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471B1 - 보유수단을갖춘단자를갖는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보유수단을갖춘단자를갖는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471B1
KR100255471B1 KR1019970017796A KR19970017796A KR100255471B1 KR 100255471 B1 KR100255471 B1 KR 100255471B1 KR 1019970017796 A KR1019970017796 A KR 1019970017796A KR 19970017796 A KR19970017796 A KR 19970017796A KR 100255471 B1 KR100255471 B1 KR 100255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taining
housing
body portion
ba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7840A (ko
Inventor
오설리반 마이클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970077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7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12)는 단자 수납 통로(27, 27')와 단자 수납 통로 내의 암형 단자(40, 40')를 구비하는 하우징(14)을 포함한다. 각각의 통로는 단자를 수용하고 단자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와 협동하는 단면을 갖는다. 각각의 단자는 긴 평면 본체부(42)와, 본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점부(44)와,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26)를 포함한다. 접점부는 한 쌍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접촉 스프링 아암(46)을 가지며 그 사이에 단자 수납 입구(49)를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본다. 본체부는 본체부의 평면으로부터 본체부의 대향한 측면들로 엇갈린 한 쌍의 이격된 보유 비임(52, 92)을 갖는다.

Description

보유 수단을 갖춘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본 발명은 대체로 전기 커넥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보유하기 위한 개선된 보유 수단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형태의 입력/출력(input/output; I/O) 전기 커넥터는 전방 정합면, 후방면 및 전후방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자 수납 공동 수단을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단자는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암형부와 같은 단자 부분이 상호 보완적인 정합 커넥터의 수형 단자와 정합하도록 유전체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된다. 흔히, 하우징 내 공동 수단은 하우징의 전방 정합면과 후방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개의 단자 수납 통로를 포함한다. 대개, 단자는, 단자의 돌출된 정합부가 적절한 간격 및 정렬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우징 내의 통로 내에 단자를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확대된 본체부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단자는 전도성 금속 시트 재료를 스탬핑 가공하여 성형되며, 확대 본체부는 종종 스탬핑 가공된 금속 단자의 대향한 모서리 밖으로 돌출된 보유 바브(barb)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I/O 커넥터는 1988년 4월 26일에 특허 허여되고 본 발명의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4,740,18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는, 수형 단자가 미끄럼 이동하여 수납되는 단자 수납 입구를 그 사이에 형성하는 서로 마주보는 접점부를 갖춘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을 포함하는 접점부를 갖는 암형 단자를 포함하는 저 삽입력의 정합 전기 접점 구조체를 개시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형 단자는 최종 접점부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비틀린 단면을 포함하는 전방으로 연장된 도입부를 갖춘 최종 접점부를 갖는다. 이러한 정합 접점 구조체에 의하면, 암형 단자가 종축을 중심으로 소정 방향으로 비트는 경향이 있다.
전자 산업 분야에서 단자 밀도는 더욱 증가되면서 크기는 소형화된 커넥터가 요구되는 경향 때문에 상술한 특징의 I/O 커넥터를 설계하는 데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단자는, 인접 단자들 간에 소량의 하우징 재료만을 남긴 상태로 유전체 커넥터 하우징에 조밀하게 배열된다.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다. 전술한 외부 돌출 보유 바브와 같은 단자 보유부는 이들이 하우징 내에 근접 이격된 단자 수납 통로의 폭을 약간만 초과할 정도로 넓어서, 단자들이 횡방향 외향력을 충분히 발생시키는 억지 끼움에 의해서 하우징 내에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외향력은, 매우 조밀한 단자 배열체에서, 인접한 단자 통로들 사이의 얇은 하우징 벽을 파쇄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전술한 특허 제4,740,180호에서 단자를 통로 내에 삽입할 때 비틀리는 경향이 있는 암형 단자들의 경우에 특히 심하다.
