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014B1 - 승강기 - Google Patents

승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014B1
KR100251014B1 KR1019970017337A KR19970017337A KR100251014B1 KR 100251014 B1 KR100251014 B1 KR 100251014B1 KR 1019970017337 A KR1019970017337 A KR 1019970017337A KR 19970017337 A KR19970017337 A KR 19970017337A KR 100251014 B1 KR100251014 B1 KR 10025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seating member
rope
ropes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798A (ko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김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주 filed Critical 김경주
Priority to KR101997001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014B1/ko
Priority to EP98103741A priority patent/EP0876987A1/en
Publication of KR980001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798A/ko
Priority to JP10105243A priority patent/JPH1170179A/ja
Priority to US09/061,627 priority patent/US6009979A/en
Priority to CN98101391A priority patent/CN119849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74Capstans
    • B66D1/7415Friction drives, e.g. pulleys, having a cable winding angle of less than 360 degre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저속 상승 및 정속 하강에 유리하고 안정한 자세로 작업을 가능하게 한 승강기에 대해 개시한다. 이 승강기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안착부재(500)와; 각 일단이 건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한쌍의 로우프(400)(401)와; 안착부재의 일측에 마련되고 로우프(400)를 소정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1제어 유니트(100)와; 제1제어 유니트 중 한 요소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300)와; 안착부재의 타측에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로우프(401)를 소정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2제어 유니트(200)와; 구동모터의 동력을 제2제어 유니트 중 한 요소에 전달시키는 전달수단과; 안착부재의 하강시 그 하강을 정지 및 해제시키는 제동수단;을 구비하여서,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안착부재가 로우프(400)(401)를 따라 상승되고 사용자를 포함하는 요소들의 자중으로 하강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승강기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된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승중 저지하였다가 다시 상승하고자 할 때에 하부로 밀림이 방지되고 과속승강이 방지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휴대용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고층건물이나 아파트 등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되었을 때 거주자들은 엘리베이터나 비상구 등을 통하여 대피하거나 고가 사다리차 등을 이용하여 비상탈출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엘리베이터나 비상구 등은 폐쇄적이어서 대피수단으로서는 부적합하며, 고가 사다리차는 그 도달높이에 한계가 있다.
또한, 고층건물의 유리창을 세척할때에, 작업자는 로우프의 매듭구조에 의존하여 하강 및 정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세척을 하게 된다. 그러나 로우프의 매듭이 풀릴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가 있으며, 또한 상승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특허 공고번호95-4519호 및 제1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 승강기를 출원한 바 있다. 이 안전 승강기는 수동 또는 모터의 동력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고 제동시킬 수 있으며, 하강 시에 장애물이 존재할 때 정지할 수 있고 상승하여 그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안전 승강기는, 중심부의 태양치차(64)와, 이에 외접되는 복수의 유성치차(66)(67)(68)와, 이들 유성치차(66)(67)(68)들이 공히 내접되는 링형 내치차(70)를 갖춘 변속부를 가진다. 엔드플레이트(80)에는 샤프트(1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치차(70)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면에 상기 유성치차(66)(67)(68))들이 설치되고 하면에 로우프(11)가 권회되도록 외주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풀리(69)가 고정 설치되는 유성캐리어(65)가 상기 샤프트(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유성치차(66)(67)(68)들 사이에 이들과 치합되는 태양치차(64)가 설치되고, 림(RIM; 61)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함홈(62)에 브레이크 웨이트(63)가 삽입되는 플라이휘일(60)이 샤프트(12)에 압입된다. 그리고 플라이휘일(60)의 외측에는 커버(55)가 결합되어 있다.
