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144B1 - 이동체통신방식 - Google Patents

이동체통신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144B1
KR100253144B1 KR1019970002912A KR19970002912A KR100253144B1 KR 100253144 B1 KR100253144 B1 KR 100253144B1 KR 1019970002912 A KR1019970002912 A KR 1019970002912A KR 19970002912 A KR19970002912 A KR 19970002912A KR 100253144 B1 KR100253144 B1 KR 10025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mobile station
call
mobil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024A (ko
Inventor
히데오 오비
Original Assignee
소가 마사히로
히다치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가 마사히로, 히다치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가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97006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한 존에서 이미 통화중의 이동국이 있던 경우라도 혼신의 염려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통화중 이동국(1)이 인접하는 존간을 이동하였을 때, 진입지의 존에 통화중의 다른 이동국(2)이 존재하였을 때는 새로이 진입하여 온 이동국(1)의 통화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도록 하거나 또는 통화중의 이동국(1)이 인접하는 존간을 이동하였을 때, 진입지의 존에 이미 통화중의 다른 이동국(2)이 존재하였을 때는 이들 이동국(1, 2)내, 설정되어 있는 우선순위가 낮은 쪽의 이동국의 통화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도록 한 이동체통신방식이다.

Description

이동체통신방식{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E UNITS}
본 발명은 복수의 기지국과, 이들 기지국간을 이동하는 이동국간에서의 통신을 이동국의 이동에 따라 순차 각 기지국을 변환하여 행하도록 한 이동체통신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수송시스템 등의 전용궤도를 사용하는 수송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이동체통신방식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이동체통신시스템은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도 1의 시스템에 있어서, 1은 A열차의 이동국, 2는 B열차의 이동국, 3은 누설동축케이블(LCX)이며, 궤도를 따라 각 기지국마다 소정의 범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안테나로도 대체가능한 것이다.
4는 N번의 기지국, 5는 N+1번의 기지국, 6은 회선제어장치, 7은 C1번의 고정국(조작반), 8은 C2번의 고정국(조작반)이다.
이동국(1, 2)은 각각의 열차내에 설치되며, 이들과 각 고정국(7, 8)은 회선제어장치(6)의 제어에 의거하여 각 기지국(4, 5)의 누설동축케이블(3)을 거쳐 전파에 의하여 쌍방향통신을 행하는 복신상태로 되어 있다.
각 기지국(4, 5)은 누설동축케이블(3)에 의한 통신가능범위 즉 통화존(이하, 존이라 함)을 가진다. 각 이동국(1, 2)은 열차의 이동에 따라 순번대로 존으로 진입한다. 이동국(1, 2)이 존으로 진입할 때마다 그 진입한 존의 기지국과 통신가능하도록 통신상대를 변환하여 이동국이 존간을 순차로 이동하여 가더라도 연속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에 있어서, 고정국(7)에서 이동국(1)을 호출하였을 때, 고정국(7)에서 회선제어장치(6)에 대하여 호출지의 이동국(1)의 고유열차번호를 포함하는 소정비트수의 데이터신호가 출력된다. 이 호출지의 이동국(1)의 열차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신호는 회선제어장치(6)내의 MSK(Minimum Shift Keying)모뎀에 의하여 MSK변조되며 또한 기지국(4)내의 무선기로 고주파신호로 변조되어 누설동축케이블(3) 및 무선회로를 거쳐 이동국(1)으로 전송된다.
한편, 이 데이터신호를 수신, 복조한 이동국(1)은 이동국(1)의 열차번호를 포함하는 소정비트수의 응답신호를 마찬가지로 MSK변조한 다음, 기지국(4)을 거쳐 회선제어장치(6)로 반송한다. 회선제어장치(6)에서는 고정국(7)으로부터의 호출신호와, 이동국(1)으로부터의 MSK변조된 응답신호에 포함되는 이동국(1)의 열차번호를 조회하여 이들이 일치하면 이동국(1)으로부터 소정의 응답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이후 고정국(7)과 이동국(1)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회선을 설정(회선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이와같이 하여 기지국(4)과 이동국(1)은 모두 복신상태(duplex)가 되어 고정국(7)과 이동국(1)은 통신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기지국(4)에서는 이동국(1)으로부터의 수신신호강도를 항시 감시하여 수신신호강도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레벨이상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하여 통화회선을 유지하여 둔다.
