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664B1 -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664B1
KR100250664B1 KR1019970044104A KR19970044104A KR100250664B1 KR 100250664 B1 KR100250664 B1 KR 100250664B1 KR 1019970044104 A KR1019970044104 A KR 1019970044104A KR 19970044104 A KR19970044104 A KR 19970044104A KR 100250664 B1 KR100250664 B1 KR 10025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ata
telephone
subscribe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638A (ko
Inventor
김정헌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4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664B1/ko
Publication of KR1999002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36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 H04M3/42178Administration or customisation of services by downloading data to substation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08ISD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선별적으로 저장하며, 착신/발신 중에 발신/착신자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여 재다이얼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전화기 또는 임의의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와의 호시도가 요구되면, 해당되는 발신 가입자 또는 착신 가입자 번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가입자 번호를 갖는 가입자와의 호를 연결하고;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수단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며;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요구 명령이 인가되면서, 해당되는 번호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키에 대응되게 해당되는 데이터를 저장시키고; 훅 온상태가 발생되면, 연결된 호를 절단하고; 호가 절단된 상태에서 저장된 임의의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 명령이 인가되면, 디스플레이하고; 재다이얼 모드 제어시, 착신자와의 재다이얼을 원하는 경우에, 최종적으로 연결했던 착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착신자 번호와의 호를 연결하고; 발신자와의 재다이얼을 원하는 경우에, 최종적으로 연결했던 발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번호와의 호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Description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METHOD FOR SAVING DATA TO TRANSMIT IN ISDN-PHONE}
본 발명은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 있어서 착/발신 가입자 번호를 비롯한 전송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가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는 통화중에 전송되는 데이터를 CRT(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고 약함)와 같은 터미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통화후 이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기록매체가 구비되어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기록매체가 구비되어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는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어 불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기존의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의 재다이얼 모드는 해당 전화기가 발신모드로 운영된 경우에만 적용되도록 되어 있다. 즉, 해당되는 종합정보 통신망 전화기의 재다이얼 모드가 제어되면, 최종적으로 착신을 요구했던 전화번호에 대해 자동적으로 다이얼링되면서 호 시도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비효율적인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해 선별적으로 저장하고, 표시할 수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제한적인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착신모드로 운영될 때에도 상대측 가입자 번호를 저장하고, 재다이얼모드에 따른 호 시도시 착신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방법은, 임의의 전화기 또는 임의의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와 호를 연결할 수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 있어서, 임의의 전화기 또는 임의의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와의 호시도가 요구되면, 해당되는 발신 가입자 또는 착신 가입자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가입자 번호를 갖는 가입자와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수단을 통해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요구 명령이 인가되면서, 해당되는 번호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키에 대응되게 해당되는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단계; 훅 온상태가 발생되면, 호 연결된 상태를 절단하는 단계; 호가 절단된 상태에서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임의의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 명령이 인가되면, 임의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방법은, 임의의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 또는 임의의 전화기와 호를 연결할 수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 있어서,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가 훅 오프상태로 설정되어 호가 시도되면,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 명령이 인가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제 1 체크단계; 제 1 체크단계 수행결과,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 명령이 인가되었으면, 해당되는 번호키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해당되는 번호키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번호키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가 임의의 가입자 번호인 경우에, 해당되는 가입자 번호로의 호를 연결하고, 훅 온상태가 발생되면, 호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제 1 체크단계 수행결과, 재다이얼을 요구하는 명령이 인가되었으면, 재다이얼을 원하는 가입자가 착신자 번호인지 발신자 번호인 지를 체크하는 제 2 체크단계; 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착신자 번호에 대한 재다이얼이 요구된 경우에 최종적으로 연결했던 착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착신자 번호와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한 재다이얼이 요구된 경우에 최종적으로 연결했던 발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번호와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이 운영되는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데이터 저장방법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된 전송데이터 표시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한 호 연결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 110 : 망 종단부
120 : 교환기 202 : 화면 표시부
204 : 키보드 206 : S-라인 접속부
208 : 전원 정합부 210 : 오디오 접속부
212 : 패킷 통신부 214 : 제어부
216 : 터미널 218 : 메모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운영되는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로서, 일반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환기(120), U-라인 접속방식으로 교환기(120)와 접속하고 S-라인 접속방식으로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와 접속하도록 구성된 망 종단부(110)로 구성된다.
