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513B1 -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 Google Patents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513B1
KR100251513B1 KR1019980017833A KR19980017833A KR100251513B1 KR 100251513 B1 KR100251513 B1 KR 100251513B1 KR 1019980017833 A KR1019980017833 A KR 1019980017833A KR 19980017833 A KR19980017833 A KR 19980017833A KR 100251513 B1 KR100251513 B1 KR 100251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xposure
printing
exposure apparatus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428A (ko
Inventor
타케미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오카무라 유이치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다 키카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무라 유이치, 가부시키가이샤 가네다 키카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오카무라 유이치
Priority to KR101998001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5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CTP방식의 노광통(drum)을 이용한 신문인쇄용 제판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의 판재(版材)의 반송장치를 이용해서, 판재를 노광통에 소정 각도(θ)의 경사각으로 스파이럴형상으로 감을 수 있음과 함께, 표준폭의 판재와 배폭(倍幅)의 판재를 적정하고 또한 고속으로 효율좋게 제판할 수 있도록 한다.
판재를 공급하는 급판장치와, 판재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θ)를 경사시켜 배치되고, 판재가 스파이럴형상으로 감겨지는 노광통과, 노광통에 감겨진 판재를 노광시키는 노광기를 구비하고, 상기한 급판장치로부터의 판재를 노광하는 노광장치와, 노광장치로부터의 판재를 현상처리하는 현상처리장치와, 급판장치로부터의 노광장치를 거쳐 현상처리장치로 반송되는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 또는 하나의 배폭의 판재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장치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본 발명은, 컴퓨터로부터의 묘화(描畵)이미지신호를 레이저에 의해 직접 판재에 원하는 묘화를 행하도록 한 소위 CTP(Computer To Plate)방식의 신문인쇄용 제판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신문인쇄용 제판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평 9-66595호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는, 판재를 공급하는 급판장치(급판부)와, 급판장치로부터 보내어져 온 판재를 수평자세로 유지한 상태에서 노광하는 노광장치(대전(帶電)·묘화부)와, 노광장치로부터의 판재를 현상처리하는 현상처리장치(현상·정착부,용출부,후처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것은 표준폭의 판재(신문 1페이지분의 판재나 이것을 두 장 세로로 연결한 신문 2페이지분의 판재)와, 배폭의 판재(신문 2페이지를 가로로 연결한 신문 2페이지분의 판재나 이것을 두 장 세로로 연결한 신문 4페이지분의 판재)를 취급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그 구체적 구성이 상세하지 않고 이것을 적정하고 또한 효율좋게 제판할 수 있을지 어떨지가 불명료하였다.
또, 상기한 특개평 9-66595호의 제판장치에서는, 수평하게 배치한 판재에 레이저주사헤드를 대향시키고, 이 레이저주사헤드를 좌우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판재위에 묘화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고속으로 이동을 하는 레이저주사헤드를 판재의 단부에서 정지시키고, 그리고 판재의 단부에서부터 레이저주사헤드를 역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조작을 반복하기 위해서는, 레이저주사헤드의 위치제어나 속도제어가 매우 복잡하게 된다. 그 결과, 인쇄판의 제작에 장시간을 요하거나, 혹은, 기계적인 위치제어의 정밀도의 점에서, 선명한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정밀도가 높은 인쇄판의 제작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수평모양으로 배치한 인쇄판에 레이저주사헤드에 의해 묘화를 행하는 경우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앞서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드럼에 감은 판재의 레이저노광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즉, 이 노광장치에서는, 드럼(42)위에 판재(44)를 도 6과 같은 자세로 감고, 이 드럼(42)을 모터(M)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킨다. 그리고, 컴퓨터(C)의 화상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레이저광 멀티비임(64)을 이용해서, 밴드폭(B)의 화상밴드(66)를 판재(44)위에 형성한다. 또, 드럼(42)이 1회전하는 동안에, 멀티비임(64)의 발생장치 등을 적재한 광학대(54)는, 이동기구(H)에 의해 밴드폭만큼, 화살표 b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등속이동을 한다.
