 하측 걸고리(353b,363b)는 이에 걸려있는 지정층의 팰리트(300)측 걸림부재(370)를 승강로(T)측으로 당기게 되고, 당해 팰리트(300)는 승강로(T)측으로 이동하여 리프트(210,220)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을 작동시켜 리프트(210,220)를 팰리트(300)보다 하방으로 하강시키면 리프트(210,220)에 탑재되어 있던 차량은 팰리트(300)에만 얹혀진 상태로 된다.In this state, by operating the lift elevating drive means to lower the lift (210,220) lower than the
리프트(210,220)를 팰리트(300)보다 하방으로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리프트포크(230,240)와 팰리트포크(320)는 서로 교호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이때 리프트(210,220)는 걸고리부재(352,362)의 상측 걸고리(353a,363a)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리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정지시킨다.In this case, the
다음 팰리트횡행수단을 구동하여 걸고리부재(352,362)를 주차실측으로 작동시키면 이 걸고리부재(352,362)의 상측 걸고리(353a,363a)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를 주차실(P)측으로 밀게 되므로 당해 팰리트(300)는 차량이 탑재된 상태로 횡행이동하여 다시 주차실(P)로 복귀하게 된다.Next, when the pallet hooking means is driven to operate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toward the parking compartment side, the upper hooks 353a and 363a of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move the
이후,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을 작동시켜 리프트(210,220)를 승입출장으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차량 1대의 상층 입고가 완료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upper floor wearing of one vehicle is completed by lowering the
상층출고동작Upper floor shipping operation
다음, 승입출장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층 주차실(P)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시에는 리프트승강구동수단에 의하여 리프트(210,220)를 지정층으로 상승시킨다.Next, when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upper floor parking room P located above the entrance and departure hall, the
이와 아울러 상술한 승강바닥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바닥(500)을 턴테이블(40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유지시킨다.In addition, the elevating floor 500 is maintai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리프트(210,220)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팰리트횡행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걸고리부재(352,362)를 주차실(P)측으로 이동시키면 리프트(210,220)가 지정층 팰리트(300)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걸고리부재(352,362)의 상측 걸고리(353a,363a)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리게 된다.If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are moved to the parking space P side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pallet traversing means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이 상태에서 리프트(210,220)를 정지시키고 팰리트횡행수단을 가동시켜 걸고리부재(352,362)를 승강로(T)측으로 이동시키면 걸고리부재(352,362)의 상측 걸고리(353a,363a)에 걸림부재(370)가 걸려 있는 팰리트(300)는 리프트(210,2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state, by stopping the
리프트(210,220)를 다시 상승시켜 리프트(210,220)가 팰리트(300)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면 차량은 리프트(210,220)에만 얹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아울러 리프트(210,220)가 상승함에 따라 걸고리부재(352,362)의 하측 걸고리(353b,363b)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팰리트횡행수단을 주차실(P)측으로 작동시키면 걸고리부재(352,362)의 하측 걸고리(353b,363b)에 걸림부재(370)가 걸려있는 팰리트(300)는 주차실(P)로 복귀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pallet traversing means is operated toward the parking space P, the
이후, 차량이 탑재된 리프트(210,220)를 승입출장으로 하강시켜 차량이 최초입고시와 마찬가지로 리프트포크(230,240)와 턴테이블포크(423)에 얹혀진 상태로 유지시킨다.Thereafter, the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턴테이블(40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강되어 있는 승강바닥(500)을 딛고 차량에 승차하여 승입출구로 빠져나가는 것에 의하여 차량 1대의 출고가 완료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driver leaves the vehicle on the elevating floor 500 which is lowered to the same height as the
