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420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420B1
KR100957420B1 KR1020060128727A KR20060128727A KR100957420B1 KR 100957420 B1 KR100957420 B1 KR 100957420B1 KR 1020060128727 A KR1020060128727 A KR 1020060128727A KR 20060128727 A KR20060128727 A KR 20060128727A KR 100957420 B1 KR100957420 B1 KR 10095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du
base station
sequence number
mobile station
pd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6057A (ko
Inventor
손중제
김남기
조민희
강현정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420B1/ko
Priority to US12/002,174 priority patent/US8060096B2/en
Publication of KR20080056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국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수신한 제1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의 시퀀스(sequence) 번호를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인지한 제1 PDU 시퀀스 번호를 서비스 제공 중인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PDU 수신 이후 수신하여야 할 제2 PDU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에 대해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60128727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서비스 데이터 유닛, 핸드오버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THEREOF}
도 1은 종래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
도 2는 종래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HO-IND 메시지가 처리되기까지의 지연 발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SDU SN 값을 부여하는 방안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이 가상 SDU SN을 부여하고 타겟 기지국과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이 가상 SDU SN을 부여하고 타겟 기지국으로 가상 SDU SN을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기지국이 이동국으로 데이터 송신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handover)에 따른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는 중요한 연구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이동국이 핸드오버를 해야 함을 결정하면,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기지국은 핸드오버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국은 핸드오버 할 최종 기지국을 결정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함을 알리는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핸드오버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일례로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100)은 현재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서빙 기지국(120)으로부터 인접 기지국 광고(MOB_NBR-ADV: Mobile Neighbor Advertisement)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MOB_NBR-ADV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국(100)은 상기 서빙 기지국(120) 및 인접 기지국들(140, 160)에 대해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스캐닝(scanning) 동작을 수행한다(103단계). 상기 스캐닝 동작을 완료한 상기 이동국(100)은 상기 서빙 기지국(120)으로 핸드오버 요구(MOB_MSHO-REQ: Mobile Mobile Station 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다(105단계).
상기 서빙 기지국(120)은 제1 인접 기지국(140) 및 제2 인접 기지국(160)으로 상기 이동국(100)이 핸드오버 할수도 있음을 알리는 핸드오버 통보(HO_notification) 메시지들을 송신한다(107단계, 109단계). 상기 핸드오버 통보 메시지는 상기 이동국(100)이 현재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인접 기지국(140) 및 제2 인접 기지국(160)은 상기 서빙 기지국(120)으로 상기 핸드오버 통보 메시지에 대한 응답(Response to HO_notification) 메시지를 송신한다(111단계, 113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인접 기지국들(140, 160)이 상기 이동국(100)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수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기지국(120)은 상기 이동국(100)으로 인접 기지국들(140, 160)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수준 정보를 포함한 핸드오버 응답(MOB_BSHO-RSP: Mobile Base Station Handover Response) 메시지를 송신한다(115단계).
상기 이동국(100)은 상기 서빙 기지국(120)으로 제2 인접 기지국(140)으로 핸드오버 하겠음을 알리는 핸드오버 지시(MOB_HO-IND: Mobile Handover Indication, 이하 'MOB_HO-IND'라 칭함) 메시지를 송신한다(117단계). 여기서, 상기 이동국(100)은 인접 기지국들 각각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 수준을 고려하여 핸드오버 할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빙 기지국(120)은 상기 제2 인접 기지국(140)으로 상기 이동국(100)이 핸드오버 함을 알리는 핸드오버 확인(HO_confirm) 메시지를 송신한다(119단계).
