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005B1 - 비동기 전송모드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송모드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005B1
KR100251005B1 KR1019970045644A KR19970045644A KR100251005B1 KR 100251005 B1 KR100251005 B1 KR 100251005B1 KR 1019970045644 A KR1019970045644 A KR 1019970045644A KR 19970045644 A KR19970045644 A KR 19970045644A KR 100251005 B1 KR100251005 B1 KR 10025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data
real
cel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509A (ko
Inventor
박재화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4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005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5Interconnection of switching modules
    • H04L49/1553Interconnection of ATM switching modules, e.g. ATM switching fab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 H04L49/105ATM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04L2012/5653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ATM)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ATM 칩세트를 이용하면서 송신할 실시간성 서비스의 데이타들은 ATM 정합장치로 PC의 확장 슬롯을 통해서 전달하고, 수신시에는 ATM 셀 역다중화기를 통해 실시간성 ATM 셀 스트림을 추출하여 ATM 계층 이상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수행하도록 하고, 별도의 수신용 실시간성 데이타의 병렬 인터페이스를 두어 이를 통해 데이타 복원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멀티 미디어 서비스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비동기 전송모드(ATM)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이하 ATM이라 칭한다)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ATM 칩세트를 이용하면서 실시간성 데이타 수신에 대해서는 ATM 셀 역다중화 장치에서 별도로 처리하도록 하여, PC의 서비스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 단말기는 광대역종합정보통신망(이하 B-ISDN이라 칭한다)에 접속되어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정합 보드로, 상세하게는 B-ISDN을 매체로 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주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이다.
즉, 영상전화, 영상회의와 같은 쌍방향 통신 서비스 또는 주문형 비디오(VOD)와 같은 각종 영상검색 서비스, 방송 서비스 등을 통합 제공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ATM 정합 보드는 ATM 통신 방식이 실시간 및 비실시간 데이타들을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서비스 처리에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현재 PC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송/수신되는 실시간성 ATM 셀 모두를 PC 시스템의 확장 보드를 사용하여 전달한다면, PC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CPU)와 PC 시스템의 확장 버스의 한정된 능력으로 인하여 실시간성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게 된다.
왜냐하면 보편적으로 ATM 단말 장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전송 채널 수 보다는 수신하려고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수신 채널 수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의 PC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실시간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려면 복잡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조를 가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신되는 실시간용 ATM 셀을 PC의 확장 슬롯을 통해 처리하지 않고, ATM 정합 보드 상에서 하드웨어 로직으로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PC 시스템의 처리 부담을 덜어주고, 또한 여러 채널의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수신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ATM 정합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ATM 정합 보드를 사용하여 실시간성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PC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송신할 실시간성 서비스의 데이타들은 ATM 정합 보드로 PC의 확장 슬롯을 통해서 전달하고, 수신시에는 ATM 셀 역다중화 장치를 두어 실시간성 ATM 셀 스트림을 추출하여 ATM 계층 이상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수행하고, 별도의 수신용 실시간성 데이타의 패럴를 인터페이스를 두어 이를 통해 데이타 복원 장치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ATM 정합 보드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셀 역다중화부 상세 구성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실질적으로 구현하였을 경우의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의 ATM 정합 보드를 사용하는 PC 시스템 구성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리계층 처리부 2 : ATM 셀 역다중화부