엔드플레이트(80)에는 상기 풀리(69)에 로우프(11)가 접촉되도록 안내하는 제1, 2 및 제3로울러(76, 78)(7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55)에는 플라이휘일(60)의 외주면을 밀착시키는 브레이크밴드(50)가 일단은 커버(55)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레버(51)에 연결된 채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밴드(50)가 플라이휘일(60)의 외주면에 탄성바이어스되도록 힌지(53)에는 스프링(52)과 레버(51)가 결합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밴드(50)는 스프링(52)에 의해서 항상 플라이휘일(6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51)를 회전시키면 플라이휘일(60)의 제동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안전 승강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레버(51)를 회전시켜 플라이휘일(60)의 제동을 해제시키면, 사용자의 자중에 의해서 승강기가 하강되게 된다. 이때 유성캐리어(65)의 풀리(69)의 회전속도는 저속으로 회전된다. 이는 플라이휘일(60)의 태양치차(64)의 회전속도 보다도 유성캐리어(65)의 풀리(69)의 회전속도가 그 속도비 만큼 감속되어 회전되고, 그 플라이휘일(6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브레이크웨이트(63)가 브레이크밴드(50)에 마찰됨으로써 플라이휘일(60)의 회전부하가 증대되어 유성캐리어(65)의 풀리(69)의 회전을 감속시키고 이에 따라 풀리(69) 제1, 2, 3로울러(76)(78)(77)와 로우프(11)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저속 하강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저속으로 하강되다가 하부에 위험물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게 되면, 회전시켰던 레버(51)를 놓아서 승강기를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시켰던 레버(50)를 놓으면, 스프링(52)의 복원력으로 브레이크밴드(50)가 플라이휘일(6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플라이휘일(60)을 정지시킴으로써 승강기의 하강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안전 승강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하강하다가 레버(51)의 작동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다시 상승하고자 할 경우에 레버(51)를 작동하여 브레이크를 해제시키게 되면 승강기가 일시적으로 하강되게 된다. 즉, 하부에 위험물이 존재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다시 상승하고자 할 경우에 브레이크력이 해제된 시점에서 다시 상승력이 제공되기 전까지 승강기가 소정거리 하강하게 되므로 피해야 되는 위험물과 접촉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각 브레이크웨이트(63)는 플라이휠(60)의 결합홈(62)에 단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휴대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외줄의 로우프(11)를 따라 승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승강동작이 불안하게 되며, 특히 작업위치에서 작업자의 균형유지가 불편하고 작업도구 등의 휴대가 번거롭다. 또한, 작업자의 중심에 로우프(11)가 위치됨으로써 작업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하강하다가 하부에 위험물이 존재하거나 정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정지하였다가 다시 상승하고자 할 때, 승강기가 하부로 밀리지 않고 상승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승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하강시 안전하게 정속하강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휴대용 승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안정한 자세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작업시 로우프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된 승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승강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 승강기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승강기에 채용되는 제1, 2제어 유니트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승강기에 채용되는 제1제어유니트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승강기에 채용되는 제2제어유니트의 사시도.
제7도는 제1, 2제어유니트 사이의 동력 전달부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제8a 및 b도는 제1, 2메인 풀리부재의 요부 정면도.
제9도는 제4도의 A-A단면도.
제10도는 제4도의 B-B단면도.
제11도는 제4도의 C-C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 승강기를 접은 상태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제1, 2제어유니트 101, 201 : 제1, 2케이싱부재
110, 210 : 제1, 2마스터구동부재 130, 230 : 제1, 3유성기어
140, 240 : 제1, 2링기어 150, 250 : 제2, 4유성기어
160, 260 : 제1, 2메인풀리부재 170, 270 : 제1, 2걸림쇠
300 : 구동모터 400, 401 : 로우프
500 : 안착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각 일단이 건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한쌍의 로우프와;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하나의 로우프를 소정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1제어유니트와; 상기 제1제어유니트중 한 요소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안착부재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로우프를 소정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2제어유니트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2제어유니트중 한 요소에 전달시키는 전달수단과; 상기 안착부재의 하강시 그 하강을 정지 및 해제시키는 제동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로우프를 따라 상승되고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요소들의 자중으로 하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유니트는 소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한 로우프의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되 제1케이싱부재와; 상기 제1케이싱부재에 마련되며 인입된 로우프가 권회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1메인풀리부재와; 상기 제1메인풀리부재를 소정속도로 감속 또는 증속시키는 제1속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유니트는 소정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한 로우프의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된 제2케이싱부재와; 상기 제2케이싱부재에 마련되며 인입된 로우프가 권회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2메인풀리부재와; 상기 제2메인풀리부재를 소정속도로 감속 또는 증속시키는 제2속도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제1, 2제어유니트에 의해 상기 한쌍의 로우프를 따라 하강될 때 일정한 속도로 하강되도록 제어하는 정속제어수단이 더 마련된다.
