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113B1 -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113B1
KR100250113B1 KR1019970048484A KR19970048484A KR100250113B1 KR 100250113 B1 KR100250113 B1 KR 100250113B1 KR 1019970048484 A KR1019970048484 A KR 1019970048484A KR 19970048484 A KR19970048484 A KR 19970048484A KR 100250113 B1 KR100250113 B1 KR 10025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ak
skin
cleaning
effect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389A (ko
Inventor
백관석
Original Assignee
백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관석 filed Critical 백관석
Priority to KR101997004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1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2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2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on alkali or ammonium so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두과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추출농축액을 각종 세정제에 배합함으로써, 세정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피부보호, 미백, 미용효과가 있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첨가한 세정제는 통상의 세정제와 비교하여 월등한 세척력이 있는바, 주방세제의 경우, 1회의 세척으로 부착력이 큰 유지의 오염까지 완전히 제거되며, 세탁용 세제의 경우, 삶은 빨래와 같은 세정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부보호기능은 사용감이 좋으며, 피부의 보습성, 탄력성, 윤택성, 미백작용이 있어, 뛰어난 미용효과를 나타내므로, 세정력에 따라 피부보호는 물론 피부건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본 발명은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두과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성분을 포함하는 세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각종 세정제에 배합함으로써 세정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피부보호, 미백, 미용효과가 있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상적인 세정제는 단일분자층의 오염까지 탈리시켜 세정대상의 오염을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피부건강과 세정대상의 물성이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 위생, 미관 등의 목적이 충족되는 세정효과를 갖는 것을 의미하는데, 종래의 세정제는 이와같은 효과를 얻기에 미흡한 면이 있다. 주방세제의 경우를 예로 들면, 농산물의 잔류농약 세정효율시험 결과, 합성세제 LAS, AOS, SLS, SLES가 각각 0.2% 함유된 세제에 오이, 토마토 등 농산물을 담그고 난 뒤, 수돗물에 세척하였을 때, 농약 다이아지논 성분의 제거율이 49.8 내지 63.1%이며(국립보건원보 1989년), 양배추를 세제로 세척할 경우, 일반세균 92.9%, 대장균 90.2%가 제거된 실험결과는 잔류오염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며, 주방세제를 세척한 용기에서 비린내 등의 이취가 나거나 용기표면에 유지, 단백질 등이 잔류하여 윤활성이 감지되는 것은 세제의 불완전한 세정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같은 잔류오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2 내지 3회 반복하여 세척하거나, 세제의 세정력을 증강해야 하지만, 사용시 피지가 지나치게 제거되어 수분보유능력이 떨어져서 피부가 건조해지며, 단백변성이 초래되어 피부가 거칠어지고 갈라져 표피세포의 탈락이 일어나 피부건강을 해치게 된다.
세제를 사용하여 오염을 제거함에 있어서, 세정력과 피부보호는 서로 상반되는 관계이다. 즉, 세정력이 우수하면 피부자극과 손상을 유발하고, 피부보호 효과가 증가하면 세정력이 저하되는데, 피부작극은 세정제의 유효성분(계면활성제 등)에 의한 것이므로, 유효성분의 함량을 줄이고 자극이 없는 첨가제를 효과적으로 배합하여 세척력을 유지, 강화하는 것이 이상적인 세정제를 얻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정제의 첨가제로서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이 계면장력 저하능과 유화능이 있으며, 동시에 피부의 보습성과 미백, 미용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추출물을 통상의 각종 세정제 조성물에 적당량 배합하여 세정제의 유효성분을 종래 사용량의 20%까지 줄이더라도 세척력은 오히려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피부의 보습성과 미백, 미용효과가 있으며, 세척력이 증대된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은 두과식물의 잎 1kg당 물 2 내지 6L를 가하고 추출한 다음, 중량으로 1kg이 되도록 농축시킨 추출농축액을 비누베이스에 중량비로 1 내지 50% 첨가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이다.
일반적인 세정제 조성물에 첨가제로서 탄닌을 함유하는 밤의 속껍질, 감의 과육 등을 세절한 다음, 1 내지 2일동안 수침하여 얻은 추출액을 세정제에 첨가하여도, 세척력이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나, 피부보호 효과는 미미하여 확인하기 어렵다.
반면에, 두과식물잎의 추출액은 세척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물론, 특이하게 피부의 보습성과 미백, 윤택성, 탄력성 등의 미용효과를 1회 사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명백한 효과가 있다.