한편, 이동국이 MOB_HO-IND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면,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MOB_HO-IND 메시지를 처리하기까지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처리 시간동안에도 상기 서빙 기지국은 이동국으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 제어 신호 혹은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2는 종래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HO-IND 메시지가 처리되기까지의 지연 발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빙 기지국의 모뎀(Modem)(220)은 n 프레임에서 이동국(200)으로부터 MOB_HO-IND 메시지 송신을 위해 사용될 대역폭 요청 코드(BR(Bandwidth Request) code for HO-IND)를 수신한다(201). 상기 서빙 기지국 모뎀(220)은 상기 이동국의 대역폭 요청 코드 수신을 처리하고 n+4 프레임에서 이동국(200)의 MOB_HO-IND 메시지 송신을 위한 자원 할당(Allocation for HO-IND)을 수행한다(203).
상기 이동국(200)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 모뎀(220)으로 핸드오버 하고자 하는 기지국 정보가 포함된 MOB_HO-IND 메시지를 송신한다(205).
상기 MOB_HO-IND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서빙 기지국 모뎀(220)은 MOB_HO-IND 메시지 처리 시간이 지난 후 기지국(240)으로 MOB_HO-IND 메시지를 송신한다(209). 여기서, 상기 기지국(240)은 신호 처리 블록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이동국(200)은 상기 서빙 기지국 모뎀(220)으로 상기 MOB_HO-IND 메시지 송신 후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한다(207).
상기 서빙 기지국(240)은 상기 서빙 기지국 모뎀(220)으로부터 MOB_HO-IND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이동국(200)이 핸드오버 하는 타겟 기지국(260)으로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국(200)이 핸드오버 하기로 결정하고, 상기 MOB_HO-IND 메시지 송신에 필요한 대역폭을 요청한 시점부터 기지국 모뎀(220)이 실질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기까지의 시점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이동국의 입장에서는, 상기 이동국이 핸드오버를 해야 함을 결정하고 MOB_HO-IND 메시지를 송신하기까지 서빙 기지국이 송신하는 데이터들 중 일부 혹은 전부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 입장에서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MOB_HO-IND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해석하기까지의 시간동안, 상기 서빙 기지국은 이동국이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이동국이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고 인지한 데이터 이후의 데이터 정보를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타겟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불필요한 자원 낭비 및 시간 지연을 방지하고자 이동국은 타겟 기지국과 네트워크 재진입(network re-entry) 절차를 완료한 후, SN report 헤더(header)를 사용하여 이전 서빙 기지국에서 정상적으로 수신한 마지막 SDU 시퀀스 번호(Service Data Unit Sequence Number, 이하 'SDU SN'이라 칭함) 또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수신한 마지막 ARQ 블록의 시퀀스 번호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SN report 헤더에 포함된 SDU SN 값 이후의 시퀀스 번호에 해당하는 SDU 또는 ARQ 블록을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하기 표 1은 SN report 헤더의 형태를 나타낸 표이다.
HT=1(1) EC=0(1) Type(3)=0b110 Last(1) SDU SN1(6) SDU SN 2 MSB(4)
SDU SN 2 LSB(2) SDU SN 3(6) CID MSB(8)
CID LSB(8) HCS(8)
상기 표 1에서 괄호안의 숫자는 각 항목의 비트 수를 나타낸다. 그리고, SDU SN 1 내지 SDU SN 3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에 최대 3개의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연결에 대한 SDU SN을 알려주는 필드이다.