상기한 도 6의 드럼형 레이저식 노광장치에서는, 레이저멀티비임(64)을 갖춘 광학대(54)를 연속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수평으로 배치한 판재의 윗쪽을 레이저주사헤드를 좌우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구조의 노광장치에 대해서, 노광속도를 매우 빠르게 할 수 있고, 도 레이저주사헤드의 위치제어도 용이하게 되므로, 선명한 인쇄가 가능하게 되는 고정밀도의 판제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드럼형 노광장치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드럼(42)은 등속회전을 하고, 광학대(54)는 1회전당 밴드폭(B)만큼 이동하므로, 화상밴드(66)는 1회전할 때마다 밴드폭(B)만큼 어긋나서 판재(44)위에 스파이럴에 기록형성되게 된다. 판재(44)를 전개하면, 다수의 화상밴드(66)로 이루어진 기록화상(68)이 형성되지만, 스파이럴기록을 위해 밴드폭(B)만큼 어긋난 평행사변형이 되어 버린다. 판재(44)에 대한 기록화상(68)의 이러한 변형은 인쇄판으로서도 채용할 수는 없다.
그런데, 신문용의 인쇄판에서는, 드럼원주를 46인치, 화소밀도를 1인치당 909도트로 하고, 128비임의 광원어레이(22)를 채용했다라고 하면 밴드폭(B)은 128화소상당, 즉 128/909=0.14인치, 즉 3.6mm로 된다. 즉 스파이럴기록의 결과, 기록화상(68)의 윗선(68c)과 아랫선(68d)에서는 3.6mm의 뒤틀림이 발생하고, 시각상 무시할 수 없다. 또, 경사각(θ)는 tanθ=0.14/46에서 0.17°로 되고, 개시측선(68a)과 종료측선(68b)은 평행하면서도 0.17°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또, 이 화상의 개시측선(68a)의 판재(44)의 개시측선(46)에 대한 경사를 해소하기 위해, 도 8에 나타내는 간결이동방식도 고려되었다. 즉, 드럼(42)이 화상기록을 위해 1회전하는 동안에는 광학대(54)를 정지시켜 둔다. 그 후, 이동기구(H)에 의해 광학대(54)를 밴드폭(B)만큼 이동한다. 이 이동시간은 드럼 1회전에 걸리는 시간의 정수배로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간결이동방식을 채용하면, 화상밴드(66)는 스파이럴형상이 아니고, 정원주(正圓周)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기록화상(68)은 뒤틀리지 않고, 판재(44)에 대해서 정사각형으로 바르게 기록된다.
그러나, 간결이동은 전노광시간을 수배로 길게 하고, 제판작업의 능율을 후퇴시키는 결점을 가진다. 또, 중량이 있는 광학계의 이동·정지의 반복은, 장치를 복잡화·고가격화하고, 또 이것이 진동원으로 되어, 화상의 열화나 고장의 원인이 되기 쉽다.
그러나, 상기한 도 7이나 도 8의 드럼형 노광장치에 있어서의 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는, 먼저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새로운 노광방법을 개발하고, 이것을 특원평 8-293494호로서 특허출원하고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발명에 있어서는, 미리 드럼(42)에 판재(44)를 각도(θ)의 경사각지어서 스파이럴형상으로 감는다. 그리고 광학대(54)를 드럼(42)의 축선(g)과 평행하게 화살표방향b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각 화상밴드(66)의 기록의 개시점을 전기적 타이밍신호에 따라 조금씩 빠르게 함으로써, 도 9의 아래 도면과 같은 인쇄판을 얻는 것이다.
