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798B1 -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798B1
KR100254798B1 KR1019980010937A KR19980010937A KR100254798B1 KR 100254798 B1 KR100254798 B1 KR 100254798B1 KR 1019980010937 A KR1019980010937 A KR 1019980010937A KR 19980010937 A KR19980010937 A KR 19980010937A KR 100254798 B1 KR100254798 B1 KR 100254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igh dielectric
dielectric
dielectric constant
mang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207A (ko
Inventor
김호기
박융
놀즈 캐빈
Original Assignee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윤덕용
Priority to KR101998001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798B1/ko
Priority to US09/265,296 priority patent/US6136739A/en
Publication of KR1999007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9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vanadium, niobium, tantalum, molybdenum or tungsten oxides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e.g. vanadates, niobates, tantalates, molybdates or tungstates
    • C04B35/497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vanadium, niobium, tantalum, molybdenum or tungsten oxides or solid solutions thereof with other oxides, e.g. vanadates, niobates, tantalates, molybdates or tungstates based on solid solutions with lead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H01G4/1209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 H01G4/1254Ceramic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ceramic dielectric material based on niobium or tungsteen, tantalum oxides or niobates, tanta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화연(Pbo) 삼산화철(Fe2O3) 오산화니오븀(Nb2O5) 오산화탄탈(Ta2O5) 등의 산화물로 합성된 (1-X) Pb(Fe1/2Nb1/2)O3- X Pb(Fe1/2Ta1/2)O32성분계에 배합비 X를 0.35≤X≤0.65으로 한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전체 자기 조성물로 망간(Mn) 산화물을 0.01 ~ 0.5 중량 % 또는 크롬 (Cr) 또는 코발트 (Co)의 천이 금속을 치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00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유전상수를 가지고 2% 미만의 손실계수를 가지는 유전체 자기 조성물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우수한 특성의 유전체 자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0,000이상의 높은 유전상수와 2%미만의 소실계수를 갖는 고유전율계 캐패시티용 자기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1,000℃ 이하의 온도에서 저온소결이 가능하고 동시에 유전손실계수의 온도특성이 우수한 유전체 자기소성물을 제공한다.
종래의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을 티탄산바륨 BaTiO3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지르콘산칼슘 CaZrO3주석산칼슘 CaSnO3등을 첨가한 복합유전체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들 세라믹은 통상 1200 내지 1400℃의 고온에서 소결되기 때문에 적층 콘덴서의 유전체로서 사용하면 내부전극으로 그 주성분이 백금 (Pt), 금 (Au), 팔라듐 (Pd) 등의 고가의 귀금속을 사용해야만 했다. 따라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은(Ag) 니켈(Ni) 등을 내부전극의 주성분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소결이 1000℃ 이하에서도 가능한 고유전율계 자기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미 일본 특허 공개 52-87700에서 Pb(Fe1/2Nb1/2)O3-Pb(Fe1/2Ta1/2)O3의 조성물이 제시되었고 일본특허공개 53-110500에서는 이 조성물에 실리콘 (Si) 망간 (Mn) 등을 첨가하여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킨 조성물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조성물은 유전손실계수의 온도특성이 나빠져 적층콘덴서를 제작할 경우 실용상의 문제점이 많이 있었다.
또한 Pb(B1,B2)O3를 기본으로 한 조성물로 저온 소성이 가능하고 넓은 유전상수을 가지고 한편 사용 온도 범위에서 안정된 온도 특성을 가지는 유전완화형 유전체에 관한 것 (① T. R. Shrout and A. Halliyal, "Preparation of Lead-Based Ferroelectric Relaxors for Capacitors", Am. Ceram. Soc. Bull., 66[4], 704 (1987). ② M. T. Lanagan, N. Yang, D. C. Dube, and S. J. Jang, "Dielectric Behavior of the Relaxor Pb[Mg 1/3Nb2/3]O3-PbTiO3 Solid-Solution System in the Microwave Region" J. Am, Ceram. Soc., 72[3], 481-83 (1989) )이 있으나 본 발명과는 기술적 구성에 차이가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고온에서 소결되는 자기조성물은 적층콘덴서의 유전체로 사용할 때 고가의 귀금속을 내부전극으로 사용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값싸고 성능 좋은 Pb(Fe1/2Nb1/2)O3, Pb(Fe1/2Ta1/2)O3배합 물(mole)비 0.35 내지 0.65으로 이루어진 100중량%의 기본 2성분계에 망간(Mn) 또는 천이금속인 크롬(Cr) 코발트(Co), 산화물을 혼합 소성하여 우수한 특성의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은 산화연(Pbo) 삼산화철(Fe2O3) 오산화니오븀(Nb2O5) 오산화탄탈(Ta2O5) 등의 산화물로 합성된 (1-X) Pb(Fe1/2Nb1/2)O3- X Pb(Fe1/2Ta1/2)O32성분계에 배합비 X를 0.35≤X≤0.65으로 한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전체 자기 조성물로 망간(Mn) 산화물을 0.01 ~ 0.5 중량 % 또는 크롬 (Cr) 또는 코발트 (Co)의 천이 금속을 치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00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유전상수를 가지고 2% 미만의 손실계수를 가지는 유전체 자기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 1-29]
이하의 실시예 1에 제시된 조성물을 공지의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하여 평가하면 먼저 99.5% 이상의 순도를 가진 산화연 Pbo, 삼산화철 Fe2O3, 오산화탄탈 Ta2O5, 오산화니오븀 (Nb2O5) 및 망간(Mn) 산화물 및 크롬 (Cr) 코발트 (Co)를 분말 형태로 한 후 [표1]에 표시된 조성물이 얻어지도록 평량한다.
