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354B1 -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354B1
KR100255354B1 KR1019980015728A KR19980015728A KR100255354B1 KR 100255354 B1 KR100255354 B1 KR 100255354B1 KR 1019980015728 A KR1019980015728 A KR 1019980015728A KR 19980015728 A KR19980015728 A KR 19980015728A KR 100255354 B1 KR100255354 B1 KR 100255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eeding
pressure
lev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685A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5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354B1/ko
Priority to EP99303442A priority patent/EP0953455B1/en
Priority to DE69911107T priority patent/DE69911107T2/de
Priority to US09/302,429 priority patent/US6398438B1/en
Priority to JP12426599A priority patent/JP3167982B2/ja
Publication of KR19990081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41J11/50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in which two or more papers or sets are separately fed in the same direction towards the prin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4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 B41J13/16Aprons or guides for the printing section movable for insertion or release of sheet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잉크젯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급지되는 용지를 분리시키도록 하는 2차 급지압을 필요시에만 단속해 주도록 개선된 급지장치에 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용지를 적재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급지판과 상기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로울러로 구성되는 급지장치에 있어, 상기 급지로울러 하측에 급지를 위한 동력을 전달하고 필요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크랭크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회전하면 1,2차 급지압을 주기 위해 회전하는 레버아암과, 상기 레버아암이 회전하면 상기 급지판을 들어올려 상기 급지로울러와 급지판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를 위한 1차급지압이 발생되게 하는 리프트레버를 가지며, 상기 리프터레버는 상기 레버아암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하여 상기 1차급지압 작용후 상기 레버아암이 더 회전하면 상기 1차급지압 작용점을 힌지점으로하여 2차급지압을 주기 위해 리프터레버가 상승되는 회전동작이 되고, 상기 리프터레버가 상승되게 회동하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패드홀더가 상기 급지로울러와 소정의 일정압력을 주는 2차급지압을 가지게 되고, 상기 1,2차 급지압은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역회전하면 패드홀더 및 리프트레버와 레버아암이 역동작하여 단속되도록 한것이며, 2차급지압이 필요시만 단속되기 때문에 후단백선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품질 향상이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본 발명은 잉크젯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급지되는 용지를 분리시키도록 하는 2차 급지압을 필요시에만 단속해 주도록 개선된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를 포함한 팩스밀리 및 사무자동화기기는 일반용지를 사용하고 있고,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들은 용지를 급지하는데 있어 낱장으로 급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지분리장치를 포함한 급지장치를 구성한다.
용지분리장치는 크게 구분하면 두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핑거를 이용하는 용지분리장치와 마찰패드를 이용하여 용지를 분리시켜 급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두가지 방법 모두는 캠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용지분리장치중에서 마찰패드방식에서는 용지를 분리시키기 위한 2차 급지압을 주도록 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단속하지 않고 항상 2차 급지압이 작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선행기술에서는 2차 급지압을 단속하지 않기 때문에 급지후 용지가 급지경로를 빠져 나갈 때 용지 후단에 흰백선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2차 급지압을 주기 위해서 용지를 누를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2차 급지압을 단속하지 않았기 때문에 급지시 항상 용지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서 급지경로를 먼저 빠져 나간 용지의 선단부가 먼저 인쇄되고, 이러한 급지과정으로 용지는 점차 인쇄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용지의 인쇄가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2차 급지압을 주는 매개체로부터 용지의 후단이 빠져 나가면서 급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2차 급지압을 주는 매개체에 의해 용지 후단은 강력하게 눌림되는 상태에서 갑자기 2차 급지압을 주는 매개체로부터 용지 후단이 이탈되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용지 이탈과 동시에 용지의 자체 탄성에 의해 급지로울러 외측으로 튀는 상태가 됨에 따라 용지 후단에 힌백선이 생기는 이상현상이 발생되는 치명적인 나쁜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용지급지를 위한 1차급지압과 용지분리를 위한 2차급지압을 주는 급지장치에서 용지에 이상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지장치에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게 하는 