관련된 문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암형 단자가, 수형 단자가 미끄럼 이동하여 수납되는 서로 대향하는 접점부를 갖는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으로 된 특허 제4,740,180호의 암형 단자에서 발생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단자의 비틀림은 2중 접촉 스프링 아암들 사이의 간격을 개방하려는 경향이 있다. 실제 실시에서, 수형 단자가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들 사이에 삽입될 때, 극히 작은 편향(deflection)(예를 들어, 약 0.02286 cm; 약 0.009 인치)만이 예상된다. 이러한 편향은 정합 단자들 사이에서 소정의 수직력을 유지하는 데에 필요하다. 그러나, 커넥터 하우징 내의 각각의 통로 내에서 암형 단자의 비틀림이 허용되면, 2중 접촉 스프링 아암들 사이의 수직 평면 내에서의 간극이 증가되어 정합 시에 아암의 편향량이 감소되고 결과적으로 정합 접점들 사이에 수직력도 감소된다.
상기 문제점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은 커넥터 하우징 내의 공동 내에 장착되는 단자 모듈을 형성하도록 유전체 삽입체 내에 단자를 인서트몰딩하는 것이다. 이는 보유 문제를 해결하지만, 오버몰딩 과정은 이런 소형화된 커넥터의 제조 비용을 높인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단자 열을 통한 보유력을 분포시키는 보유 시스템, 특히 이격 2중 접촉 스프링 아암을 갖는 암형 단자에 매우 효과적인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하고 개선된 단자 보유 시스템을 갖춘 전술한 형태의 암형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암형 전기 단자는 본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미부와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접점부를 갖춘 긴 평면 본체부를 포함한다. 접점부는 수형 단자가 미끄럼 이동하여 그 사이에 수용되어서 단자 종축을 중심으로 소정 방향으로 비틀리는 경향을 나타내는 단자 수납 입구를 형성하는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을 갖는다. 본체부는 단자의 비틀림에 저항하는 보유부를 포함한다. 보유부는 본체부 평면의 대향한 측면들로 엇갈린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보유 비임을 포함한다. 비임은 단자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하우징 부분에 억지 끼워지는 바브를 측면 외측 모서리에 갖는다. 비임은 측면 내측 모서리에도 바브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2중 접촉 스프링 아암은 엇갈린 2중 비임과는 반대 방향으로 본체부의 평면의 대향 측면들로 엇갈려 있다. 이렇게 되면 하나의 접촉 스프링 아암과 하나의 비임은 단자의 각각의 대향한 종방향 모서리를 따라 본체부의 대향 측면들로 엇갈린다.
일 실시예에서, 횡방향으로 이격된 엇갈린 2개의 비임은 또한 적절한 커넥터 하우징의 통로 내에 단자가 보유 및 안내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면 내측 모서리 상에 바브를 갖는다. 또한, 본체부는 보유부와 접속부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에 보유 바브를 가질 뿐만 아니라 보유부와 접점부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에도 보유 바브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신규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를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 설명을 참조하면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개념을 구현하는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커넥터의 평면도.
도3은 커넥터의 정면도.
도4는 암형 단자 중 하나의 측면도.
도5는 블랭크가 금속 시트 재료의 캐리어 스트립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로 암형 단자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탬핑 가공된 블랭크의 평면도.
도6은 명료한 도시를 위해 생략된 하우징의 후방에 도입부를 갖는 하우징의 단자 수납 통로 중 4개를 도시한 배면도.
도7은 하우징 내의 한 쌍의 단자 수납 통로를 관통하는 도6의 선 7-7을 따라 취한 축 단면도로서, 단자 중 하나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명료한 도시를 위해 생략된 하우징의 후방에 도입부를 가지며 단자 중 하나가 내부에 배치된 단자 수납 통로 중 하나의 확대 배면도.
도9는 도3의 선 9-9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로서, 명료한 도시를 위해 하나의 단자만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8와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자들 중 하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 : 전기 커넥터
14 : 하우징
16 : 전방 차폐부
26 : 미부
27 : 단자 수납 통로
40 : 암형 단자
42 : 본체부
46 : 2중 접촉 스프링 아암
48 : 접점부
50 : 보유부
52 : 2중 비임
56 : 후방 보유 바브
58 : 전방 보유 바브
72 : 연결부
74, 76, 78, 80 : 다리부
먼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긴 유전체 하우징(14)과 전방 차폐부(16)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2)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4)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전체 재료로 일체 성형된 일편 구조이다. 차폐부(16)는 금속 시트 재료를 스탬핑 가공하여 성형한 일편 구조로 되어 있다.