이때, 입고시 차량의 전방이 승입출구의 반대측을 향하는 상태로 주차되었던 차량을 출고함에 있어서는 차량의 전방측이 후방 리프트(220)에 얹혀진 상태로 하강하여 전방측이 승입출구의 반대측을 향하는 상태로 리프트(210,220)와 턴테이블(400)상에 얹혀진 차량을 출고하는 경우 리프트(210,220)를 턴테이블(400)의 회전체(420)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시켜 차량의 차륜이 턴테이블포크(423)상에만 얹혀지게 한 상태에서 턴테이블회전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체(420)를 회전시켜 차량의 전방이 승입출구를 향하도록 전환시킴으로써 승출을 편리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is parked with the front of the vehicle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at the time of receip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is lowered on the
하층입고동작Lower floor
승입출장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하층 주차실(P)에 차량을 입고함에 있어서는, 차량이 승입하기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리프트(210,220)를 승입출장측에 위치시켜 리프트포크(230,240)와 턴테이블포크(423)가 승입출장의 지면과 대략 일치하는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교호로 배치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한다.When the vehicle is put into the lower-floor parking space P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entrance hall, the
이와 아울러 상술한 승강바닥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바닥(500)을 턴테이블(40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유지시킨다.In addition, the elevating floor 500 is maintai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이 상태에서 승입출구를 통해 승입하는 차량은 상기 전방측 데크패널(430)을 거쳐 리프트포크(230,240)와 턴테이블포크(423)상을 주행하여 정위치에서 정지하여 차량의 승입이 완료된다.In this state, the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exits the
이때 상기 전방 리프트(210)의 리프트포크(230)는 턴테이블포크(423)의 내,외측포크(423a,423b) 모두에 대하여 교호로 끼워지게 되지만, 후방 리프트(220)의 리프트포크(240)는 턴테이블포크(423)중 외측포크(423b)에만 교호로 끼워지고 내측포크(423a)에 대하여는 교호로 끼워지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턴테이블포크(423)중 외측포크(423b)는 평면 넓이가 좁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 사이에 리프트포크(230,240)가 교호로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결국 포크들 사이의 틈새가 미세하게 되어 차량이 주행할 때 충격없이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게 되며, 턴테이블포크(423)중 내측포크(423a)는 그 사이에 리프트포크(230,240)가 교호로 끼워지지 않지만 그 평면 넓이가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주행할 때 충격없이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리프트(210,220)가 턴테이블(400)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리프트포크(230,240)와 턴테이블포크(423)상에서 주행하는 경우 충격없이 안정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정위치에 정지한 차량은 그 차륜이 턴테이블포크(423)중 외측포크(423b)와 리프트포크(230,240)상에 위치하게 된다.In the vehicle stopped in the correct position, the wheel is positioned on the
이때, 상기 승강바닥(500)이 턴테이블(40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강시킨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승입이 완료된 후 차량에서 하차한 운전자가 승강바닥(500)을 딛고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levating floor 500 is maintai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한편, 승입한 차량의 방향은 전방이 후방 리프트(220)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승입되는 것이 통례이며 이와 같은 상태로 주차후 출고시에는 차량의 후방이 승입출구를 향하게 되므로 승출이 번거롭게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to be entered is conventionally entered in the direction that is located in the
따라서 추후 출고시 차량의 전방이 승입출구를 향하도록 하여 승출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리프트(210,220)와 턴테이블(400) 위에 차량이 승입한 상태에서 리프트(210,220)를 턴테이블(400)의 회전체(420)보다 낮은 위치로 약간 하강시켜 차량이 턴테이블(400)의 회전체(420)에만 얹혀진 상태로 한 후 턴테이블회전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체(42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켜 차량의 전방이 전방 리프트(210)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vehicle more convenient to move forward so that the front of the vehicle faces the entrance and exit at the time of later shipment, the
이와 같이 승입 및 운전자의 하차가 완료되면, 리프트(210,220)을 턴테이블(400)의 횡행이동에 간섭을 주지 않는 높이로 약간 상승시킨 다음 상술한 턴테이블횡행수단에 의하여 턴테이블(400)을 승강로(T)로부터 주차실(P)측으로 횡행이동시켜 리프트(210,220)가 하층으로 하강하는데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한다.In this way, when the entry and exit of the driver is completed, the