또, 이 특원평 8-293494호의 발명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광학대(54)를 드럼축(g)과 θ만큼의 각도를 갖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10의 아래 도면에 나타내는 판재(44)에 대해서 변형이 전혀 없는 인쇄판을 빠른 속도로 작성할 수 있고, 우수한 실용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특원평 8-293494호의 발명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내듯이,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드럼(43)에, 판재(44)를 각도(θ)의 경사각을 갖고 스파이럴형상으로 감지 않으면 안되고, 드럼(42)에의 판재(44)의 부착기구가 복잡하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즉, 판재(44)의 부착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드럼(42)의 축선(g)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테이블위를 진행해 오는 판재(44)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고, 각도(θ)를 가진 상태에서 드럼(42)에 공급하고, 이것을 스파이럴형상으로 감을 필요가 있고, 판재(44)의 이송기구(T)가 매우 복잡화한다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도 9나 도 10에 나타낸 선특허출원에 관한 드럼형 노광장치를 구비한 제판장치에 있어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고,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복잡한 판재의 이송기구(T)를 이용하지 않고 노광통에 판재를 스파이럴형상으로 감아 고정할 수 있고, 게다가 표준폭의 판재와 배폭의 판재를 적정하고 또한 효율좋게 제판할 수 있도록 한 노광통형의 노광장치를 구비한 신문인쇄용 제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신문인쇄용 제판장치는, 기본적으로는, 판재를 공급하는 급판장치와, 판재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θ)경사시켜서 배치되고 판재가 스파이럴형상으로 감겨지는 노광통과, 노광통에 감겨진 판재를 노광시키는 노광기를 구비하고, 상기한 급판장치로부터의 판재를 노광하는 노광장치와, 노광장치로부터의 판재를 현상처리하는 현상처리장치와, 급판장치에서 노광장치를 거쳐 현상처리장치로 반송되는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 또는 하나의 배폭의 판재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장치를, 발명의 기본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급판장치를, 합지를 측쪽으로 배출하는 합지배출방지를 구비하고 있는 급판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노광장치를 노광통의 중심축선(g)에 대해서 각도(θ)경사하는 직선상에 복수의 핀을 일렬형상으로 돌출해서 설치하고, 상기한 핀을 판재의 전단부에 형성한 구멍(C)에 걸어 맞추게 함으로써, 판재를 노광통에 스파이럴형상으로 감는 구성의 노광장치로 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노광장치의 전단위치에, 판재의 전단부에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뚫기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안내장치를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사이에 위치해서 이들을 분리하는 분리위치와 하나의 배폭의 판재와는 간섭하지 않는 퇴피(退避)위치를 취할 수 있는 승강가능한 분리판과, 하나의 배폭의 판재의 일단을 안내하는 안내판과,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를 분리판측으로 밀어 이동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중의 한 쪽은 하나의 배폭의 판재를 안내판측으로 밀어 이동할 수 있는 좌우의 압동체(押動體)로 구성한 안내장치로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문인쇄용 제판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를 제판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한 개의 배폭의 판재를 제판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노광통에 설치한 핀과 판재에 형성한 구멍과의 걸어맞춤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드럼식의 판재의 레이저노광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도 6의 레이저노광장치에 의한 기록화상의 형성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다른 드럼식 레이저노광장치(간결(間欠)정지형)에 의한 기록화상의 형성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특원평 8-293494호에 관한 드럼식 레이저노광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노광장치에 있어서, 판재를 노광드럼에 스파이럴형상으로 감기위해 필요한 판재의 반송방향의 변환상태의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신문인쇄용 제판장치 2…급판장치
3…급지배출장치 4…구멍뚫기장치
5…반송장치 6…노광장치
7…배판장치 8…현상처리장치
9…방향변환장치 10…절곡장치
11…인쇄판보관장치 12…안내장치
13…암실 14,18,19,27,29…테이블
15,16…흡착이송기 17…배출로울러
20…반송체 21…노광통
22…노광기 23…회전기홈
24…핀 25…감기로울러
26…이동기구 28…배판로울러
30…분리판 31…안내판
32…압동체 33…차광커버
A…판재 A1…표준폭의 판재
A2…배폭의 판재 B…합지
B1…표준폭의 합지 B2…배폭의 합지
C…구멍 D…절
θ…소정 각도 g…드럼의 축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문인쇄용 제판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를 제판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하나의 배폭이 판재를 제판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신문인쇄용 제판장치(1)는 급판장치(2), 합지배출장치(3),구멍뚫기장치(4),반송장치(5),노광장치(6),배판장치(7),현상처리장치(8),방향변환장치(9),절곡장치(10),인쇄판보관장치(11),안내장치(12)로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급판장치(2)는, 판재(A)를 공급하는 것으로, 그 예로서는, 포장된 판재(A)가 개봉되는 암실(13)과, 개봉된 판재(A)가 양사이에 합지(B)를 끼운 채 적층상태로 적재되는 테이블(14)과, 적재된 판재(A)를 위에서 한 장씩 흡착해서 앞쪽(도 1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송하는 흡착이송기(15)로 되어 있다.