망 종단부(110)는 교환기에서 수신한 전원만을 따로 분리하여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로 송신하며,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와의 연결 부분은 ISDN 제어를 위해 BRI(Basic Rate Interface), (2B+D)로 연결이 되며, S-정합 방식을 지원한다. 망 종단부(110)내의 U-라인 접속부(미도시됨)는 ISDN 가입자 억세스 콘트롤러인 IEC-Q(PEB2091)로 구성되며, IEC-Q는 CCITT I.430을 만족하는 전이중 2B+D U-정합 트랜시버로서 2B1Q 블록 코딩 방식을 사용하며, 2B+D U-라인(112) 방식으로 U-라인 접속부(미도시됨)와 교환기(120)를 연결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의 상세 블록도로서, 화면 표시부(202), 키보드(204), S-라인 접속부(206), 전원 정합부(208), 오디오 접속부(210), 패킷 통신부(212), 제어부(214), 터미널(216), 메모리(218)로 구성된다.
화면 표시부(202)는 LCD(Liquid Crystal Device, LCD라고 약함)판, 드라이버, 및 콘트롤러로 구성된 LCD모듈로 구현할 경우에 외부의 콘트롤 신호와 데이터만 입력하면 별도의 세팅(Setting)없이 LCD판에 원하는 화면을 생성하게 된다. 화면 표시부(202)의 밝기는 제어부(214)에 의해 조정된다.
키보드(204)는 입력장치로서, 화면 표시부(202)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S-라인 접속부(206)는 계층 1을 구성하는 단방향 S-라인(102) 정합을 제어하는 기능으로, 교환기(120)에서 2선식으로 들어오는 U-라인(112) 신호가 망 종단부(110)를 거쳐 S-라인(102)인 4 라인으로 변환되어 들어오는 신호선과 잭(미도시됨)을 통해 접속되도록 구성되고, 망 종단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ITU-T I.430을 만족하는 S-정합 방식으로 처리한다.
즉, S-라인 접속부(206)는 2B+D S/T 정합을 지원하며, B 채널 스위칭 및 D 채널 제어를 담당하고 오디오 접속부(210) 및 패킷 통신부(212)와 IOM(Input Output Management) 통신을 하며,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다. 그리고, S-라인 접속부(206)내의 미도시된 전원 검출부(미도시됨)가 망 종단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교환기(120)의 전원(-48V)을 검출하여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의 전원으로서 제공한다.
또한, S-라인 접속부(206)내의 D 채널 제어부(미도시됨)는 플래그(flag) 검출 및 발생, 제로 비트 삽입 및 제거, 에러 검출을 위한 처리 그리고, 주소(address)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B 채널 제어부(미도시됨)는 B 채널 할당 및 해제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 정합부(208)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가 어뎁터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110V/220V의 일반 전원을 통하여 입력되어 12V의 전원으로 변압된 전원을 5V의 전원으로 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는 제어부(214)의 통제하에 전원 정합부(208)에서 제공되는 전원이나 S-라인 접속부(206)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중 하나를 사용하게 된다.
오디오 접속부(210)는 오디오 링 부호/복호 필터로 구성되어, S-라인 접속부(206)의 B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화된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미도시된 핸드/헤드 셋 또는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미도시된 핸드 셋 또는 마이크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S-라인 접속부(206)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 톤 발생기(미도시됨)를 내장하여 각종 톤(링 톤, 비지 톤, 다이얼 톤, DTMF 톤)을 발생시킬 수 있다.
패킷 통신부(212)는 B-채널을 통해 S-라인 접속부(206)와 터미널(216)간의 패킷 통신을 수행한다. 메모리(218)는 롬과 램으로 구성하며, 램은 저장된 데이터의 보존을 위하여 백업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이 오프되어도 저장된 데이터는 유지되도록 구성한다.
제어부(214)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을 수행한다.
우선, 도 3a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본 발명에 따라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단계 302에서 S-라인 접속부(206)로부터 착신 호가 요청되면, 제어부(214)는 단계 304로 진행되어 해당되는 발신 가입자의 번호를 번역하여 알아낸다. 그리고, 단계 306으로 진행되어 메모리(218)에 알아낸(또는 추출한) 발신 가입자 번호를 저장한다. 이 때, 해당되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가 발신 가입자인 경우에 메모리(218)에 저장되는 가입자의 번호는 착신 가입자 번호가 된다.