그런데 이와같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이 통화중의 어느 존으로부터 인접존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통화계속을 위한 순서는 종래부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고정국(7)과 이동국(1)이 기지국(4)을 거쳐 통화상태에 있을 때는 도 3의 시각(to)보다 이전이다.
계속해서 A열차가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주행하여 이동국(1)이 인접하는 N+1번의 기지국(5)의 존에 접근하였다고 하면, 이윽고, 인접기지국(5)에서도 이동국(1)으로부터의 수신전파가 수신되게 된다.
그리고 이 때의 기지국(5)에서의 수신신호강도가 상기한 기준레벨이상이 되면, 기지국(5)의 수신기의 스쿠엘치(squelch)가 개방된다.
여기서 스쿠엘치가 개방된다란, 스쿠엘치기능(잡음억압기능)을 동작시키지 않는 것, 즉 수신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스쿠엘치가 폐쇄된다」란 스쿠엘치기능(잡음억압기능)을 동작시키는 즉 수신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 스쿠엘치의 동작을 이용하여 그것이 개방된 시점(to)에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1)으로부터의 수신신호와 기지국(5)의 번호가 회선제어장치(6)에 전송되게 하고, 이 결과,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기지국(5)에 새로이 착신이 있었던 것을 회선제어장치(6)에서 검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아직 앞의 N번의 기지국(4)에 의한 회선이 살아있으므로 회선제어장치(6)는 새로이 N+1번의 기지국(5)에 의한 수신회선은 형성시키지 않는다.
그래서 다시 A열차가 주행하여 이동국(1)이 완전하게 인접기지국(5)의 존으로 이동하면, 앞의 존 기지국(4)에서는 이동국(1)으로부터의 수신신호강도가 시점(t1)에서 기준레벨이하가 되고 이로써 기지국(4)의 무선기의 스쿠엘치가 폐쇄되어 스쿠엘치기능을 동작시켜 수신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하고, 도 2의(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선제어장치(6)에 대한 기지국(4)으로부터의 착신신호의 송출이 정지된다.
그래서 회선제어장치(6)는 이 스쿠엘치가 폐쇄된 시점(t1)에서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의 존 기지국(4)에 대해서는 송신정지를 행함과 동시에 도 2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새로운 존 기지국(5)에 대해서는 송신기동을 행한다.
즉, 이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회선제어장치(6)는 어느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4)을 거쳐 통화회선이 형성되어 있었을 때, 이것에 인접한 기지국, 또는 기지국(5)에서 먼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레벨이상의 수신신호가 검출되고, 그후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금까지 얻어진 기지국(4)으로부터의 수신신호가 어느 레벨이하로 저하된 것을 조건으로하여 인접한 다음 기지국(5)으로의 회선접속의 변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에 고정국(7)은 이 새로운 기지국(5)의 존을 경유하여 도 2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1)에 대하여 열차번호요구신호를 송신한다. 이동국(1)은 이것에 응답하여 도 2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차번호를 반송한다. 이어서 회선제어장치(6)는 이동국(1)으로부터 반송된 열차번호를 수신하고, 이것을 앞의 존에서 통화하고 있던 이동국의 열차번화와 조회하여 이들이 일치한 경우는 도 2의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각(t2)에서 고정국(7)의 음성회선을 새로운 기지국(5)의 회선으로 다시 접속한다. 이 접속변환을 요구한 짧은 시간의 순단기간(Ts)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통화를 계속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열차번호가 일치하지 않았을 때는 회선의 접속을 보류하여 추적을 행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동작은 이동국(1)과 고정국(7)이 접속된 경우이나, 고정국(8)이 접속되었을 때에도 동일하며, 단지 고정국(7)대신 고정국(8)을 치환하여 두는 것으로 좋고, 또 이동국(1)이 이동국(2)을 대신하였을 때에도 마찬가지다.