용지분리장치를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구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급지장치에서 급지를 위한 1차급지압과 용지분리를 위한 2차급지압 모두를 필요시에만 단속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지를 적재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급지판과 상기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로울러로 구성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로울러 하측에 급지를 위한 동력을 전달하고 필요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크랭크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회전하면 1,2차 급지압을 주기 위해 회전하는 레버아암과; 상기 레버아암이 회전하면 상기 급지판을 들어올려 상기 급지로울러와 급지판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를 위한 1차급지압이 발생되게 하는 리프트레버를 가지며; 상기 리프터레버는 상기 레버아암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하여 상기 1차급지압 작용후 상기 레버아암이 더 회전하면 상기 1차급지압 작용점을 힌지점으로하여 2차급지압을 주기 위해 리프터레버가 상승되는 회전동작이 되고; 상기 리프터레버가 상승되게 회동하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패드홀더가 상기 급지로울러와 소정의 일정압력을 주는 2차급지압을 가지게 되고; 상기 1,2차 급지압은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역회전하면 패드홀더 및 리프트레버와 레버아암이 역동작하여 단속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실시된 잉크젯 프린터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분리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분리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분리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실시된 프린터의 용지분리장치를 나타낸 일측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가 1차 급지압이 작용된 상태의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가 2차 급지압이 작용된 상태의 일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장치의 2차 급지압이 해제된 상태의 일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장치가 1,2차 급지압이 모두 해제된 상태의 일측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2차 급지압을 단속하는 상태를 보인 개략 작용 일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잉크카트리지 2 : 캐리지
5 : 급지로울러 7 : 용지위치감지센서
8 : 프릭션로울러 20 : 급지동력전환장치부
21 : 캐리지레버 22,23 : 구동 및 종동베벨기어
30 : 크랭크샤프트 40,40' : 급지장치부
41 : 패드하우징 42 : 힌지축
43 : 녹업플레이트 44 : 제1가압패드
45 : 용지받침부재 50 : 레버아암
52 : 힌지보스 60 : 리프트레버
61 : 힌지 62 : 제1가압레버부
64 : 제2가압부 70 : 당김탄력부재
80 : 제2가압용승강부재 81 : 제2가압용탄력부재
90 : 패드홀더 91 : 힌지
92 : 제2가압패드
본 발명이 실시된 급지장치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되는 화상형성장치의 하나인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 프린터는 잉크카트리지(1)를 탑재한 캐리지(2)가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용지 위에 인쇄를 하는 것으로서, 캐리지(2)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타이밍벨트(3)와 가이드샤프트(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캐리지(2)가 왕복운동하면서 잉크카트리지(1)에 의한 인쇄를 하는 인쇄행정구간의 하측에는 급지를 위한 급지로울러(5)가 설치되고, 그 하측으로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급지를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샤프트(30)가 상기 급지로울러(5)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30)는 급지를 위한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데 있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동력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행정구간 옆에 급지행정구간을 갖도록 하고 여기에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가 설치되도록하여 캐리지(2)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구동력을 얻어 크랭크샤프트(30)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크랭크샤프트(3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정,역모터(도시되지않음)를 이용하여 동력을 얻어 정,역회전 가능하게 할수도 있다.
여기서 캐리지(2)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샤프트(30)의 구동력을 얻게 되는 것을 일예로 들어 크랭크샤프트(30)의 회전을 설명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잉크카트리지(1)를 탑재한 캐리지(2)는 용지에 인쇄하는 동안에는 인쇄행정구간에서만 왕복운동하면서 인쇄를 실행하다가 1장의 용지가 인쇄가 완료됨으로써 다른 용지를 공급할 필요성이 있을때에만 급지행정구간으로 이동하여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의 캐리지레버(21)를 좌측으로 밀게 된다.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는 캐리지(2)에 의해 상단부가 밀려서 회동되는 캐리지레버(21)와, 상기 캐리지레버(21)의 회동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22)와, 상기 구동베벨기어(22)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배치되어 회동되는 종동베벨기어(23)와, 상기 구동 및 종동베벨기어(22)(23)가 내장되도록 하는 기어하우징(24)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동력전달장치부(20)는 캐리지(2)에 의해 캐리지레버(21)가 좌측으로 밀려서 회동되면 구동베벨기어(22) 및 이것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된 종동베벨기어(23)의 회전에 의해서 캐리지(2)의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이 되도록 전환되고, 이와같이 전환된 회전운동은 상기 종동베벨기어(23)와 직결되어 있는 크랭크샤프트(30)를 회전시키게 된다.