이 상태에서 상술한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리프트(210,220)가 하강하게 되며, 차량은 리프트포크(230,240)에 탑재된 상태에서 지정층까지 하강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이와 같이 리프트(210,22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팰리트횡행수단의 리프트(210,220)측에 설치된 걸고리부재(352,362)가 팰리트(300)측에 설치된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As such, while the
즉, 팰리트횡행수단의 걸고리부재(352,362)는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비로서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지정층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팰리트횡행수단의 추가적인 작동없이 걸고리부재(352,362)의 하측걸고리(353b,363b)가 팰리트(300)측의 걸림부재(370)에 걸리게 된다.That is,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of the pallet transverse means do not move to a position where they can be caught by the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메인프레임(100)과 리프트(200)에 설치된 위치감지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그 위치를 감지하여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의 작동을 중지시켜 리프트(210,220)가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When the
이와 같이 팰리트횡행수단의 걸고리부재(352,362)를 지정층으로의 이동 도중에 미리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추가 작동에 의하여 걸고리부재(352,362)를 걸림부재(370)에 걸릴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추가 작동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작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차량을 탑재한 리프트(210,220)가 지정층의 팰리트(300)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정지되면, 팰리트횡행수단의 횡행구동모터(350)(360)가 작동되고 이에 전동기구를 통해 연결된 볼스크류(351,361)가 회전하게 되며 볼스크류(351,361)에 나사결합된 너트박스(355,365)가 승강로(T)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너트박스(355,365)에 고정결합된 걸고리부재(352,362)가 승강로(T)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고리부재(352,362)의 하측 걸고리(353b,363b)는 이에 걸려 있는 지정층의 팰리트(300)측 걸림부재(370)를 승강로(T)측으로 당기게 되고, 당해 팰리트(300)는 승강로(T)측으로 이동하여 리프트(210,220)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을 작동시켜 리프트(210,220)를 팰리트(300)보다 하방으로 하강시키면 리프트(210,220)에 탑재되어 있던 차량은 팰리트(300)에만 얹혀진 상태로 된다.In this state, by operating the lift elevating drive means to lower the lift (210,220) lower than the
리프트(210,220)를 팰리트(300)보다 하방으로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리프트포크(230,240)와 팰리트포크(320)는 서로 교호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I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이때 리프트(210,220)는 걸고리부재(352,362)의 상측 걸고리(353a,363a)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리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정지시킨다.In this case, the
다음 팰리트횡행수단을 구동하여 걸고리부재(352,362)를 주차실측으로 작동시키면 이 걸고리부재(352,362)의 상측 걸고리(353a,363a)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를 주차실(P)측으로 밀게 되므로 당해 팰리트(300)는 차량이 탑재된 상태로 횡행이동하여 다시 주차실(P)로 복귀하게 된다.Next, when the pallet hooking means is driven to operate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toward the parking compartment side, the upper hooks 353a and 363a of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move the
이후, 리프트승강구동수단을 작동시켜 리프트(210,220)를 승입출장으로 상승시킨다.Thereafter, the lift elevating driving means is operated to elevate the
한편, 주차실(P)측으로 횡행이동된 턴테이블(400)은 리프트(210,220)가 승입 출장에 도착하기 전에 다시 승강로(T)측으로 횡행이동시켜 둠으로써 리프트(210,220)가 승입출장에 도착하였을 때 최초 승입시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턴테이블(400)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되어 있던 승강바닥(500)을 하강시켜 운전자가 이 승강바닥(500)을 딛고 승차하여 승출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floor 500, which has been rais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또한 턴테이블(400)을 다시 승강로(T)측으로 횡행이동시키는 시점은 차량을 탑재한 리프트(210,220)가 하층으로 하강하기 시작한 직후부터 차량을 하층 주차실(P)의 팰리트(300)로 옮긴 후 다시 승입출장에 도착하기 전까지의 어느 시점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승강바닥(500)을 다시 턴테이블(400)과 동일한 높이로 하강시키는 시점은 턴테이블(400)이 다시 승강로(T)측으로 복귀한 직후로부터 리프트(210,220)이 다시 승입출장에 도착하기 전까지의 어느 시점으로 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when the
이로써 차량 1대의 하층 입고가 완료되는 것이다.This completes the receipt of the lower floor of one vehicle.