이상 설명한 종래기술을 인접한 존에서 이미 통화중의 이동국이 있었던 경우에 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아 이동국의 이동시 혼신을 야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어느 존에서 통화중인 이동국이 있으면, 그 존의 기지국에서는 이미 수신기의 스쿠엘치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따라서 이 존에 인접하는 존으로부터 다른 이동국이 진입하여 이 이동국으로부터의 전파가 수신되었다고 하여도 이미 개방되어 있는 스쿠엘치의 동작에는 아무런 영향도 생기지 않기 때문에 회선제어장치에서는 새로운 착신검출을 할 수 없고 아무런 제어도 행하여지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회선제어장치(6)는 어느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4)을 거쳐 이동국(1)과 통화회선이 형성되어 있을 때, 이것에 인접한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5)에서 먼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레벨이상의 수신신호가 검출되고, 그후,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때까지 얻어져 있던 기지국(4)으로부터의 수신신호가 어느 레벨이하으로 저하한 것을 조건으로하여 인접한 다음 기지국(5)으로의 회선접속의 변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인접한 다음 기지국(5)에서도 그 존에 다른 이동국이 있어 이것과 통화회선이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새로이 진입하여 온 이동국(1)에 의한 전파가 수신되어도 도 2의 (a)에 나타낸 새로운 수신신호의 검출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이동국(1)에 대한 제어는 아무것도 행하여지지 않는 것이다.
이 결과, 새로이 진입하여 온 다른 이동국도 이 존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동일주파수의 전파를 수신하여 통화를 계속하게 되고 따라서 이미 통화중인 이동국과의 혼신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한 존에서 이미 통화중인 이동국이 있던 경우라도 혼신의 염려가 없는 이동체통신방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체통신방식이 적용대상이 되는 이동체통신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이동체통신시스템의 종래예에 의한 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이동체통신방식의 본 실시예 1에 의한 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4는 도3에 나타낸 동작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이동체통신방식의 실시예 2에 의한 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동작의 흐름도이다.
제 1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통화중인 이동국이 인접하는 존사이를 이동하였을 때, 진입지의 존에 통화중인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였을 때는 새로이 진입하여 온 이동국의 통화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도록 하여 달성된다.
또 제 2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각 이동국에서 그곳에서의 통화에 관하여 미리 소정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두고 통화중인 이동국이 인접하는 존사이를 이동하였을 때, 진입지의 존에 이미 통화중인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였을 때는 이들 이동국중 설정되어 있는 우선순위가 낮은 쪽의 이동국의 통화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도록 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체통신방식에 관하여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첫째로, 기지국에 대한 이동국의 위치등록방법 및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호연결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이동국의 위치정보(즉, 각 이동국이 소재하는 기지국 존의 정보)의 등록처리는 고정국으로부터 각 이동국을 발호할 때에 연동하여 행하여지고, 등록한 이동국의 위치정보의 관리는 시스템 내의 회선제어장치가 행한다. 이하에 그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정국의 지령원은 고정국 내에 설치된 조작반의 키를 조작하여, 아직 위치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호출대상의 이동국의 열차번호를 설정입력하여 이동국의 발호를 행한다. 여기서 열차번호는 각 이동국마다 고유의 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회선제어장치는 고정국으로부터의 발호를 받았을 때, 대상이 되는 이동국의 열차번호정보를 부가한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지정된 기지국 또는 모든 기지국을 경유하여 각 이동국을 향하여 호출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이 호출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이동국 중, 해당하는 열차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은 스스로의 열차번호정보를 부가하여 응답신호를 반송한다. 시스템 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지국 중, 이 이동국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은 해당하는 이동국으로부터 착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착신신호와, 자국의 기지국번호정보와, 응답신호를 반송한 이동국의 열차번호정보를 회선제어장치로 반송한다.