캐리지(2)가 급지행정구간에서 이동되는 관계와 상기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의 동작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지가 필요로 될 때 캐리지(2)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인쇄행정구간에서 급지행정구간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캐리지(2)는 좌측으로의 이동을 쉬지 않고 인쇄행정구간의 끝지점까지 이동한다. 이러한 캐리지(2) 이동을 정이동이라고 하고, 캐리지가 정이동시에는 용지가 급지장치에 의해서 급지되는 상태이며, 급지상태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캐리지(2)는 정이동후 다시 인쇄행정구간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역이동이라고 하고 캐리지(2)의 역이동시에는 1,2차로 나누어 역이동을 하게 된다. 즉, 캐리지(2)가 정이동을 완료하고 역이동하는 지점에서 급지행정구간 전체에서 1/3정도되는 지점까지 1차 역이동을 한후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2차 역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급지행정구간에서 캐리지(2)가 정,역이동을 하는 것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앤코더(10)를 캐리지(2)가 구비하고 있는 포지션감지센서(11)가 위치 감지를 하고 메인회로부에서 캐리지(2)의 이동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급지행정구간에서 캐리지(2)가 정,역이동을 함에 따라 이것에 의해 밀려서 회동되는 캐리지레버(21)는 캐리지가 정이동시 좌측으로 회동하는 한편 캐리지(2)의 1차 역이동 및 2차 역이동을 함에 따라 캐리지레버(21) 역시 우측으로 1차 역회전을 한후 잠시 정지하였다가 다시 2차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동작을 하는 캐리지레버(21)는 역회전시 탄력부재(25)에 의해서 당겨지므므로서 역회전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에 있는 구동 및 종동베벨기어(22)(23)도 정,역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종동베벨기어(23)에 직결된 크랭크샤프트(30)도 정,역회전을 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이후에 다시 설명되겠지만 캐리지(2)를 비롯하여 크랭크샤프트(30)에 이르기까지의 이동 및 회전동작에 있어서 정이동 및 정회전을 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것은 본 발명의 급지장치에서 용지를 급지 및 분리하기 위한 1,2차 급지압이 작용되는 상태 및 그 동작을 의미하고, 반대로 역이동 및 역회전시에는 급지를 위한 1,2차 급지압이 해제되고 또한 급지압 해제를 위한 동작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크랭크샤프트(30)는 급지로울러(5) 하부 후미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그 길이는 급지행정구간을 포함한 인쇄행정구간에 이르는 길다란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크랭크샤프트(30)에는 인쇄행정구간에 위치하는 급지장치부(40)가 적어도 2개소에 설치되어 크랭크샤프트(30)의 회전력을 부여받아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2개소의 급지장치부(40)(40') 중에 1개소의 급지장치부(40')는 정지된 상태를 갖도록 고정되게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급지장치부(4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것은 2개소의 급지장치부(40)(40') 사이에 용지가 적재되므로서 용지 크기에 맞추어 일측의 급지장치부(40)를 이동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급지장치부(40)(40')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및 그 결합 일측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이것을 참조하면,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의 일측으로 길게 설치되는 크랭크샤프트(30)에는 급지장치부(40)(40')가 갖는 패드하우징(41)이 크랭크샤프트(30)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패드하우징(41)은 길다란 바디부(41a)와 양측에 관통공(41b)을 갖는 급지동작부(41c)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관통공(41b)으로 크랭크샤프트(30)가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패드하우징(41)은 크랭크샤프트(3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고 다만 급지장치부(40)(40')를 구성하게 하는 하우징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패드하우징(41)의 바디부(41a)에는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녹업플레이트(43)가 설치된다. 상기 녹업플레이트(43)는 힌지축(42)으로 결합된 반대방향쪽이 회동 가능한 자유단부(43a)가 되고 그 상면에는 제1가압패드(4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양측의 급지장치부(40)(40')에 각각 구비하는 녹업플레이트(43) 위에는 길다란 용지받침부재(45)가 스크류(46)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므로 녹업플레이트(43)가 힌지(4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자유단부(43a)가 상승되면 용지받침부재(45)도 같이 상승되고, 상기 용지받침부재(45) 위에 적재된 용지(p)도 상승되게 된다.
