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085B1 -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085B1
KR100249085B1 KR1019970026217A KR19970026217A KR100249085B1 KR 100249085 B1 KR100249085 B1 KR 100249085B1 KR 1019970026217 A KR1019970026217 A KR 1019970026217A KR 19970026217 A KR19970026217 A KR 19970026217A KR 100249085 B1 KR100249085 B1 KR 10024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information
node
nodes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042A (ko
Inventor
요시카즈 사케미
카쯔히로 카네코
타오 첸
마사카즈 히가시모토
유타카 카쯔야마
유키히로 오조노
Original Assignee
미야즈 쥰이치로
니뽄 덴신 덴와 가부시키가이샤
후루까와 준노스께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즈 쥰이치로, 니뽄 덴신 덴와 가부시키가이샤, 후루까와 준노스께,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즈 쥰이치로
Publication of KR98000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04L43/045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for graphical visualisation of monitor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소정의 맵정보 및 RT정보를 인출하고, 이 RT정보로부터 전주 ID리스트 및 와이어 ID리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전주 ID리스트에 의거한 전주 및 상기 와이어 ID리스트에 의거한 와이어를 상기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표시하고, 표시된 전주의 RT가 장착된 전주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하고, 그 표시된 전주부근의 사용자를 맵상에 표시하고, 최후로,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된 개별의 RT전주에 대해서, 이 RT전주에 접속된 1개이상의 전주주위의 30m범위를 개별의 RT전주군에 의거해서 시각적으로 다른 방법(색, 형상, 필링패턴, 점멸리듬, 2D/3D표시)으로 표시한다.

Description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본 발명은 광송신로 등을 이용한 액세스네트워크의 구축시 원거리단말장치배선영역의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광파이버)등을 이용한 액세스네트워크용의 구축장비를 설계하는 운영체계에 있어서, 광송신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원거리단말장치용의 배선영역의 확인(또는 시뮬레이션)에 사용하는 기술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시스템센터(국)로부터 사용자까지 와이어를 설치하는 네트워크토폴로지는 시스템센터로부터 매단일코어가 놓이는 싱글스타와 코어가 도중에 분기되는 더블스타로 분류된다. 더블스타로서는, 개시결합기가 놓인 수동더블스타와, 원거리단말(이하 "RT"라 표기함)또는 광네트워크유닛(이하 "ONU"라 표시함)이 놓인 능동더블스타를 고려할 수 있다. 능동더블스타에 있어서는, 다중광신호가 광파이버를 통해서 RT로 전송되고, 그후 RT뒤의 금속배선을 통해서 전송된다.
RT란, 광송신시스템에 있어서 그후의 금속제의 쌍배선(표준금속신호선)이 존재하는 국으로부터 개별의 사용자 근방까지 사용자정보를 다발(속)로 전송하는 데 사용하는 단말기로, 통상, 사용자근방에 설치되고, 또한 광파이버가 국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놓인 경우 광파이버의 말단에 설치된다.
이 RT를 사용하는 방법은, 우마야하라 등에 의한 논문(optical subscriber system for intending ecomization-Economized A/IㆍCT/RT system, NTT technolohy journal, Oct, 1991, pp.13)에 개시되어 있다. 또, RT를 사용하는 방법은, 오쿠다 등에 의한 논문(consideration on effectiveness of multi-castfunction in multi-media access system, Singaku-giho CS94-17, 1994, pp. 43)에 개시되어있다.
그러나, RT배선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없고, 또 그에 대한 논문도 없다. 물론 RT배선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소프트웨어(운영체계)에대한 논문도 없다. 또한 그 기술이 금후 실현될 것으로 예기되는 기술이므로 전주상에 설치해야할 RT에 대한 논문도 없다.