회선제어장치에서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착신신호, 기지국번호정보, 열차번호정보를 수신하고, 회선제어장치 내의 신호처리부에 있어서 앞서 송신한 열차번호정보와, 수신한 열차번호정보를 비교 조합하고, 열차번호정보가 일치하였을 때에는 고정국과 이동국간의 통신회선의 접속제어를 행한다. 또, 아울러 회선제어장치는 1) 수신한 기지국번호정보와, 2) 이동국의 열차번호정보를 대응시켜 장치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통화를 개시하는 이동국의 위치정보(이동국이 소재하는 기지국지역의 정보)를 등록한다.
여기서, 이미 위치정보(소재하는 기지국지역의 정보)를 등록한 이동국이, 통화중에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 존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이동지의 기지국으로부터 그 기지국번호정보와, 대상으로 하는 이동국의 열차번호와, 새로운 착신신호가 회선제어장치로 송신된다. 회선제어장치는 이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의 착신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아울러 수신한 이동국의 열차번호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이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의 착신이, 통화계속중인 이동국이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 존으로 이동한 것에 의한 것인 가, 또는 전혀 새로운 이동국으로부터의 발호응답에 대응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판정을 행한다.
만약,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의 착신이, 통화계속중인 이동국이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 존으로 이동한 것에 의한 것이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회선제어장치는 상기 메모리 내에 있어서 앞서 저장한 1)기지국번호정보와 2)이동국의 열차번호정보 중 1)기지국번호정보를 바꿔써서 통화중인 이동국의 위치등록의 갱신을 행한다.
또, 새로운 기지국으로부터의 착신이, 새로운 이동국으로부터의 발호응답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정하였을 때에는 회선제어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1)기지국번호정보와 2)이동국의 열차번호정보를 대응시켜 장치 내의 메모리에 격납하여 이동국의 위치정보를 등록처리한다.
또한, 회선제어장치는 통화 종료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해당하는 이동국에 대하여 복구신호를 송출하여 통신회선을 복구시키는 동시에, 앞서 메모리 내에 저장한 해당하는 이동국의 열차번호정보와, 대응하는 기지국번호정보를 각각 소거하여 위치정보의 등록을 취소한다. 이와 같이 하여 통화를 행하는 이동국의 위치정보의 등록처리 및 취소처리가 행하여 진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대상이 되는 이동체통신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내면, 그 블록으로 나타낸 전체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상기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기 종래기술과 다른 점은 회선제어장치(6)의 동작에 있으며, 이것에 의한 통화계속을 위한 제어가 실시예 1과 실시예 2로 각각 이하의 설명과 같은 동작을 하는 점에 있다.
(실시예 1)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회선제어장치(6)에 의하여 실행되는 통화계속을 위한 제어순서에 관하여 도 3 및 도 4에 의하여 설명한다.
현재 어느 시각(t0)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열차의 이동국(1)은 N번의 기지국(4)의 존내에 있고 C1번의 고정국(7)과 통화하고 있으며, B열차의 이동국(2)은 N+1번의 기지국(5)의 존내에서 통화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 경우, 이동국(1, 2) 및 기지국(4, 5)은 모두 복신이기 때문에 각각 항시 수신입력을 검출하고 있으며, 이 결과, 기지국(4, 5)은 수신신호를 연속하여 회선제어장치(6)로 송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 회선제어장치(6)는 회선설정시 그 회선에서 통화를 개시한 이동국의 열차번호와 기지국의 번호를 각각 메모리에 기억하여 두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회선제어장치(6)는 각 기지국(4, 5)의 무선기의 스쿠엘치상태를 감시하고 있다(스텝 41, 42).