판재(A)는, 이 예에서는, 알루미늄기판에 미리 광경화성 수지 등의 감재(感材)를 도포한 감광성 인쇄판(소위 PS판)으로 되어 있고,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신문 2페이지를 세로로 연결한 신문 2페이지분의 판재)(A1)나, 또는 하나의 배폭의 판재(신문 4페이지를 세로가로로 연결한 신문 4페이지분의 판재)(A2)이다.
합지배출장치(3)는, 급판장치(2)에 설치되어 있고, 합지(B)를 측쪽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급판장치(2)의 테이블(14)에 적재된 판재(A)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합지(B)를 흡착해서, 좌우방향(도 1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좌우 흡착이송기(16)와, 이것에 의해 이송된 합지(B)를 배출하는 좌우 배출로울러(17)로 이루어지고, 합지배출장치(3)가 이루어져 있다. 또, 흡착이송기(16)는, 급판장치(2)의 흡착이송기(15)와 간섭하지 않도록 작동된다.
구멍뚫기장치(4)는, 노광장치(6)의 전단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급판장치(2)로부터의 판재(A)에 구멍(C)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급판장치(2)와 노광장치(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급판장치(2)의 테이블(14)에 연속하는 판재(A)를 적재하는 테이블(18)을 구비하고, 판재(A)의 전단측에 그 세로방향의 축선과 직각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멍(C)을 형성하는 프레스기로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복수의 구멍(C)의 위치는, 제판후에 인쇄판을 윤전인쇄기의 판통에 부착할 때에, 판통측에 설치한 부착핀이 정확히 구멍(C)안으로 들어가는 위치에 선정되어 있고, 이 구멍(C)을 이용해서 인쇄판이 윤전인쇄기의 판통에 부착된다.
반송장치(5)는, 구멍뚫기장치(4)로부터의 판재(A)를 노광장치(6)에 반송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구멍뚫기장치(4)의 테이블(18)에 연속하는 테이블(19)과, 구멍뚫기장치(4)의 테이블(18)을 관통해서 앞뒤방향으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위에 적재된 판재(A)를 앞쪽으로 밀어 반송하는 반송체(20)로 구성되어 있다. 또, 반송체(20)는, 에어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된다.
노광장치(6)는, 급판장치(2)에서의 판재(A)를 노광하는 것이다. 이 예로서는 구멍뚫기장치(5)에서 보내져 온 판재(A)가 스파이럴상으로 감겨진 노광통(21)과, 이것에 감겨진 판재(A)를 노광하는 노광기(레이저광 주사헤드)(22)를 구비하고 있다.
노광통(21)은, 판재(A)가 스파이럴형상으로 감겨지도록, 한 방향으로 반송되는 판재(A)에 대해서 소정각도(θ)(0.17°)만큼 경사시킨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도 1은 과장해서 나타내져 있다). 그리고 노광통(21)은 회전기구(서보모우터)(23)에 의해 회전되도록 지지되어 있고, 판재(A)의 구멍(C)에 끼워 맞춤으로써 판재(A)의 위치맞춤을 하기 위한 핀(24)과, 판재(A)의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진공흡착기(도시하지 않음)와, 핀(24)과 간섭하지 않도록 일부가 가는 지름으로 되어 있고, 상기한 판재(A)를 감거나 또는 되감기 위한 감기로울러(25)를 구비하고 있다.