종래의 액세스테트워크장치의 설계시뮬레이션에 대한 운영체계에 있어서는, 사람이 종이(또는 컴퓨터화면)상에 수동으로 장치를 입력하여 설계시뮬레이션을 수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와 같이 수동으로 종이에 요소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이한 RT배선패턴을 설계할 경우, 각 시간마다 설계지를 다른 것으로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 이미 제작된 종이상에 장치의 설명을 변경하기도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세스네트워크장치의 자동입력 및 RT배선에 대한 서비스 영역의 명백한 시각적인 표시가 가능한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에 있어서는 이하의 처리를 수행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의 맵정보 및 배선정보(RT정보)를 인출하고(제10도의 스텝ST10); 배선정보(RT정보)로부터배선노드정보(제10도의 ST10) 및 노드간의 배선정보(제9도의 와이어리스트)를 추출하고(스텝ST12);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노드정보에 의거한 배선노드(전주)와 노드간의 배선정보(와이어 ID리스트)에 의거한 배선(세스펜션와이어)를 표시하고(제10도의 스텝 ST14): 표시배선노드의 소정단말장치(RT)가 장착된 배선노드(전주)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하고, 맵상에 표시배선노드(전주)근방의 사용자를 표시하고(제10도의 스텝 ST16~스텝 ST20), 최후로 식별가능한 방법으로 표시된 각각의 단말장치장착노드(RT전주)에 대해서, 단말장치장착노드(RT전주)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전주)부근의 소정범위(30m범위)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각각의 단말장치장착노드(RT전주)에 따라 시각적으로 다른 방법(색, 형상, 필링(filling)패턴, 점멸리듬등)으로 표시(스텝ST28)한다.
배선노드(전주)상에 설치된 단말장치(RT)는, 상부영역으로부터 배선노드까지의 상보배선정보(제8도에 표시한 상류와이어리스트)와, 배선노드(전주)로부터 하부영역까지의 하부배선정보(제8도에 표시한 하류와이어리스트)를 지니며, 노드간의 배선정보(와이어 ID 리스트)는, 이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배선(서스펜션와이어)의 상부배선노드정보(제9도의 상부전주ID)와, 이 정보에 의해 표시된 배선(서스펜션와이어)의 하부배선노드정보(제9도의 하부전주 ID)를 포함하고있다.
단말장치장착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배선노드(전주)주위의 특정범위(30m범위)는, 상부배선정보(상류와이어리스트), 하부배선정보(하류와이어리스트), 상부배선노드정보(상부전주ID) 및 하부배서노드정보(하부전주 ID)의 어느 하나에 따라 그의 상류 또는 하류와이어와 특정배선노드(전주)간의 관계를 추적함으로서 시각적으로 동일한 방법(예를 들면 동일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차적인 목적과 이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나타나 있으며, 일부는 그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거나, 본 발명을 실행함으로써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등은 특히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지적된 수단 및 그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되고 얻어질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RT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주와 와이어를 2차원으로 표시한되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면상의 사용자 및 RT설치위치를 표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화면상의 각 RT의 배선영역을 특정크기의 사각형 영역으로 표시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화면상의 각 RT의 배선영역을 특정크기의 원형영역으로 표시한 도면.
제5도는 제2도의 화면상의 각 RT의 배선영역을 각종 형상의 영역으로 표시한 도면.
제6도는 제2도의 화면상의 각 RT의 배선영역을 특정크기의 형상 및 색(또는 필링패턴)을 조합해서 표시한 도면.
제7도는 제1도내지 제6도에 도시한 RT배선영역의 간이표시를 행하기 위한 하드웨어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제1도내지 제6도에 도시한 RT배선영역의 간이표시를 행할 때 참조하는 정보(전주와 접속와이어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ID리스트)를 설명하는도면.
제9도는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RT배선영역의 간이표시를 행할 때 참조하는 정보(와이어와 그의 상하부전주와의 관계를 포시한 ID리스트)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한 각각의 워크스테이션에서 실행해야 할 소프트웨어의 일례를 설명하는 순서도.