하층출고동작Lower Floor Delivery
승입출장의 하측에 위치하는 상층 주차실(P)에 주차된 차량을 출고시에는 리프트(210,220)과 턴테이블(400) 및 승강바닥(500)이 모두 승입출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술한 승강바닥승강수단에 의하여 승강바닥(500)을 턴테이블(400)의 횡행이동에 간섭을 주지 않는 높이로 상승시키고, 상술한 턴테이블횡행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턴테이블(400)을 승강로(T)측에서 주차실(P)측으로 횡행이동시켜 리프트(210,220)가 하층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vehicle parked in the upper floor parking room P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entrance hall at the time of leaving the
상술한 리프트승강수단에 의하여 리프트(210,220)을 하강시켜 지정층의 팰리트(300)보다 약간 높은 위치로 하강시킨다.The
리프트(210,22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술한 팰리트횡행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걸고리부재(352,362)를 주차실(P)측으로 이동시키면 리프트(210,220)가 지정층팰리트(300)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걸고리부재(352,362)의 상측 걸고리(353a,363a)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리게 된다.If the hook members 352 and 362 are moved to the parking space P side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pallet transverse means while the
이 상태에서 리프트(210,220)를 정지시키고 팰리트횡행수단을 가동시켜 걸고리부재(352,362)를 승강로(T)측으로 이동시키면 걸고리부재(352,362)의 상측 걸고리(353a,363a)에 걸림부재(370)가 걸려 있는 팰리트(300)는 리프트(210,2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state, by stopping the
리프트(210,220)를 다시 상승시켜 리프트(210,220)가 팰리트(300)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면 차량은 리프트(210,220)에만 얹혀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아울러 리프트(210,220)가 상승함에 따라 걸고리부재(352,362)의 하측 걸고리(353b,363b)가 팰리트(300)의 걸림부재(370)에 걸린 상태로 유지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팰리트횡행수단을 주차실(P)측으로 작동시키면 걸고리부재(352,362)의 하측 걸고리(353b,363b)에 걸림부재(370)가 걸려 있는 팰리트(300)는 주차실(P)로 복귀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pallet traversing means is operated toward the parking space P, the
이후, 차량이 탑재된 리프트(210,220)를 승입출장으로 상승시켜 차량이 최초 입고시와 마찬가지로 리프트포크(230,240)와 턴테이블포크(423)에 얹혀진 상태로 유지시킴과 아울러 상승되어 있던 승강바닥(500)을 턴테이블(40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강시킨다.Thereafter, the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턴테이블(400)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하강되어 있는 승강바닥(500)을 딛고 차량에 승차하여 승입출구로 빠져나가는 것에 의하여 차량 1대의 출고가 완료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driver leaves the vehicle on the elevating floor 500 which is lowered to the same height as the
이때, 입고시 차량의 전방이 승입출구의 반대측을 향하는 상태로 주차되었던 차량을 출고함에 있어서는 차량의 전방측이 후방 리프트(220)에 얹혀진 상태로 하강하여 전방측이 승입출구의 반대측을 향하는 상태로 리프트(210,220)와 턴테이블(400)상에 얹혀진 차량을 출고하는 경우 리프트(210,220)를 턴테이블(400)의 회전체(420)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시켜 차량의 차륜이 턴테이블포크(423)상에만 얹혀지게 한 상태에서 턴테이블회전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체(420)를 회전시켜 차량의 전방이 승입출구를 항햐도록 전환시킴으로써 승출을 편리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is parked with the front of the vehicle facing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at the time of receipt, the front side of the vehicle is lowered on the
상술한 실시례에서는 승입출장의 상부와 하부에 승강로와 주차실을 형성한 중간승입형 주차설비에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로써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승입출장의 상부에만 승강로와 주차실을 형성한 하부승입형 주차설비와 승입출장의 하부에만 승강로와 주차실을 형성한 상부승입형 주차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ample was applied to an intermediate riding type parking facility in which a hoistway and a parking compartment we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ntrance hal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vator and the parking compartment are formed only at the upper side of the entrance hall. It can be applied to the lower riding type parking facility and the upper riding type parking facility which has a hoistway and a parking space only at the lower part of the entrance hal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입출구 외측에 별도의 턴테이블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승입하기 편리한 전진방향으로 승입된 차량을 승출이 편리한 전진방향으로 승출되도록 하는 턴테이블을 횡행이동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리프트가 하층 주차실에 대한 입고 및 출고를 위하여 하강하는 과정에서 리프트와 턴테이블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입출장의 하부에도 승강로와 주차실이 설치되는 상부 승입형 또는 중간 승입형 주차설비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urntable is instal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vehicle can be lif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ich is convenient for the lift,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turntable outside the entrance and ex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ift and the turntable during the descent process for getting in and out of the parking space.