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2203B1 - 비접촉식적층쉐도우마스크계수산출장치 - Google Patents

비접촉식적층쉐도우마스크계수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2203B1
KR100252203B1 KR1019970070866A KR19970070866A KR100252203B1 KR 100252203 B1 KR100252203 B1 KR 100252203B1 KR 1019970070866 A KR1019970070866 A KR 1019970070866A KR 19970070866 A KR19970070866 A KR 19970070866A KR 100252203 B1 KR100252203 B1 KR 10025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unit
laser light
shadow mask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521A (ko
Inventor
황달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7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20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lateral position of a boundary of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by using a contact-less detection method, i.e. with a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백 내지 수천매 적층된 두께가 0.1~0.15mm 정도로 얇은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의 매수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한 비접촉식 접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측정 대상물의 측면에 레이저를 소정치로 발사하고 그 측정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센서 유닛과, 센서 유닛으로부터 검출된 광에 따라 대상물의 거리 및 높이를 측정하여 적층된 매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센서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 및 제어수단과, 데이터 처리 및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센서 유닛의 위치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 유닛의 상/하 및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센서유닛 위치제어수단과, 데이터 처리 및 제어수단으로부터 산출되는 매수를 카운팅하여 최종값(적층된 총매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매수 표시수단으로 구비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접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
본 발명은 비접촉식 접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백 내지 수천매 적층된 두께가 0.1~0.15mm 정도로 얇은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의 매수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한 비접촉식 적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쉐도우 마스크는 컴퓨터용 모니터의 브라운관에 들어가는 핵심부품으로서, 약 0.1mm 직경의 공(Hole)을 백만개 내외(모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갖는다.
한장의 쉐도우 마스크 두께는 0.1~0.15mm이다.
제 1 도는 정리 적층된 쉐도우 마스크의 측면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 발송을 위한 포장시 일정단위(일예로서, 500 또는 1000매)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센 후 포장하였다.
이때, 포장시 눈금자를 사용하거나 중량 측정법 등을 사용하여 정리 적층된 쉐도우 마스크(1)의 매수를 측정하였다.
한편, 쉐도우 마스크의 재료는 AK 또는 INVA재로서 두께가 얇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므로 접촉시는 매우 주의를 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눈금자를 사용하는 방법은 눈금자를 쉐도우마스크 적층 테이블의 면에 대해 정확히 수직으로 세워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눈금자를 육안으로 확인할 때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중량 측정법은 크기, 모델별로 다르지만, 수~수십 그램 범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중량 측정기의 정확도가 ±1% 오차이내라면, 100매 이상을 잴 경우 1장 이상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보다 정확한 측정기를 사용하더라도 각 쉐도우 마스크가 공가공을 위한 에칭공정을 거치므로 중량의 산포가 존재하므로 수십 매까지는 측정이 가능하나 500~1000매 이상시는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백 내지 수천매 적층된 두께가 0.1~0.15mm 정도로 얇은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의 매수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한 비접촉식 접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측정 대상물의 측면에 레이저를 소정치로 발사하고 그 측정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센서 유닛과,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검출된 광에 따라 대상물의 거리 및 높이를 측정하여 적층된 매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센서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 및 제어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 및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센서 유닛의 위치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 유닛의 상/하 및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센서유닛 위치제어수단과, 데이터 처리 및 제어수단으로부터 산출되는 매수를 카운팅하여 최종값(적층된 총매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매수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도는 일반적으로 정리 적층된 쉐도우 마스크의 측면 확대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식 접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적용되는 센서 유닛의 상세 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촛점이 안 맞은 경우 링형 산란광을 검출하는 아웃 오브 포커스(Out Of Focus)량을 산출하는 방식으로서,
제 4(a) 도 는 센서 유닛의 렌즈와 측정 대상물간 거리가 짧을 경우이고,
제 4(b) 도는 촛점이 맞은 상태이며,
제 4(c) 도는 렌즈와 측정 대상물간의 거리가 긴 경우를 나타내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측정 대상물(적층된 쉐도우 마스크) 200 : 센서 유닛
300 :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 400 : 센서유닛 위치제어부
500 : 매수 표시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접촉식 접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측정 대상물(100)의 측면에 레이저를 소정치로 발사하고 그 측정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센서 유닛(200)과, 상기 센서 유닛(200)으로부터 검출된 광에 따라 대상물의 거리 및 높이를 측정하여 적층된 매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센서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300)과, 상기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300)으로부터 출력된 센서 유닛(200)의 위치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 유닛의 상/하 및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센서유닛 위치제어부(400)와, 상기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300)로부터 산출되는 매수를 카운팅하여 최종값(적층된 총매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매수 표시부(500)로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에서, 센서 유닛(200)은 레이저를 소정치로 발사하는 레이저발광부(210)와, 상기 레이저발광부(210)에서 발사된 레이저광을 평행한 광선으로 만들어 주는 시준렌즈(220)와, 상기 시준렌즈(220)를 통과한 광을 집광시켜 주는 대물렌즈(230)와, 상기 대물렌즈(230)의 일측에 장착되어 대물렌즈(230)의 외각으로 산란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 1 산란광감지부(240)와, 상기 레이저발광부(21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광을 반투과 및 되돌아오는 광을 일측에 반사시키는 하프미러(250)와, 상기 하프미러(250)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레이저수광부(260)와, 상기 레이저수광부(260)의 일측에 장착되어 레이저수광부(260)의 외각으로 산란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 2 산란광감지부(270)로 구성되어져 있다.
