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465A -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465A
KR20000020465A KR1019980039077A KR19980039077A KR20000020465A KR 20000020465 A KR20000020465 A KR 20000020465A KR 1019980039077 A KR1019980039077 A KR 1019980039077A KR 19980039077 A KR19980039077 A KR 19980039077A KR 20000020465 A KR20000020465 A KR 20000020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pcs
atm
crc
tra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화
정상현
정학진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3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465A/ko
Publication of KR20000020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4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04L2012/5652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 H04L2012/5653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 H04L2012/5658Cell construction, e.g. including header, packetisation, depacketisation, assembly, reassembly using the ATM adaptation layer [AAL] using the AAL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서비스 처리를 위한 ATM 단말에서의 ATM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ATM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있어서, 각 계층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지연을 줄여줌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전달 지연 변이 및 클럭 지터(jitter)를 줄여줄 수 있도록,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AAL-5 송신 처리 장치와 ; ATM 셀의 형태로 데이터를 받아들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로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에 전달하는 AAL-5 수신 처리 장치를 구비한,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본 발명은 실시간 서비스 처리를 위한 ATM 단말에서의 ATM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ATM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있어서, 각 계층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지연을 줄여줌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전달 지연 변이 및 클럭 지터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한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 이라 칭함) 정합 장치는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이하 B-ISDN 이라 칭함)에서 들어오는 비동기 전송 모드(ATM) 셀 신호를 해석하여 ATM 단말기의 시스템 제어부, 미디어 처리부 및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반대로 이들이 요구하는 것을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의 ATM 셀로 변환하여 B-ISDN으로 전달하는 망접속 기능을 한다.
효율적인 ATM 셀 다중화기 및 역다중화기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ATM 단말기의 구성 요소이다.
ATM 단말기는 B-ISDN을 매체로 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해 주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영상전화, 영상회의와 같은 쌍방향 통신 서비스,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각종 영상검색 서비스, 방송서비스 등을 통합 제공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데이터 양이 많으면서도 고정 비트율로 발생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ATM 정합 장치는, B-ISDN 망 접속 기능을 하는 ATM 정합 장치로서 기존의 제퓸과는 다른 구조를 채택하여 데이터 처리 성능을 향상 시키고, 추후 기능 확장을 용이하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ATM 정합 장치의 개념과 설계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ATM 정합 장치는 PC(Personal Computer)를 플랫폼으로 하는 단말에 확장 보드 형태로 접속하여 사용하거나, 전용(Standalon)단말에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둘째, PC-플랫폼 단말의 경우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이 실시간성이 요구되면서 비교적 대역폭이 큰 데이터는 PC의 시스팀 버스(PCI LOCAL BUS)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버스를 사용하여 PC의 버스 자원을 절약한다.
셋째, PC 의 시스팀 버스(PCI 버스) 통해 DSMCC나 H.245, IP over ATM, LANE 등과 같은 프로토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한다.
넷째, 국제 표준 규격을 수용하여 다른 국제 표준을 수용한 개발 제품과 호환성 을 유지 한다.
다섯째, 비동기 적응 계층(ATM Adaptation Layer 이하 AAL 라 칭함) 유형으로 AAL-1 및 AAL-5를 수용하며, 이들을 실시간,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핵심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한다.
여섯째, OAM 셀, 데이터 셀과같은 비실시간성 ATM 셀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고정 비트율을 처리하는 ATM 셀을 최대한 분리하여 처리해 줌으로써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일곱째, ATM 셀의 다중화 처리를 위한 로직은 하드웨어로 구현한다.
시그널링이나 OAM(Operation And Maintenance) 등 특정한 ATM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은 ATM 정합 장치에서 종단하여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ATM 정합 장치내에 로컬 프로세서를 두었다.
로컬 프로세서에는 실시간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칭함)를 포팅하여 ATM 정합 장치의 하드웨어 및 제반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PC의 프로세서에 부담을 줄여 멀티태스킹 능력을 향상시키고 시스팀의 효율을 높였다.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를 갖되 영상전화 코덱용이나 VOD용의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등은 PCI 버스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버스를 통해 각 보드와 접속하였다.
이를 통해 시스팀 버스의 자원을 절약하여 여러 가지 제어 메시지의 무지연 처리를 달성하고, 오버레이 보드를 통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오디오/ 비디오 신호의 처리를 원활하게 한다.
PC가 DSMCC(Digital Storage Media Command & Control)나 H.245, IP over ATM, LANE(Lacal Area Network Emulation) 등과 같은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PCI 버스와 ATM 정합 장치를 통해 외부 세계와 통신할 수 있게 하였다.