그 다음, 단계 308에서 망종단부(110)와 교환기(120)를 통해 발신 가입자와의 호(통화로)를 연결하여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가 통화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통화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된 상태에서, S-라인 접속부(206)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제어부(214)는 단계 310으로 진행되어 입력되는 데이터가 터미널(216)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패킷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이 때, 입력되는 데이터로는 해당되는 발신 가입자와의 인증 데이터 또는 가입자 전화 번호 등이 해당된다.
그 다음 제어부(214)는 단계 312로 진행되어 터미널(216)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가입자가 키보드(204) 또는 터미널(216)을 통해 현재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을 요구하는 명령을 인가하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저장을 요구하는 명령이 인가된 경우에, 제어부(214)는 단계 314로 진행되어 현재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주소에 해당되는 번호 키 입력을 요구하고, 요구에 따라 해당되는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에 대응되도록 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시킨다. 그 다음, 훅 온(Hook on)이 발생되면, 단계 316에서 해당 통화를 절단시킨다.
그러나, 단계 312에서 체크한 결과, 데이터 저장을 요구하는 명령이 인가되지 않으면,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훅 온이 발생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316으로 진행되어 해당되는 통화를 절단시킨다.
도 3b는 도 3a와 같은 방법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 3b를 참조하여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표시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키보드(204) 또는 터미널(216)을 통해 메모리(218)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214)는 단계 320에서 단계 322로 진행되어 데이터가 저장된 주소에 대응되는 번호 키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화면 표시부(202) 또는 터미널(216)상에 디스플레이시키고, 키보드(204) 또는 터미널(216)을 통해 해당되는 번호가 입력되면, 단계 324로 진행되어 메모리(218)에서 해당되는 번호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화면 표시부(202) 또는 터미널(216)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한 호연결과정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단계 326에서 훅 오프에 의해 호시도가 이루어지면, 제어부(214)는 단계 328로 진행되어 키보드(204) 또는 터미널(216)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명령이 인가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명령이 인가되었으면, 제어부(214)는 단계 340으로 진행되어 해당되는 주소에 대응되는 번호 키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화면 표시부(202) 또는 터미널(216)상에 디스플레이하고, 키보드(204) 또는 터미널(216)을 통해 임의의 번호키가 입력되면, 단계 342로 진행되어 입력된 번호에 대응되는 주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218)로부터 독출하여 화면 표시부(202) 또는 터미널(216)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된 데이터가 임의의 가입자 번호이고, 해당되는 가입자 번호로의 호시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제어부(214)는 단계 344로 진행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가입자 번호로 호시도를 한다. 그리고, 해당 가입자와 호가 연결되면, 단계 346에서 해당 가입자와의 통화중 상태를 설정하고, 훅 온상태가 발생되면, 단계 348에서 해당 가입자와의 통화를 절단시킨다.
한편, 단계 328에서 체크한 결과,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명령이 인가되지 않았으면, 단계 330으로 진행되어 키보드(204) 또는 터미널(216)을 통해 재다이얼 키가 제어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재다이얼 키가 제어되었으면, 단계 332로 진행되어 "1"번 키가 입력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1"번키가 입력되었으면, 단계 334로 진행되어 해당되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가 최종적으로 연결했던 착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한 뒤, 단계 344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착신자 번호와의 통화를 진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단계 332에서 체크한 결과, "1"번 키가 제어되지 않았으면, 단계 336으로 진행되어 "2"번 키정보가 입력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2"번 키정보가 입력되었으면, 단계 338로 진행되어 해당되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100)가 최종적으로 연결했던 발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한 뒤, 단계 344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번호와의 통화를 진행하도록 한다.