도 4에서 부호 47은 일측 급지장치부(40')의 이동을 안내하고 소정의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조절대를 나타낸다. 이 조절대(47)는 그 상면에 톱니부(47a)를 가지고 있으며, 패드하우징(41)의 조절대관통공(41d)을 관통한다.
따라서, 좌,우로 이동 가능한 급지장치부(40')의 패드하우징(41)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조절대관통공(41d) 위쪽에 있는 스톱퍼(41e)가 톱니부(46a)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급지장치부(40') 전체가 이동되지 못하는 상태로 정착된다. 반대로 급지장치부(40')를 이동시키려고 할 때에는 스톱퍼(41e) 상단부를 위로 제껴서 톱니부(46a)로부터 해지되도록하여 좌,우로 이동시킬수 있다. 이러한 급지장치부(40')의 위치조절은 적재되는 용지(p)의 폭크기에 맞추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급지장치부(40)(40')가 갖는 패드하우징(41)의 급지동작부(41c)에는 레버아암(50)이 크랭크샤프트(30)에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일측 급지장치부(40)에 설치되는 레버아암(50)은 크랭크샤프트(30)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하여도 관계 없으나 이동이 필요한 다른 하나의 급지장치부에서는 크랭크샤프트(30)를 따라 좌,우로 레버아암(50)이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레버아암(50)은 크랭크샤프트(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으면서도 좌,우로 이동되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각공(51)을 형성하고 여기에 사각형태의 크랭크샤프트(30)가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이와같이 레버아암(50)이 크랭크샤프트(30)에 결합되면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크랭크샤프트(30)의 회전력을 레버아암(50)이 전달받을수 있으면서도 좌,우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레버아암(50)의 위치 이동은 패드하우징(41)을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되게 된다.
또한, 레버아암(50)은 전,후측에 힌지보스(52) 및 스프링걸림부(53)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보스(50)에는 리프트레버(60)의 힌지(61)가 결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된다.
리프트레버(60)는 전,후측에 제1가압레버부(62)와 스프링걸림부(63)를 구비하고, 중간에 제2가압부(64)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압레버부(62)는 리프트레버(60)의 조립시에 녹업플레이트(43)의 자유단부(43a)를 위쪽으로 들어올릴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설치된다.
레버아암(50) 및 리프트레버(60)의 스프링걸림부(53)(63)에는 당김탄력부재(70)가 설치되고, 상기 당김탄력부재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리프트레버(60)의 제2가압부(64) 위에는 제2가압용 승강부재(80)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80)는 급지동작부(41c) 양측에 있는 가이드홈(41f)을 따라 승,하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부재(80) 위에는 제2가압용 탄력부재(81)가 설치되고, 상기 탄력부재(81)는 급지동작부(41c)의 힌지공(41g)과 결합된 힌지(9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패드홀더(90)를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패드홀더(90)의 상면에는 급지로울러(5)와 면접촉되는 제2가압패드(92)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홀더(90)는 급지로울러(5)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패드홀더(90)를 회동 가능 할 수 있게 하는 힌지(91)가 용지진입부가 되는 하측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단부는 힌지(91)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것은 패드홀더(90)에 작용하게 되는 제2가압용 탄력부재(81)의 탄력이 제거되면 패드홀더(90)의 자중에 의해서 상단부가 신속히 하부방향으로 회동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용지(p)가 적재된 상태에서 미급지되고 있는 상태의 일측 단면을 보인 것으로서, 부호 6은 안내로울러이고, 7은 용지위치감지센서를 나타낸다. 또한 부호 8은 프릭션로울러이고, 9는 동력전달휠(9a)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배지로울러이며, 9'는 스타형 프릭션휠을 나타 낸다.
이 상태에서는 패드하우징(41)에 녹업플레이트(43)가 밀착되는 상태로 내려가 있으므로 적재된 용지(p)는 급지로울러(5)에 밀착되지 못하므로 용지(p)는 급지되지 못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급지장치에 의해서 용지(p)를 급지 및 분리시킬수 있는 1,2차급지압이 발생되는 상태를 보여 준다.