노광기(22)는, 판재(A)에 컴퓨터로부터의 묘화이미지신호에 대응한 묘화를 직접 노광하도록 되어 있고, 이동기구(26)에 의해 노광통(21)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혹은 도 10에 나타내듯이, 정면으로 봤을 때 노광드럼에 스파이럴상으로 감겨진 판재의 전단면(50)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판장치(7)는, 노광장치(6)로부터의 판재(A)를 현상처리장치(8)로 보내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노광장치(6)로부터의 판재(A)를 담지하는 테이블(27)과, 이것에 담지된 판재(A)를 앞쪽으로 반송하는 배판로울러(28)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27)은, 반송장치(4)의 테이블(19)보다 낮게 되어 있고, 노광장치(6)로부터의 판재(A)가 확실하게 현상처리장치(8)로 보내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판재(A)의 구멍(C)이 도 3에 나타내듯이, 판재(A)의 진행방향과 직각방향의 직선상에 형성되어 있을 때에, 이 판재(A)를 각도(θ)만큼 경사하고 있는 노광통(21)에 스파이럴형상으로 감기 위해서는, 노광통(21)의 핀(24)을 도 5에 나타내듯이, 노광통(21)의 중심축선(g)에 대해서 각도(θ)만큼 경사한 직선상에 배열해 두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반대로 노광통(21)의 핀(24)을 노광통(21)의 중심축선(g)의 방향으로 배열한 경우에는, 판재(A)의 구멍(C)쪽을 판재(A)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각도(θ)만큼 경사한 직선상에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현상처리장치(8)는, 노광된 판재(A)를 현상처리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노광에 의해 경화된 부분이외를 현상액에 의해 제거하는 현상부와, 제거된 부분에 접착액을 도포해서 건조시키는 접착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방향변환장치(9)는, 현상처리장치(8)로부터의 판재(A)를 직각으로 방향변환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현상처리장치(8)로부터의 판재(A)를 담지하는 테이블(29)을 구비하고, 오른쪽(도 1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방향변환해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절곡장치(10)는, 방향변환장치(9)로부터의 판재(A)에 절곡부(D)를 형성해서 인쇄판으로 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윤전기(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판재(A)의 전후에 대략 V자형의 절곡부(D)를 형성하는 프레스기로 되어 있다.
인쇄판보관장치(11)는, 절곡장치(10)로부터의 인쇄판을 순차 소정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다.
안내장치(12)는, 급판장치(2)로부터 노광장치(6)를 거쳐 현상처리장치(8)로 반송되는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A1), 또는 하나의 배폭의 판재(A2)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A1)사이에 위치해서 이들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위치와, 하나의 배폭의 판재(A2)와는 간섭하지 않도록 퇴피할 수 있도록 한 승강가능한 분리판(30)과, 하나의 배폭의 판재(A2)의 한 측을 안내하는 안내판(31)과,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A1)을 분리판(30)측에 밂과 함께, 그 중 한 쪽은 하나의 배폭의 판재(A2)를 안내판(31)측으로 미는 좌우의 압동체(32)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판(30)은 급판장치(2)의 테이블(14), 구멍뚫기장치(4)의 테이블(18), 반송장치(5)의 테이블(19), 배판장치(7)의 테이블(27), 방향변환장치(9)의 테이블(29)의 각 중앙을 관통해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에어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윗쪽으로 돌출한 분리위치에서 아래쪽으로 매몰한 퇴피위치까지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안내판(31)은, 급판장치(2)의 테이블(14), 구멍뚫기장치(4)의 테이블(18), 반송장치(5)의 테이블(19),배판장치(7)의 테이블(27)의 각 우측에 고정되어 있다.
압동체(32)는, 구멍뚫기장치(4)의 테이블(18), 반송장치(5)의 테이블(19), 배판장치(7)의 테이블(27)의 각 좌우를 관통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에어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압동체(32)는, 안내판(31)에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급판장치(2), 합지배출장치(3), 구멍뚫기장치(4),반송장치(5),노광장치(6),배판장치(7)는, 급판장치(2)의 암실(13)을 제외하고, 개폐가능한 차광커버(33)로 덮혀져 있다.
다음에, 이러한 구성에 근거해서 작용을 설명한다.
포장된 판재(A)는 급판장치(2)의 암실(13)에 운반되어 개봉된다. 개봉된 복수의 판재(A)는, 그 사이에 합지(B)가 끼워진 채로 암실(13)에서 꺼내어져, 급판장치(2)의 테이블(14)위에 적층되어 간다.
급판장치(2)의 테이블(14)에 적재된 판재(A)는, 흡착이송기(15)에 의해 위에서 한 장씩 흡착되고, 구멍뚫기장치(4)로 공급된다. 그리고 판재(A)사이에 끼워져 있던 합지(B)는, 합지배출장치(3)의 흡착이송기(16)에 의해 흡착되고, 좌우측쪽으로 이송된 후, 배출로울러(17)에 의해 배출된다.
구멍뚫기장치(4)로 공급된 판재(A)는 테이블(18)에 적재되고, 그 후 판재(A)의 앞측근방에, 앞변과 평행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구멍(C)이 형성된다.
구멍(C)이 형성된 판재(A)는 반송장치(5)의 반송체(20)에 의해 후단이 밀리고, 테이블(18,19)위를 이동해서 노광장치(6)로 반송된다.