단계 336에서 체크한 결과, "2"번 키도 제어되지 않았으면, 단계 332로 리턴된다. 그리고, 단계 330에서 체크한 결과, 재다이얼 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단계 346으로 진행되어 종전과 같이 호 연결 처리를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중 원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켜 선택적으로 호 시도를 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서, 불필요한 데이터의 저장을 방지하여 전화기내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을 뿐 아니라 재다이얼 모드를 착신모드로 운영된 경우에도 적용시켜 재다이얼 모드 기능을 종전에 비해 확대시킨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임의의 전화기 또는 임의의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와 호를 연결할 수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전화기 또는 임의의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와의 호시도가 요구되면, 해당되는 발신 가입자 또는 착신 가입자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가입자 번호를 갖는 가입자와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면 상기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수단을 통해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에 대한 저장요구 명령이 인가되면서, 해당되는 번호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키에 대응되게 해당되는 데이터를 저장시키는 단계;
    훅 온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호 연결된 상태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호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임의의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 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임의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
  2. 임의의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 또는 임의의 전화기와 호를 연결할 수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가 훅 오프상태로 설정되어 호가 시도되면,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 명령이 인가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제 1 체크단계;
    상기 제 1 체크단계 수행결과,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요구 명령이 인가되었으면, 해당되는 번호키 입력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해당되는 번호키가 입력되면, 상기 해당되는 번호키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가 임의의 가입자 번호인 경우에, 해당되는 가입자 번호로의 호를 연결하고, 훅 온상태가 발생되면, 호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제 1 체크단계 수행결과, 재다이얼을 요구하는 명령이 인가되었으면, 재다이얼을 원하는 가입자가 착신자 번호인지 발신자 번호인 지를 체크하는 제 2 체크단계;
    상기 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상기 착신자 번호에 대한 재다이얼이 요구된 경우에 최종적으로 연결했던 착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착신자 번호와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 2 체크단계 수행결과, 상기 발신자 번호에 대한 재다이얼이 요구된 경우에 최종적으로 연결했던 발신자 번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번호와의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표시 방법.
KR1019970044104A 1997-08-30 1997-08-30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 KR10025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04A KR100250664B1 (ko) 1997-08-30 1997-08-30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104A KR100250664B1 (ko) 1997-08-30 1997-08-30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38A KR19990020638A (ko) 1999-03-25
KR100250664B1 true KR100250664B1 (ko) 2000-10-02

Family

ID=1952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104A KR100250664B1 (ko) 1997-08-30 1997-08-30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6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512A (ja) * 1995-04-28 1996-11-22 Nec Shizuoka Ltd ボタン電話装置
KR970019611A (ko) * 1995-09-04 1997-04-30 김광호 텔레비젼 겸용 전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512A (ja) * 1995-04-28 1996-11-22 Nec Shizuoka Ltd ボタン電話装置
KR970019611A (ko) * 1995-09-04 1997-04-30 김광호 텔레비젼 겸용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38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1236B1 (en) Text-enhanced voice menu system
US6175620B1 (en) Compatibility between a telephone service with server and a calling line identification service
KR100474912B1 (ko) 듀얼 ip 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EP1289241A4 (en) PARTICIPANT CALL PROCEDURE, COMMUNICATION DEVICE, CALLER INFORMATION SERVER AND CALL CONTROLLER
KR100250664B1 (ko)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전송 데이터 저장 및 표시 방법
KR100329459B1 (ko) 사설교환기에서 상대방 정보 표시방법
KR100506247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의 디스플레이 메세지 전송방법
US20020076023A1 (en) Bi-directional CI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JP2827853B2 (ja) コールウェイティング着信制御方式
JP3342720B2 (ja) 構内自動交換装置
KR960028048A (ko) 전전자 교환기의 음성 서비스 방법
EP034934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KR940011755B1 (ko) Isdn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표시 저장 및 검색방법
KR100267849B1 (ko) 알투신호를적용한자동전용네트워크다이얼링방법
JPH01284060A (ja) Isdn公衆網における発アドレス制御方式
KR920008762B1 (ko) Isdn 텔리라이팅 단말기 시스템
KR960003029B1 (ko) 종합정보 통신망용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4373241A (ja) 交換機
JP3519063B2 (ja) Isdn端末装置の制御方法
KR0159638B1 (ko) 아이에스디엔 전화기
JP3297114B2 (ja) 構内自動交換システム
JPH02239762A (ja) 通信端末装置
KR19980076750A (ko) 교환시스템의 전화기 메모 표시방법
KR19990020637A (ko) 종합 정보 통신망 전화기에서의 부가 서비스 코드저장 방법
JPH0637759A (ja) Isdn交換機の保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