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183B1 -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183B1
KR100256183B1 KR1019960020569A KR19960020569A KR100256183B1 KR 100256183 B1 KR100256183 B1 KR 100256183B1 KR 1019960020569 A KR1019960020569 A KR 1019960020569A KR 19960020569 A KR19960020569 A KR 19960020569A KR 100256183 B1 KR100256183 B1 KR 100256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d
low frequency
stag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807A (ko
Inventor
백윤종
Original Assignee
백윤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윤종 filed Critical 백윤종
Priority to KR101996002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183B1/ko
Publication of KR98000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6Push-pull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고출력 증폭이 가능하고 회로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는 오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초단 증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선정된 비율로 전압 변환하여 부하에 출력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변환 수단,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증폭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한 저주파 에너지 검출 수단, 및 상기 저주파 에너지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싱글-엔드 푸쉬풀 증폭기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종래 기술의 BTL 푸쉬풀 증폭기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 및 제4도는 초단 증폭기와 트랜스포머를 직결시켜 구성한 종래 기술의 오디오용 증폭기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제3도의 구성에서 트랜스포머를 저주파 대역에서의 등가 회로로 대체하여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제6도에서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의 회로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41, 51, 61, 81, 91, 101-1, 101-2, …, 101-N, 111 : 초단 증폭기
11, 12, 21, 22, 23, 24, 64, 71, 84, 94, 113, 114 : 트랜지스터
32, 42, 63, 83, 93, 102, 112, 115 : 트랜스포머
62 :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
본 발명은 오디오용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이나 비행체 등에 탑재하여 초단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기 위한 오디오용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나 비행체 등에 탑재되는 종래의 오디오용 증폭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14V와 같은 낮은 전압이 장치 구동용 전원 전압으로 이용되고 있어 오디오 신호를 어느 한계 이상의 고출력으로 증폭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싱글-엔드 푸쉬풀 증폭기(Single End Push-Pull Type Amplifier)의 경우, 최대 출력 Pomax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Pomax = Irms·Vrms = Imax·Vmax / 2
= (1/2)·(Vcc/2RL)·(Vcc/2) = Vcc2/(8RL) … (1)
여기서, RL은 스피커의 부하 저항을 나타내고, Imax와 Vmax는 각각 부하 저항 RL로 흐르는 최대 전류와 그 부하저항에 걸리는 최대 전압을 나타낸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BTL 푸쉬풀 증폭기(Bridged Transformerless Push-Pull Type Amplifier)의 경우에, 그 최대 출력은
Pomax = Irms·Vrms = Imax·Vmax / 2
= (1/2)·(Vcc/RL)·Vcc = Vcc2/(2RL) … (2)
로서, 상기 싱글-엔드 푸쉬풀 증폭기에 비해 출력이 4배로 증가되기는 하나, 역시 낮은 전원 전압 Vcc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서, DC/DC 변환기를 사용하여 오디오용 신호를 증폭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만족할 만한 신호의 품질을 기대하기가 어려우며, 특히 불량률이 높아 오디오용 증폭기에 채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른 한 가지 방식으로서, 승압 트랜스포머(step-up transfromer)를 사용하여 초단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식은 트랜스포머의 권선비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높이고자 한 것으로, 제3도의 트랜스포머 구성의 경우 예를 들어 n = 1, m = 2이라 가정하면 Vout = (m/n) Vin의 관계로부터 Vout = 2 Vin이 되어 결과적으로 출력 전압을 입력 전압에 비해 2배로 증폭할 수 있게 된다. 제4도의 트랜스포머 구성의 경우에도, Vout = ((n+m)/n) Vin의 관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력 전압에 비해 출력 전압을 3배로 증폭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서 본 입력 저항은 제3도의 트랜스포머의 경우 Rin = (n2/m2) RL이고 제4도의 트랜스포머의 경우 Rin = n2/(n+m)2RL인 관계가 되어, 증폭도에 따라 입력 저항이 줄어들어 트랜스포머의 1차측, 즉 초단 증폭단으로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장치의 안정성을 기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트랜스포머의 사용에 따라 입력 저항이 낮아지는 현상은, 특히 오디오 신호의 저주파 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전술한 문제점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3도의 구성에서 트랜스포머를 저주파 대역에서의 등가 회로로 대체하여 나타낸 제5도를 참조하기로 한다. 제5도에서는 a는 n/m으로서 트랜스포머의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를 나타내고, RP, R5, LP는 각각 1차측 및 2차측 권선 저항, 1차측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제5도의 트랜스포머의 등가 회로로부터, 오디오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예를 들어, 20-100Hz) 인덕턴스 성분 LP에 의한 임피던스, 즉 트랜스포머의 1차측에서 본 임피던스가 낮아져 기존 오디오용 초단 증폭기에 과도한 전류가 흘러 장치를 손상시키게 된다. 