이 평량된 분말을 볼밀링법(Ball Milling)에 의하여 습식으로 혼합한 후 800℃에서 1시간 하소 (강열하여 휘발성을 없애고 재로 만듬)한 다음 하소된 물질을 분쇄하여 미세한 분말을 얻은 후 0.7 Ton/㎠의 압력을 가하여 지름 12mm 두께 0.6~0.8mm의 원판으로 성형한다.
이성형된 원판을 900~100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소결한 다음 은 (Ag) 전극을 600~700℃에서 가열 부착한다. 이와같은 공정으로 제작된 시편들의 전기적특성을 조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는 비교제를 나타낸 시료이고
+는 본 발명제를 나타낸 시료이고
#는 부성분 망간 산화물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 임.
표 1에서 유전상수 (K) 및 유전손실계수 (tanδ)는 LCR 메터를 사용하여 25℃에서 1kHz로 측정하였고 비저항은 고저항 메터를 사용하여 직류전압 100V에서 측정한바 표 1의 시료번호 5, 12, 19는 부성분으로서 망간 (Mn) 산화물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인데 이 조성물은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저항이 작아서 세라믹콘덴서의 유전체 조성물로서 적합하지 않다.
이때 시료번호 5,12,19에 망간 (Mn) 산화물을 각각 0.05 및 0.2 중량% 첨가시 비저항이 103정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망간 (Mn) 산화물의 첨가량을 0.01 내지 0.5 중량%로 제한한 이유는 망간 (Mn) 산화물이 0.01 중량%보다 적게 들어가면 저기저항의 증가가 현저하지 못하고 망간 (Mn) 산화물이 0.5 중량% 보다 많이 들어가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망간 산화물의 첨가량을 0.01 내지 0.5 중량%로 하되 Pb(Fe1/2Nb1/2)O3, Pb(Fe1/2Ta1/2)O3의 2성분 배합 (mole%) 비율이 0.2 내지 0.8로 하여 측정한 결과 표1에 시료번호 1 내지 4, 26 내지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저항의 변화는 거의 변화가 없으나 유전상수 (K)가 7500 내지 9500이 나타나고 유전손실계수 (tanδ)는 2.5 내지 4.7% 정도로 온도특성이 망간 (Mn) 산화물을 첨가하지 않을 때보다는 우수해졌지만 표 1에서 시료번호 6, 7, 21에서와 같이 Pb(Fe1/2Nb1/2)O3, Pb(Fe1/2Ta1/2)O3의 배합비를 0.4 내지 0.6%으로 하고 이에 망간 (Mn) 산화물의 첨가량을 0.05 및 0.2중량% 첨가하여 측정한 결과 실온 25℃에서 시료 6에서는 유전상수 19100이고 유전손실계수는 0.4%이며 시료 7에서는 유전상수가 14500이고 유전손실계수는 1.1%이며 시료 20 및 시료 21에서는 유전상수 14200, 13900이고 유전손실계수는 0.8, 1.9%가 각각 나타나 보임으로써 유전손실계수의 온도 특성이 극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Pb(Fe1/2Nb1/2)O3, Pb(Fe1/2Ta1/2)O3의 2성분계에 부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물질이 저온부에서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전손실계수가 약 6%를 나타남과는 달리 본 발명은 -55 내지 125℃ 온도영역에서 유전손실계수가 2% 미만을 나타냄으로써 우수한 유전체 자기 조성물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은 유전상수가 15000 내지 20000 이므로 유전상수 (K)의 온도변화율이 세라믹 콘덴서로 사용하기 적당한 유전체로서 유전손실계수 (tanδ)가 -55 내지 125℃내에서 2%를 넘지 않는 우수한 특성과 1,000℃ 이하에서 소결가능 하므로 내부전극으로 은 (Ag)을 주성분으로 하는 적층형 세라믹 콘덴서의 유전체로서 사용하기 적합하여 고가의 귀금속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경제적인 유전체 자기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Pb(Fe1/2Nb1/2)O3및 Pb(Fe1/2Ta1/2)O3로 이루어진 2성분계에 부성분으로 망간 (Mn) 산화물을 함유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1-X) Pb(Fe1/2Nb1/2)O3- X Pb(Fe1/2Ta1/2)O3의 2성분계 조성물의 배합 비를 0.35≤X≤0.65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주성분 조성물에 함유되는 망간 (Mn) 산화물을 0.01 내지 0.5 중량 % 함유 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주성분 조성물에 크롬 (Cr) 코발트 (Co)의 천이 금속을 치환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KR1019980010937A 1998-03-30 