상기 본 발명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승강기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안착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안정한 자세로 승강 및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하강시 정속제어수단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하강되므로 작업위치 제어 및 승강동작을 안정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를 나타낸 제2도, 제3도 및 구동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제4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적용된 승강기는 고층 건물에서의 비상탈출 또는 건물 외벽, 유리창의 세척/페인트 작업시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승강기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안착부재(500)와; 각 일단이 건물(미도시)에 고정되는 한쌍의 로우프(400)(401)와; 안착부재(500)의 일측에 마련되고 하나의 로우프(400)를 소정 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1제어유니트(100)와; 이 제1제어유니트(100)중 한 요소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300)와; 안착부재(500)의 타측에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로우프(401)를 소정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2제어융니트(200)와; 구동모터(300)의 동력을 제2제어유니트(200)중 한 요소에 전달시키는 전달수단과; 안착부재(500)의 하강시 그 하강을 정지 및 해제시키는 제동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승강기는 개략적으로 구동모터(300)의 동력으로 안착부재(500)가 로우프(400)(401)를 따라 상승되고 구동모터(300)의 off상태에서 사용자를 포함하는 요소들의 자중으로 하강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안착부재(50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수평부(501)와, 이 수평부(501)로부터 소폭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부(503)와, 이 수직부(503)의 가장자리와 회전가능하게 힌지(502)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기댈 수 있는 등받이부(51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착부재(500)의 등받이부(510) 양측에는 각각 제1, 2제어유니트(100)(200)를 각각 수용하는 프레임(520)(530)이 회전가능하게 힌지(미도시)로 연결되어 있고, 각 프레임(520)(530)에는 로우프(400)(40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21)(53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가이드부(521)(531) 및 프레임(520)(530)은 수평부(501), 수직부(503) 및 등받이부(51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가이드부(521)(531)는 안착부재 수평부 (501)의 중앙부에 통과하는 각 로우프(400)(401)를 등받이부(510)측으로 가이드하도록 절곡되어 있으며, 각 로우프(400)(401)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523)(53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가이드부(521)(531)는 작업시 로우프(400)(401)등과의 간섭없이 간편하게 작업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각 프레임(520)(530)에는 작업자의 팔지지대(522)(532) 및 이를 지지하는 서포트(522a)(532a)가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4도, 제5도 및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1제어유니트(100)는 소정공간을 가지며 로우프(400)의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을 소정간격으로 분할하는 한쌍의 중간 플레이트(102)(103)가 마련된 제1케이싱부재(101)와; 이 제1케이싱부재(101)에 마련되며 인입된 로우프(400)가 권회되는 가이드홈(161)이 형성되고 구동모터(300)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1메인풀리부재(160)와; 이 제1메인풀리부재(160)를 소정속도로 감속 또는 증속시키는 제1속도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1속도제어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1메인풀리부재(160)는 그 내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환형의 링으로 형성되며, 제1케이싱부재(101)의 상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 외주연에 제1선기어(111a)가 형성된 제1샤프트(111)와; 제1샤프트(111)의 타단부에 압입설치되며 구동모터(300)와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제1마스터구동부재(110)와; 제1샤프트(111)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주연에 제2선기어(121)가 형성된 제1캐리어(120)와; 제1캐리어(120)에 각각 소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선기어(121)와 외접되는 복수의 제1유성기어(130)와; 각 제1유성기어(130)가 내접되며 제1케이싱부재(101)에 소정의 제1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제1링기어(140)와; 상기 중간플레이트(102)(103)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2선기어(121)와 외접되고 제1메인풀리부재(160)의 기어부에 내접되는 복수의 제2유성기어(150)를 구비한다.
상기 제1고정수단은 제4도, 제5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플레이트(1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1링기어(140)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1걸림쇠(170)를 구비하여서, 제1링기어(14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걸림쇠(170)에 걸려 회전 정지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가능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제1속도제어수단은 구동모터(300)의 동력으로 안착부재(500)가 상승될 때 제1메인풀리부재(160)를 감속시켜 저속으로 운전시키고, 구동모터(300)의 off시 작업자 및 안착부재(500)를 포함하는 자중으로 하강될 때 제1메인풀리부재(600)는 증속된다. 이때 증속 하강되는 안착부재(500)는 이하에 설명되는 정속제어수단에 의해 정속으로 하강되게 된다.