노광장치(6)로 반송된 판재(A)는, 구멍(C)에 노광통(21)의 핀(24)이 끼워지게 됨으로써 위치가 맞춰짐과 함께, 판재(A)의 전단부가 진공흡착(도시생략)됨으로써, 노광통(21)의 외표면으로 밀착된다. 그 후, 노광통(21)과 감기로울러(25)의 감는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판재(A)는 소정의 경사각(θ)에서 스파이럴형상으로 감겨지고, 마지막으로, 진공흡착기에 의해 판재(A)의 후단부가 지지된다.
즉, 한 방향으로 반송되는 판재(A)에 대해서 노광통(21)이 소정 각도(θ)만큼 경사되어 있으므로, 판재(A)가 노광통(21)에 스파이럴형상으로 감겨진다.
그후, 노광통(21)이 회전기구(23)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노광기(22)가 이동기구(26)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이동된다.
노광기(22)에는, 인쇄판형성요 컴퓨터로 묘화이미지신호(디지탈신호)가 묘화컨트롤러(도시생략)를 매개로 해서 보내어지고, 묘화이미지신호에 대응한 레이저광주사가, 판재(A)의 판면에 대해서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판재(A)의 소위 노광이 행해진다.
노광된 판재(A)는, 진공흡착기에 의한 후단부의 지지가 해제됨과 동시에, 노광통(21)과 감기로울러(25)의 되감기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노광통(21)으로부터 떨어져, 노광장치(6)에서 배출된다.
노광장치(6)에서 배출된 판재(A)는, 배판장치(7)의 테이블(27)에 의해 담지되고, 그후 배판로울러(28)에 의해 현상처리장치(8)로 보내진다.
또, 현상처리장치(8)로 보내진 판재(A)는, 노광장치(6)에 의해 노광되어 경화한 부분이외가 현상액에 의해 제거된고, 인쇄용의 인쇄판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접착액의 도포 등에 의해 판면의 보호처리가 행해진다.
현상처리장치(8)로부터의 판재(A)는, 방향변환장치(9)의 테이블(29)위에 보내어지고, 여기서 90°방향전환되고, 오른쪽으로 반출된다.
또, 방향변환장치(9)로부터의 판재(A)는 절곡장치(10)로 보내어지고, 여기서 판재(A)의 전후 양단측이 하향으로 대략 V자형으로 절곡되고, 절곡부(D)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소위 인쇄판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곡장치(10)로부터의 인쇄판은, 인쇄판보관장치(11)로 보내어지고, 여기에 소정의 상태로 보관된다.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A1)을 제판할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안내장치(12)의 분리판(30)이 상승되고, 분리판(30)이 분리위치에 지지된다. 그리고, 급판장치(2)의 테이블(14)에는, 분리판(30)의 좌우에 같은 수의 표준폭의 판재(A1)가 적층상태로 적재된다. 다음에, 급판장치(2)의 테이블(14)에 적재된 좌우의 표준폭의 판재(A1)는, 급판장치(2)의 흡착이송기(15)에 의해 동시에 한 장씩 구멍뚫기장치(4)로 공급된다. 또, 표준폭의 판재(A1)사이에 끼워져 있던 좌우의 표준폭의 합지(B1)는 합지배출장치(3)의 좌우의 흡착이송기(16) 및 배출로울러(17)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서 배출된다.
좌우의 표준폭의 판재(A1)가 구멍뚫기장치(4)와 노광장치(6)와 현상처리장치(8)로 보내어질 때에는, 안내장치(12)의 좌우의 압동체(32)가 내측으로 작동되는 것에 의해, 좌우의 표준폭의 판재(A1)가 분리판(30)에 맞닿게 되고, 이것을 따라 보내어진다.
방향변환장치(9)에 설치된 안내장치(12)의 분리판(30)은, 좌우의 표준폭의 판재(A1)를 절곡장치(10)에 보낼 때에는 퇴피위치에 지지되고, 좌측의 표준폭의 판재(A1)가, 안내장치(12)의 분리판(30)에 으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하나의 배폭의 판재(A2)를 제판할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듯이 안내장치(12)의 분리판(30)이 하강되고, 분리판(30)이 퇴피위치에 지지된다. 그리고, 급판장치(2)의 테이블(14)에는, 안내판(31)의 좌측에 배폭의 판재(A2)가 적층상태로 적재된다.