커넥터는 차폐부(shield)의 보호부(shroud portion) 내 하우징의 상호 보완적인 전방 돌출 정합부(24)를 둘러싸는 차폐부의 D자형 보호부(22)를 갖춘 입력/출력(I/O) 전기 장치이다. 복수개의 단자(후술함)의 미부(26)는 기판 상의 및/또는 구멍 내의 회로선에 연결되기 위해 인쇄 회로 기판 내 적절한 구멍에 삽입되도록 커넥터의 후방면(2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단자는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복수개의 단자 수납 통로(27)로 삽입되며 단자 수납 통로는 상호 보완적인 정합 커넥터의 정합 단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전방 정합면에서도 개방되어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16)의 후방으로 형성된 태브(28)는 리세스(30) 내의 하우징(14)을 파지한다. 마지막으로, 차폐부(16)의 플랜지(34) 내 구멍(32)은 커넥터를 상호 보완적인 정합 커넥터에 고정시키기 위해 적절한 나사형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하우징(14) 내 삽입체의 내부 나사 구멍(36)과 정렬된다.
도1 내지 도3과 함께 도4와 도5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암형 단자(40)는 유전체 하우징(14) 내 복수개의 단자 수납 통로(27) 중 하나에 각각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는 단자의 접점부(후술함)가 하우징의 전방 돌출 정합부(24) 내에 배치되고 차폐부의 보호부(24)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커넥터의 후방면(20)을 통해서 통로(27)로 삽입된다. 단자들의 접속부 즉 미부(26)는 이상 설명되고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후방으로 돌출한다.
각각의 암형 단자(40)는 전방 연장 접점부(44)와 후방 연장 접속부 즉 미부(26) 사이에 연장하는 긴 평면 본체부(42)를 갖는다. 도4와 도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44)는 아암의 말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접점부 또는 접촉면(48)을 갖는 한 쌍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46)을 포함한다. 접점부(48)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벌어져서 그 사이에 단자 수납 입구(49)를 형성하고 수형 단자(도시되지 않음)는 단자 수납 입구에 미끄럼 이동하여 수용된다. 이하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은 단자의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수형 단자를 삽입하면 2중 접촉 스프링 아암(46)의 횡방향 이격 배치 때문에 암형 단자(44)가 비틀리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각각의 암형 단자(40)의 본체부(42)는 수형 단자가 그들 사이에 정합될 때 단자의 비틀림에 저항하도록 된 보유부(50)을 포함한다. 특히, 보유부(50)는 본체부(42)의 평면으로부터 대향 측면들로 엇갈린 한 쌍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비임(52)을 포함한다. 접점부(44)의 2중 접촉 스프링 아암(46)을 다시 살펴보면, 스프링 아암의 인접 단부는 참조 번호 46a로 표시된 지점에서 외부측으로 만곡되어 있어서 2중 접촉 스프링 아암 또한 본체부(42)의 평면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엇갈려 있음을 알 수 있다.
도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접촉 스프링 아암(46)은 엇갈린 2개의 비임(52)과는 반대 방향으로 본체부(42)의 평면으로부터 본체부의 대향한 측면들로 엇갈린다. 바꿔 말하면, 일반적으로 선형인 하나의 접촉 스프링 아암(46)과 하나의 비임(52)은 단자의 각 대향하는 종방향 모서리를 따라 본체부(42)의 평면의 대향한 측면들로 엇갈린다. 이것은 하우징 내의 각 단자 수납 통로 내에서의 단자 위치에 관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바와 같이, 정합하는 수형 단자가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46)들 사이에 삽입될 때 비임이 단자의 비틀림을 억제하거나 또는 방지하게 한다.
각각의 암형 단자(40)는 전도성 금속 시트 재료로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고, 평면 본체부(42)는 측면 외측 모서리를 갖는다. 본체부는 보유부(50)와 미부(26)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에 후방 보유 바브(56)를 갖는다. 본체부는 또한 보유부(50)와 접점부(44)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에 전방 보유 바브(58)를 갖는다. 후방 보유 바브(56)를 가로지른 거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이유로 전방 보유 바브(58)를 가로지른 거리보다 크다. 보유부(50)의 비임(52)은 측면 외측 모서리에 보유 바브(60)를 갖는다. 보유부의 비임(52)은 측면 내측 모서리에 바브(62)를 갖는다. 모든 바브(56, 58, 60, 62)는 단자 수납 통로(27) 각각에 하우징(14)의 일부분에 억지 끼워지기 위해 구비된다. 비임(52) 상의 내측 바브(62)는 필요한 경우 생략될 수 있다.