즉, 앞서 언급된바 있는 캐리지(2)가 용지 급지를 실행하기 위하여 급지행정구간으로 진입하는 정이동을 함으로써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에서 직선운동이 회전운동으로 전환되고, 그로인해 크랭크샤프트(30)가 정회전을 함에 따라 급지장치부(40)(40')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6에서 크랭크샤프트(30)의 정회전은 시계방향 회전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때는 레버아암(5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레버아암(50)에 있는 힌지보스(52)는 위쪽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되므로 리프트레버(60)의 힌지(61)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리프트레버(60)의 동작에 의해 그 리프트레버(60)가 가지고 있는 제1가압레버부(62)는 녹업플레이트(43)의 자유단부(43a)를 상승되게 하며, 그로인해 힌지축(42)을 중심으로하여 녹업플레이트(43)가 회동하게 되어 제1가압패드(44) 위에 적재된 용지(p)가 급지로울러(5)에 접촉되면서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가압상태는 1차 급지압이 발생된 상태이며, 2차 급지압은 다음에 순차적으로 발생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급지압이 발생된 상태에서 크랭크샤프트(30)가 더 회전하게 되어도 이때는 리프트레버(60)의 제1가압레버부(62)가 더 상승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때부터는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레버아암(50)의 힌지보스(52)가 더 회전됨에 따라 리프트레버(60)는 제1가압레버부(62)와 녹업플레이트(43)가 접촉된 지점을 힌지점으로하여 스프링걸림부(63)가 들려지는 상태로서 리프트레버(60)는 2차적인 동작을 한다.
그러므로 리프트레버(60)의 제2가압부(64)가 들려지게 되고, 그로인해 여기에 받쳐지고 있던 제2가압용 승강부재(80)가 가이드홈(41f)을 따라 직진되게 승강되는 동작을 한다.
그리고 승강되는 제2가압용 승강부재(80)는 제2가압용 탄력부재(81)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되는 탄력부재(81)는 패드홀더(9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제2가압패드(92)가 급지로울러(5)에 밀착되는 상태로 가압되게 된다.(도 10a 참조) 이와같이 패드홀더(90)가 급지로울러(5)를 가압하는 것이 2차 급지압이다.
상기한 1,2차 급지압은 엄밀하게는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것이지만 거의 1초 안에 연차적으로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로울러(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정회전되는 상태에 1,2차 급지압이 발생되는 것이므로 1차 급지압에 의해서는 제1가압패드(44) 상에 있는 용지(p)가 이송로울러(5)에 밀착되어 급지되는 상태가 되고, 패드홀더(90)에 의해서 가해지는 2차 급지압에 의해서는 1장의 용지(p)만이 급지되도록 하므로 용지분리가 되는 상태가 된다.
즉, 2차 급지압은 패드홀더(90)에 의해서 일정한 급지압이 급지로울러(5)에 작용되므로 여러장의 용지가 끼워 들어가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1장의 용지만이 분리되어 급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급지는 급지로울러(5)에 의해서 급지되는 용지(p)가 프릭션로울러(8)에 접촉되는 상태까지 급지되는 것으로서, 용지위치감지센서(7)를 급지되는 용지가 건들이게 되면 이것을 회로부에서 감지하고 급지로울러(5)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이 상태의 캐리지(2)는 급지행정구간에서 정이동을 완료한 상태이며, 그 즉시 역이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급지동력전환장치부(20)를 포함한 크랭크샤프트(30)는 역회전을 하게 되고, 그로인해 레버아암(50)도 역회전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역회전 동작은 1,2차 역회전동작으로 진행되고, 이것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캐리지(2)가 1차 역이동 동작후 잠시 정지되었다가 다시 2차 역이동 동작을 함으로써 진행되는 것이다.
