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323B1 -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323B1
KR100251323B1 KR1019980004468A KR19980004468A KR100251323B1 KR 100251323 B1 KR100251323 B1 KR 100251323B1 KR 1019980004468 A KR1019980004468 A KR 1019980004468A KR 19980004468 A KR19980004468 A KR 19980004468A KR 100251323 B1 KR100251323 B1 KR 10025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lamp
data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0677A (ko
Inventor
성광기
Original Assignee
성명기
주식회사여의자동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명기, 주식회사여의자동화시스템 filed Critical 성명기
Priority to KR1019980004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323B1/ko
Publication of KR98001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4Testing lam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Alarm generation, e.g. communication protocol; Forms of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05B23/0272Presentation of monitored results, e.g. selection of status reports to be displayed; Filtering information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128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493Supervision, display diagnostic, use or select between different stored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하측으로부터의 동작상태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1통신입력수단과; 부하의 각 상황에 따른 로직이 테이블 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제1통신입력수단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메모리수단의 테이블과 비교 및 연산함으로써 부하측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해당 표시기에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보드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표시기의 테스트를 위한 셋업보드와; 외부 테이블 설정장치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씨피유에 전달하기 위한 제2통신입력수단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상황에 따른 로직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함으로써 간단한 코드의 셋업만으로 인디케이터 또는 램프의 제어가 가능하여 프로그램을 전혀 모르는 초보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표시를 할 수 있어 표시치 교정이 불필요하며, 인디케이터 및 램프출력모듈과 통신포트를 이용한 멀티-드롭형태로 배선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쉽고, 결선 라인이 짧아지며, 인디케이터 테스트, 램프테스트, 알람확인 및 리셋트를 위한 전용 코드화를 할 수 있어 셋업이 간단하고, 준비된 소프트웨어만으로도 설치된 인디케이터의 상태 및 위치정보를 알 수 있으며, 대규모의 설비가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자동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상황에 따른 로직을 테이블 화하여 저장하고,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표시장치를 쉽고 정확하게 제어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시스템에서 모자이크 패널(Mosaic Panel), 각종 계통 표시장치 및 시험장비 등을 구동시켜 주는 그래픽 제어장치로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피엘씨(PLC)를 많이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피엘씨는 로더로직(LOADER LOGIC)을 프로그램 할 수 없거나 비 숙련자의 경우에는 정확한 구현이 어렵고, 프로그램 작업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피엘씨와 각 표시기 사이에 일대일로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므로 케이블공사가 복잡해지며, 메모리의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많은 포인트처리가 힘들고, 작업 중 또는 작업 후 수시로 교정이 필요하며 정확한 교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상황에 따른 로직을 테이블화함으로써 프로그램 및 조작이 간편하고,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표시장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각 표시기와는 멀티-드롭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케이블공사가 간단해 지도록 한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 그래픽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그래픽드라이버 200 : 표시부
300 : 피씨 110 : 제1통신입력부
120 : 메모리부 130 : 씨피유
140 : 터미널보드 150 : 셋업보드
160 : 제2통신입력부 B.Z : 부저
RESET : 리셋트 스위치 ACK : 확인 스위치
LAMP TEST : 램프 테스트 스위치
SEG TEST : 인디케이터 테스트 스위치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그래픽 제어방법은 부하측으로부터 데이터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인지 아니면 램프에 관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면 그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포맷-코드를 실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해당 포맷-코드가 실행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포맷-코드에 설정된 연산코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범위의 값으로 변환하여 지정된 메모리번지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지정된 메모리번지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이를 지정된 통신포트를 통해 지정된 인디케이터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램프에 관한 것이면 그 램프에 해당하는 포맷-코드를 실행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해당 포맷-코드가 실행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포맷-코드에 설정된 연산코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범위의 값으로 변환하여 지정된 메모리번지에 저장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지정된 메모리번지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이를 지정된 통신포트를 통해 지정된 램프로 전송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그래픽 제어장치는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하측으로부터의 동작상태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통신입력수단과; 부하의 각 상황에 따른 로직이 테이블 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통신입력수단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메모리수단의 테이블과 비교 및 연산함으로써 부하측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해당 표시기에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보드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표시기의 테스트를 위한 셋업보드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일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화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측으로부터 동작상태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기 설정된 부하의 각 상황에 따른 로직으로 구성된 테이블에 의해 비교 및 연산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통신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그래픽드라이버(100)와; 다수의 인디케이터(INDICATOR)와 램프출력모듈(LAMP OUTPUT)로 이루어져 상기 그래픽드라이버(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부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0)와; 상기 그래픽드라이버(100)내 로직테이블의 설정을 조정하기 위한 피씨(PC)(300)로 구성한다.