향후 MPEG-2 (Moving Picture Expert Group -2)디코더 및 시스팀 제어부 하드 웨어와의 통합에 대비하고, 고성능, 저전력화 및 글루 로직 최소화를 추구하였다.
PHY 계층 및 비실시간성 ATM 셀의 ATM, AAL-5 계층의 처리는 상용 칩을 사용하였다.
이외의 실시간성 ATM 셀의 AAL-1, AAL-5, ATM 계층 처리를 위한 로직은 VHDL(VLSI Hardward Description Language)로 설계하였다.
ITU-T SG13의 권고에 명시되어 있는 B-ISDN UNI(User Network Interface) 접속 규격을 수용하여 다른 HAN/B-ISDN 개발 제품과 호환성 유지하도록 하였다.
ATM 적응계층의 유형중 영상전화 코덱에서 사용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는 AAL-1으로 송수신하고, VOD용 오디오/비디오 신호 및 기타 제어 신호, PC 상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는 AAL-5를 사용하였다.
ATM 정합 장치는 상위 모듈로서 미디어처리부와 시스팀제어부를 두고 있으며, 하위로서는 B-ISDN Sb 접면을 두고 있다.
시스팀 제어부와 ATM 정합부 간의 인터페이스는 PC의 확장 버스(PCI 버스)를 사용하며, 시스팀 제어부가 ATM 정합부를 자신의 관리하에 있는 하나의 디바이스로 간주하도록 하기 위해 시스팀 제어부 내에 AIM-API(ATM Interface Module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와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두도록 설계하였다.
미디어 처리부와 ATM 정합부 사이를 오가는 신호는, 압축되고 다중화된 실시간 처리를 요하는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다.
미디어 처리부와의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처리부가 전달하려는 데이터를 안정되게 받고, 반대로 망을 통해 전달되어 온 미디어 신호를 상위로 안정되게 전달해주는데 필요한 조건을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
미디어 처리부도 ATM 정합부와 마찬가지로 PC내의 확장 보드 형태로 구현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의 물리적 접속은 병렬 커넥터와 같은 형태로 설계 하였다.
ATM 정합 보드의 말단은 B-ISDN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Sb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ATM 방식은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정 비트율로 발생하는 실시간성 ATM 셀들은 데이터의 발생 양이 많고 ATM 프로세서에서 처리해 주어야할 과정은 많지않은 반면, 비실시간성 셀들은 발생량은 상대적으로 작으면서도 트래픽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ATM 셀 처리 칩들은 모든 데이터를 PC 시스템 버스를 통해 입출력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여러 발생원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유연하게 제공하기 힘든 구조이다.
실시간성 데이터란 데이터 지연이 일정 기준 이하이어야 하고, 데이터 전달 지연 변이가 일정 수준 이하이어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주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이며 일반적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 라 칭함)이라는 다중화된 일정 길이의 패킷 데이터로서 전달한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ATM 망을 통해서 전송하려면 일반적으로 AAL-5와 ATM 계층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ATM 셀 매핑 방법은 도 1과 같다.
기존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전달 방식은 다음과 같다.
AAL-5 계층은 두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376 바이트)이 입력되는 동안 오류검출(Cyclic Redundancy Checks 이하 CRC 라 칭함)-32 계산을 수행하며, 두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사용자간 데이터, 길이 정보, CRC-32 계산 값을 모아 하나의 공통 파트 변환 서브 계층-프로토콜 데이터 장치(Common Part Convergence Sub-layer - Protocol Data Unit 이하 CPCS-PDU 라 칭함)를 구성하여 ATM 계층의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측에서는 ATM 계층의 처리가 끝난 CPCS-PDU 데이터를 CRC-32 확인 과정을 거치고, 나머지 트레일러 정보를 추출한 후에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로 전달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 또한 입력단에 입력 버퍼를 갖고 있다.