제11도는 제4도에 도시한 예의 RT배선영역을 3차원으로 표시한 변형예를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스트 컴퓨터 12 : 마스터데이터베이스
20 : 네트워크케이블 22A, 22B : 노드
30A, 30B : 워크스테이션 32A, 32B : 로컬데이터베이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배선영역(RT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각 도면에 있어서 구성, 작용 또는 기능면에서 공통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공통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제7도는 RT배선영역의 간이표시를 행하기 위한 하드웨어구조의 개략도이다. 여기서, 대용량디스크배열을 활용한 마스터데이터베이스(12)를 포함하는 컴퓨터(10)를, 이 시스템의 호스트컴퓨터로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인터넷(Ethernet)의 네트워크케이블(20)은 이 컴퓨터(10)에 접속되고, 네트워크케이블(20)상의 각 위치에 노드(22A), (22B)가 부착되고, 각 노드(22A), (22B)…에 RT배선영역시뮬레이터로서 사용되는 워크스테이션(또는 퍼스널컴퓨터)(30A), (30B)…이 접속되어 있다.
워크스테이션(30A), (30B)은 각각, 그의 내장하드디스크에 그 자신의 로컬데이터베이스(32A), (32B)…를 포함하고 있다. 또 각 워크스테이션(30A), (30B)은 노동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해상도의 컬러CRT 또는 컬러액정표시장치(디스플레이)를 지닌 대형의 비트맵표시장치(17-21인치급)를 포함하고 있다.
호스트컴퓨터(10)는 각 워크스테이션(30A), (30B)…용의 서버로서, 사용되어 각 워크스테이션(30A), (30B)상에 독립적으로 개별의 RT배선영역시뮬레이션(RT배선설계)를 행할 수 있다.
각 워크스테이션(30A), (30B)…의 로컬데이터베이스(32A), (32B)…는 특정영역의 맵정보 및 RT정보(전주, 와이어, 사용자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워크스테이션(30A)의 데이터베이스(32A)는 도쿄의 치요다구의 맵정보 및 RT정보를 포함하고, 워크스테이션(30B)의 데이터베이스(32B)는 도쿄의 신주쿠구의 맵정보 및 RT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호스트컴퓨터(10)의 마스터데이터베이스(12)는 네트워크상의 모든 워크스테이션(30A), (30B)…의 맵정보 및 RT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면, 마스터데이터베이스(12)는 도쿄의 23개구 전체의 맵정보 및 RT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워크스테이션(30A)에 있어서 치요다구와 신주쿠구 양쪽의 특정영역에 대해 RT시뮬레이션을 행할 경우, 워크스테이션(30A)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호스트컴퓨터의 마스터데이터베이스(12)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신주쿠구의 맵정보 및 RT정보를 다운로드한다. 다음에, 워크스테이션(30A)은 그 자신의 로컬데이터베이스(32A)에 기억된 치요다구의 맵정보 및 RT정보와 다운로드된 신주쿠구의 맵정보 및 RT정보를 사용해서 서로 근방에 위치된 치요다구와 신주쿠구 양쪽의 특정영역에 대해 RT배선시뮬레이션을 행할 수 있다.
호스트컴퓨터(10) 및/또는 각 워크스테이션(30A), (30B)…의 시스템소프트웨어는, X- 윈도 등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설치한 UNIX등의 범용운영체계이면 된다. 또, 워크스테이션(30A), (30B)…은 GUI형 멀티타스크운영체계를 지닌 퍼스털컴퓨터이면 된다.