상기 그래픽드라이버(10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측으로부터의 동작상태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1통신입력부(110)와; 부하의 각 상황에 따른 로직이 테이블 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부(120)와; 상기 제1통신입력부(11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메모리부(120)의 테이블과 비교 및 연산함으로써 부하측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씨피유(130)와; 상기 씨피유(130)의 제어신호를 표시부(200)내의 해당 표시기에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보드(140)와; 상기 씨피유(130)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표시기의 테스트를 위한 셋업보드(150)와; 외부 테이블 설정장치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씨피유에 전달하기 위한 제2통신입력수단(160)으로 구성한다.
상기 셋업보드(150)는 부하측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씨피유(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부저(B.Z)와; 해당 부하의 고장을 수리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한 리셋트 스위치(RESET)와; 각 램프출력모듈(LAMP OUTPUT)을 테스트하기 위한 램프 테스트 스위치(LAMP TEST)와, 각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테스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테스트 스위치(SEG TEST)와, 이상발생 시 부저(B.Z))와 해당 램프출력모듈(LAMP OUTPUT)의 램프를 정지시키기 위한 확인 스위치(ACK)로 구성한다.
상기 터미널보드(140)는 32개의 인디케이터(INDICATOR) 또는 32개의 램프출력모듈(LAMP OUTPUT)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포트(RS-485)가 8개 구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그래픽드라이버(100)는 이 터미널보드(140)를 4개 즉, 32포트까지 확장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그래픽 드라이버(100)에 관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래픽 드라이버(100)는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모자이크 패널(Mosaic Panel), 각종 계통 표시장치 및 시험장비 등에 사용된다.
또한 고성능 32비트 프로세서를 채용하였으며 최대 1024개의 디지털 인디케이터 및 4096 개의 램프를 드라이브 할 수 있으므로 소규모로부터 대규모의 설비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장비와는 RS-232C 또는 네트워크로 링크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별도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셋업 툴킷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설정할 수 있고, 표준으로 MODBUS RTU 프로토콜을 탑재하여 간편하게 인터페이스 할 수 있으며, 고급언어로 다양한 샘플 프로그램이 제공되어 사용자 편의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TCP/IP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있어서, 네트워크로 인터페이스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범용 MMI소프트웨어인 WIZCON, FIX 등과 DDE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각 표시기에 표시되는 데이터는 시스템의 모니터 상에 표시되는 데이터와 일치하여 추가적인 표시치 교정작업이 필요 없고, 아날로그입력 인디케이터와 펄스입력 인디케이터에도 사용 가능하므로 다양한 용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첨부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피씨(300) 등의 테이블 설정장치를 이용하여 메모리부(120)에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하는데, 이때 상기 피씨(300)로부터의 신호는 제2통신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어 씨피유(130)에 전달되고 메모리부(120)에 입력된다.