도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40)는 전도성 금속 시트 재료로부터 스탬핑 가공 및 성형되어 제조되고, 단자들은 연속 진행식 성형 및 단조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인덱싱 구멍(66)을 갖는 캐리어 스트립(64)에 연결된다. 단자들의 미부(26)들은 도금과 같은 추가 공정 중에 적절한 위치와 간격으로 단자들을 유지하도록 금속 웨브(6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4는 2중 접촉 스프링 아암들의 대향하는 접점부(48)가 단자의 기본 재료와는 다른 금과 같은 귀금속으로 도면 부호 70으로 표시된 지점에 선택적으로 도금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6 내지 도9, 먼저 도6을 참조하면, 유전체 하우징(14) 내 4개의 단자 수납 통로(27)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단자 수납 통로(27)는 2개의 구역(27a, 27b)으로 분할된다. 제1 구역 즉 전방 구역(27a)은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하우징의 거의 중간 지점까지 후방으로 연장되고 제2 구역 즉 후방 구역(27b)은 상기 제1 구역과 하우징의 후방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들 구역의 길이는 단자(40)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각 단자(40)의 접점부(44)는 단자 수납 통로(27)의 전방 구역(27a) 내에 위치되고 각 단자의 본체부(42)는 후방 구역 내에 위치된다.
각각의 통로의 후방 구역(27b)의 횡단면 형상은 대체로 "H"자 형상이다. 즉, 각각의 H자형 통로는 연결부(72)와 4개의 다리부(74, 76, 78, 80)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각 H자형 통로의 각 다리부(74 내지 80)는 하나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46) 중 하나 또는 각 단자(40)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비임(52)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사각형 통로를 형성한다. 연결부(72)는 단자의 평면 본체부(4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보유 다리부(74, 78)는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비임(52) 중 하나를 고정시키며 여유 다리부(clearance leg portion)(76, 80)는 접점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각각의 보유 다리부(74, 78)는 2개의 구역 또는 챔버로 분할된다. 제1 또는 도입 챔버(74a, 78a)는 하우징의 후방면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보유 바브(60, 62) 사이의 보유부(50)를 가로지른 폭보다 약간 큰 폭을 구비하여서 바브가 간섭 없이 도입 챔버를 관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 챔버 또는 보유 챔버(74b, 78b)는 도입 챔버(74a, 78a)와 단자 수납 통로(27)의 전방 구역(27a) 사이에 위치된다. 이들 보유 챔버(74b, 78b)는 보유 바브(60, 62)들 사이의 보유부(50)를 가로지른 폭보다 약간 작은 폭을 구비하여서 단자들이 통로(27)로 완전하게 삽입되면 보유 바브와 보유 챔버 사이에 억지 끼움 상태가 형성된다.
보유 다리부(74, 78)는 긴 리브(82)들에 의해서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하우징의 대략 중간 지점까지 연장되는 연결부(72)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들 리브(82)는 단자가 하우징으로 삽입될 때 접점부(44)들이 하우징 내 제위치에 단자들을 고정시키기 전에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비임(52)을 안내하고 적절하게 위치시킨다. 리브(82)들 사이의 수평 방향 거리는 비임이 간섭 없이 이러한 리브(82)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보유 바브(60, 62)가 위치된 비임(52)의 폭보다 약간 작다. 리브(82)와 보유 다리부(74)의 상부면(75)(또는 부분(78)의 하부면(79)) 사이의 수직 거리(d)는 조립 동안 단자(40)들을 적절하게 위치시키고 정합 중에 단자들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임(52) 및 바브(60, 62)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본 명세서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은 다방향성이다. 따라서, 수직 및 수평 방향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방향을 가리키는 다른 용어들은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것이지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자 수납 통로(27)의 연결부(72)는 각 단자의 평면 본체부(4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연결부(72)는 2개의 구역, 즉 전방 구역(72a) 및 후방 구역(72b)으로 분할된다. 2개의 구역(72a, 72b)은 조립 중에 단자(40)를 적절하게 위치시키고 정합 중에 단자의 비틀림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40)의 본체부(42)의 두께보다 약간 큰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후방 구역(72b)은 전방 구역(72a)보다 수평 방향으로 넓다. 후방 구역(72b)은 바브가 통과하도록 전방 바브(58)를 가로지른 거리보다 넓고 후방 바브가 억지 끼워진 상태로 후방 구역(72b)에 포획되도록 후방 바브(56)를 가로지른 거리보다는 좁다. 전방 구역(72a)은 전방 바브가 억지 끼움 상태로 내부에 포획될 수 있도록 전방 바브를 가로지른 거리보다 좁다.