그러나, 두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단위로 처리하는 이러한 AAL-5 계층의 처리는 데이터 전달의 지연을 발생시키며,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의 입력 버퍼등 많은 단계의 버퍼를 거치므로, 많은 데이터 지연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영상 전화와 같이 데이터 전달 지연을 일정 수준 이하로 해주어야하는 서비스의 구현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이 과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게 되고, 전송 과정에서 ATM 셀이 8개 단위로 밀집되어 발생하여 ATM 셀 지터를 줄여주는 shaping과 같은 별도의 처리를 필요로 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에 두개씩의 짝을 이룬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전달됨으로써,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 있는 타이밍 정보들이 전달 지터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들은 실시간성 서비스를 구현하는 데에 있어서 불리한 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 문제점 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ATM 방식을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있어서, 각 계층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지연을 줄여줌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전달 지연 변이 및 클럭 지터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한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AAL-5를 사용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송수신 과정의 계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AAL-5 송신 장치의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AAL-5 수신 장치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 입력 버퍼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송신 장치 20 : 수신 장치
11 :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기 12 : 데이터 흐름 제어기
13, 27 : CPCS 트레일러 4 바이트 저장 메모리
14 : CRC-32 checksum 생성기 15, 25 : 선택기
16, 22 : ATM 계층 처리기 21 : 물리 계층 처리기
23 : 데이터 흐름 제어기 24 : CRC-32 checksum 검사기
26 :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 입력 버퍼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한 AAL-5 송신 처리 장치와 ; ATM 셀의 형태로 데이터를 받아들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형태로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에 전달하는 AAL-5 수신 처리 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AL-5 송신 처리 장치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다중화기(11)로 부터 TS 경계 식별 신호를 받아 CPCS-PDU를 구성하는 각종 정보들 즉, 유료부하, CPCS-UU, 호 처리 표시기(Call Progress Indicator 이하 CPI 라 칭함), 유료부하 길이, CRC-32 checksum 등의 출력 시간을 결정하여 선택기(15)에 선택 명령을 전달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기(12)와 ; 전송할 CPCS 트레일러(trailer)의 CPCS-UU 및 CPI, length 필드를 저장하는 CPCS 트레일러 4 바이트 저장 메모리(13)와 ;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기(11)로부터 입력 받은 트랜스포트 스트림(TS)과 CPCS 트레일러의 전반 4 바이트의 값을 입력 받아, 정해진 CRC-32 발생식에 따라 CRC-32 checksum 값을 계산하여, 데이터 흐름 제어기(12)가 정해주는 지정된 시간에 ATM 계층 처리기(16)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CRC-32 checksum 생성기(14)와 ; 데이터 흐름 제어기(12)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들여 출력 신호를 TS 다중화기(11), CRC-32 checksum 생성기(14), CPCS 트레일러 4 바이트 저장 메모리(13) 중에서 선택하여 ATM 계층 처리기(16)로 출력하는 선택기(1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AAL-5 수신 처리 장치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 입력 버퍼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계층 처리기(21)로부터 ATM 셀 형태의 데이터를 전달 받아, ATM 헤더 값을 검사하여 사전에 정의된 가상경로 식별번호/가상 회로(Virtual Path Identifier/Virtual CIrcuit 이하 VPI/VCI 라 칭함) 값을 갖는 ATM 셀의 유료 부하만을 받아 들이고, 패킷 유형 식별자(Packet Type Identifier 이하 PTI 라 칭함)의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Service Data Unit 이하 SDU 라 칭함) 형태(type) 정보를 추출하여, CPCS-PDU의 경계 식별을 위해 데이터 흐름 제어기(23)로 전달하는 ATM 계층 처리기(22)와 ; 선택기(25)로 입력되는 CPCS-PDU 데이터중 CPCS-PDU 패킷간의 경계 식별 기능과 CPCS 트레일러의 각 정보 필드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기(23)와 ; CPCS-PDU 데이터의 CRC-32 checksum을 계산하고, CPCS 트레일러의 CRC-32 필드와 비교하여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로 오류발생 유무 신호를 전달하는 CRC-32 checksum 검사기(24)와 ; 상기 데이터 흐름 제어기(23)로부터 데이터 흐름 결정 정보 받아들여 선택기(25)로 입력되는 CPCS-PDU 데이터를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 입력 버퍼(26)나 CPCS 트레일러 4 바이트 저장 메모리(27)에 전달하는 선택기(25)와 ; 상기 선택기(25)로부터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단위나 ATM 셀 유료 부하 단위로 저장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 입력 버퍼(26)와 ; CRC-32 checksum 검사기(24)로부터 오류 발생 유무에 대한 정보를 받아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 입력 버퍼(26)에 저장된 데이터에 오류 발생 유무를 표시하는 오류 표시 필드(2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굵은 선은 송수신 과정에서 처리하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며, 가는 선은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받아들여 ATM 셀의 형태로 전송하는 과정은 도 2 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송신시의 AAL-5 계층의 처리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 입력되면 48 바이트 단위로 절단하여 ATM 계층 처리기(16)로 전달한다.
CRC-32 checksum 생성기(14)에서는 입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과 CPCS-UU, CPI 필드, 길이 필드를 받아들여 CRC-32를 생성한다.