우선 각 표시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포트를 설정해야 하는데, 표시기로는 인디케이터(INDICATOR)와 램프출력모듈(LAMP OUTPUT)이 있으므로, 인디케이터(INDICATOR)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예를 들어 통신포트가 1개가 있고, 아날로그형 인디케이터의 개수가 32개라면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1
0 0 32
여기서 첫 번째 줄의 1은 포트 수를 나타내는데 최대 32개까지 가능하며, 두 번째 줄의 첫 번째 값 0은 포트가 아날로그용 포트임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그리고 두 번째 줄의 두 번째 값 0은 첫 번째 포트에 표시할 데이터의 첫 메모리 어드레스를 표시한 것이고, 두 번째 줄의 세 번째 값 32는 첫 번째 포트에 연결된 인디케이터의 개수를 표시한다.(최대 32개까지 가능)
상기와 같이 통신포트 설정이 완료되면 그래픽드라이버에 기본 데이터를 제공할 장비 즉, 프로그램을 입력할 수 있는 장비(PC, DCS, PLC 등)와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이때 프로토콜이 MODBUS RTU SLAVE PROTOCOL 일 경우는 기본적으로 사전 설정이 되어 있으므로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나, 기타 다른 프로토콜일 경우는 셋업파일로 재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한 다음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환경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포맷-코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환경에 적합한 데이터범위가 -20에서 80이라면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1
0 0 4095 -20 80 6 2 3
여기서 첫 번째 줄의 1은 표시할 인디케이터의 수를 나타내는데, 최대 1024까지 가능하며, 두 번째 줄의 첫 번째 값 0은 첫 번째 인디케이터의 연산코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데이터 제공장비(부하측)가 두 번째(0)와 세 번째(4095) 사이 값으로 데이터를 보내오면 이를 상기 연산코드를 이용하여 네 번째(-20)와 다섯 번째(80) 사이의 값으로 변환하는데, 여섯 번째의 자리 수(6)와 일곱 번째의 소수점 자리(2)를 포함하는 형태로 변환하여 여덟 번째(3)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입력한다.
램프의 경우도 상기 인디케이터의 설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순서로 설정하여 주는데, 예를 들어 1개의 포트에 32개의 램프출력모듈(LAMP OUTPUT)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1
1 10001 32
여기서 첫 번째 줄의 1은 포트 수를 나타내는데, 최대 32까지 가능하며, 두 번째 줄의 첫 번째 값 1은 첫 번째 포트가 램프출력용 포트임을 나타내는 코드이다.
그리고 두 번째 줄의 두 번째 값 10001은 첫 번째 포트에 표시할 데이터의 첫 메모리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것이고, 두 번째 줄의 세 번째 값 32는 첫 번째 포트에 연결된 램프출력모듈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이다.(최대 32개까지 가능)
그리고 프로그램 입력기와의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해준 다음, 입력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환경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포맷-코드를 설정하는데,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1
6 0 1 0 10001 10002
여기서 첫 번째 줄의 1은 표시할 램프의 수를 나타내는데, 최대 4096까지 가능하며, 두 번째 줄의 첫 번째 값 6은 첫 번째 표시할 램프의 연산코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데이터 제공장비(부하측)가 두 번째(0), 세 번째(1), 네 번째(0)의 메모리 값으로 보내온 데이터를 상기 연산코드를 이용하여 처리한 다음 다섯 번째(10001)와 여섯 번째(10002)의 메모리 어드레스에 입력한다.
이와 같이 모든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하측으로부터 동작상태에 관한 신호가 제1통신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면 씨피유(130)는 이를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사용자설정테이블을 이용하여 처리를 한다.
즉, 우선 입력된 신호가 인디케이터(INDICATOR)에 관한 것인지 아니면 램프출력모듈(LAMP OUTPUT)에 관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해당 포맷-코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판단결과 입력된 데이터가 인디케이터(INDICATOR)에 관한 것이면 해당 포맷-코드가 동작하는데, 우선 입력된 데이터를 해당 연산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데이터로 연산한다.
그러면 상기 연산된 데이터는 기 설정된 포맷에 맞는 자리수로 변환되는데, 이를 해당 메모리번지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메모리 번지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터미널보드(140)의 해당 통신포트를 통해 해당 인디케이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인디케이터에는 데이터값이 사용자가 설정된 포맷으로 표시된다.(예를 들면 20.79)
한편, 상기 제1통신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의 판단결과 램프에 관한 것이면, 해당 포맷-코드가 동작하는데, 우선 입력된 데이터를 해당 연산코드를 이용하여 연산한다.