3 : 실시간성 ATM 셀 ATM 계층 처리부
4 : 실시간성 AAL 계층 처리부 5 : 실시간 데이타 출력포트
6 : 실시간 데이타 복원부 7 : PC 시스템
8 : PC 확장 버스 제어부 9 : AAL 계층 처리부
10 : ATM 계층 처리부 11 : ATM 프로세서 칩 세트
12 : 실시간용 ATM 셀 처리부 13 : 엠펙 인코더 보드
14 : ATM 정합 보드 15 : VPI/VCI 입력부
16 : 엠펙 디코더 보드 21 : 물리계층 처리 인터페이스부
22 : ATM 셀 헤더 저장부 23 : 가상경로/가상채널 판별부
24 : PC 확장 버스 인터페이스부 25 : ATM 계층처리 인터페이스부
상기와 같이 동작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ATM 정합 보드는 ATM 망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ATM 셀의 형태로 변환하여 ATM 셀 역다중화기에 전달 또는 역으로 수신하는 물리계층 처리부와, 상기 물리계층 처리부로 부터 입력받은 다수의 가상 채널을 갖는 ATM 셀 데이타를 역다중화하고, 또한 입력된 ATM 셀에서 비실시간 데이타와 실시간 데이타를 구분하여 각 처리부로 입력하는 ATM 셀 역다중화부와, 상기 ATM 셀 역다중화로 부터 출력된 실시간성 ATM 셀을 전달받아 ATM 셀 유로부하 부분만을 추출하여 AAL 계층 처리부로 출력하는 실시간성 ATM 셀 ATM 계층처리부와, 상기 실시간성 ATM 셀 ATM 계층처리부로 부터 ATM 셀 유로부하 부분을 입력받아 AAL 계층의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성 AAL 계층 처리부와, 상기 실시간성 AAL 계층 처리부로 부터 실시간성 데이타를 입력받아 실시간 데이타 복원부로 출력하는 실시간 데이타 출력포트와, ATM 정합보드에 연결된 타 시스템에서 비실시간 AAL 계층 처리부로 데이타를 전달하거나, 데이타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고, ATM 정합 보드의 각 부를 상기 연결된 타 시스템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확장 버스 제어부와, 상기 확장 버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ATM 망으로 전송할 데이타를 ATM 계층 처리부로 전달하고, ATM 계층 처리부로 부터 수신한 데이타를 연결된 타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AAL 계층 처리부, 및 상기 AAL 계층 처리부로 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입력받아 이를 ATM 셀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물리계층 처리부로 출력하고, 또한 OAM 셀, 사용자 데이타 셀과 같은 비실시간성 ATM 셀을 발생하여 물리계층 처리부로 출력하며, 이의 반대 역할을 수행하는 ATM 계층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ATM 정합 보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사용장치는 PC 시스템에서 실시간성 엠펙 스트림의 데이타 제공을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PC의 확장 슬롯에 장착되며, 송신하고자 하는 영상 및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부호화 하는 엠펙 인코더 보드와, 상기 엠펙 인코더 보드와 직접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인코딩된 엠펙 스트림을 입력받아 ATM 셀화 시키며, PC의 확장 슬롯에 장착되는 청구 1항의 ATM 정합 보드와, 상기 ATM 정합 보드에서 엠펙 스트림을 ATM 셀화 시킬 때 이 전송할 데이타를 실시간 정보로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 데이타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VPI/VCI 값을 VPI/VCI 입력부, 및 상기 ATM 정합 보드에서 출력된 엠펙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데이타로 변환시키며, PC의 확장 슬롯에 장착되는 다수의 엠펙 디코더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개념과 설계 원칙을 먼저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① ATM 정합보드는 PC를 플랫폼으로 하는 단말에 확장 보드 형태로 접속하여 사용된다.
② ATM 단말 장치로 부터 전송하려는 데이타들은 PC 슬롯으로 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아 비동기 적응계층(ATM Adaption Layer : 이하 AAL이라 칭한다) 처리 장치, ATM 처리 장치, 물리 계층 처리 장치를 거쳐서 ATM 망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AAL 계층 처리와 ATM 계층의 처리는 기존의 상업용 칩세트를 이용하여 이들의 트래픽 처리 능력을 이용한다.
③ ATM 망으로부터 입력되는 ATM 셀들의 헤더 정보를 검사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ATM 셀들을 추출하여 ATM 계층의 처리를 수행하여 주고, 별도의 경로로 데이타를 전달해 줌으로써, PC 슬롯에서의 데이타 처리 부담을 덜어주도록 한다.
④ PC의 시스템 버스(예 : PCI 버스)를 통해 "DSMCC나 H.245, IP" 또는 "ATM, LANE" 등과 같은 프로토콜 데이타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⑤ 국제 표준 규격을 수용하여 다른 국제 표준을 수용한 개발 제품과 호환성을 유지한다.
⑥ 수신되는 실시간용 ATM 셀들을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핵심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하다.