아울러, 센서유닛 위치제어부(400)는 센서 유닛(200)을 볼스크류축(410)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부(420)와, 상기 볼스크류축(4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센서유닛(200)의 상승위치를 제한하는 상부스토퍼(430)와, 상기 볼스크류축(4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센서유닛(200)의 하강위치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440)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 제 2 도 내지 제 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 대상물(적층된 쉐도우 마스크)의 매수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대상물(100)의 측면에 센서 유닛(200)의 레이저발광부(210)가 레이저를 소정치로 발사하여 그 측정 대상물(100)로부터 반사된 광을 레이저수광부(260)가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 유닛(200)의 대물렌즈(230)를 센서유닛 위치제어부(400)의 모터부(420)를 구동하여 볼스크류축(410)을 따라 설정된 상, 하 스톱퍼(430)(440)의 범위에서 상/하 또는 전/후로 움직여 측정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조정한다.
여기서, 상,하부 스토퍼(430)(440)의 범위 설정은 측정 대상물의 적층높이의 구간보다 넓게 잡으면 되고 정확히 일치할 필요는 없다.
이렇게 하여 상기 센서 유닛(200)의 레이저수광부(260)와 핀홀을 통해 촛점을 이룬 상태에서 검출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300)는 상기 센서 유닛(200)으로부터 검출된 광에 따라 대상물(100)의 거리 및 높이를 측정하여 적층된 매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센서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그러면, 매수 표시부(500)는 상기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300)로부터 산출되는 매수를 카운팅하여 최종값 즉, 측정 대상물의 총매수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게 되는 것이다.
즉, 측정 대상물의 매수 산출 방법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측면값(dv), 적층 높이(dh)를 측정하여 적층된 매수를 산출한다.
우선 측정된 측면값 dh를 두께 t로 나눈다.
즉, n1=dh/t.
다음으로, Z축으로 상으로부터 하로, 하로로부터 상으로 2중 스캐닝하여 얻은 요철부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적층 측면값 dv의 값이 변화할 때마다 매수를 증가시켜 n2를 구하고, n1과 n2를 비교하여 값이일치하면 최종값을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비교값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은 Z축 스캐닝을 다시 한번 하도록 한다.
여기서, 촛점이 안 맞은 경우의 링형 산란광을 검출하는 아웃 오브 포커스(Out Of Focus)량을 산출하는 방식을 제 4 도에 각각 예로서 나타내었다.
(가)는 센서 유닛(200)의 렌즈와 측정 대상물간 거리가 짧을 경우이고, (나)는 촛점이 맞은 상태이며, (다)는 렌즈와 측정 대상물간의 거리가 긴 경우를 나타내었다.
즉, 제 4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측정 대상물로부터 센서 유닛(200)의 대물렌즈(240)의 외곽으로 산란되는 광(제 1 산란감지부(240))과 레이저수광부(260)와 핀홀의 외곽으로 산란되는 광(제 2 산란광감지부(200))을 측정한다.
여기서, d= 대물렌즈와 측정 대상물간 거리, L= 촛점거리, P1=제 1산란광감지값, P2= 제 2 산란광감지값이라고 정의하면 다음과 같은 하기된 표 1을 얻는다.