여기서 열차A가 주행하여 기지국(4)의 존으로부터 기지국(5)의 존으로 진입하였다고 하면, 이에 따라 기지국(4)에서의 수신신호의 레벨이 저하하여 간다. 그리고 이윽고 시각(t1)에서 기준레벨이하로 되었다고 하면, 이 시점에서 기지국(4)의 수신기의 스쿠엘치가 폐쇄되어 수신신호의 송출이 정지되기 때문에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선제어장치(6)는 수신기(4)의 스쿠엘치의 폐쇄를 검출함(스텝 42)과 동시에 기지국(5)의 스쿠엘치의 개방을 검출한다(스텝 43). 스텝 43에서 NO라고 판단되면, 이동국(1)은 기지국(5)을 경유하여 고정국(7)과 통화가 계속된다(스텝 44). 여기서 NO라고 판단되면, 기지국(5)은 다른 이동국(2)과 통화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동국(1)의 송신을 정지하는 것이 필요한 것을 검지한다.
그래서 회선제어장치(6)는 이 기지국(4)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송출정지를 검출한 것과 이 송출정지가 검출된 시각(t1)이전은 인접하는 기지국(4, 5)의 쌍방이 통화상태에 있던 것을 조건으로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일련의 제어를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도 3의 (e),(i)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선제어장치(6)는 N번의 기지국 (4)으로 송신정지신호를 보내고, 고정국(7)에는 통화를 종료(종화)시키는 복구신호를 보낸다(스텝 45).
이 결과, 기지국(4)에서는 송신을 정지시키고, 고정국(7)에서는 통화를 종료 (종화)시키게 된다.
다음에 도 3의 (j)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선제어장치(6)는 N+1번의 기지국 (5)을 경유하여 이동국(1)으로 기지국(4)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송출정지를 초래한 이동국(1)의 열차번호, 즉 A열차의 열차번호와 이동국에 대하여 종화를 지령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신호, 즉 복구신호를 송신한다(스텝 46).
또한 이동국(1, 2)의 통화장치에는 자기의 열차번호를 식별하는 기능과, 복구신호에 따라 통화를 종료시키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는 기지국(5)의 존내에는 A열차, B열차의 쌍방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5)을 경유하여 송신된 A열차의 열차번호와 복구신호는 이동국(1, 2)쌍방에서 수신된다.
그래서 먼저 이동국(1)에서는 수신한 열차번호가 일치하기 때문에 통화장치로부터 소정의 절단음을 울리게 하여 강제절단한다. 그 결과, 회선제어장치(6)는 이동국(1)의 열차번호를 수신하는 일은 없어지기 때문에 이동국(1)의 통신회선을 절단한다(스텝 47, 48).
한편, 이동국(2)에서는 수신한 열차번호는 일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통화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C2번의 고정국(8)과 통화를 그대로 계속한다(스텝 49).
따라서 이 실시예 1에 의하면, 통화중의 이동국이 인접하는 존사이를 이동하였을 때, 진입지의 존에 통화중의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였을 때는 새로이 진입하여 온 이동국의 통화회선이 강제적으로 차단되게 되기 때문에 존사이에서의 이동국의 이동시 혼신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 1에 의한 이동체통신시스템에서도 인접한 존, 예를 들어 N+1번의 기지국(5)의 존에서 이동체와 통화가 행하여지지 않았을 때(스텝 43에서 NO 로 판단)에는 도 3에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열차번호요구신호의 수신에 의한 존사이에서의 접속변환제어가 행하여지게 되어 있고, 따라서, 이 때는 이동국의 존간 이동시에도 그대로 계속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스텝 44).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통화중인 이동국이 인접하는 존사이를 이동하였을 때, 진입지의 존에 통화중의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였을 때는 새로이 진입하여 온 이동국의 통화회선이 강제적으로 차단되게 되기 때문에 존사이에서의 이동국의 이동시 혼신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나, 그러나 이때 이 실시예 1에서는 어쨌든 인접한 존으로 진입하여 온 이동국의 회선이 절단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철도차량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이동체통신시스템에서는 열차고장이나 장해발생, 또는 승객의 안전확보나 환자발생등, 긴급을 요하는 통화가 있어 이와같은 긴급통화에 관해서는 항상 확실하게 통화가 확보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 1에서는 인접한 존으로 새로이 진입하여 온 쪽의 이동국의 회선이 절단되기 때문에 혼신의 발생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나, 이때 새로이 진입하여 온 이동국에서의 통화가 가령 긴급을 요하는 통화였을 때에도 어쨌든 존이 바뀌면 강제적으로 절단되게 되어 긴급통화로서의 통화확보의 점에서 불만이 남는다.