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the upper riding type or intermediate riding type parking facilities where the hoistway and the parking space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entrance hall. It will be possibl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8484A KR100257110B1 (en) | 1997-11-06 | 1997-11-06 | Apparatus for horizontally moving turntable i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
CN98126590A CN1221063A (en) | 1997-11-06 | 1998-11-06 | Turntable apparatus for parking system |
JP31625898A JPH11217950A (en) | 1997-11-06 | 1998-11-06 | Turn table equipment of parking fac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58484A KR100257110B1 (en) | 1997-11-06 | 1997-11-06 | Apparatus for horizontally moving turntable i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8660A KR19990038660A (en) | 1999-06-05 |
KR100257110B1 true KR100257110B1 (en) | 2000-05-15 |
Family
ID=1952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58484A KR100257110B1 (en) | 1997-11-06 | 1997-11-06 | Apparatus for horizontally moving turntable i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5711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4583A (en) | 2018-12-17 | 2020-06-25 | 이재설 | Slim type running cart with turn table of parking system |
WO2023120772A1 (en) * | 2021-12-23 | 2023-06-29 | 오텍오티스파킹시스템 유한회사 | Elevator parking system |
-
1997
- 1997-11-06 KR KR1019970058484A patent/KR10025711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74583A (en) | 2018-12-17 | 2020-06-25 | 이재설 | Slim type running cart with turn table of parking system |
WO2023120772A1 (en) * | 2021-12-23 | 2023-06-29 | 오텍오티스파킹시스템 유한회사 | Elevator park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8660A (en) | 1999-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74553B2 (en) | Elevator parking system | |
KR100286360B1 (en) |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and vehicles parking method | |
KR100257108B1 (en) |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and parking method thereof | |
JPH11217950A (en) | Turn table equipment of parking facility | |
KR100257110B1 (en) | Apparatus for horizontally moving turntable in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 |
KR100295876B1 (en) | Turn table equipment in elevator-style parking system | |
KR100257111B1 (en) | Movable platform for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 |
KR100257107B1 (en) |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and parking method thereof | |
JP7521797B2 (en) | Traversing device for multi-storey car parks | |
KR100257109B1 (en) | Pallet horizontal movement driving apparatus for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 |
KR100257112B1 (en) | Elevator type parking system | |
JP3606342B2 (en) | Mechanical parking system | |
JP3020018B2 (en) | Pit parking system | |
JP2932879B2 (en) | In / out device with cab | |
JP2019090292A (en) | Mechanical parking device replacement method and replacement mechanical parking device | |
CN218324156U (en) | Four hoisting point hoist mechanism and lift | |
KR19990038665A (en) | Lift deflection prevention device of elevator parking facility | |
KR950009909Y1 (en) | Elevator-type parking apparatus | |
JP3435593B2 (en) | Loading table transfer device at the landing | |
KR19990038662A (en) | Elevator parking lot | |
JPH0740033Y2 (en) | Multi-level parking device | |
JP3449669B2 (en) | Elevating parking system | |
JP3240490B2 (en) | Vehicle parking / unloading device for multi-story parking system | |
KR19990073696A (en) | Lift Structure of Elevator Parking Equipment | |
JP2003155832A (en) | Multistory par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