⑦ 시그널링이나 유지보수(OAM) 등 특정한 ATM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은 ATM 정합 보드에서 PC의 버스(PCI 버스)를 통하여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호스트 시스템에는 리얼타임 운용 시스템(OS)을 포팅하여 ATM 정합 보드의 하드웨어 및 제반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게 된다.
⑧ 향후 엠펙-2(MPEG-2) 디코더 및 시스템 제어부 하드웨어와의 통합에 대비하고, 고성능, 저전력화 및 글루로직 최소화, 보드의 경박단소(輕薄短小) 형상을 위해 상용 칩과 함께 수신되는 실시간용 ATM 셀의 처리를 위한 아식(ASIC) 칩을 사용한다.
⑨ "ITU-T SG13"의 권고에 명시되어 있는 B-ISDN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UNI) 접속 규격을 수용하여 다른 HAN/B-ISDN 개발 제품과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⑩ATM 정합 보드는 상위모듈로서 미디어처리부와 시스템제어부를 두고 있으며, 하위로서는 B-ISDN Sb 접면을 두고 있다.
시스템 제어부와 ATM 정합부 간의 인터페이스는 PC의 확장 버스(PCI 버스)를 사용하며, 시스템 제어부가 ATM 정합부를 자신의 관리하에 있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간주하도록 하기 위해 시스템 제어부 내에 ATM 정합 모듈-응용 프로그램 정합(AIM-API)과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두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미디어 처리부는 엠펙 인코더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타 압축 장치, 엠펙 디코더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타 복원 장치, 오디오/비디오 전후처리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하여 구현된 본 발명의 ATM 정합 보드의 구조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ATM 망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ATM 셀의 형태로 변환하여 ATM 셀 역다중화기에 전달하고, 반대로 송신의 경우 ATM 계층 처리부로 부터 입력된 전송 데이타를 ATM 망으로 전송하는 물리계층 처리부(1)와, 상기 물리계층 처리부(1)로 부터 입력받은 다수의 가상 채널을 갖는 ATM 셀 데이타를 역다중화하고, 또한 입력된 ATM 셀에서 비실시간 데이타와 실시간 데이타를 구분하여 각 처리부로 입력하는 ATM 셀 역다중화부(2)와, 상기 ATM 셀 역다중화부(2)로 부터 출력된 실시간성 ATM 셀을 전달받아 ATM 셀 유로부하 부분만을 AAL 계층 처리부로 출력하는 실시간성 ATM 셀 ATM 계층처리부(3)와, 상기 실시간성 ATM 셀 ATM 계층처리부(3)로 부터 ATM 셀 유로부하 부분을 입력받아 AAL 계층의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성 AAL 계층 처리부(4)와, 상기 실시간성 AAL 계층 처리부(4)로 부터 실시간성 데이타를 입력받아 실시간 데이타 복원부(6)로 출력하는 실시간 데이타 출력포트(5)와, PC 시스템(7)이 비실시간 AAL 계층 처리부(9)로 부터 데이타를 전달하거나, 데이타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ATM 정합 보드의 각 부를 PC 시스템(7)이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PC 확장 버스 제어부(8)와, 상기 PC 확장 버스 제어부(8)와 연결되어 ATM 망으로 전송할 데이타를 ATM 계층 처리부(10)로 전달하고, ATM 계층 처리부(10)로 부터 수신한 데이타를 PC 시스템(7)으로 전달하는 AAL 계층 처리부(9), 및 상기 AAL 계층 처리부(9)로 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입력받아 이를 ATM 셀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물리계층 처리부(1)로 출력하고, 또한 OAM 셀, 사용자 데이타 셀과 같은 비실시간성 ATM 셀을 발생하여 물리계층 처리부(1)로 출력하며, 반대로 ATM 셀 역다중화부(2)로 부터 비실시간성 ATM 셀들을 입력받아 필요한 ATM 계층의 처리를 수행하는 ATM 계층 처리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ATM 셀 역다중화부(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계층 처리부(1)와의 정합을 담당하는 물리계층 처리 인터페이스부(21)와, 상기 물리계층 처리 인터페이스부(21)를 통해 입력된 ATM 데이타로 부터 헤더정보를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ATM 셀 헤더 저장부(22)와, 미리 정의되어 저장된 실시간성 서비스의 가상경로(VPI) 값과, 가상채널(VCI) 값을, 상기 ATM 셀 헤더 저장부(22)로 입력된 VPI/VCI 값과 비교하여 현재 입력된 셀이 실시간성 셀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가상경로/가상채널 판별부(23)와, 상기 가상경로/가상채널 판별부(23)에 저장되는 VPI/VCI 값을 사용자로 부터 입력받기 위한 PC 확장버스 인터페이스부(24), 및 상기 ATM 계층 처리부(10)와의 정합을 담당하는 ATM 계층 처리 인터페이스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ATM 망 측으로 데이타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송신하고자 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타가 PC의 확장 버스를 통해서 입력되면, 이 입력된 데이타는 엠펙 인코더 보드(13)를 통해 부호화 된 다음 ATM 정합 보드(14)로 입력되어 AAL 계층 처리부(9)로 입력되는 바, 여기서 상기 엠펙 인코더 보드(13)와 같은 멀티 미디어 데이타 인코더 보드는 자신이 PC 확장 버스로 데이타를 전달하는 통로를 가지고 있어, PC 확장 버스를 통해 ATM 정합 보드(14)로 데이타를 전달한다.