도 8은 크랭크샤프트(30)가 1차 역회전 동작된 상태를 보여 준다. 이 상태는 레버아암(50)이 시계반대 방향으로 약간 역회전되는 상태로서, 리프트레버(60)의 제1가압레버부(62)는 녹업플레이트(43)를 그대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며, 그로인해 1차 급지압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즉, 크랭크샤프트(30)가 1차 역회전 동작을 하게 되면, 2차 급지압만 해제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2차 급지압을 부여하기 위해 들려져 있던 리프트레버(60)의 스프링걸림부(63)를 포함한 제2가압부(64)만 다시 내려가는 상태가 되고, 이때에 당김탄력부재(70)의 힘에 의해서 원만히 스프링걸림부(63)가 원위치 상태로 내려 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2가압부(64)도 내려가게 되고, 그로인해 제2가압용 승강부재(80)가 하강됨과 동시에 제2가압용 탄력부재(81)도 하강되는 상태가 되므로 탄력부재(81)의 탄성력은 상실되면서 내려감에 따라 패드홀더(90)에 작용하던 2차 급지압이 해제되어 패드홀더(90)에 있는 제2가압패드(92)는 급지로울러(5)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도 10b 참조)
이러한 패드홀더(90)의 이격과 동시에 급지로울러(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역회전을 한다. 그러므로 프릭션로울러(8)에 선단부가 접촉되고 있던 용지의 선단부는 밀려나는 상태가 되는 한편 용지(p)의 중간부는 급지로울러(5)와 안내로울러(6)에 물려 있기 때문에 프릭션로울러(8)의 역회전에 의해 선단부가 밀려나게 되는 용지는 휘어지게 되는 상태의 페이퍼컬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페이퍼컬 현상에 의해 휘어진 용지는 그 휨력이 선단부로 작용되므로 용지 선단부는 프릭션로울러(8)에 일직선 상태로 정렬되는 상태가 된다.
급지장치의 2차 급지압만 해제된 상태에서 용지선단부 정렬을 위한 급지로울러(5)의 역회전 동작은 순간적으로 작용되고, 그 즉시 1차 급지압이 해제되면서 급지로울러(5)는 다시 정회전(시계반대방향회전)하게 된다.
도 9는 급지장치의 1차 급지압 해제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는 캐리지(2)가 2차 역이동 동작을 함으로써 전환된 동력을 받는 크랭크샤프트(30)가 2차 역회전이 되므로서 동작된다.
즉, 크랭크샤프트(30)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고, 그로인해 레버아암(50)의 힌지보스(52)도 역회전하여 내려감에 따라 리프트레버(60)의 제1가압레버부(62)도 내려 가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녹업플레이트(43)의 자유단부(43a)는 내려가서 패드하우징(41)에 얹히는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급지로울러(5)와 용지(p)는 이격되는 상태가 되어 급지가 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와같이 1,2차 급지압이 해제된 상태에서 급지로울러(5)와 프릭션로울러(8) 사이에 물려 있는 용지(p)는 프린팅 명령을 받는 캐리지(2)의 인쇄행정구간에서의 왕복운동과 여기에 탑재된 잉크카트리지(1)에 의해 인쇄되는 것이다.
그리고 급지된 용지에 인쇄를 완료함으로써 다음장의 용지를 급지할 필요시가 되면 다시 1,2차 급지압이 작용되도록하여 새로운 1장의 용지만이 분리되면서 급지되게 되고, 이러한 급지가 완료되면 먼저 2차 급지압이 단속되고 그후에 2차 급지압이 단속되는 것이다.
또한, 급지와 더불어 2차급지압이 작용되어 용지분리가 이루어진 다음 도 10a에 보인 바와 같이 패드홀더(90)가 급지로울러(5)로부터 이격되게 되는 단속이 되고 이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1차 급지압도 해제되는 상태로서 급지되게 됨으로써 급지되기 시작한 용지(p)는 1,2차 급지압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로서 급지되면서 인쇄되게 된다.