이 실시예 2는 혼신의 발생이 억제됨과 동시에 긴급통신에 관한 통화확보도 충분히 얻어지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이동국에서 그곳에서의 통화에 관하여 미리 소정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두고 통화중인 이동국이 인접하는 존사이를 이동하였을 때. 진입지의 존에 이미 통화중의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였을 때는 이들 이동국중 설정되어 있는 우선순위가 낮은 쪽의 이동국의 통화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회선제어장치(6)에 의하여 실행되는 통화계속을 위한 제어순서에 관하여 도 5 및 도 6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실시예 2에 의한 이동국(1, 2) 및 고정국(7, 8)에는 각각 긴급통화발신용 스위치 등의 입력키가 입력장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통화발신시 그 통화가 긴급통화였을 때는 오퍼레이터는 이 입력키를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통화발신시 이 입력키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그 호출신호에 긴급통신인 것을 나타내는 우선순위 1이 설정되며, 이 입력키가 조작되지 않았을 때는 통상의 통화인 것을 나타내는 우선순위 2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것에 대응하여 회선제어장치(6)는 회선설정시 그 회선으로 통화를 개시한 이동국의 열차번호와 기지국번호에 더하여 그때의 통화의 우선순위를 기억하여 두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지금 어느 시각(t0)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열차의 이동국(1)은 N번의 기지국(4)의 존내에 있고 C1번의 고정국(7)과 통화(이하, A통화라 함)하고 있으며, B열차의 이동국(2)은 N+1번의 기지국(5)의 존내에서 C2번의 고정국(8)과 통화(이하 B통화라 함)하고 있다고 하고, 또한 이때, A통화에 관해서는 상기한 입력장치에 의하여 긴급통신을 나타내는 우선순위 1이 설정되고, 한편, B통화에 관해서는 통상의 통화로서 발신되어 그 우선순위는 2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경우, 이동국(1, 2) 및 기지국(4, 5)은 모두 복신이기 때문에 각각 항시 수신입력을 검출하고 있으며, 이 결과, 기지국(4, 5)으로부터는 수신신호가 연속하여 송출되어 회선제어장치(6)에 입력되어 있고, 또한 이때 회선제어장치(6)에는 A통화는 우선순위 1이고, B통화는 우선순위 2인 것이 기억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의 스텝 61 내지 64는 도 4에 있어서의 스텝 41내지 44와 동일동작을 한다.
열차 A가 주행하여 기지국(4)의 존으로부터 기지국(5)의 존으로 진입하였다고 하면, 이에 따라 기지국(4)에서의 수신신호의 레벨이 저하하여 간다. 그리고 이윽고 시각(T1)에서 기준레벨이하가 되었다고 하면, 이 시점에서 기지국(4)의 수신기의 스쿠엘치가 폐쇄되어 수신신호의 송출이 정지되기 때문에 이것이 도 5의(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선제어장치(6)에 의하여 검출된다(스텝 61, 62). 이어서 기지국(5)이 다른 이동국과 통화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63).