더우기, 이 경우 트랜스포머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출력 증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음향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출력 증폭이 가능하고 회로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출력 증폭이 가능하고 주관적 음향 효과가 뛰어난 오디오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초단 증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으로 부터의 출력 전압을 선정된 비율로 전압 변환하여 부하에 출력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변환 수단,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증폭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한 저주파 에너지 검출 수단, 및 상기 저주파 에너지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초단 증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선정된 비율로 전압 변환하여 부하에 출력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변환 수단,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압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한 저주파 에너지 검출 수단, 및 상기 저주파 에너지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을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입력 신호를 각각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초단 증폭기, 및 상기 다수의 초단 증폭기에 그 1차측 권선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그 2차측 권선이 부하에 접속되도록 된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초단 증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능동 증폭 수단, 및 상기 능동 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선정된 비율로 전압 변환하여 부하에 출력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변환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가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능동 증폭 수단의 입력 저항값은 상기 부하의 저항값 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6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오디오 증폭 장치(60)는 종래의 초단 증폭기(61), 종래의 초단 증폭기(61)에 접속되어 그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한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62), 증폭기(61)에 접속된 트랜스포머(63), 트랜스포머(63)의 한 단자에 콜렉터가 접속되고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62)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64)를 포함한다. 초단 증폭기(61)의 구성은 본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공지의 회로에 의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의 초단 증폭기(61)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종래의 방식에 따라 트랜스포머(63)를 거쳐 권선비에 따라 증폭되며, 이와 동시에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62)에 의해 초단 증폭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에너지의 양이 검출된다.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62)에 대한 한 실시예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62)는 단자(P1)에 각각 접속된 저항 R1, R2, 한 단자가 저항 R1에 접속되고 다른 한 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커패시터 C, 저항 R1과 커패시터 C의 접속점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지되고 콜렉터가 저항 R2와 단자(P2)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71)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이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62)는 상기의 구성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저주파 에너지의 양을 검출하거나 특정 주파수 대역 이하의 신호 대역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애널로그 방식 뿐만 아니라 디지틀 방식 등 어떠한 방식을 채용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62)의 동작을 설명하면, 특정 주파수 대역 이하의 저주파 에너지의 양이 소정의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하여 커패시터 C가 충분한 전압으로 충전되면, 트랜지스터(71)가 턴 온되고 단자(P2)가 로우(low) 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64)를 턴 오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63)는 그 증폭 동작이 중단되고 종래의 초단 트랜스포머(63)는 그증폭 동작이 중단되고 종래의 초단 증폭장치(61)로부터의 신호가 트랜스포머(63)의 2차측 권선을 통해 부하 저항 RL로 그대로 바이패스되게 된다. 반대로, 저주파 에너지 검출기(62)에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에너지의 양이 크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즉 커패시터 C에 충분한 전압이 충전되지 못한 경우에는, 트랜지스터(71)가 턴오프되고 단자(P2)에 전원 전압 (도시되지 않음)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64)를 턴 온 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초단 증폭 장치(61)로부터 증폭 신호는 트랜스포머(63)에 의해 재차 증폭되어 부하 저항 RL로 전달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오디오 신호에 저주파 성분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있는 경우에는, 트랜스포머가 포화되어 오디오 신호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랜스포머에 의한 전압 변환 동작을 중단하고, 고주파 또는 초단 주파수 대역에서만 선택적으로 트랜스포머에 의한 전압 변환 동작을 수행시켜 출력 증폭을 달성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에 대해 주관적 음향 테스트를 해 본 결과, 종래 기술의 증폭 장치에 비해 음향 효과가 훨씬 뛰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예를 들면, 저주파 대역이 집중되어 있는 신호 구간에서 트랜스포머의 포화에 의해 음향이 끊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제8도 및 제9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제2 및 제3 실시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경우는 트랜스포머(83)에 3차측 권선을 추가하여 3차측 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을 기준으로 저주파 에너지의 양을 검출하고,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트랜스포머(93)의 2차측 부하에 유기되는 전압을 기준으로 저주파 에너지의 양을 검출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0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동일한 여러개의 초단 증폭기(101-1, 101-2, …, 101-N)를 사용하여 증폭하여 출력을 높이는 방식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100)은 소스 입력 신호를 각각 별도로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초단 증폭기(101-1, 101-2, …, 101-N), 및 상기 다수의 초단 증폭기(101-1, 101-2, …, 101-N)에 그 1차측 권선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그 2차측 권선이 부하에 접속되도록 된 트랜스포머(10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입출력 관계가 얻어진다.