두과식물잎의 추출액은 탄닌산, 식물성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 등의 천연고분자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노화와 피부세포 손상의 원인이 되는 지질막의 활성산소의 생성억제 및 제거작용을 나타내며, 탈취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있어, 떡갈잎등 두과식물의 잎은 그대로 냉장고 등의 탈취제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특이한 성능을 갖는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통상의 각종 세제 조성물에 적정량 포함시킴으로써, 세정력과 피부보호의 상반되는 기능을 동시에 강화하여, 이상적인 세제조성물을 얻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두과식물의 잎은 다음의 나뭇잎을 말한다.
1. 떡갈나무(Quercus dentata)
2. 상수리 나무, 참나무(Quercus acutissima)
3.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4. 참가시나무, 가시나무(Quercus myrsinaefolia)
5. 신갈나무, 돌참나무(Quercus mongolica)
6. 물참나무(Quercus cuercus Crispula)
7. 졸참나무(Quercus glandulifera Blume)
8. 불가시나무, 가랑잎나무(Quercus glauca)
9.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
10. 그 밖의 두과식물에 속하는 나무
상기한 나무 중 떡갈나무잎의 추출물이 품질이 높으며, 식생의 분포도 광범위하여 채취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떡갈나무잎 0.5kg을 물 2L에 침적하여 상온에서 24시간 경과 우, 침출된 추출액을 원심분리하고 여액을 50mmHg, 50℃에서 감압증류하여 500g으로 농축된 떡갈잎 추출농축액을 얻었다.
[실시예 2]
떡갈나문잎 0.5kg을 30메쉬 이하로 분쇄한 다음, 6L의 물을 가하여 교반하고, 1시간 경과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여액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500g이 되도록 농축하였다.
상기 공정 중 침출수로 열탕 또는 에탄올, 그리세린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수득한 떡갈잎 추출농축액을 세정제 조성물에 첨가함에 있어, 각종 세정제의 특성에 따라 배합비율에 많은 차이가 있는데, 실시예 1로 된 떡갈잎 추출농축액을 사용한 적정한 첨가비율은 다음과 같다.
세안용 미용비누: 비누베이스에 대하여 중량비로 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주방세제: LAS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정제 유효성분에 대하여 중량비로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세탁용세제: 유효성분에 대하여 중량비로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이상과 같은 적정 첨가량으로 된 세정제 조성물의 배합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3]
액상세제의 제조
증류수 5kg에 소디움 라우릴설페이트 4kg, 라눌린 0.15kg, 코코디에탄올 0.4kg, 4급 암모늄 0.05kg을 교반하여, 60℃로 가열하고, 이 혼합물에 실시예 1로 된 떡갈잎 추출농축액 3kg을 가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여 용기에 주입하였다.
[실시예 4]
고형비누의 제조
우지 7kg에 야자유 3kg을 혼합하고, 용융시킨 가성소다를 첨가하여 검화시킨 다음, 용융상태의 비누베이스를 만들었다. 이와같이 된 비누베이스 85%에 실시예 1로 된 떡갈잎 추출농축액 15%를 첨가하고, 계면활성제, 향료 등 첨가제를 가하여 혼합한 후, 압출성형, 고화 및 건조시켜 고형의 미용비누를 얻었다.
[실시예 5]
우지 7kg에 야자유 3kg을 혼합하고, 실시예 1로 된 떡갈잎 추출농축액 1.5kg에 가성소다를 녹인 다음, 유지혼합물에 부어넣으며 교반, 검화시킨 다음, 실시예 4의 공정에 따라 고형의 미용비누를 얻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두과식물잎의 추출농축액을 첨가한 세정제는 통상의 세정제와 비교하여 월등한 세척력이 있다.
주방세제의 경우, 1회의 세척으로 부착력이 큰 유지의 오염까지 완전히 제거되며, 세탁용 세제의 경우, 삶은 빨래와 같은 세정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피부보호기능은 사용감이 좋으며, 피부의 보습성, 탄력성, 윤택성, 미백작용이 있어, 뛰어난 미용효과를 나타내므로, 세정력에 따라 피부보호는 물론 피부건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비교예 1]
우지 7kg에 야자유 3kg을 혼합하고 용융시킨 가성소다를 첨가하여 검화시킨 다음, 용융상태의 비누베이스를 만들었다. 이와같이 된 비누베이스에 계면활성제, 향료 등 첨가제를 가하여 혼합한 후, 압출성형, 고화 및 건조시켜, 떡갈나무잎 추출농축액을 가하지 않은 고형의 미용비누를 얻었다.