그리고 시그널링, OAM 셀과 같은 PC 호스트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타들도 확장 슬롯을 통해서 ATM 정합 보드(14)로 전달된다.
이처럼 입력된 데이타들은 AAL 계층 처리부(9)와 ATM 계층 처리부(10)를 통해 ATM 망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의 ATM 셀로 변환되어 망으로 전송된다.
한편, ATM 망측으로 부터 데이타를 수신할 경우를 설명하면, 수신되는 데이타들은 물리 계층처리부(1)를 거쳐 ATM 셀 역다중화부(2)로 입력된다.
상기 입력된 데이타 중 ATM 셀의 헤더 정보는 ATM 셀 헤더 저장부(22)에 입력된 다음 가상경로(VPI)/가상채널(VCI) 판별부(23)에 미리 정의되어 있던 실시간성 서비스의 VPI, VCI 값과 비교되어 현재 입력된 ATM 셀이 실시간성 ATM 셀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판별결과 실시간성 ATM 셀이면, 실시간성 ATM 셀 ATM 계층 처리부(3)로 입력하여 처리된다.
이와 같은 실시간 데이타들의 처리는 ATM 정합 보드(14) 상에서 하드웨어적으로 수행되어 엠펙 디코더 보드(16)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타 복원 장치로 전달된다.
한편, 비실시간성 ATM 셀들은 ATM 계층 처리부(10)와, AAL 계층 처리부(9)를 거쳐 PC 확장 버스를 통해 PC 호스트 시스템으로 입력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ATM 정합 보드를 실질적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칩 세트로 구현되는 바, ATM 계층 및 AAL 계층, PCI 인터페이스 제어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칩 세트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접속하고자 하는 물리적 접면에 따라 물리 계층 칩 세트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즉, 제1도에서 AAL, ATM 계층 처리부(9, 8)는 하나의 ATM 프로세서 칩세트(11)로 구현할 수 있고, ATM 셀 역다중화부(2)와, 실시간성 ATM 셀 ATM 계층 처리부(3)와, 실시간성 AAL 계층 처리부(4)는 프로그램 가능한 전계 게이트 어레이(FPGA)를 사용하여 하나의 실시간용 ATM 셀 처리부(12)로 구현할 수 있다.
제4도는 상기와 같이 구현된 ATM 정합 보드를 사용하여 PC에서 실시간 데이타를 처리하는 PC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 송신하고자 하는 영상 및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부호화하는 엠펙 인코더 보드(13)와, 상기 엠펙 인코더 보드(13)와 직접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인코딩된 엠펙 스트림을 입력받아 ATM 셀화 시키는 ATM 정합 보드(14)와, 상기 ATM 정합 보드(14)에서 엠펙 스트림을 ATM 셀화 시킬 때 이 전송할 데이타를 실시간 정보로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 데이타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VPI/VCI 값을 입력하는 VPI/VCI 입력부(15), 및 상기 ATM 정합 보드(14)에서 출력된 엠펙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데이타로 변환시키는 다수의 엠펙 디코더 보드(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엠펙 인코더 보드(13)로 입력되는 데이타는 영상 및 음성 데이타로 캠코더와 같은 영상매체를 이용하여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엠펙 디코더 보드(16)는 영상회의서비스 및 VOD 서비스 등의 영상 또는 음성을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다수개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각 서비스 마다 하나씩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보드(13, 14, 16)들은 PC 시스템(7)의 확장 슬롯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PC 시스템(7)을 이용하여 ATM 망을 통해 ATM 정합 보드(14)로 입력된 ATM 셀을 정합보드(14)에서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 다음 병렬 커넥터를 통해서 엠펙 디코더 보드(16)로 출력한다.
