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472B1 - 배수관의거품역류방지방법및그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의거품역류방지방법및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472B1
KR100252472B1 KR1019970055021A KR19970055021A KR100252472B1 KR 100252472 B1 KR100252472 B1 KR 100252472B1 KR 1019970055021 A KR1019970055021 A KR 1019970055021A KR 19970055021 A KR19970055021 A KR 19970055021A KR 100252472 B1 KR100252472 B1 KR 100252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chamber
drain
drainag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136A (ko
Inventor
이해명
Original Assignee
이해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명 filed Critical 이해명
Priority to KR1019970055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472B1/ko
Publication of KR98000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아파트와 같은 대형건물에서 배수관의 거품역류방지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수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오수를 적극적으로 강제배수시켜줌과 아울러 오수의 상층부로 부유하는 거품을 흡인하여 바이-패스형태로 오수와 함께 배수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배수라인(A)과 연결되는 입구(10)와, 종말배수관(B)과 연결되는 출구(12)에 배수실(14)이 형성되어 있고, 배수실(14)속에는 수차(16)가 회전축(26)으로 축설되어 있으며, 배수실(14)의 입구(10)측에 근접하는 거품입구(18)와 상기 배수실(14)의 출구(12)와 접하는 거품출구(20)를 가진 거품배출실(22)속에는 임펠러(24)가 회전축(28)으로 축설되어 있고, 수차(16)의 회전축(26)에 고정된 구동기어(32)와 임펠러(24)의 회전축(28)에 고정된 종동기어(34)가 증속전동기어군(30)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차(16)와 임펠러(24)가 오수의 운동에너지에 의해서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거품역류방지장치를 이용하여서 배수관의 거품역류를 방지하는 것임.
본 발명은 기존의 수직배수라인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특정시간내에 거품이 대량포함된 오수가 건물의 각층으로 부터 집중적으로 배수되더라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거품이 배수라인을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용된다.

Description

배수관의 거품역류방지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배수관의 거품역류방지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층아파트와 같은 대형건물의 각층에서 수직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거품이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오수의 원활한 배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배수관의 거품역류방지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각층에서 수직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수에는 거품이 포함되어 있기 마련인데 특히 고층아파트의 경우에는 의류세탁기로부터 배출되는 다량의 거품이 포함되어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순히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오수와 함께 거품이 흘러내려가도록 해왔었기 때문에 거품의 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왜냐하면 거품이 오수보다 가벼워서 오수의 상층부에 존재하기 마련일 뿐만 아니라 거품이 표면장력에 의해서 배수관의 내벽면에 들어붙으려하게 되어서 생활양식이 대동소이한 아파트의 경우 거품이 대량 포함된 의류 세탁오수가 특정한 시간에 집중적으로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여서 거품이 15∼20층이상의 아파트의 예를 들면 거품이 수직 배수관을 따라서 2∼3층에 있는 발코니드레인쪽까지 역류하는 등의 배수불량을 초래했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고층에서부터 저층으로 내려갈수록 점차 커지기 마련인 오수의 유입량을 고려하여 배수관의 직경크기를 점차 크게 하여서 배수라인을 시공할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할 경우 각층에 설치되는 발코니드레인의 크기도 각층의 배수관크기에 부합되는 것을 사용해야만 하는 것임은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각층에서 거품이 대량포함된 오수가 특정시간에 집중적으로 유입될 경우 이를 제대로 수용할 수도 없는 것일 뿐아니라 기존의 배수라인을 재시공하거나 유지 및 보수작업에 비용도 많이 들고,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배수라인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오수속에 포함된 거품이 배수관을 따라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비용대 효과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임을 알게 되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경크기가 같은 배수관들을 연결한 기존의 배수라인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오수속에 포함된 거품이 배수라인을 따라서 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오수의 배수를 보다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는 배수관의 거품역류방지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거품역류장치의 한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보인 증속기어군의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거품역류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고층건물의 오수, 우수분리용 2중 배수라인의 배관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수입구 12 : 오수출구