[비교예 2]
우지 7kg에 야자유 3kg을 혼합하고, 솔잎 추출액 1.0kg에 가성소다를 녹인 다음, 유지 혼합물에 부어 넣으며 교반, 검화시킨 다음, 계면 활성제, 향료 등 첨가제를 가하여 혼합한 후, 압출성형, 고화 및 건조시켜, 떡갈나무잎 추출농축액을 가하지 않은 고형의 미용비누를 얻었다.
본 발명의 미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예 4 및 실시예 5로 된 세정제와 비교예로서 떡갈나무잎 추출농축액을 가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세정제를 만들어 관능 검사요원 20명(남녀 각 10명)을 선발하여 비교실험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1
주) A: 매우좋다 B: 좋다 C: 그저그렇다 D: 나쁘다
실험항목 중 사용감은 세제의 피부마찰시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내는 정도이며, 미백효과와 피부탄력성은 사용개시 후 30일 후의 결과이다.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4 및 실시예 5로 된 세정제와 비교예로서 떡갈나무잎 추출농축액을 가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세정제를 만들어 비교실험하였을때, 피부보습성, 피부윤택성, 미백효과, 피부탄력성 및 사용감의 모든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두과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추출농축액을 각종 세정제에 배합함으로써, 세정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피부보호, 미백, 미용효과가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피부보호기능은 사용감이 좋으며, 피부의 보습성, 탄력성, 윤택성, 미백작용이 있어, 뛰어난 미용효과를 나타내므로, 세정력에 따라 피부보호는 물론 피부건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참나무, 굴참나무, 참가시나무, 가시나무, 신갈나무, 돌참나무, 물참나무, 졸참나무, 불가시나무, 가랑잎나무 및 종가시나무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두과식물의 잎 1kg 당 물 2 내지 6L를 가하고 추출한 다음, 중량으로 1kg이 되도록 농축시킨 추출농축액을 비누베이스에 중량비로 1 내지 50% 첨가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19970048484A 1997-09-24 1997-09-24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025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484A KR100250113B1 (ko) 1997-09-24 1997-09-24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484A KR100250113B1 (ko) 1997-09-24 1997-09-24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389A KR19990026389A (ko) 1999-04-15
KR100250113B1 true KR100250113B1 (ko) 2000-03-15

Family

ID=1952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484A KR100250113B1 (ko) 1997-09-24 1997-09-24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348B1 (ko) 2019-01-08 2020-03-31 이인숙 계수나무 껍질 추출물 또는 인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389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63566B (zh) 一种去污杀菌多功能清洁膏及其制备方法
CN112646669A (zh) 一种含有生物蛋白酶的洗护合一洗衣液
KR101872158B1 (ko)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GB2537649A (en) Composition
CN104232372A (zh) 牛胆汁强力去渍皂
CN102994278A (zh) 一种蜂胶香皂及其制作方法
CN103881854A (zh) 一种大蒜洗衣液的制备原料及方法
US20210062110A1 (en) Cost-effectiv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green components
CN105342922A (zh) 一种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0250113B1 (ko) 두과식물잎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
KR101269647B1 (ko) 마늘 및 양파의 발효추출액을 포함하는 천연 주방 세제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5733839A (zh) 一种杀菌防霉柔顺洗衣液及其制作方法
CN100390262C (zh) 一种皂角护肤皂及其制作方法
CN105560123A (zh) 一种纯天然补水保湿洗面奶
CN105168010A (zh) 一种完全由可用于食品生产成分组成的沐浴露
US6380153B1 (en) Methods for producing surfactants with cellulose compositions
JPH11269496A (ja) 植物エキス配合の石けん
JP2003105386A (ja) 液体洗浄剤組成物及び消臭方法
KR100486861B1 (ko) 키토산을 함유한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그 세제의 제조방법
CN104862131A (zh) 基于海洋鱼油的果蔬餐具洗涤剂及其制备方法
KR100944258B1 (ko) 닥나무 잿물을 이용한 천연 약산성 비누 및 제조방법
KR960002195B1 (ko) 화장비누 조성물
DE2519859A1 (de) Kosmetikum
US5853730A (en) Cleaning solution using citrus water distillate
US1612525A (en) Cleaning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