문제는 현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 SDU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즉,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SN report 헤더를 사용하여 시퀀스 번호를 알리는 구체적인 방안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이동국은 SN report 헤더에 ARQ 블록 시퀀스 번호를 포함시켜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이 서빙 기지국과 사용한 ARQ 방안 및 이와 관련된 변수와 동일한 상기 ARQ 방안 및 변수를 상기 이동국과 사용하는 경우에만 데이터 송신을 정상적으로 재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국이 핸드오버 한 타겟 기지국과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효율적으로 재개하기 위해서는 SDU에 시퀀스 번호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핸드오버 이후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효율적으로 재개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수신한 제1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의 시퀀스(sequence) 번호를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인지한 제1 PDU 시퀀스 번호를 서비스 제공 중인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PDU 수신 이후 수신하여야 할 제2 PDU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에 대해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제1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의 시퀀스(sequence) 번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제1 PDU 시퀀스 번호 이후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여야 할 제2 PDU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에 대해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해야 함을 감지하면, 상기 타겟 기지국에게 상기 이동국의 핸드오버를 통보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이 핸드오버 해 올 것임을 통보받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가상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 시퀀스 번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가상 SDU 시퀀스 번호에 상응하는 SDU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에 서비스를 제공 중인 서빙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이 핸드오버하고자 하는 타겟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수신한 제1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의 시퀀스(sequence) 번호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제1 PDU 시퀀스 번호를 서비스 제공 중인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1 PDU 수신 이후 수신하여야 할 제2 PDU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에 대해 제1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1 PDU의 시퀀스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여야 할 제2 PDU를 포함하는 SDU에 대해 제2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이동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해야 함을 감지하면, 상기 타겟 기지국에게 상기 이동국의 핸드오버를 통보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제2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송신하는 상기 서빙 기지국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을 설명하며 그 이외의 배경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핸드오버(handover)에 따른 효율적인 데이터 송수신 재개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가상 서비스 데이터 유닛 시퀀스 번호(Virtual Service Data Unit Sequence Number, 이하 'SDU SN'이라 칭함)를 부여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동국과, 이동국이 핸드오버 한 타겟(target) 기지국과의 데이터 송수신 재개 방안을 제안한다.
상기 가상 SDU SN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에 송수신되는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이하 'PDU'라 칭함)의 ARQ 블록 시퀀스 번호(ARQ(Automatic Repeat Request) block sequence number)의 순서에 상응하게 SDU들에 부여된 가상의 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SDU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DU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서의 가상 SDU SN의 부여 방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국에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빙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이 정상적으로 수신한 마지막 PDU 시퀀스 번호가 포함된 ARQ 피드백(feedback)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PDU 시퀀스 번호에 해당하는 PDU를 포함하는 SDU에 가상 SDU SN 값 '0'을 할당한다. 또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이후의 SDU들, 바람직하게는 2개의 SDU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가 상 SDU SN 값 '1' 및 '2'를 할당한다.
이동국은 정상적으로 수신한 마지막 PDU 시퀀스 번호를 포함시킨 ARQ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국은 상기 PDU 시퀀스 번호에 해당하는 PDU를 포함하는 SDU에 가상 SDU SN 값 '0'을 할당한다. 또한, 상기 이동국은 이후의 SDU들, 바람직하게는 2개의 SDU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가상 SDU SN 값 '1' 및 '2'를 할당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이동국과 서빙 기지국은 동일한 SDU에 대해 동일한 가상 SDU SN 값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SDU SN 값을 부여하는 방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DU_1은 PDU 11, 12 및 13을 포함하고, SDU_2는 PDU 14, 15를 포함하고, SDU_3은 PDU 15, 16을 포함하고, SDU_4는 PDU 17, 18, 19를 포함하고, SDU_5는 PDU 20, 21 및 22를 포함한다.
서빙 기지국(300)은 이동국(320)으로 PDU 11, 12, 13, 14, 15를 순차적으로 송신하던 중 상기 이동국(320)으로부터 ARQ 피드백 정보 및 MOB_HO-IND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ARQ 피드백 정보에는 상기 이동국(320)이 마지막으로 정상적으로 수신한 PDU 시퀀스 번호 15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PDU 시퀀스 번호 15는 SDU_3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서빙 기지국(300)은 이후의 전송을 포함하여, SDU_3, SDU_4, SDU_5 각각에 대해 가상 SDU SN을 '0', '1' 및 '2'로 부여한다.