조립 중에, 단자(40)들은 하우징(14)의 후방으로부터 통로(27) 내로 삽입된다. 접점부(44)는 여유 다리부(76, 78)를 거쳐 각각의 단자 수납 통로(27)의 전방 구역(27a)으로 통과한다. 단자(40)가 계속 진행하면, 바브(60, 62)가 단자 보유 통로(74, 78)의 도입 챔버(74a, 78a) 내에 위치되도록 비임(52)의 바브(60, 62)는 리브의 도입부(82a)까지 주행한다. 게다가, 본체(42)의 전방부는 통로(27)의 연결 구역(72)의 후방 구역(72b) 내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결국, 비임(52)의 바브(60, 62)는 억지 끼워진 상태로 통로(74, 78)의 보유 챔버(74b, 78b)에 결합되어 플라스틱 하우징 내로 파고든다(skive). 단자를 통로(27)에 더욱 삽입하게 되면, 본체(42)의 전방 바브(58)는 연결부(72)의 전방 구역(72a)에 억지 끼워진다. 최종적으로, 본체(42)의 후방 바브(56)는 연결부(72)의 후방 구역(72b)에 또한 억지끼워진다. 바꿔 말하면, 바브(60, 62)가 먼저 결합하고, 전방 바브(58)가 두번째로 결합하고, 마지막으로 후방 바브(56)가 결합되면서 단자는 바브(56, 58, 60, 62)가 억지 끼워짐으로써 하우징 내에 보유된다. 그러나, 1차적인 보유 상태는 바브(60, 62)에 의하여 마련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도8을 참조하면, 수형 단자가 암형 단자와 정합되었을 때, 단자의 보유부(50)의 대향하여 엇갈린 비임(52)들이 어떻게 종축을 중심으로 한 단자의 비틀림 이동에 대해 저항하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수형 단자가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46) 사이의 단자의 입구(49, 도4)에 삽입되면, 접촉 스프링 아암은 화살표(A) 방향으로 벌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도8). 이것은 단자를 곡선의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비임(52)의 측면 외측 모서리 상의 바브(60)가 도8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의 보유 다리부(74, 78)의 벽에 억지 끼워져 있기 때문에, 단자의 이러한 비틀림 이동은 방해되고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게다가, 연결부(72)는 단자(40)의 본체(42)와 결합하여 접촉 스프링 아암의 비틀림 이동을 막는다. 결국, 단자의 비틀림 이동이 없기 때문에, 전체 수직력이 2중 접촉 스프링 아암(46)에 의해 정합하는 수형 단자의 대향한 측면들 상에 작용하게 된다.
도10과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10은 단자 수납 통로(27')가 단자(40')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46)이 통과하도록 된 여유 다리부(76, 8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의 도8과 유사하다. 그러나, 통로의 다른 2개의 다리부(74', 78')는 통로의 연결부(72)에 대해 경사져 있다. 바꿔 말하면, 통로(27')는 변형된 H자형 단면을 갖는다.
도11은 도9에 도시된 변형된 통로(27')에 삽입되는 변형된 암형 단자(40')를 도시한다. 전술한 암형 단자(40)와 유사하게, 암형 단자(40')는 한 쌍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접촉 스프링 아암(46)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 연장 미부(26)와 전방 연장 접점부(44)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스프링 아암은 말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접점부(48)를 갖는다. 또한, 변형된 암형 단자(40')는 보유 바브(56, 58)를 포함하는 긴 평면 본체부(42)를 갖는다.