이 다수의 엠펙 디코더 보드(16)에서는 각각 자신에게 입력되는 데이타를 디코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반대로 송신의 경우, 엠펙 디코더 보드(13)를 통해 인코딩된 엠펙 스트림이 ATM 정합 보드(14)로 입력되면, 이와 동시에 PC 시스템(7)의 VPI/VCI 입력부(15)를 통해 현재 송신할 데이타가 실시간성 데이타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값이 입력된다.
상기 데이타와 값을 입력받은 ATM 정합보드(14)에서는 두 값을 ATM 처리하여 ATM 망을 통해 상대방으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엠펙 스트림의 실시간 데이타 송/수신 제공을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할 실시간성 서비스의 데이타들은 ATM 정합보드로 PC의 확장 슬롯을 통해서 전달하고, 수신시에는 ATM 셀 역다중화기를 통해 실시간성 ATM 셀 스트림을 추출하여 ATM 계층 이상의 처리는 하드웨어로 수행하고, 별도의 수신용실시간성 데이타의 병렬 인터페이스를 두어 이를 통해 데이타 복원 장치로 전달하므로써,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비동기 전송 모드(ATM) 정합 보드에 있어서, ATM 망으로 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ATM 셀의 형태로 변환하여 ATM 셀 역다중화기에 전달 또는 역으로 수신하는 물리계층 처리부와, 상기 물리계층 처리부로 부터 입력받은 다수의 가상 채널을 갖는 ATM 셀 데이타를 역다중화하고, 또한 입력된 ATM 셀에서 비실시간 데이타와 실시간 데이타를 구분하여 각 처리부로 입력하는 ATM 셀 역다중화부와, 상기 ATM 셀 역다중화부로 부터 출력된 실시간성 ATM 셀을 전달받아 ATM 셀 유로부하 부분만을 추출하여 AAL 계층 처리부로 출력하는 실시간성 ATM 셀 ATM 계층처리부와, 상기 실시간성 ATM 셀 ATM 계층처리부로 부터 ATM 셀 유로부하 부분을 입력받아 AAL 계층의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성 AAL 계층 처리부와, 상기 실시간성 AAL 계층 처리부로 부터 실시간성 데이타를 입력받아 실시간 데이타 복원부로 출력하는 실시간 데이타 출력포트와, ATM 정합보드에 연결된 타 시스템에서 비실시간 AAL 계층 처리부로 데이타를 전달하거나, 데이타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고, ATM 정합 보드의 각 부를 상기 연결된 타 시스템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확장 버스 제어부와, 상기 확장 버스 제어부와 연결되어 ATM 망으로 전송할 데이타를 ATM 계층 처리부로 전달하고, ATM 계층 처리부로 부터 수신한 데이타를 연결된 타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AAL 계층 처리부, 및 상기 AAL 계층 처리부로 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입력받아 이를 ATM 셀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물리계층 처리부로 출력하고, 또한 OAM 셀, 사용자 데이타 셀과 같은 비실시간성 ATM 셀을 발생하여 물리계층 처리부로 출력하며, 이의 반대 역할을 수행하는 ATM 계층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TM 셀 역다중화부는 물리계층 처리부와의 정합을 담당하는 물리계층 처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물리계층 처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ATM 데이타로 부터 헤더정보를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ATM 셀 헤더 저장부와, 미리 정의되어 저장된 실시간성 서비스의 가상경로(VPI) 값과, 가상채널(VCI) 값을, 상기 ATM 셀 헤더 저장부로 입력된 VPI/VCI 값과 비교하여 현재 입력된 셀이 실시간성 셀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가상경로/가상채널 판별부와, 상기 가상경로/가상채널 판별부에 저장되는 VPI/VCI 값을 사용자로 부터 입력받기 위한 확장버스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ATM 계층 처리부와의 정합을 담당하는 ATM 계층 처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모드(ATM)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3. PC 시스템에서 실시간성 엠펙 스트림의 데이타 제공을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PC의 확장 슬롯에 장착되며, 송신하고자 하는 영상 및 음성이 입력되면 이를 부호화하는 엠펙 인코더 보드와, 상기 엠펙 인코더 보드와 직접 버스를 통해 연결되어 인코딩된 엠펙 스트림을 입력받아 ATM 셀화 시키며, PC의 확장 슬롯에 장착되는 청구 1항의 ATM 정합 보드와, 상기 ATM 정합 보드에서 엠펙 스트림을 ATM 셀화 시킬 때 이 전송할 데이타를 실시간 정보로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 데이타로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VPI/VCI 값을 입력하는 VPI/VCI 입력부, 및 상기 ATM 정합 보드에서 출력된 엠펙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데이타로 변환시키며, PC의 확장 슬롯에 장착되는 다수의 엠펙 디코더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시스템.