그러므로 용지가 급지로울러에 의해 급지되는 과정에 어떠한 급지압을 받지 않게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용지후단부에 백선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2차급지압이 필요시에만 부여되고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를 제공하므로 급지 신뢰성을 가지게 되고 기존과 같은 용지 후단백선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품질 향상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지를 위한 1차 급지압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이용하여 2차 급지압을 부여되게 할 수 있고 단속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하고 원가절감 및 제품 신뢰성을 갖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8)

  1. 용지를 적재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급지판과 상기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급지로울러로 구성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로울러 하측에 급지를 위한 동력을 전달하고 필요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크랭크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회전하면 1,2차 급지압을 주기 위해 회전하는 레버아암과,
    상기 레버아암이 회전하면 상기 급지판을 들어올려 상기 급지로울러와 급지판에 적재된 용지가 급지를 위한 1차급지압이 발생되게 하는 리프트레버를 가지며,
    상기 리프터레버는 상기 레버아암과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하여 상기 1차급지압 작용후 상기 레버아암이 더 회전하면 상기 1차급지압 작용점을 힌지점으로하여 2차급지압을 주기 위해 리프터레버가 상승되는 회전동작이 되고,
    상기 리프터레버가 상승되게 회동하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패드홀더가 상기 급지로울러와 소정의 일정압력을 주는 2차급지압을 가지게 되고,
    상기 1,2차 급지압은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역회전하면 패드홀더 및 리프트레버와 레버아암이 역동작하여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아암이 리프트레버를 가압하는 힌지점은 크랭크샤프트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점은 레버아암의 힌지보스와 상기 힌지보스에 결합되는 리프트샤프트의 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레버는 1차 급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녹업플레이트의 자유단부를 들어주는 제1가압레버부와 2차 급지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들려지는 제2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아암과 리프트레버는 2차 급지압 단속시 상기 리프트레버 후단부를 원위치로 복귀되게 하는 당김탄력부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레버와 패드홀더 사이에는 수직으로 이동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가압되고 패드홀더를 가압하는 탄력을 갖는 제2가압용 탄력부재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급지압은 레버아암이 회전에 의해 리프트레버의 제1가압레버부가 녹업플레이트를 드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고, 2차 급지압은 상기 제1가압레버부와 녹업플레이트를 가압하는 지점을 힌지점으로하여 상기 리프트레버부의 중간부를 포함한 그 전체가 레버아암의 회전력으로 들려지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급지압과 2차 급지압은, 상기 2차 급지압이 먼저 해제되고 1차 급지압이 순차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홀더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후단부가 회동되고, 상기 후단부는 2차 급지압용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어 2차 급지압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KR1019980015728A 1998-04-30 1998-04-30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KR100255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728A KR100255354B1 (ko) 1998-04-30 1998-04-30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EP99303442A EP0953455B1 (en) 1998-04-30 1999-04-30 Sheet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DE69911107T DE69911107T2 (de) 1998-04-30 1999-04-30 Blattzuführgerät und Verfahren
US09/302,429 US6398438B1 (en) 1998-04-30 1999-04-30 Sheet feeding techniqu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12426599A JP3167982B2 (ja) 1998-04-30 1999-04-30 画像形成装置用給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5728A KR100255354B1 (ko) 1998-04-30 1998-04-30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685A KR19990081685A (ko) 1999-11-15
KR100255354B1 true KR100255354B1 (ko) 2000-05-01

Family

ID=1953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728A KR100255354B1 (ko) 1998-04-30 1998-04-30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3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685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4541A (en) Thermal printer apparatus
JP3584085B2 (ja) プリンタ
US6565077B2 (en) Paper feed apparatus
EP2448849B1 (en)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H021679B2 (ko)
JP3167982B2 (ja) 画像形成装置用給紙装置
KR100255354B1 (ko) 급지장치에있어서 2차급지압이 단속되는 용지분리장치
US10946663B2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EP0294055B1 (en) A paper feeding apparatus, e.g. for use in a printer
US6036381A (en) Book printer including support for accommodating bound portion
KR10025535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KR200179729Y1 (ko) 중송방지를 고려한 자동급지장치
JP2643218B2 (ja) 積層枚葉紙位置決め装置
JPH05208744A (ja) 給紙装置
US6505827B2 (en) Urging device provided with multiple loading member and paper feeding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JP2576471B2 (ja) プリンタの紙押さえ装置
JPH033592B2 (ko)
JPS59222373A (ja) 印字装置
JP2999439B2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
JP4105317B2 (ja) タグプリンタ
JP4116724B2 (ja) タグプリンタ
KR19990040416U (ko) 자동용지공급장치에 있어서 중송방지용 세퍼레이터구조
JPH0229028B2 (ko)
JP3795548B2 (ja) 給紙装置
JPH0441271A (ja)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