데이터 흐름 제어기(12)는 도 1 과 같은 셀 분할 과정 및 트레일러 삽입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입력 데이터 타이밍에 맞추어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CPCS-PDU의 마지막 셀을 출력할 때 ATM 계층 처리기(16)에 신호를 보내어 ATM 셀 헤더의 PTI 필드의 SDU 타입에 대한 정보 필드를 1로 셋팅하게 한다.
수신단에서 ATM 셀로부터 CPCS-PDU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복원하고, 이를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로 전달하는 과정은 도 3과 같다.
물리계층 처리기(21)에서는 ATM 셀의 형태로 ATM 계층 처리기(22)로 셀을 전달한다.
ATM 계층 처리기(22)에서는 헤더의 VPI/VCI 정보를 검사하여, 받아들이고자 하는 VCC 의 ATM 셀들을 ATM 셀 헤더 처리를 한 후, ATM 유료부하 부분을 선택기(25)로 전달한다.
데이터 흐름 제어기(23)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터 중 CPCS-SDU에 해당하는 부분은 바로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의 입력 버퍼(26)로 전달하고, CPCS-PDU 트레일러(trailer) 부분은 CRC-32 checksum 검사기(24)나 CPCS 트레일러 4 바이트 저장 메모리(27)로 전달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 입력 버퍼(26)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이 구분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각 패킷마다 전송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는지를 표시하는 오류 표시 필드(28)를 가지고 있다.
CRC-32 checksum 검사기(24)는 수신단에서 계산한 CRC-32 checksum 필드와 CPCS-PDU trailer 부분의 checksum 필드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오류가 발생하였으면, 상위 계층인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의 입력 버퍼(26)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에 오류가 발생한 패킷임을 표시한다.
오류가 발생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의 처리는 상위 계층에서 담당한다.
오류의 발생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을 폐기하는 것보다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유리하다.
CRC-32 checksum 에러(error)가 발생한 패킷을 그대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같이 CPCS-SDU에 해당하는 ATM 셀 유료부하 부분을 그대로 트랜스포트 스트림 역다중화기로 전달하는 것이, 데이터 전송 지연을 줄이고 각 처리 단계에서 버퍼 메모리의 수를 줄이는 데에 유용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AL-5 계층과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각 계층의 처리마다 사용되는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셀 단위의 데이터가 발생할 때 마다 처리해 줌으로써, 전송 지연에 민감한 실시간성 서비스의 구현에 유리하다.
또한, 발생한 데이터를 버퍼를 최소화하면서 전송하므로 데이터의 전송 지연 변이를 줄일 수 있으며, ATM 셀 전송시에 shaping과 같은 셀 발생을 균일하게 하려는 기법들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두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을 하나의 CPCS-PDU 로 묶어 한꺼번에 전송하는 방식은 트랜스포트 스트림내에 저장되어 있는 타이밍 정보의 전달 지연 변이를 가져 오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식은 트랜스포트 스트림 다중화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48바이트 또는 44 바이트가 발생할 때마다 전송하여 줌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클럭의 복원에 효과적이다.
데이터 버퍼의 수를 줄여 필요한 메모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 라 칭함)을 전달 받아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 이라 칭함) 셀의 형태로 ATM 망에 전달하는 비동기 적응 계층(ATM Adaptation Layer 이하 AAL 라 칭함)-5 송신 처리 장치와 ;
    ATM 셀의 형태로 데이터를 받아들여 TS의 형태로 TS 역다중화기에 전달하는 AAL-5 수신 처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AL-5 송신 처리 장치는,
    전송할 공통 파트 변환 서브 계층(Common Part Convergence Sub-layer 이하 CPCS 라 칭함) 트레일러의 CPCS-UU 및 호 처리 표시기(Call Progress Indicator 이하 CPI 라 칭함), 길이(length) 필드를 저장하는 CPCS 트레일러 4 바이트 저장 메모리와 ;
    TS 다중화기로부터 입력 받은 TS와 CPCS 트레일러의 전반 4 바이트의 값을 입력 받아, 정해진 오류검출(Cyclic Redundancy Checks 이하 CRC 라 칭함)-32 발생식에 따라 CRC-32 검사합(checksum) 값을 계산하여, 데이터 흐름 제어기가 정해주는 지정된 시간에 ATM 계층 처리기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CRC-32 checksum 생성기와 ;
    TS 다중화기로 부터 TS 경계 식별 신호를 받아 공통 파트 변환 서브 계층-프로토콜 데이터 장치(Common Part Convergence Sub-layer - Protocol Data Unit 이하 CPCS-PDU 라 칭함)를 구성하는 각종 정보들 즉, 유료부하, CPCS-UU, CPI, 유료부하 길이, CRC-32 검사합 등의 출력 시간을 결정하여 선택기에 선택 명령을 전달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기와 ;
    상기 데이터 흐름 제어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들여 출력 신호를 TS 다중화기, CRC-32 checksum 생성기, CPCS 트레일러 4 바이트 저장 메모리 중에서 선택하여 ATM 계층 처리기로 출력하는 선택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AL-5 수신 처리 장치는,