제4도, 제6도 및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2제어유니트(200)는 소정 공간을 가지며 로우프(401)의 인입구와 인출구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소정간격으로 분할하는 한쌍의 중간 플레이트(202)(203)가 마련된 제1케이싱부재(201)와; 제2케이싱부재(201)에 마련되며 인입된 로우프(401)가 권회되는 가이드홈(261)이 형성되고 상기 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구동모터(300)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2메인풀리부재(260)와; 제2메인풀리부재(260)를 소정속도로 감속 또는 증속시키는 제2속도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2속도제어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2메인풀리부재(260)는 그 내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환형의 링으로 형성되며, 제2케이싱부재(201)의 상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 외주연에 제3선기어(211a)가 형성된 제2샤프트(211)와; 제2샤프트(211)의 타단부에 압입설치되며 구동모터(300)와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제2마스터구동부재(210)와; 제2샤프트(211)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주연에 제4선기어(221)가 형성된 제2캐리어(220)와; 제2캐리어(220)에 각각 소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3선기어(211a)와 외접되는 복수의 제3유성기어(230)와; 각 제3유성기어(230)가 내접되며 제2케이싱부재(201)에 소정의 제2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제2링기어(240)와; 중간플레이트(202)(203)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4선기어(221)와 외접되고 제2메인풀리부재(260)의 기어부에 내접되는 복수의 제4유성기어(250)를 구비한다.
상기 제2고정수단은 제4도, 제6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플레이트(20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2링기어(240)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2걸림쇠(270)를 구비하여서, 제2링기어(24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2걸림쇠(270)에 걸려 회전 정지되고 타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가능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제2속도제어수단은 상기 제1속도제어수단과 같은 작동을 한다.
한편, 상기 안착부재(500)가 상기 제1, 2제어유니트(100)(200)에 의해 한쌍의 로우프(400)(401)를 따라 하강될 때 일정한 속도로 하강되도록 제어하는 정속제어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4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제2케이싱부재(201)의 외주면에는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서브케이스(206)가 마련되어 있고, 제2케이싱부재(201)로부터 상기 공간으로 환형리브(204)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환형리브(204)의 내주면에는 마찰패드(205)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케이싱부재(201)에는 구동회전체(28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구동회전체(280)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2마스터구동부재(210)와 치합되어 회전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서브케이스(206)에는 연동회전체(29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연동회전체(290)는 소정의 일방향클러치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회전체(28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이 연동회전체(290)에는 그 연동회전체(29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마찰패드(205)에 마찰접촉되는 마찰웨이트(29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마찰웨이트(291)는 상기 안착부재(500)가 상승될 때 마찰패드(205)로부터 분리되고 하강될 때 마찰패드(205)와 마찰접촉되도록 일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수단은 연동회전체(290)의 외주면에 복수의 일방향 걸림턱을 가지는 래치(290a)가 형성되고, 구동회전체(280)의 단부에는 상기 각 래치(290a)에 걸려지는 복수의 포올(28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각 포올(281)은 상기 안착부재(500)가 상승될 때 구동회전체(280)의 원심력으로 래치(290a)로부터 분리되고, 하강될 때 래치(290a)에 걸려지도록 래치(290a)측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상기와 같은 정속제어수단은 안착부재(500)가 하강될 때, 포올(281)에 의해 연동회전체(290)가 구동회전체(280)와 일체로 회전되게 되고 마찰웨이트(291)가 마찰패드(205)에 마찰접촉되면서 회전되게 되어 하강속도를 저속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안착부재(500)의 하강속도에 비례하여 마찰웨이트(291)의 원심력이 커지게 되므로, 정속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2도, 제4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동수단은 연동회전체(290)의 외주면에 탄성바이어스되는 브레이크패드(292)(293)가 각 단부에 마련된 한쌍의 브레이크레버부재(294)(295)가 서브케이스(206)의 외측에 마련된 구조를 가진다. 