그러면 상기 연산된 데이터는 기 설정된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되는데, 이를 해당 메모리 번지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메모리 번지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터미널보드(140)의 해당 통신포트를 통해 해당 램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부하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램프에 관한 데이터의 종류로는 해당 부하가 동작중임을 알리는 동작중신호(RUN), 해당 부하가 정지상태임을 알리는 정지신호(STOP), 해당 부하가 이상상태임을 나타내는 결함신호(FAULT) 그리고 해당 부하가 정상상태임을 나타내는 정상신호(NORMAL) 등이 있다.
만약, 해당 부하에 이상이 발생되었다는 결함신호(FAULT)가 입력되면, 상기 설명된 동작순서에 의해 해당 램프가 온 된다. 그리고 씨피유(130)는 셋업보드(150)의 부저(B.Z)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때, 램프는 부하의 동작상태에 따라 세 가지 색으로 발광하는데, 예를 들면 동작중(RUN)일 때는 빨간색으로 발광하고, 정지(STOP)상태일 때는 초록색으로 발광한다. 그러나 결함(FAULT)상태일 때는 노란색으로 발광하는데 계속 온상태로 있는 것이 아니고 점멸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보음과 램프가 점멸되면 사용자가 이를 쉽게 감지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경보음 및 램프의 점멸상태를 정지시키려면 셋업보드(150)에 설치된 확인스위치(ACK)를 누른다.
그러면 부저(B.Z)의 동작이 멈추게 되고, 해당 램프는 점멸동작을 멈추고 노란색을 계속하여 발광하는 상태가 된다. 이후, 고장의 원인이 제거되어 알람이 해지되면 해당 램프는 해당 부하의 동작상태에 따른 색깔의 빛을 발광한다.
이때, 상기 고장의 원인을 제거한 후, 리셋트스위치(RESET)를 누르게 되면 상기 고장이 발생했던 시점의 모든 램프가 다시 노란색으로 점멸하면서 부저(B.Z)가 울리는데, 이는 고장난 부하를 모두 수리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셋업보드(150)에는 각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테스트하거나 각 램프출력모듈(LAMP OUTPUT)의 모든 램프를 테스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테스트 스위치(SEG TEST) 및 램프 테스트 스위치(LAMP TEST) 등이 있어 표시장치 전체의 이상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INDICATOR) 및 램프출력모듈(LAMP OUTPUT)과 그래픽드라이버(100) 사이를 통신포트를 이용한 멀티-드롭(Multi-drop)방식으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케이블의 연결선로가 짧아지고, 케이블의 연결 및 보수가 쉽다.
그리고 각 사용자마다 작업환경이 다를 수 있는데, 사용자설정 테이블은 테이블설정장치 즉, 피씨 등을 이용하여 임의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적합한 테이블을 스스로 설정하여 최적의 그래픽 표시제어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상황에 따른 로직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함으로써 간단한 코드의 셋업만으로 인디케이터 또는 램프의 제어가 가능하여 프로그램을 전혀 모르는 초보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통신포트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표시를 할 수 있어 표시치 교정이 불필요하며, 인디케이터 및 램프출력모듈과 통신포트를 이용한 멀티-드롭형태로 배선함으로써 설치작업이 쉽고, 결선 라인이 짧아지며, 인디케이터 테스트, 램프테스트, 알람확인 및 리셋트를 위한 전용 코드화를 할 수 있어 셋업이 간단하고, 준비된 소프트웨어만으로도 설치된 인디케이터의 상태 및 위치정보를 알 수 있으며, 대규모의 설비가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부하측으로부터 데이터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인지 아니면 램프에 관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면 그 인디케이터에 해당하는 포맷-코드를 실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해당 포맷-코드가 실행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포맷-코드에 설정된 연산코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범위의 값으로 변환하여 지정된 메모리번지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지정된 메모리번지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이를 지정된 통신포트를 통해 지정된 인디케이터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램프에 관한 것이면 그 램프에 해당하는 포맷-코드를 실행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해당 포맷-코드가 실행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포맷-코드에 설정된 연산코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범위의 값으로 변환하여 지정된 메모리번지에 저장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지정된 메모리번지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이를 지정된 통신포트를 통해 지정된 램프로 전송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제어방법.