14 : 배수실 16 : 수차
18 : 거품입구 20 : 거품출구
22 : 거품배출실 24 : 임펠러
26,28 : 회전축 30 : 증속전동기어군
32 : 구동기어 34 : 종동기어
본 발명은 배수관을 따라서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오수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오수의 상층부로 부유하는 거품을 따로 흡인하여서 오수와 함께 배수라인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데 적합한 거품역류방지장치의 한 실시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제1도에 예시한 거품역류방지장치는 기존의 수직배수라인(A)과 종말 배수관(B)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직배수라인(A)끝에 끼워진 앨보우(C)와 연결되는 입구(10)와, 종말배수관(B)과 연결되는 출구(12)사이에 배수실(14)을 형성하고, 이 배수실(14)속에 수차(16)를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축설하며, 배수실(14)의 입구(10)측에 근접하는 거품입구(18)와, 상기 배수실(14)의 출구(12)와 접하는 거품출구(20) 사이에 거품배출실(22)을 형성하고, 이 거품배출실(22)속에는 임펠러(24)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설하며, 상기 수차(16)의 회전축(26)과, 임펠러(24)의 회전축(28) 사이를 증속전동기어군(30)으로 연결시켜서 기존수직배수라인(A)과 앨보우(C)로 연결된 배수실(14)의 입구(10)쪽으로 부터 유입되는 거품이 포함된 오수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배수실(14)에 축설된 수차(16)를 회전시키면서 종말배수관(B)과 연결된 출구(12)쪽을 향해 적극적으로 배수시킴과 동시에 이때 출구(12)쪽으로 미처 배출되지 않고 배수실(14)의 내주면(14-1)을 따라서 부유하는 거품은 상기 수차(16)가 회전할 때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24)에 의해 거품입구(18)쪽의 압력이 거품출구(20)쪽보다 낮아져서 거품입구(18)쪽에 흡인력이 발생하는 거품배출실(22)로 빨려들어가게 되므로 거품배출실(22)쪽으로 바이-패스(by-pass)형태로 유입되는 거품은 배수실(14)의 출구(12)로부터 배출되는 오수의 유량과 유속에 의해서 종말배수관(B)내로 오수와 함께 원활하게 배출시켜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속전동기어군(30)은 설치와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배수실(14)과 거품배출실(22)밖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도에 잘 예시한 바와 같이 배수실(14)내에 있는 수차(16)의 회전축(26)에 고정된 구동기어(32)와, 거품배출실(22)내에 있는 임펠러(24)의 회전축(28)에 고정된 종동기어(34)에, 각각 중간축(36)에 고정된 작은기어(38)와 큰기어(40)를 맞물려지도록 하여서 배수실(14)내의 수차(16)보다 거품배출실(22)내의 임펠러(24)가 고속으로 회전하여서 거품배출에 필요한 흡인력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거품역류방지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오수, 우수분리용 2중 배수라인(42)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인바, 각 층에 있는 발코니드레인(44)로부터 특정시간대에 다량의 거품이 포함된 오수가 유입되어서 오수의 유입량이 급격하게 커지더라도 배수실(14)내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입량에 대응하여서 거품배출실(22)의 거품흡인력이 커지게 되어서 다시말해서 오수의 유량과 유속이 커지는 것에 연동하여 거품흡인력도 커지는 것이므로 수차(16)에 의해서 오수와 함께 미쳐 배출되지 않고 부유하는 거품이 배수라인(42)을 따라서 발코니드레인(44)쪽으로 역류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유입되는 오수의 운동에너지에 의해서 회전하는 수차(16)를 이용하여 오수를 적극적으로 강제 배수시켜 줌과 아울러 오수속에 포함된 거품을 상기 수차(16)와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24)를 이용하여 바이-패스형태로 흡인하여서 오수와 함께 배수시켜주는 것이기 때문에 오수의 배수성능과 오수에 포함된 거품의 역류방지성능이 우수하여서 고층아파트에서 특정시간대에 대량의 거품이 포함된 오수가 집중적으로 배수될 경우에도 거품이 배수라인을 통해서 역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줄 수 있고, 기존 배수라인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기존 배수라인을 재시공하지 않으면서 경제적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수직배수라인(A)과 종말배수관(B) 사이의 배수실(14)을 통과하는 오수에 의해서 회전하는 수차(16)로 배수실(14)과 분리된 거품배출실(22)내의 임펠러(24)를 회전시켜서 거품배출실(20)의 거품입구(18)와 거품출구(20) 사이에 압력차에 의한 흡인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서 배수실(14)을 통과하지 못하고 배수실(14) 상부로 역류하는 거품을 배수실(14)의 상부에 위치하는 거품입구(18)쪽에서 흡입하여 종말 배수관(B)쪽에 위치하는 거품출구(20) 쪽으로 바이패스 시키면서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거품역류방지 방법.