또한 이상의 동작은 도 3,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래서 회선제어장치(6)는 이 기지국(4)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송출정지를 검출한 것과, 이 송출정지가 검출된 시각(t1)이전은 인접하는 기지국(4, 5)의 쌍방이 통화상태에 있던 것을 조건으로하여 어느 한쪽의 통화회선을 절단하는 것이나, 이 때,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무조건 새로이 기지국(5)의 존으로 진입하여 온 이동국(1)의 회선을 절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이 실시예 2에서는 이 때 각 통화회선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여 우선순위가 낮은 쪽의 통화회선을 절단하여 혼신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회선제어장치(6)는 도 5의 (c)에 나타낸 수신신호의 정지가 검출된 시각(t1)에서의 처리(k)에 있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데이터에 의하여 A열차의 이동국(1)과 C1번의 고정국(7)사이에서의 통화, 즉 A통화와, B열차의 이동국(2)과 C2번의 고정국(8)사이에서의 통화, 즉 B통화의 우선순위를 조사한다(스텝 65).
이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A통화의 우선순위는 1이고, B통화의 우선순위는 2로 되어 있기 때문에 B열차의 이동국(2)과 C2번의 고정국(8)사이에서의 통화쪽이 우선순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회선제어장치(6)는 수신신호의 송출을 정지한 기지국(4)에 도 5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정지신호를 보내어 그 송신동작을 정지시키고(스텝 66)이어서 도 5의 (m)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순위가 낮은 쪽의 B통화의 고정국 (8)으로 복구신호를 송출하여 종화시키고(스텝 66), 다시 (n)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찬가지로 B통화의 이동국(2)이 탑재되어 있는 B열차의 열차번호 및 복구신호를 기지국(5)으로 보내어 이 기지국(5)의 존내에 위치하는 모든 이동국으로 송신한다(스텝 67).
이 시점에서는 기지국(5)의 존내에는 A열차와 B열차의 쌍방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5)을 경유하여 송신된 B열차의 열차번호와 복구신호는 이동국(1, 2)의 쌍방에서 수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국(1, 2)의 통화장치에는 열차번호를 식별하는 기능과, 복구신호에 따라 통화를 종료시키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먼저 B열차의 이동국(2)에서는 수신한 열차번호가 일치하기 때문에 통화장치로부터 소정의 절단음을 울리게 하여 강제절단한다(스텝 68, 69).
한편, A열차의 이동국(1)에서는 수신한 열차번호는 일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통화상태인채로 되어 C1번의 고정국(7)과의 통화, 즉 A통화를 그대로 계속한다(스텝 70).
따라서 이 실시예 2에 의하면, 혼신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함과 동시에 긴급통신에 관한 통화확보도 충분히 얻을 수 있어 이 결과, 긴급사태에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되어 열차운행 및 승객의 안정성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존에 폐쇄구간을 설정하거나 이동국과 회선제어장치사이에서의 데이터전송에 상승, 하강정보를 부가하거나 또는 기지국지정신호를 사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혼신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회선의 제어를 간략화할수 있고 또한 처리회로에 필터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되어 구성도 단순화되기 때문에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 비상사태시에도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되어 열차주행의 안전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환자 등의 구조도 지연없이 행할 수 있게 되어 여객서비스의 향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인접한 존에서 이미 통화중인 이동국이 있던 경우라도 혼신의 염려가 없는 이동체통신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이동국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한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에 접속되어 통신회선의 접속제어를 행하는 회선제어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이동국의 이동에 따라 순차 각 기지국을 변환하여 행하도록 한 이동체통신방식에 있어서,
    통화중인 이동국이 인접하는 기지국 존사이를 이동하였을 때, 진입지의 기지국 존에 통화중인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였을 때는,
    회선제어국은 이동국이 이동하기 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정지를 검출하고,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정지신호를 송신하고,
    이동국이 이동하기 전의 기지국은 회선제어국으로부터의 송신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자국의 송신을 정지하고,
    회선제어국은 진입지의 기지국을 경유하여 새롭게 진입해 온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이동국의 고유의 번호정보가 부가된 복구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복구신호를 수신한 이동국 중 번호정보가 일치하는 이동국은 통화를 종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새로이 진입하여 온 이동국의 통화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통신방식.