변형된 암형 단자(40'; 도11)와 암형 단자(40; 도4, 도5) 사이의 차이점은 변형된 암형 단자가 비임 또는 비임의 일부가 본체부(42)로부터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된 비틀린 보유부(90)를 갖는 것이다. 비틀린 보유부는 도9에 도시되고 앞에서 설명한 변형된 통로(27)의 사분면(74', 78')으로 돌출되는 경사부 또는 비임(92)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비임(92)은 제1 실시예의 반대 방향으로 엇갈린 2중 비임(52)을 대체한다. 보유 비임(92)은 외측 모서리 상에 바브(93)를 갖는다.
도9의 변형된 암형 단자(40')의 기능적인 작동은, 2개의 단자가 단자의 비틀림 이동을 저항하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에서 도8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암형 단자(40)의 작동과 유사하다. 바꿔 말하면, 변형된 단자(40')의 2중 접촉 스프링 아암(46) 사이로 정합하는 수형 단자의 삽입은, 변형 단자(27')를 곡선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점차 비트는 경향이 있는 화살표 A 방향(도9)으로 스프링 아암들을 다시 분리시킨다. 비틀린 보유 비임(92)들은 통로의 사분면(74', 78')의 측벽(94)과 결합하고 비임 상의 바브(93)들은 통로의 사분면(74', 78')의 단부벽(96)들과 결합하여, 단자의 비틀림 이동을 방지하고 2중 접촉 스프링 아암(46)들과 삽입된 수형 단자 사이에 충분한 수직력을 유지한다. 부가적으로, 본체(42)는 또한 연결부(72)에 결합되어 스프링 접점 아암(46)들의 비틀림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중심 특성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예와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세부들로 한정되어서도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단자 배열을 통한 보유력을 분포시키는 보유 시스템, 특히 이격 2중 접촉 스프링 아암을 갖는 암형 단자들에 극히 유효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Claims (24)

  1. 긴 평면 본체부와,
    본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와,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본체부의 평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 스프링 아암을 가지며 수형 단자가 미끄럼 이동하여 수용되는 단자 입구-수형 단자가 상기 단자 수납 입구 내에 수용될 때 단자를 종축을 중심으로 소정 방향으로 비틀려고 함-를 사이에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접점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접점부와 접속부 사이에서 단자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바브를 갖는 보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유부는 본체부의 평면으로부터 대향한 측면들로 엇갈리고 단자의 상기한 비틀림을 막기 위하여 하우징의 적당한 부분에 억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바브를 갖는 한 쌍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비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촉 스프링 아암은 엇갈린 한 쌍의 비임과는 반대되는 방향으로 본체부의 평면으로부터 대향한 측면들로 엇갈려 있어서, 하나의 접촉 스프링 아암과 하나의 비임은 단자의 각각의 대향한 종방향 모서리를 따라 본체부의 평면의 대향한 측면들로 엇갈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측면 내측 모서리 상에 바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보유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 상에 보유 바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보유부와 상기 접점부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 상에 보유 바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보유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 상에 보유 바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비임은 단자의 본체부로부터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측면 내측 모서리 상에 바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보유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 상에 보유 바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보유부와 상기 접점부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 상에 보유 바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보유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 상에 보유 바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비임은 단자의 본체부로부터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전기 단자.