즉, 하기된 표 1에 따르면 제 4 도의 3가지 상태에 대한 구분이 가능하며, 그때의 측정 대상물의 적층 측면의 요철부와 센서 유닛의 대물렌즈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매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kpo0000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우 얇은 쉐도우마스크의 다량 적층시 매수 측정을 신속, 정확히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레이저를 이용한 비접촉식 방식으로 쉐도우마스크 부품 완성품 단계에서 매수 측정 과정에서의 훼손(접촉시 변형, 녹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아웃 오프 코커스(Out Of Focus)상태에서의 산란광을 측정하는 방법은 쉐도우마스크 측정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대상물체와의 거리 측정에도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측정 대상물의 측면에 레이저를 소정치로 발사하고 그 측정 대상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는 센서 유닛과, 상기 센서 유닛으로부터 검출된 광에 따라 대상물의 거리 및 높이를 측정하여 적층된 매수를 산출하고, 아울러 센서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처리 및 제어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 및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센서 유닛의 위치 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센서 유닛의 상/하 및 전/후 위치를 조절하는 센서유닛 위치제어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 및 제어수단으로부터 산출되는 매수를 카운팅하여 최종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매수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비접촉식 접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은 레이저를 소정치로 발사하는 레이저발광부와, 상기 레이저발광부에서 발사된 레이저광을 평행한 광선으로 만들어 주는 시준렌즈와, 상기 시준렌즈를 통과한 광을 집광시켜 주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의 일측에 장착되어 대물렌즈의 외각으로 산란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 1 산란광감지부와, 상기 레이저발광부에서 발사되는 레이저광을 반투과 및 되돌아오는 광을 일측에 반사시키는 하프미러와, 상기 하프미러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레이저수광부와, 상기 레이저수광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레이저수광부의 외각으로 산란되는 광을 검출하는 제 2 산란광감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접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 위치제어수단은 센서 유닛을 볼스크류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볼스크류축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센서유닛의 상승위치를 제한하는 상부스토퍼와, 상기 볼스크류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센서유닛의 하강위치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식 접층 쉐도우 마스크 계수 산출장치.
KR1019970070866A 1997-12-19 1997-12-19 비접촉식적층쉐도우마스크계수산출장치 KR100252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866A KR100252203B1 (ko) 1997-12-19 1997-12-19 비접촉식적층쉐도우마스크계수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866A KR100252203B1 (ko) 1997-12-19 1997-12-19 비접촉식적층쉐도우마스크계수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521A KR19990051521A (ko) 1999-07-05
KR100252203B1 true KR100252203B1 (ko) 2000-04-15

Family

ID=1952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866A KR100252203B1 (ko) 1997-12-19 1997-12-19 비접촉식적층쉐도우마스크계수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2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872B1 (ko) * 2001-11-27 2004-09-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선박의 커플러 베이스 높이 측정기
KR100786397B1 (ko) * 2006-03-09 2007-12-17 김경철 레이저 빔을 이용한 면적 센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404A (ja) * 1989-11-27 1991-07-19 Mitsubishi Heavy Ind Ltd 大型対象物の寸法計測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404A (ja) * 1989-11-27 1991-07-19 Mitsubishi Heavy Ind Ltd 大型対象物の寸法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52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561B2 (en) Device for determining dimension of a workpiece
EP0047250B1 (en) Dimension measuring apparatus
US6222628B1 (en) Surface characteristics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90463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actless determination of the thickness of a web of material, including correction of the alignment error
EP1607766B1 (en) Light wave distance measuring method and light wave distance measuring system
EP0584673A1 (en) Measurement of transparent container wall thickness
CN110470231B (zh) 一种透明物体厚度激光测量方法和系统
CN101120230A (zh) 薄膜厚度的测量方法和设备
CN105103027B (zh) 光学系统中的焦点和其他特征的测量
KR20110028245A (ko) 방사선 두께 측정계
KR100252203B1 (ko) 비접촉식적층쉐도우마스크계수산출장치
JPH01167635A (ja) 試験機において試験片あるいは被検査体の変形を測定する方法とその装置
JPH07128019A (ja) 外形寸法重量計測器及び郵便料金計数機
US3779647A (en) Interferometric device for indicating displacement along one dimension during motion along another dimension
JP3596561B2 (ja) X線応力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80032459A (ko) 공기중 부유입자 측정방법
JP4849709B2 (ja) 平坦度等測定装置
JP2002005631A (ja) 板体特性測定方法、及び板体特性測定装置
JP2003065752A (ja) 3次元板材形状測定装置
KR20070035333A (ko) 초점 분할 방식의 변위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JP2799492B2 (ja) 位置または長さの測定装置
JPH01292203A (ja) 長さ測定装置
JPH02134505A (ja) 厚み測定装置
Onikura et al. Development of an optical hole-diameter measuring instrument
JPH11160027A (ja) 球状物体の高さ測定装置、およびその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