Vout = (NS/NP1)Vin1+ (NS/NP2)Vin2 + … + (NS/NPN)VinN… (3)
여기서, Vin1, Vin2, …, VinN은 트랜스포머(102)의 1차측에서의 전압을 나타내고, Vout은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또한, NP1, NP2, …NPN은 모두 1차측 권선의 수를 나타내고, NS는 2차측 권선의 수를 나타낸다.
이때, 권선의 수(NP1=NP2=…=NPN=NP)가 같고, 초단 증폭기(101-1, 101-2, …, 101-N)의 증폭율 모두 같아 Vin1=Vin2=…=VinN=Vin인 관계가 성립하면, 상기 식(3)은 하기 식(4)와 같이 된다.
Vout = N (NS/NP) Vin (4)
상기 식(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NS=NP인 경우에도 초단 증폭단의 개수, 즉 N배 만큼 증폭된 출력 전압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권선비 NS:NP를 높일 필요가 없으므로 트랜스포머의 입력단에서 입력 전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능동 증폭 소자를 사용하여 입력단에서의 전류 상승 문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오디오 증폭 장치(110)는 종래의 초단 증폭기(111), 증폭기(111)에 접속되고 권선비가 예를 들어 1:1인 트랜스포머(112), 트랜스포머(112)의 2차측의 한 단자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113), 트랜스포머(112)의 2차측의 다른 한 단자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에미터가 트랜지스터(113)의 에미터와 접속되고 동시에 접지되어 있는 트랜지스터(114), 트랜지스터(113, 114)의 콜렉터들 간에 2차측이 접속되고 권선비가 예를 들어 1:n인 트랜스포머(115)를 포함하고 있으며, 트랜스포머(115)의 1차측에는 부하 저항 RL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어 부하 저항 RL로 출력이 전달된다. 여기서, 트랜스포머(115)의 2차측의 탭(tab)에는 전원 전압 Vcc가 공급되고, 전원 전압 Vcc는 저항 R2를 통해 트랜스포머(112)의 2차측 탭에 접속되고, 트랜스포머(112)의 2차측 탭은 저항 R1을 통해 접지되어 있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11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종래의 초단 증폭기(111)로부터의 증폭 신호가 정현파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증폭 신호인 정현파가 제11도에 도시된 극성에 따라 트랜스포머(112)의 2차측에 유기되면 정현파의 정의(positive) 반 싸이클 동안에는 트랜지스터(113)가 온되어 Vcc, 트랜스포머(115)의 2차측 제1 전압부(115-1), 및 트랜지스터(113)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고, 부(negative)의 반싸이클 동안에는 트랜지스터(114)가 온되어 Vcc, 트랜스포머(115)의 2차측 제2 전압부(115-2), 및 트랜지스터(114)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115)의 2차측의 제1 및 제2 전압부(115-1, 115-2)에 교대로 전압이 인가되어 결과적으로 트랜스포머(115)의 1차측에 제11도에 표시된 극성과 권선비에 따라 증폭된 정현파 전압이 유기되어 부하 저항 RL로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전원 전압 Vcc를 저항 R2를 통해 트랜스포머(112)의 중앙 탭으로 공급하는 이유는 트랜지스터(113, 114)로 항상 바이어스 전압이 공급되어 크로스오버 왜곡(crossover distortion)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트랜지스터(113, 114)의 입력 저항이 높기 때문에 기존의 증폭단으로 과전류가 흘러 부품을 손상시킬 위험을 제거할 수 있게된다. 본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제까지 기술한 본 실시예에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트랜스포머 포화 방지를 위한 구성을 합체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110)에서의 최대 출력 전력 Pomax를 구해보면,
Pomax = Icmax·Vcc/2 = (Vcc/RL')·Vcc/2
= Vcc2/2RL' … (5)
여기서, Icmax는 트랜지스터(113, 114)의 최대 콜렉터 전류, RL'는 트랜스포머(115)의 2차측의 어느 한 전압부의 입력 저항을 나타낸다.