이들 한쌍의 브레이크레버부재(294)(295)는 스프링부재(297)에 의해 상호 탄성바이어스되어 연동회전체(290)의 외주면에 브레이크패드(292)(293)가 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브레이크레버부재(294)(295)의 해제작동에 따라 브레이크패드(292)(293)가 연동회전체(290)에서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레버부재(294)(295)의 작동은 팔지지대(5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레버(298)에 의해서 가능하게 되며, 이 작동레버(298)는 와이어(296)로 브레이크레버부재(294)(29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동수단에 있어서, 브레이크패드(292)(293)는 구동모터(300)의 on/off시에 모두 연동회전체(29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있으며, 특히 구동모터(300)의 off시 작동레버(298)를 작동하여 제동력을 해제시키면 제1, 2마스터구동부재(110)(210)가 회전되면서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를 회전시켜 안착부재(500)의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제4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구동모터(300)의 동력을 제2제어유니트(200)에 전달시키는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제1케이싱부재(10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마스터구동부재(110)와 치합되는 구동기어(311)를 가지며 구동모터(300)와 연결되는 구동축(310)과, 제2케이싱부재(20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마스터구동부재(210)와 치합되는 종동기어(321)를 가지는 종동축(320)과, 구동축(310)과 종동축(320)을 소정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하는 연결축(330)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구동축(310)과 종동축(320)의 단부 및 상기 연결축(330)의 양단부는 각각 대응하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구동축(310)과 연결축(330) 그리고 종동축(320)과 연결축(330)을 각각 연결부쉬(350)(351)로 연결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각 캡부재(360)(361)가 제1, 2케이싱부재(101)(201)와 나사결합될 때 연결부쉬(350)(351)가 이동되어 구동축(310)과 연결축(330) 그리고 종동축(320)과 연결축(330)을 각각 연결시키며, 상기 연결축(330)은 외부의 충격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보호파이크(340)에 내장설치된다. 상기 각 켑부재(360)(361)의 내측에는 연결부쉬(350)(351)가 연결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스프링(362)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축(330) 및 보호파이프(340)는 등받이부(510)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이 경우 연결축(330) 및 보호파이프(340)를 작업중 또는 설치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보호플레이트(미도시)를 등받이부(510)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제5도, 제6도 및 제8a, b도를 참조하면,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의 각 가이드홈(161)(261)의 양측벽에는 가이드리브(161a)(261a)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로우프(400)(401)는 가이드홈(161)(261)에 지그재그로 권회되어 각 가이드리브(161a)(261a)와의 마찰로 인출 및/또는 진입되게 된다. 여기서 양측벽과 함께 가이드홈(161)(261)을 형성하는 바닥면(161b)(261b)의 폭은 실질적으로 로우프(400)(40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로우프(400)(401)는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에 권회될 때 변형되지 않고, 각 가이드리브(161a)(261a)와의 마찰로 인출 및/또는 진입되게 된다.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의 외주연에는 권회되는 로우프(400)(401)의 이탈 및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롤러(601-603)(701-703)가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이들 가이드롤러는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와 치합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승동작]
먼저, 구동모터(300)가 구동되면 상기 제1, 2마스터구동부재(110)(2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각 제1유성기어(130) 및 제2유성기어(230)가 시계방향으로 자전되면서 제1, 2캐리어(120)(2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1, 2링기어(140)(240)는 제1, 2걸림쇠(170)(27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제1, 2캐리어(120)(220)는 1차적으로 감속된 속도로 회전되게 되며, 이 제1, 2캐리어(120)(220)의 제2, 4선기어(121)(221)에 맞물린 제2, 4유성기어(150)(250)는 시계방향으로 자전되고,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우프(400)(401)를 권회시킨다. 이때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는 2차적으로 감속되어 안착부재(500)를 저속으로 상승시킨다.
한편, 상기 제2마스터구동부재(2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될 때 상기 구동회전체(28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원심력으로 상기 복수의 포올(281)은 연동회전체(290)의 래치(290a)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제1, 2마스터구동부재(110)(210)는 상기 제동수단에 의한 제동력과는 관계없이 회전구동되게 된다.