KR1019970045644A 1997-09-03 1997-09-03 비동기 전송모드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KR10025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44A KR100251005B1 (ko) 1997-09-03 1997-09-03 비동기 전송모드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44A KR100251005B1 (ko) 1997-09-03 1997-09-03 비동기 전송모드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509A KR19990024509A (ko) 1999-04-06
KR100251005B1 true KR100251005B1 (ko) 2000-04-15

Family

ID=1952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644A KR100251005B1 (ko) 1997-09-03 1997-09-03 비동기 전송모드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0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426A (ko) * 1993-12-27 1995-07-28 양승택 종합정보통신망 단말 사용자정보 정합장치
KR970056432A (ko) * 1995-12-23 1997-07-31 양승택 통신처리시스템의 에이티엠(atm) 망 정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426A (ko) * 1993-12-27 1995-07-28 양승택 종합정보통신망 단말 사용자정보 정합장치
KR970056432A (ko) * 1995-12-23 1997-07-31 양승택 통신처리시스템의 에이티엠(atm) 망 정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509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4113A (en) ATM switch interface
EP0792080B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ssembling and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KR100251005B1 (ko) 비동기 전송모드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US5828651A (en) Device for duplicating connectionless server
US6526057B1 (en) Terminal adapter for 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6430197B1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cell multiplexing/demultiplexing apparatus
KR100257557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처리를 위한 비동기 전송 모드 셀 다중화기 및 역다중화기
US709574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6577633B1 (en) ATM communications device
KR100257556B1 (ko) 비동기식 전송 방식 정합장치
KR20000020465A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KR100190998B1 (ko) 광대역단말용 atm 정합 보드
KR100383570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에이-티-엠 트렁크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H07202895A (ja) セル多重化方式およびセル多重化装置
JPH10294743A (ja) Atmセルに多重された可変長パケットの多重分離方式及び装置
KR0153956B1 (ko) 에이티엠 정합 계층중 타입 5 경로를 통해 오디오/비쥬얼 다중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290659B1 (ko) 실시간/비실시간 신호처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33943B1 (ko) 실시간 데이타용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비동기 전송모드(atm)셀 처리 장치
KR100291006B1 (ko) 프레임 릴레이와 비동기전송모드의 연동장치
KR19980050442A (ko) 주문형 비디오(Video-On-Demand)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형 피씨(PC)부가 장치
KR100242427B1 (ko) 비동기 전송 모드망을 이용한 택시 접속 비디오 서비스장치 및 비디오 신호 다중화 방법
KR19990069279A (ko) 광대역 단말 정합장치에서 에이티엠 셀 역다중화 장치
KR100456115B1 (ko) 교환기에서 복수 셀의 유토피아 레벨 2 정합 장치
KR0128852B1 (ko)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 비디오 정합(Video B-TA)시스템 내의 신호프로토콜 운용방법
KR20000045766A (ko) 에이 티 엠 통신단말의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