한편, RL'와 부하 저항 RL과의 관계는 RL' = RL/(4n2)가 되고, 트랜지스터(113, 114)의 콜렉터 간의 저항은
RLC-C= 4 RL' = RL/n2… (6)
이 되므로, 최대 출력 Pomax는
Pomax = 2 Vcc2/RLC-C= 2n2Vcc2/RL… (7)
이 된다. 따라서, 권선비 n을 높임으로써 충분히 큰 전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우기, n = 1인 경우일 지라도, 식(7)과 식 (1, 2)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증폭 장치의 최대 출력 전력이 싱글-엔드 푸쉬풀 증폭기와 BTL 푸쉬풀 증폭기에 비해 각각 16배, 4배 크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증폭 회로에 손상을 주지 않고 기존 증폭 회로의 출력을 다시 고출력으로 증폭하는 차량 또는 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제까지, 본 발명은 특정 응용과 관련하여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서 본 발명의 가르침을 이해할 수 있는 자라면 본 발명을 그 범위 내에서 부가적으로 변경하고 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기술된 트랜지스터는 MOSFET, IGFET 등과 같은 다른 능동 소자로 대체될 수 있으며, 입력단의 트랜스포머(112)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출력단 트랜스포머(63, 83, 93, 102, 115)의 구조 또는 배열은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채택한 푸쉬풀 증폭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여타의 증폭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의 모든 응용, 변경 및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오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초단 증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바이패스 또는 증폭하여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 변환 수단과;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증폭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저주파 신호 검출 수단과; 상기 저주파 신호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을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을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은 상기 디스에이블 동작시에는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상기 부하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인에이블 동작시에는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재증폭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트랜지스터, FET, MOSFET 및 IGFET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능동 증폭 소자이며,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의 인에이블 동작 및 디스에이블 동작은 상기 능동 증폭 소자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4. 오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초단 증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바이패스 또는 증폭하여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 변환 수단과;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압 변환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포함된 저주파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저주파 신호 검출 수단과; 상기 저주파 신호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을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을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은 상기 디스에이블 동작시에는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상기 부하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인에이블 동작시에는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재증폭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트랜지스터, FET, MOSFET 및 IGFET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능동 증폭 소자이며,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의 인에이블 동작 및 디스에이블 동작은 상기 능동 증폭 소자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차량/비향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변환 수단은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접속된 1차측 권선과 상기 부하에 접속되도록 된 2차측 권선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이며, 상기 저주파 신호 검출 수단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접속되는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8. 오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초단 증폭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초단 증폭 신호 제공 수단에 접속되어 있는 능동 증폭 수단과; 상기 능동 증폭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바이패스 또는 증폭하여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 변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능동 증폭 수단의 입력 저항값은 상기 부하의 저항값 보다 큰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KR1019960020569A 1996-06-10 1996-06-10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KR10025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569A KR100256183B1 (ko) 1996-06-10 1996-06-10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569A KR100256183B1 (ko) 1996-06-10 1996-06-10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807A KR980006807A (ko) 1998-03-30
KR100256183B1 true KR100256183B1 (ko) 2000-05-15

Family

ID=1946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569A KR100256183B1 (ko) 1996-06-10 1996-06-10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1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807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0741B2 (en) High frequency common mode rejection technique for large dynamic common mode signals
US20080012639A1 (en) Dual Mode Audio Amplifier
US20060109049A1 (en) Low noise audio amplifier
JP4916637B2 (ja) 電源から直接的に音声を得る方法と装置
US7714646B2 (en) Audio power amplifier and a pre-amplifier thereof
US4752747A (en) Device for increasing the output power of a low-tension operated radio set, particularly of the car radio set type
EP2975763B1 (en) Class d power amplifier
US20130033328A1 (en) Efficient power amplifier
US9344045B2 (en) Amplifier and method of amplifying a differential signal
KR20060120002A (ko) 전력 변환 시스템
US5708390A (en) Signal amplifier arrangeable in two different configuration modes
EP0054943A1 (en) Power amplifier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load by switching of power supply voltage
US4560946A (en) Power amplifier
CN110011624B (zh) 高集成度复合类型音频功率放大电路结构
JP2009060466A (ja) D級増幅装置
KR100420887B1 (ko) 오디오신호증폭장치
GB2612453A (en) Switching in an audio system with multiple playback paths
WO2008105592A1 (en) Switching amplification driver for reducing starting noise and audio amplifier including the same
US4471322A (en) Power amplifier
US5856759A (en) Audio output amplifier with parallel class AB stages
KR100972155B1 (ko) 2중 부궤환 d급 증폭기
US10819293B2 (en) Power amplifier
KR100256183B1 (ko) 차량/비행체 탑재용 오디오 증폭 장치
US10911010B2 (en) Class-D amplifier and sound system
JP3413281B2 (ja) 電力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