다음에, 급판장치(2)의 테이블(14)에 적재된 배폭의 판재(A2)는, 급판장치(2)의 흡착이송기(15)에 의해 구멍뚫기장치(4)에 공급된다. 또, 배폭의 판재(A2)간에 끼워져 있던 배폭의 합지(B2)는, 합지배출장치(3)의 한 쪽의 흡착이송기(16) 및 배출로울러(17)만을 작동시킴으로써, 같은 방향으로 배출된다.
하나의 배폭의 판재(A2)가 구멍뚫기장치(4)와 노광장치(6)와 현상처리장치(8)로 보내어질 때에는, 안내장치(12)의 좌측의 압동체(32)가 우측으로 작동됨으로써, 하나의 배폭의 판재(A2)가 안내판(31)에 맞닿게 되고, 이것을 따라 보내어진다. 안내장치(12)의 분리판(30)이 퇴피위치에 지지되고 있으므로, 이것이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또, 노광장치(6)는, 앞의 예에서는 노광기(22)가 한 개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두 개이상이라도 좋다. 복수로 하면, 노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안내장치(12)의 분리판(30)은, 앞의 예에서는, 상승시가 분리위치이고 하강시가 퇴피위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테이블에서 떨어진 상승시가 퇴피위치에서 테이블에 접촉하는 하강시가 분리위치여도 좋다.
안내장치(12)의 안내판(31)은, 앞의 예에서는 테이블에 고정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한 쪽의 압동체(32)에 안내판(31)을 설치하고, 배폭의 판재(A2)를 취급할 경우에는, 이것을 정지(靜止)상태로 하고, 이것에 의해 배폭의 판재(A2)를 안내하도록 해도 좋다.
또, 표준폭의 판재(A1)는, 앞의 예에서는 신문 2페이지를 세로로 연결한 신문 2페이지분의 크기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이것의 반인 신문 1페이지의 크기여도 좋다.
또한, 배폭의 판재(A2)는, 앞의 예에서는 신문 4페이지분의 크기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이것의 반인 신문 2페이지를 연결한 신문 2페이지분의 크기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인쇄용 제판장치를 급판장치, 노광장치, 현상처리장치,안내장치로 구성함과 함께, 노광장치의 노광통을 판재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θ)경사시켜서 배치하고, 진행해 온 판재를 노광통에 자연스럽게 스파이럴형으로 감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선원 발명과 같이 판재의 진행방향을 노광통의 앞에서 교환하지 않고도, 판재가 자동적으로 노광통에 스파이럴형으로 감겨짐으로써, 판재의 반송기구를 대폭 간소화할 수 있음과 함께, 고속으로 효율이 좋은 제판이 가능하게 된다.
(2)또, 급판장치에서 노광장치를 거쳐 현상처리장치로 반송되는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 또는 한 개의 배폭의 판재를 안내하는 안내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결과, 표준폭의 판재와 배폭의 판재를 정확하고 또한 높은 속도로 효율좋게 제판할 수 있다.
(3)급판장치에 합지를 측방향으로 배출하는 합지배출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는, 작업원에 의존하지 않고 합지를 기계적으로 자동배출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4)노광통에 복수의 핀을 돌출시켜 설치하고, 이것을 판재의 전단부에 형성한 구멍(C)으로 걸어맞추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판재가 노광통에 자동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스파이럴형으로 감겨진다. 그 결과, 고속도이고 게다가 고정밀도의 노광작업을 행할 수 있고, 고품질의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인쇄판을 고능율로 형성할 수 있다.