상기 이동국(320)은 SDU_1 및 SDU_2는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SDU_3의 시퀀스 번호 16에 해당하는 PDU는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300)으로 PDU 시퀀스 번호 15가 포함된 ARQ 피드백 정보 및 MOB_HO-IND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이동국(320)은 이후의 PDU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 PDU들을 수신하게 되어, SDU_3부터 SDU_5까지에 대해 가상 SDU SN을 '0' 부터 '2'까지 순차적으로 부여한다.
한편, 이동국은 MOB_HO-IND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핸드오버 대상 기지국인 타겟 기지국과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이동국은 상기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완료한 후 타겟 기지국으로 데이터 송수신 시작을 위한 SN report 헤더를 송신한다. 상기 SN report 헤더에는 SDU SN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의 SDU SN은 상기 이동국과 상기 서빙 기지국이 동일하게 부여한 가상 SDU SN이다.
예컨대, 도 3의 경우에서 이동국(320)이 ARQ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300)으로 송신한 이후 SDU_3과 SDU_4를 서빙 기지국(300) 혹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였다면, 상기 이동국(320)은 SN report 헤더에 업데이트 된 SDU SN, 즉 가상 SDU SN '2'를 포함시켜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상기 타겟 기지국은 이미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가상 SDU SN 정보를 수신한 상태이다.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이 송신한 SN report 헤더에 포함된 SDU SN '2' 값이 SDU_5에 해당하는 것임을 알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SDU_5에 해당하는 PDU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이 가상 SDU SN을 부여하고 타겟 기지국과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하기까지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402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대역폭 할당을 요청하는 코드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4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04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대역폭을 할당받고 406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할당받은 대역폭을 이용하여 상기 MOB_HO-IND 메시지 혹은 MOB_HO-IND 메시지와 ARQ 피드백 정보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406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ARQ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고 4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ARQ 피드백 정보에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ARQ 피드백 정보를 송신하기 이전 정상적으로 수신한 PDU 시퀀스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408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종료하고 4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0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ARQ 피드백 정보를 전송한 이후 정상적으로 수신한 SDU 들에 대해 가상 SDU SN을 부여하고 412단계로 진행한다. 즉, 상기 이동국은 현재까지 정상적으로 수신하였거나 수신하여야 할 SDU들 에 대해 가상 SDU SN을 '0'부터 순차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412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고 4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4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ARQ 피드백 정보를 마지막 송신한 시점 이후로 새롭게 수신한 SDU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상기 이동국이 새롭게 수신한 SDU가 존재하면 416단계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4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16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새롭게 수신에 성공한 SDU에 대응하는 가상 SDU SN을 인지하고,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할 SN report 헤더에 인지한 가상 SDU SN+1에 해당하는 가상 SDU SN을 SDU SN 필드에 포함하기로 결정하고 420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418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새롭게 수신에 성공한 SDU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할 SN report 헤더에 가상 SDU SN '0'을 SDU SN 필드에 포함하기로 결정하고 42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0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SN report 헤더에 상기 416단계 혹은 418단계에서 결정한 가상 SDU SN을 포함하여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4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22단계에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SN report 헤더에 포함된 가상 SDU SN에 대응되는 PDU를 수신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이 가상 SDU SN을 부여하고 타겟 기지국으로 가상 SDU SN을 부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502단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대역폭 할당을 요청받고 5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4단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에게 MOB_HO-IND 메시지 혹은 MOB_HO-IND 메시지와 ARQ 피드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도록 대역폭을 할당하고 5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6단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ARQ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5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8단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이동국으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단하고 5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0단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ARQ 피드백에 포함된 SDU 시퀀스 번호를 고려하여 가상 SDU SN을 부여하고 5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12단계에서 상기 서빙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으로 