  13. 긴 평면 본체부와, 본체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속부와, 본체부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본체부의 평면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접촉 스프링 아암을 가지며 수형 단자가 미끄럼 이동하여 수용되는 단자 수납 입구를 그들 사이에 형성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접점부와,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접점부 사이에 보유 바브를 포함하는 보유부-보유부는 상기 한 쌍의 접촉 스프링 아암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본체부의 평면으로부터 대향한 측면들로 엇갈려 있어서 하나의 비임과 하나의 접촉 스프링 아암이 단자의 각각의 대향한 종방향 모서리를 따라 본체부의 평면의 대향한 측면들로 엇갈리도록 된 한 쌍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비임을 포함함-를 각각 포함하는 스탬핑 가공되어 성형되는 복수개의 금속 단자와,
    복수개의 단자 수납 통로를 내부에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의 일부는 H자형이고, 각 H자형 부분은 각 단자의 평면 본체부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 연결부와, 상기 단자의 통로 내로의 삽입 중에 각 단자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접촉 스프링 아암이 통과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1 다리부와, 각 단자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비임을 수용하기 위한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제2 다리부를 포함하고,
    비임의 외측 모서리는 상기 단자의 회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다리부의 벽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제2 다리부와 억지 끼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다리부 사이에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다리부 사이에 한 쌍의 이격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임은 소정 두께를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다리부는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두께는 상기 높이와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보유부와 상기 접점부 사이의 측면 외측 모서리 상에 전방 보유 바브를 갖고, 상기 보유부와 상기 접속부 사이의 상기 측면 외측 모서리 상에 후방 보유 바브를 가지며, 전방 보유 바브와 후방 보유 바브는 억지 끼움으로 상기 하우징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단자들은, 상기 단자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하는 중에, 상기 비임이 먼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보유부 내로 파고들고, 다음으로 상기 전방 보유 바브가 상기 연결부 내로 파고들며, 마지막으로 상기 후방 보유 바브가 상기 연결부 내로 파고드는 크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임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제1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각 스프링 아암은 상기 연결부에 대하여 제2 각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각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각도는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70017796A 1996-05-10 1997-05-09 보유수단을갖춘단자를갖는전기커넥터 KR100255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44,779 US5807142A (en) 1996-05-10 1996-05-10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US8/644,779 1996-05-10
US08/644,779 1996-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840A KR970077840A (ko) 1997-12-12
KR100255471B1 true KR100255471B1 (ko) 2000-05-01

Family

ID=2458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796A KR100255471B1 (ko) 1996-05-10 1997-05-09 보유수단을갖춘단자를갖는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07142A (ko)
EP (1) EP0806813B1 (ko)
JP (1) JP2838138B2 (ko)
KR (1) KR100255471B1 (ko)
CN (1) CN1098544C (ko)
DE (1) DE69730464T2 (ko)
MY (1) MY117496A (ko)
SG (1) SG66363A1 (ko)
TW (1) TW4099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94B1 (ko) 2010-08-23 2012-05-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외부로부터 수분유입을 방지하는 스위치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인히비터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860A (en) * 1998-01-31 2000-12-05 Berg Technology, Inc. Socket for electrical component
US5980271A (en) * 1998-04-15 1999-11-0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eader connector of a future bus and related compliant pins
DE19820144C1 (de) * 1998-05-06 2000-03-02 Harting Kgaa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6113438A (en) * 1999-06-16 2000-09-0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DE10116643C2 (de) * 2001-04-04 2003-07-03 Man B&W Diesel A/S, Copenhagen Sv Hubkolbenbrennkraftmaschine
US6783407B2 (en) 2003-01-31 2004-08-3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835107B2 (en) 2003-01-31 2004-12-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752666B1 (en) 2003-01-31 2004-06-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10340616B2 (en) * 2017-07-21 2019-07-0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structure for reducing terminal spac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1379U (ko) * 1987-01-30 1988-08-05
JPH01204377A (ja) * 1987-12-18 1989-08-16 Molex Inc 低挿入力の嵌合電気接点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40607A (fr) * 1961-12-28 1963-10-18 Nippon Electric Co Connecteurs électriques perfectionnés
US3281760A (en) * 1962-10-11 1966-10-25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s and connectors
DE1187323B (de) * 1963-10-19 1965-02-18 Sihn Kg Wilhelm Jun Fassung fuer Steckrelais
US3588862A (en) * 1969-04-29 1971-06-28 Giovanni Brizzi Lamellar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US3865462A (en) * 1973-03-07 1975-02-11 Amp Inc Preloaded contact and latchable housing assembly