  2.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부하측으로부터의 동작상태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제1통신입력수단과; 부하의 각 상황에 따른 로직이 테이블 화되어 저장되어 있고,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제1통신입력수단을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상기 메모리수단의 테이블과 비교 및 연산함으로써 부하측의 동작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해당 표시기에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보드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표시기의 테스트를 위한 셋업보드와; 외부 테이블 설정장치로부터 데이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씨피유에 전달하기 위한 제2통신입력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보드는 부하측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보음발생수단과; 각 램프출력모듈을 테스트하기 위한 램프 테스트 스위치와; 각 인디케이터를 테스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테스트 스위치와; 이상발생 시 경보음발생수단과 해당 램프출력모듈내의 램프를 정지시키기 위한 확인스위치와; 해당 부하의 고장을 수리한 후, 이를 확인하기 위한 리셋트스위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터미널보드는 32개의 인디케이터 또는 32개의 램프출력모듈을 연결할 수 있는 통신포트가 8개 구비되어 있으며, 32포트까지 확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보드와 각 인디케이터 및 램프출력모듈 사이를 멀티-드롭 방식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제어장치.
KR1019980004468A 1998-02-14 1998-02-14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25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468A KR100251323B1 (ko) 1998-02-14 1998-02-14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468A KR100251323B1 (ko) 1998-02-14 1998-02-14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677A KR980010677A (ko) 1998-04-30
KR100251323B1 true KR100251323B1 (ko) 2000-04-15

Family

ID=1953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468A KR100251323B1 (ko) 1998-02-14 1998-02-14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3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677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9338C2 (ru) Ручной монитор шины для полев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US20070244584A1 (en) Method for the Supplying and Installation of Device-Specific Functionalities and/or Data for the Field Devices of a Distributed System
JPH10161735A (ja) 重装備の分散制御システム
CN107042513B (zh) 加工机器人系统
CN112051827A (zh) 一种基于列车网络的轴温监测系统的调试系统
EP1248171A2 (en) Method and implementation of process control
JP3395032B2 (ja) 配電盤開閉装置と操作監視制御システム
KR100251323B1 (ko) 그래픽 제어방법 및 장치
US20090222611A1 (en) Digital input/output unit, controller, engineering system, programmer and display unit, especially for automation and plant engineering
AU4063102A (en) Process control system
KR20160074908A (ko) 캐비닛 내부 결선 모니터링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캐비닛 내부 결선 모니터링 방법
KR100765978B1 (ko) Plc 시스템 시험기기
CN117763825A (zh) 一种变电站辅助设备传感器模拟方法、系统和装置
KR102185794B1 (ko) 교통 신호기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가상 교통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CN209945396U (zh) 一种仪表测试系统
JP2017194440A (ja) デジタル圧力計及び制御システム
CN215222603U (zh) 一种应用于马赛克设备数显表的配置工具
CN212989619U (zh) 一种检测装置
CN216486120U (zh) 一种换热机组用控制程序测试柜
CN115001995B (zh) 用于处理从站信息的方法、设备和机器可读存储介质
KR100604099B1 (ko) 원격단말장치의 제어상황 표시방법
CN117215253B (zh) 一种基于组态软件的io模块调试方法
KR100508590B1 (ko) 통신시스템의 메인보드와 노드간 링크의 이상유무검출장치 및그 방법
CN113983669B (zh) 基于协议转换器转换通信协议的空调电子膨胀阀控制方法
KR100381367B1 (ko) 원격 통신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2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