  2. 수직배수라인(A)과 연결되는 입구(10)와, 종말배수관(B)과 연결되는 출구(12)에 배수실(14)이 형성되어 있고, 배수실(14)속에는 수차(16)가 회전축(26)으로 축설되어 있으며, 배수실(14)의 입구(10)측에 근접하는 거품입구(18)와 상기 배수실(14)의 출구(12)와 접하는 거품출구(20)를 가진 거품배출실(22)속에는 임펠러(24)가 회전축(28)으로 축설되어 있고, 수차(16)의 회전축(26)에 고정된 구동기어(32)와 임펠러(24)의 회전축(28)에 고정된 종동기어(34)가 증속전동기어군(30)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수차(16)와 임펠러(24)가 오수의 운동에너지에 의해서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거품역류방지장치.
KR1019970055021A 1997-10-25 1997-10-25 배수관의거품역류방지방법및그장치 KR100252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021A KR100252472B1 (ko) 1997-10-25 1997-10-25 배수관의거품역류방지방법및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021A KR100252472B1 (ko) 1997-10-25 1997-10-25 배수관의거품역류방지방법및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36A KR980003136A (ko) 1998-03-30
KR100252472B1 true KR100252472B1 (ko) 2000-04-15

Family

ID=1952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021A KR100252472B1 (ko) 1997-10-25 1997-10-25 배수관의거품역류방지방법및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4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0504A (zh) * 2016-08-15 2016-11-09 江苏迪威高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弯头
CN106287089A (zh) * 2016-08-15 2017-01-04 江苏迪威高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弯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0504A (zh) * 2016-08-15 2016-11-09 江苏迪威高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弯头
CN106287089A (zh) * 2016-08-15 2017-01-04 江苏迪威高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压弯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136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67640B (zh) 一种卫生间地漏防堵塞用头发处理设备
JP2009511777A (ja) 汚水装置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KR100526201B1 (ko) 재활용수와 상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수세식 변기의용수 공급장치
JP2004520506A (ja) サイフォン排水装置
CN106759757B (zh) 水轮机动力抽吸式马桶
KR100252472B1 (ko) 배수관의거품역류방지방법및그장치
CN219784049U (zh) 一种排水抽取预过滤结构
CN113383136A (zh) 水轮机、电动机复合型动力抽吸式节水马桶
JP2005264585A (ja) マンホール装置
CN211285910U (zh) 一种地漏
JP2002294780A (ja) 排水合流管
JP4998085B2 (ja) 水中ポンプ
JP2002275976A (ja) 圧送装置
JP5478430B2 (ja) 先行待機ポンプ
CN220013886U (zh) 一种应用于洁具安装的防止水倒流结构
JP2002038562A (ja) 給水装置
JP4349876B2 (ja) 封水回復構造
CN217002250U (zh) 一种一体化泵站用的预旋转底座
CN218622439U (zh) 一种双立管排水系统
JPH04306333A (ja) 強制排水装置
JP6902177B2 (ja) マンホール壁面洗浄装置
CN212104413U (zh) 低水位水箱马桶
JP2002302976A (ja) サイホン型排水システム
JP2011147878A (ja) ディスポーザ及び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
KR970006867Y1 (ko)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