[하강동작]
먼저, 구동모터(300)의 전원을 off시킨다. 이때 안착부재(500)는 로우프(400)(401)를 따라 하강되려 하지만, 상기 제동수단에 의해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패드(292)(293)는 연동회전체(29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그 연동회전체(290)를 정지시키게 되고, 각 포올(281)은 연동회전체(290)의 래치(290a)에 걸리게 되어 구동회전체(280) 또한 정지되게 되므로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는 정지되게 된다. 이때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는 상기 가이드돌기(161a)(261a)과의 마찰력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하여 하강을 방지시킨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298)를 작동하여 브레이크패드(292)(293)를 연동회전체(29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제1, 2메인풀리부재(160)(260)의 제동력이 해제되게 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2, 4유성기어(150)(250)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되게 되고, 제1, 2캐리어(120)(220)는 시계방향으로 증속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제1, 2캐리어(120)(220)에 설치된 제1, 2유성기어(130)(230)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전되면서 시계방향으로 공전하게 되며 제1, 2마스터구동부재(110)(2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구동회전체(28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포올(281)은 연동회전체(290)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서 연동회전체(290)는 제2마스터구동부재(210)와의 기어비에 따라 증속회전되게 되며, 마찰웨이트(291)는 원심력으로 마찰패드(205)에 마찰접촉되게 된다. 이 마찰력은 연동회전체(290)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되므로 안착부재(500)는 정속으로 하강되게 된다.
한편, 제3도 내지 제6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승강기의 설치작업중에 두 로우프(400)(401)에 지지된 안착부재(500)의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조정구의 조정기어(180)(280)를 제1, 2링기어(140)(240)에 치합시켜서 제1, 2링기어(140)(24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안착부재(500)의 수평상태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케이싱(101)(201)에는 상기 조정기어(180)(280)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 승강기는 본원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할 것도 없다.
첫째, 하강하다가 하부에 위험물이 존재하거나 정지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정지하였다가 다시 상승하고자 할 때, 승강기가 하부로 밀리지 않아 안전에 유리하다. 즉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작동레버(298)를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항상 제동력이 걸려있는 상태이고 작동시에만 제동력이 해제되게 되어 하강이 가능하게 되며, 상승시에도 항상 제동력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승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승중 모터정지에 의해 정지가 되더라도 하방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둘째, 하강시에 증속하강이 되더라도 그 증속에 비례하여 마찰웨이트(291)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는 상기 정속제어수단에 의해서 하강시 정속하강이 가능하여 안전하강에 유리하다.
셋째, 한쌍의 로우프(400)(401)에 가이드되어 승강되는 안착부재(500)를 채용함으로써, 안정한 자세로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작업시 로우프와의 간섭이 방지되어 작업효율 향상에 유리하다.
넷째, 상기 안착부재(500) 및 제1, 2제어유니트(100)(200)를 수용하는 프레임(520)(530)은 상호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접어짐이 가능하게 되어, 휴대가 간편하다.
다섯째, 승강기를 분해하지 아니하고도 안착부재(500)의 수평상태를 상기 조정기어(180)(280)로서 간편하게 조정이 가능하다.

Claims (3)

  1. 사용자가 안착되는 안착부재와; 각 일단이 건물에 고정되는 적어도 한쌍의 로우프와; 상기 안착부재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하나의 로우프를 소정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1제어유니트와; 상기 제1제어유니트 중 한 요소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안착부재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로우프를 소정패턴으로 권회시키는 제2제어유니트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제2제어유니트 중 한 요소에 전달시키는 전달수단과; 상기 안착부재의 하강시 그 하강을 정지 및 해제시키는 제동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상기 안착부재가 상기 로우프를 따라 상승되고 상기 사용자를 포함하는 요소들의 자중으로 하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2제어유니트를 각각 수용하는 제1, 2프레임과, 상기 각 로우프를 상기 각 제1, 2제어유니트측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각 제1, 2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사용자가 안착되는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일단부에서 수직으로 소정폭 연장되는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 제1, 2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 및 등받이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제1, 2프레임이 회전되어 수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KR1019970017337A 1997-05-06 1997-05-06 승강기 KR10025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337A KR100251014B1 (ko) 1997-05-06 1997-05-06 승강기
EP98103741A EP0876987A1 (en) 1997-05-06 1998-03-03 Outside up-down elevator
JP10105243A JPH1170179A (ja) 1997-05-06 1998-04-15 外壁昇・下降用昇降機
US09/061,627 US6009979A (en) 1997-05-06 1998-04-16 Outside up-down elevator
CN98101391A CN1198499A (zh) 1997-05-06 1998-04-16 外墙升降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337A KR100251014B1 (ko) 1997-05-06 1997-05-06 승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798A KR980001798A (ko) 1998-03-30
KR100251014B1 true KR100251014B1 (ko) 2000-04-15

Family

ID=1950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337A KR100251014B1 (ko) 1997-05-06 1997-05-06 승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09979A (ko)
EP (1) EP0876987A1 (ko)
JP (1) JPH1170179A (ko)
KR (1) KR100251014B1 (ko)
CN (1) CN11984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511B1 (ko) 2013-02-25 2014-11-19 한국과학기술원 자전거 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0908C2 (nl) * 1998-12-28 2000-06-30 Altrex Bv Liftkooigeleidingsstelsel.