  2. 이동국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한 복수의 기지국과, 상기 복수의 기지국 각각에 접속되어 통신회선의 접속제어를 행하는 회선제어국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국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이동국의 이동에 따라 순차 각 기지국을 변환하여 행하도록 한 이동체통신방식에 있어서,
    통화에 관하여 미리 소정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수단을 각 이동국에 설치하고,
    각 이동국은, 통화를 개시할 때에 통화의 내용에 따라 통화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한 통화우선순위의 정보를 소재하는 기지국을 경유하여 회선제어국에 송신하고,
    통화중인 이동국이 인접하는 기지국 존사이를 이동하였을 때, 진입지의 기지국존에 이미 통화중인 다른 이동국이 존재하였을 때는,
    회선제어국은 이동국이 이동하기 전의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정지를 검출하고, 상기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정지신호를 송신하고,
    이동국이 이동하기 전의 기지국은 회선제어국으로부터의 송신정지신호를 수신하여 자국의 송신을 정지하고,
    회선제어국은 앞서 각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통화우선순위의 정보에 의거하여 진입지의 기지국에 소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의 통화우선순위를 조사하고,
    진입지의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화우선순위가 낮은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이동국의 고유 번호정보가 부가된 복구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복구신호를 수신한 이동국 중 번호정보가 일치하는 이동국은 통화를 종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하나의 기지국 존에 소재하는 복수의 이동국 중, 설정되어 있는 통화우선순위가 낮은 쪽의 이동국 통화회선이 강제적으로 절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통신방식.
KR1019970002912A 1996-02-01 1997-01-31 이동체통신방식 KR100253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16611A JPH09215032A (ja) 1996-02-01 1996-02-01 移動体通信方式
JP8-016611 1996-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024A KR970064024A (ko) 1997-09-12
KR100253144B1 true KR100253144B1 (ko) 2000-04-15

Family

ID=1192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912A KR100253144B1 (ko) 1996-02-01 1997-01-31 이동체통신방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215032A (ko)
KR (1) KR100253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2262A1 (en) * 2002-12-20 2004-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tocol context preserv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JP4909879B2 (ja) * 2007-12-05 2012-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体音声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42A (en) * 1895-08-06 biette
JPH0787545A (ja) * 1993-06-30 1995-03-31 Hitachi Denshi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回線制御方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842A (en) * 1895-08-06 biette
JPH0787545A (ja) * 1993-06-30 1995-03-31 Hitachi Denshi Lt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回線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15032A (ja) 1997-08-15
KR970064024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8541B2 (en) Radio relay system
US4679225A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multiple channe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970002759B1 (ko) 통화채널전환중의 잡음 간섭 감소 방법
US6272344B1 (en) Position registr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4596042A (en) Radio transmission method for a mobile radio system
JPH01298854A (ja) データ伝送装置の自動認識方式
KR100253144B1 (ko) 이동체통신방식
CN101282180B (zh) 具有同、异频转发功能的光纤直放站
JP4050565B2 (ja) 列車無線通信システム
JPS58191542A (ja) 移動通信制御方式
US2589158A (en) Mobile-radio and wire system
KR20000045268A (ko) 무선 중계기의 상태 감시장치
JP4638705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無線中継器および無線端末
JP2004120347A (ja) 列車通信システム
JP3202470B2 (ja) 列車移動閉塞制御装置
JP2997503B2 (ja) Pb信号送出方式
JPH11340893A (ja) 列車無線装置
JP3084113B2 (ja) 無通話パターン制御方式
JPH10154950A (ja) 配電線搬送波信号の伝送方法およびその送受信 装置
JP3397307B2 (ja) データ及び音声共用無線通信装置
JPH01288023A (ja) ミリ波構内無線通信方式
US2847563A (en) Circuit arrangement for the connection of two-wire circuits to a transmission path in intercommunication systems
JPH09200839A (ja) 小型無線基地局
JPH08163019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803138B2 (ja) 移動体通信の通信方法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