이동 국이 핸드오버 할 것임을 알리고 5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서빙 기지국은 상기 타겟 기지국에게 상기 이동국이 수신하여야 할 SDU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SDU 정보는 가상 SDU SN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기지국이 이동국으로 데이터 송신을 재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602단계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이동국이 핸드오버 할 것임을 통보받고 6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4단계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SDU 및 SDU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SDU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이동국으로 송신하여야 할 SDU이며, 상기 SDU 정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마지막 SDU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마지막 SDU에 대한 정보는 가상 SDU SN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606단계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의 정보 및 인증을 위한 정보, 서비스를 수행해주기 위한 정보들을 수신하고 6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8단계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과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고 6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0단계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SN report 헤더를 수신하고 6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2단계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SN report 헤더에 포함된 SDU SN 정보에 상응하는 SDU 이후의 SDU들을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SDU SN 정보는 가상 SDU SN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가상 SDU SN에 대응되는 SDU를 상기 이동국으 로 송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DU에 대해 가상 SDU SN을 부여함으로써 이동국, 서빙 기지국 및 타겟 기지국간에 불필요하게 송신되는 데이터 양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동국의 핸드오버 시 데이터 수신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수신한 제1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의 시퀀스(sequence) 번호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판별한 제1 PDU 시퀀스 번호를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PDU 수신 이후 수신하여야 할 제2 PDU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에 대해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국의 신호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DU를 포함하는 SDU 이후의 SDU부터 순차적으로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신호 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경우,
    상기 타겟 기지국과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제1 PDU 시퀀스 번호를 송신한 이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타겟 기지국 중 하나로부터 새롭게 수신한 SDU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새롭게 수신한 SDU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새롭게 수신한 SDU 이후로 수신하여야 할 SDU에 대응되는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송신한 가상 SDU 시퀀스 번호에 해당하는 SDU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신호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SDU 시퀀스 번호는 시퀀스 번호 보고 헤더(sequence number report header)의 SDU 시퀀스 번호 필드에 포함되어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신호 수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새롭게 수신한 SDU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PDU를 포함하는 SDU에 대해 부여한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신호 수신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이 마지막으로 수신한 제1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의 시퀀스(sequence) 번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제1 PDU 시퀀스 번호 이후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여야 할 제2 PDU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에 대해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해야 함을 감지하면, 상기 타겟 기지국에게 상기 이동국의 핸드오버를 통보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DU를 포함하는 SDU 이후의 SDU부터 순차적으로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국이 수신하여야 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이 핸드오버 해 올 것임을 통보받는 과정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가상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 시퀀스 번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가상 SDU 시퀀스 번호에 상응하는 SDU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타겟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가상 SDU 시퀀스 번호가 포함된 시퀀스 번호 보고 헤더(sequence number report header)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타겟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SDU 시퀀스 번호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야 할 SDU에 해당하는 시퀀스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SDU 시퀀스 번호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에게 송신하여야 할 SDU에 해당하는 시퀀스 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DU는 적어도 하나의 PDU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신호 수신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SDU는 적어도 하나의 PDU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빙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DU는 적어도 하나의 PDU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 기지국의 신호 송신 방법.