(5)노광장치의 전단위치에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뚫기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노광하기 이전의 판재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고, 노광통에의 판재의 감기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이 구멍을 이용해서 인쇄판을 윤전인쇄기의 판통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고, 칼라인쇄 등에 있어서 복수장(4장)의 판재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6)안내장치를,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의 사이에 위치해서 이들을 분리하는 분리위치와, 한 개의 배폭의 판재와는 간섭하지 않는 퇴피위치를 취할 수 있는 승강가능한 분리판과, 한 개의 배폭의 판재의 한 측을 안내하는 안내판과,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를 분리판의 측으로 밂과 동시에 한 개의 배폭의 판재를 안내판측으로 미는 압동체로 구성한 경우는,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 또는 한 개의 배폭의 판재를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음과 함께 한 쪽의 압동체를 겸용할 수 있고, 구조의 간략하와 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Claims (5)

  1. 판재(A)를 공급하는 급판장치(2)와, 판재(A)의 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θ)경사시켜 배치되고, 판재(A)가 스파이럴형상으로 감겨지는 노광통(21)과, 노광통(21)에 감겨진 판재(A)를 노광시키는 노광기(22)를 구비하고, 상기한 급판장치(2)로부터의 판재(A)를 노광하는 노광장치(6)와, 노광장치(6)로부터의 판재(A)를 현상처리하는 현상처리장치(8)와, 급판장치(2)로부터의 노광장치(6)를 거쳐 현상처리장치(8)로 반송되는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A1) 또는 한 개의 배폭의 판재(A2)를 안내할 수 있는 안내장치(1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급판장치(2)를, 합지(B)를 측쪽으로 배출하는 합지배출장치(3)를 구비하고 있는 급판장치(2)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노광장치(6)를, 노광통(21)의 중심축선에 대해서 각도(θ)경사하는 직선상에 복수의 핀(24)을 일렬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상기한 핀(24)을 판재(A)의 전단부에 형성한 구멍(C)에 걸어맞춤으로써, 판재(A)를 노광통(21)에 스파이럴형으로 감는 구성의 노광장치(6)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노광장치(6)의 전단위치에, 판재(A)의 전단부에 구멍(C)을 형성하는 구멍뚫기장치(4)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안내장치(12)를,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A1)사이에 위치해서 이들을 분리하는 분리위치와 한 개의 배폭의 판재(A1)와는 간섭하지 않는 퇴피위치를 취할 수 있는 승강가능한 분리판(30)과, 한 개의 배폭의 판재(A2)의 한 측을 안내하는 안내판(31)과, 두 개의 표준폭의 판재(A1)를 분리판(30)측으로 밀어 이동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중의 한 쪽은 한 개의 배폭의 판재(A2)를 안내판(31)측으로 밀어 이동할 수 있는 좌우의 압동체(32)로 이루어진 안내장치(12)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KR1019980017833A 1998-05-18 1998-05-18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KR100251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833A KR100251513B1 (ko) 1998-05-18 1998-05-18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833A KR100251513B1 (ko) 1998-05-18 1998-05-18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428A KR19990085428A (ko) 1999-12-06
KR100251513B1 true KR100251513B1 (ko) 2000-04-15

Family

ID=1953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833A KR100251513B1 (ko) 1998-05-18 1998-05-18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678B1 (ko) * 2007-07-26 2008-03-14 김홍철 씨티피판의 현상액 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428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84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long, continuous flexible substrates
DE3000887C2 (de) Tintenstrahldrucker
WO1998042508A1 (fr) Dispositifs de couchage, d'impression et d'imagerie, systeme d'impression et procede d'impression
KR100562890B1 (ko) 띠형상 워크의 노광장치
US5887525A (en) Machine for simultaneously making two printing plates for newspaper printing
KR100251513B1 (ko) 신문인쇄용 제판장치
JP2002035982A (ja) レーザー加工装置
US6746010B2 (en) Apparatus for conveying sheet-like recording material
WO2002011987A1 (de) Ink-jet-printer und verfahren zum bedrucken von bildmaterial in einem ink-jet-printer
US6064465A (en) Reproduction equipment for printing newspapers
US11833739B2 (en) Additive plate making system and method
JP2011506154A5 (ko)
JP3017967B2 (ja) 新聞印刷用製版装置
US20040020386A1 (en) Sheet-shaped material positioning device and printing plate precursor exposure device
DE4007716C2 (ko)
EP0467424A2 (en) Print media handling system for compact printer with traversing, multiple print head carriage
JP3017959B2 (ja) 新聞印刷用製版装置
JP4340408B2 (ja) シート材位置決め装置
US6264593B1 (en) Punch assembly having a positive punch retraction mechanism for an internal drum imagesetter
US6016188A (en) Machine for making printing plates for newspaper printing
US200400419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flexographic media in an imaging system
JPH1134295A (ja) 印刷システムおよびイメージング装置
SU1050898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дней закладки и подачи бланков
GB23382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hermal transfer print by means of a tape-like transfer film
JPH07108674A (ja) 製版、印刷システムの版胴への版材巻き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