    물리 계층 처리기로부터 ATM 셀 형태의 데이터를 전달 받아, ATM 헤더 값을 검사하여 사전에 정의된 가상경로 식별번호/가상 회로(Virtual Path Identifier/Virtual CIrcuit 이하 VPI/VCI 라 칭함) 값을 갖는 ATM 셀의 유료부하만을 받아 들이고, 패킷 유형 식별자(Packet Type Identifier 이하 PTI 라 칭함)의 서비스 데이터 유니트(Service Data Unit 이하 SDU 라 칭함) 형태 정보를 추출하여, CPCS-PDU의 경계 식별을 위해 데이터 흐름 제어기로 전달하는 ATM 계층 처리기와 ;
    선택기로 입력되는 CPCS-PDU 데이터중 CPCS-PDU 패킷간의 경계 식별 기능과 CPCS 트레일러의 각 정보 필드를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흐름 제어기와 ;
    데이터 흐름 제어기로부터 데이터 흐름 결정 정보 받아들여 선택기로 입력되는 CPCS-PDU 데이터를 TS 역다중화기 입력 버퍼나 CPCS 트레일러 4 바이트 저장 메모리에 전달하는 선택기와 ;
    CPCS-PDU 데이터의 CRC-32 checksum을 계산하고, CPCS 트레일러의 CRC-32 필드와 비교하여 오류가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여 TS 역다중화기로 오류발생 유무 신호를 전달하는 CRC-32 checksum 검사기와 ;
    선택기로부터 입력되는 TS를 TS 패킷 단위나 ATM 셀 유료부하 단위로 저장하는 TS 역다중화기 입력 버퍼와 ;
    CRC-32 checksum 검사기로부터 오류 발생 유무에 대한 정보를 받아 TS 역다중화기 입력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에 오류 발생 유무를 표시하는 오류 표시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KR1019980039077A 1998-09-21 1998-09-21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KR20000020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077A KR20000020465A (ko) 1998-09-21 1998-09-21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077A KR20000020465A (ko) 1998-09-21 1998-09-21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65A true KR20000020465A (ko) 2000-04-15

Family

ID=1955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077A KR20000020465A (ko) 1998-09-21 1998-09-21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4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214B1 (ko) * 2000-09-25 2002-1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Api블록간 데이터 전송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0957420B1 (ko) * 2006-12-15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214B1 (ko) * 2000-09-25 2002-11-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Api블록간 데이터 전송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0957420B1 (ko) * 2006-12-15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US8060096B2 (en) 2006-12-15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8041A (en) Error handling in transmission of data that cannot be retransmitted
US5450411A (en) Network interface for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isochronous and bursty data streams in ATM networks
US6198752B1 (en) ATM video telephone terminal interworking with ISDN
US6229822B1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cells
US6091726A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ssembling and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US6034954A (en) Multiplexing apparatus for transit of signals between service provided by low-speed transmission path and ATM service provided by high-speed transmission path
JP2000022707A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200300886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QoS in ATM
US6370138B1 (en) ATM switch interface apparatus for frame relay network interworking
US6430197B1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cell multiplexing/demultiplexing apparatus
KR20000020465A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KR100257557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처리를 위한 비동기 전송 모드 셀 다중화기 및 역다중화기
JPH10322352A (ja) データ送信装置
JPH11346219A (ja) 非同期転送モ―ド(atm)スイッチング・ネットワ―クの制御
US6577633B1 (en) ATM communications device
KR100257556B1 (ko) 비동기식 전송 방식 정합장치
KR100290659B1 (ko) 실시간/비실시간 신호처리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51005B1 (ko) 비동기 전송모드 셀 역다중화기를 사용한 atm 정합보드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KR100383570B1 (ko)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에서 에이-티-엠 트렁크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428315B1 (ko) 에이티엠셀 송수신장치
KR970008680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용 단말장치
JPH10322343A (ja) 通信装置
KR0153922B1 (ko) 엠피이지 신호를 수용하기 위한 에이티엠 정합 장치
KR0129610B1 (ko) 고정속도 셀 데이터 송수신장치
KR0123226B1 (ko) Aal 계층의 수신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