1998-03-30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KR100254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937A KR100254798B1 (ko) 1998-03-30 1998-03-30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US09/265,296 US6136739A (en) 1998-03-30 1999-03-09 High dielectric ceramic capacito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937A KR100254798B1 (ko) 1998-03-30 1998-03-30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207A KR19990076207A (ko) 1999-10-15
KR100254798B1 true KR100254798B1 (ko) 2000-05-01

Family

ID=1953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937A KR100254798B1 (ko) 1998-03-30 1998-03-30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36739A (ko)
KR (1) KR100254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67842C1 (ru) * 2000-07-25 2001-05-27 Ненашева Елизавета Аркадьевна Керамический материал на основе цинкзамещенного ниобата висмут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8938A (en) * 1976-01-16 1978-03-14 Nippon Electric Company, Ltd. Ceramic compositions having high dielectric constant
JPS61158616A (ja) * 1984-12-28 1986-07-18 株式会社デンソー 高周波吸収セラミツクス
JPS61248303A (ja) * 1985-04-24 1986-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高周波吸収セラミツクス
JPH0798680B2 (ja) * 1989-11-13 1995-10-25 堺化学工業株式会社 鉛系ペロブスカイト型セラミックスの原料粉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207A (ko) 1999-10-15
US6136739A (en) 2000-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52158A (ja) セラミツクコンデンサ
US4287075A (en) High dielectric constant type ceramic composition consisting essentially of Pb(Fe1/2 Nb1/2)O3 -Pb(Mg1/3 Nb2/3)O3 -Pb(Mg1/2 W1/2)O3
US4882652A (en) High dielectric constant type ceramic composition
US4216102A (en) High dielectric constant type ceramic composition consisting essentially of Pb(Fe1/2 Nb1/2)O3 -Pb(Mg1/3 Nb2/3)O3
EP0180132B1 (en) High dielectric constant type ceramic composition
US4236928A (en) Ceramic compositions
KR100254798B1 (ko) 고유전율계 캐패시터용 자기 조성물
KR0161099B1 (ko) 유전체 세라믹 조성물
JPS6227026B2 (ko)
JPS6128621B2 (ko)
US4954464A (en) Low temperature sintered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KR940004142B1 (ko) 고유전율계 세라믹 콘덴서용 조성물
KR100254797B1 (ko) 고유전율계 캐패시터 조성물
JP2666262B2 (ja) TiO2を主たる成分とする誘電体セラミクスに用いられる焼結助剤
US6180547B1 (en) High dielectric ceramic composition
JPH0629140B2 (ja) 圧電素子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4799B1 (ko) 저온 소결 유전체 자기조성물
KR910009011B1 (ko) 고유전율계 세라믹 조성물
JP2666263B2 (ja) TiO2を主たる成分とする誘電体セラミクスに用いられる焼結助剤
JP2666264B2 (ja) TiO2を主たる成分とする誘電体セラミクスに用いられる焼結助剤
JPS6216481B2 (ko)
KR920006729B1 (ko) 고 유전율계 세라믹 조성물
JP2837516B2 (ja) 誘電体磁器コンデンサ
EP0208234A1 (en) High permittivity ceramic composition
JPH0517222A (ja) 温度補償用磁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