US20080087497A1 (en) * 2006-10-13 2008-04-17 Sky Climber Access Solutions, Llc Suspended work platform with an integrated rescue system and a method for rescuing a worker
KR101216217B1 (ko) * 2009-05-12 2012-12-26 전병수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균등화 장치
DE102010000363A1 (de) * 2010-02-11 2011-08-11 Widmesser, Florian, Dipl.-Ing., 93053 Sicherungsvorrichtung, insbesondere Seilsicherung
KR101023580B1 (ko) * 2010-07-15 2011-03-21 전병수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자동 균등화 장치
AT510556B1 (de) * 2011-04-11 2012-05-15 Univ Wien Tech Kletterseilsicherung
LU92298B1 (fr) 2013-10-28 2015-04-29 Capital Access Sarl Treuil à poulie d'adhérence autonome
US10023445B2 (en) * 2014-04-07 2018-07-17 Actsafe Systems AB Portable power driven system comprising a rope grab arrangement
KR102167184B1 (ko) * 2014-08-07 2020-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모듈,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및 운동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25078B1 (ko) * 2014-08-07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모듈,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및 운동 보조 장치의 제어 방법
CN106237552A (zh) * 2016-09-13 2016-12-21 山东创能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楼多人缓降逃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36970B1 (ko) * 1969-04-23 1976-04-16 Pomagalski Jean Sa
GB1285473A (en) * 1969-07-21 1972-08-16 Thomas Ltd Marti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pe climbing devices
US3944185A (en) * 1974-06-28 1976-03-16 Mayco Equipment Co., Inc. Hoist apparatus
US4225012A (en) * 1979-04-06 1980-09-30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Safety clamp device and apparatus utilizing same
DE3475772D1 (en) * 1983-02-24 1989-02-02 Novitec Sc Lifting device, in particular a working-platform
US5203265A (en) * 1991-04-26 1993-04-20 Nii Koichi P Self-propelling, multi-route transport for movement along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sections of tr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511B1 (ko) 2013-02-25 2014-11-19 한국과학기술원 자전거 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70179A (ja) 1999-03-16
KR980001798A (ko) 1998-03-30
EP0876987A1 (en) 1998-11-11
US6009979A (en) 2000-01-04
CN1198499A (zh) 1998-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014B1 (ko) 승강기
EP0516798B1 (en) Safety anchorages for controlling pay-out of a safety line
KR890001125Y1 (ko) 피난용 완강 장치(緩降裝置)
KR101979236B1 (ko) 수조 승하강용 곤돌라
JP6206959B2 (ja) 避難用昇降機
KR100772203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KR950004519B1 (ko) 안전 승강기
KR20140072687A (ko)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
CN109384119A (zh) 机械式升降逃生装置、电梯和方法
KR20010021184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5104653A (ja) エレベータ
KR0181389B1 (ko) 휴대용 승강기의 브레이크장치
KR102321581B1 (ko) 발판의 추락 방지를 제공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0879314B1 (ko) 탈출용 윈치
KR101898984B1 (ko) 고층건물의 긴급 대피용 엘리베이트장치
JP2701199B2 (ja) 昇降補助機
CN2362521Y (zh) 高楼救生机
CN216169438U (zh) 高层逃生缓降器及高层逃生窗
KR920005723B1 (ko) 휴대용 안전 하강장치
KR102592783B1 (ko) 대피시설용 완강장치
CN217885923U (zh) 一种升降装置以及幕墙机器人
CN217458376U (zh) 一种可转动的电梯轿厢扶手
JP2004331231A (ja) エレベータ
KR20040054886A (ko) 완강기
KR200254184Y1 (ko) 섬유질 로프 권상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