  16.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에 서비스를 제공 중인 서빙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이 핸드오버하고자 하는 타겟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수신한 제1 데이터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Protocol Data Unit)의 시퀀스(sequence) 번호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제1 PDU 시퀀스 번호를 서비스 제공 중인 서빙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1 PDU 수신 이후 수신하여야 할 제2 PDU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Service Data Unit)에 대해 제1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는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1 PDU의 시퀀스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여야 할 제2 PDU를 포함하는 SDU에 대해 제2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이동국이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해야 함을 감지하면, 상기 타겟 기지국에게 상기 이동국의 핸드오버를 통보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제2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송신하는 상기 서빙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이 핸드오버 해 올 것임을 통보받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제2 가상 SDU 시퀀스 번호에 상응하는 SDU를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상기 타겟 기지국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이동국 중 하나는 상기 제2 PDU를 포함하는 SDU 이후의 SDU부터 순차적으로 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부여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하는 경우, 상기 타겟 기지국과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제1 PDU 시퀀스 번호를 송신한 이후 상기 서빙 기지국 및 상기 타겟 기지국 중 하나로부터 새롭게 수신한 SDU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새롭게 수신한 SDU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새롭게 수신한 SDU 이후로 수신하여야 할 SDU에 대응되는 제3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3가상 SDU 시퀀스 번호에 해당하는 SDU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상 SDU 시퀀스 번호는 시퀀스 번호 보고 헤더(sequence number report header)의 SDU 시퀀스 번호 필드에 포함되어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새롭게 수신한 SDU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2 PDU를 포함하는 SDU에 대해 부여한 제2가상 SDU 시퀀스 번호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SDU는 적어도 하나의 PDU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60128727A 2006-12-15 2006-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5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727A KR100957420B1 (ko) 2006-12-15 2006-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US12/002,174 US8060096B2 (en) 2006-12-15 2007-12-14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727A KR100957420B1 (ko) 2006-12-15 2006-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057A KR20080056057A (ko) 2008-06-20
KR100957420B1 true KR100957420B1 (ko) 2010-05-11

Family

ID=3952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727A KR100957420B1 (ko) 2006-12-15 2006-12-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60096B2 (ko)
KR (1) KR100957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77B1 (ko) * 2007-11-30 2010-0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간 무손실 핸드오버를 위한 패킷 포워딩 방법
KR101659337B1 (ko) * 2008-07-01 2016-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KR101481026B1 (ko) * 2008-08-14 201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인접 기지국 스캐닝 방법 및 장치
KR101741394B1 (ko) * 2009-07-07 201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rq 피드백 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2196939B1 (ko) * 2013-03-20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우드 셀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동기 장치 및 방법
US11122462B2 (en) 2018-11-06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checksum error in uplink data compres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983A (ja) * 1992-08-28 1994-03-18 Toshiba Corp Atm通信網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レスサービス実現方式
US5805588A (en) 1994-06-13 1998-09-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on Circuit emulating exchange using micro cells
KR20000020465A (ko) * 1998-09-21 2000-04-15 이계철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US20060120404A1 (en) 2004-10-01 2006-06-08 Nokia Corporation Slow MAC-e for autonomous transmission in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long with service specific transmission tim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1479B1 (en) * 1999-07-08 2001-10-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echnique for providing a secure link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03416B1 (ko) * 2005-07-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재진입 절차 수행 완료 통보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53447A1 (en) * 2006-04-27 2007-11-01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segmentation and numbering of SD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983A (ja) * 1992-08-28 1994-03-18 Toshiba Corp Atm通信網におけるコネクションレスサービス実現方式
US5805588A (en) 1994-06-13 1998-09-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on Circuit emulating exchange using micro cells
KR20000020465A (ko) * 1998-09-21 2000-04-15 이계철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수신 장치
US20060120404A1 (en) 2004-10-01 2006-06-08 Nokia Corporation Slow MAC-e for autonomous transmission in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long with service specific transmission time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60096B2 (en) 2011-11-15
US20080146236A1 (en) 2008-06-19
KR20080056057A (ko) 200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03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network re-entry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RU2382526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ведомления о завершении процедуры повторного входа в сеть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EP2274931B1 (en) Action times for handover of mobile stations
US200702384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1071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870760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ネゴシエーションの方法及びシステム
EP1916862A1 (en) Method for informing a mobile station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f a cause for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US20050105488A1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packets in a mobile radio system and corresponding mobile radio system
KR10094357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200801392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5742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801251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049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8399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015739B1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KR10133514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3517673A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ハンドオーバ実行中にターゲット基地局の制御情報を更新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7008073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식별자 업데이트 처리 시스템및 방법
KR100928264B1 (ko) 이동통신의 핸드오버에 적용되는 서비스 정보 전달 방법
KR101450179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타겟 기지국 선택방법 및 장치
KR100913100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핸드오버 실패시 통신 재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