US4186982A (en) * 1973-08-01 1980-02-05 Amp Incorporated Contact with split portion for engagement with substrate
US4217024A (en) * 1977-11-07 1980-08-12 Burroughs Corporation Dip socket having preloading and antiwicking features
US4175821A (en) * 1978-05-15 1979-11-27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US4241970A (en) * 1979-04-09 1980-12-3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ceptacle terminal
US4324451A (en) * 1979-11-19 1982-04-13 Elfab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with pull through bellows contact and lay-over insulator
US4429459A (en) * 1981-06-17 1984-02-0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 with cavity compensator
DE8235702U1 (de) * 1982-12-18 1984-10-25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 in einer Gehäusekammer steckendes, elektrisches Kontaktelement
US4679890A (en) * 1984-06-25 1987-07-14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Connector contact terminal
US4591230A (en) * 1984-06-29 1986-05-27 Frank Roldan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607907A (en) * 1984-08-24 1986-08-26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requiring low mating force
DE3572894D1 (en) * 1984-12-04 1989-10-12 Amp Inc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terminal having a compliant retention section
FR2581799B1 (fr) * 1985-05-07 1987-06-19 Cit Alcatel Contact et connecteur femelles
US4740180A (en) * 1987-03-16 1988-04-26 Molex Incorporated Low insertion force mating electrical contact
US4842528A (en) * 1987-03-27 1989-06-27 Amp Incorporated Solder post retention means
US4762507A (en) * 1987-04-24 1988-08-0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tact retention system, and tool for removal and method therefor
US4887976A (en) * 1988-08-18 1989-12-1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terminals for flat power cable
US5004426A (en) * 1989-09-19 1991-04-02 Teradyne, Inc. Electrically connecting
US5064391A (en) * 1990-09-27 1991-11-12 Amp Incorporated Asymmetrical high density contact retention
US5030138A (en) * 1990-10-02 1991-07-09 Amp Incorporated MLG connector for weld termination
US5112233A (en) * 1991-05-30 1992-05-12 Thomas & Bett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retention means
US5190483A (en) * 1992-02-14 1993-03-02 Amp Incorporated Contact retention
US5290181A (en) * 1993-01-29 1994-03-01 Molex Incorporated Low insertion force mating electrical contact structure
US5403209A (en) * 1993-08-09 1995-04-04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uniform contact receiving slots
DE9314676U1 (de) * 1993-09-28 1994-02-24 Siemens Ag Kontaktstift für Steckverbindung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1379U (ko) * 1987-01-30 1988-08-05
JPH01204377A (ja) * 1987-12-18 1989-08-16 Molex Inc 低挿入力の嵌合電気接点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94B1 (ko) 2010-08-23 2012-05-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외부로부터 수분유입을 방지하는 스위치 터미널 및 이를 이용한 인히비터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6813A2 (en) 1997-11-12
SG66363A1 (en) 1999-07-20
MY117496A (en) 2004-07-31
DE69730464D1 (de) 2004-10-07
CN1098544C (zh) 2003-01-08
US5807142A (en) 1998-09-15
DE69730464T2 (de) 2005-09-08
EP0806813B1 (en) 2004-09-01
EP0806813A3 (en) 1998-12-09
TW409957U (en) 2000-10-21
JPH10116643A (ja) 1998-05-06
CN1166705A (zh) 1997-12-03
KR970077840A (ko) 1997-12-12
JP2838138B2 (ja) 199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2928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retention means
KR100666067B1 (ko) 직교 접촉 아암 및 옵셋 접촉 영역을 갖는 전기 접촉자
US7232344B1 (en) High speed, card edge connector
US7070464B2 (en) Power connector
US558028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modules
JP2855197B2 (ja) 電気コネクタ
US5080596A (en) Connector with contact spacer plate providing greater lateral force on rear contacts
US4984998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5037334A (en) Connector with equal lateral force contact spacer plate
US4891021A (en) High density socket contact receptacle
EP066044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retention
US6095826A (en) Press fit circuit board connector
US5906518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6527579B2 (en) Connector-shaking prevention structure
US4984996A (en)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KR100255471B1 (ko) 보유수단을갖춘단자를갖는전기커넥터
CA106919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US20090142958A1 (en) Connector
US20090081905A1 (en) Electrical connector
US5071372A (en) Connector with contact spacer plate having tapered channels
EP065796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terminal retention means
US4752246A (en) Preloaded spring contact electrical terminal
US6589080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WO199603283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5190483A (en) Contact ret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