이하, 상기 RT배선시뮬레이션을 행할 때의 목표영역에 있어서의 전주, 와이어, 사용자 등의 시각적 표시(RT배선영역의 간이표시)를 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대해 제1도 내지 제6도 및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0도는 제7도의 각 워크스테이션에서 수행해야 할 소프트웨어의 내용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예를 들면, 워크스테이션(30A)에서 도쿄의 치요다구의 특정영역의 RT배선시뮬레이션을 행할 경우, 먼저, 로컬데이터베이스(32A) 또는 마스터데이터베이스(12)로부터 치요다구의 맵정보 및 RT정보를 판독한다(스텝ST10). 다음에, 워크스테이션(30A)의 중앙처리장치(CPU; 도시생략)는 판독된 RT정보로부터 목표영역의 전주리스트(제8도) 및 와이어리스트(제9도)를 추출한다(스텝ST12).
하부구조인 전주는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그 전주에 접속된 상ㆍ하류와이어의 ID리스트(와이어리스트)를 지니고 있다. 또, 와이어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ㆍ하부전주ID리스트(전주리스트)를 지닌다.
ID란, 특정대상을 지적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숫자의 알파벳이 조합된 형태로 표현된 마치 식별번호와 같은 정보이다. 여기서 사용된 ID는 이 시스템에서만 이용 가능한 번호이며, 동일 ID는 상이한 대상(전주, 와이어)에 할당되지 않는다. 즉, ID를 특정하는 것만으로 대응하는 전주 또는 와이어를 특정하는 일이 가능하다.
맵상에 할당된 전주에는 상ㆍ하부전주 ID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그 전주에 접속된 와이어에 정보가 부착되어 있다(제8도 및 제9도). 상류 및 하류영역검색은 "와이어"에 대해 기억된 데이터에 따라 수행된다.
워크스테이션(30A)의 CPU는 판독된 맵정보에 따라 그 자신의 비트맵디스플레이(컬러CRT)상에 대상영역의 맵을 표시한다. CPU는 추출된 전주리스트(제8도) 및 와이어리스트(제9도)에 따라 비트맵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된 맵위에 대상영역에 대해 이미 등록된 전주 및 와이어를 표시한다(스텝 ST14).
제1도는,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전주와 와이어의 접속 및 할당의 2차원표시예이다. 표시된 전주에는 각각, 제8도에 표시한 전주ID가 개별적으로 공급되고, 이 ID는 제1도에 표시한 전주의 각각을 특정한다. 마찬가지로, 와이어에는 각각, 제9도에 표시한 와이어 ID가 개별적으로 공급되고, 이 ID는 제1도에 표시한 와이어의 각각을 특정한다. 전주와 와이어와의 접속관계는 제8도 또는 제9도를 참조해서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전제조건을 설명한다. 즉, 전주,와이어 등의 하부구조가 맵상에 형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다. 또, 형성된 전주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부로부터(ID번호가 작은 것으로부터)순차 배열되어 있다.
이것은, 와이어가 분기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전주(2)는 상부전주(1)와, 하부영역의 전주(3), (2-1)를 지닌다. 이 (시스템의)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전주(1)는 전주(2)의 상부영역의 전주를 조사해서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주(3) 및 (2-1)는 전주(2)의 하부영역의 전주를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 데이터(RT정보)는 RT배선영역을 표현하는 데 필수불가결하다.
맵상에 할당된 전주의 추출은 계속해서 더욱 상부영역(보다 적은 ID)의 전주로부터 행한다. 최상부전주(전주 ID=1)가 인식되면,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데이터(제8도에 표시한 리스트)에 따라 그 전주에 RT가 설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데이터베이스(12), (32A)에 기억된 RT정보는 "전주에 원거리단말(RT)이 설치되었음"을 표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이 플래그는 제8도의 ID번호에 부착된 *마크로 표시된다. 워크스테이션(30A)의 CPU는 제9도에 표시한 전주리스트로부터 *마크가 붙은 전주ID를 검색하여 RT가 장착된 전주를 찾는다(이 경우, ID1 및 5를 지닌 전주)(스텝ST16). 각 전주에 대해 그의 ID에 *마크(RT플래그)가 부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순차 조사하여 전주에 RT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체크한 전주에 RT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그 전주주우의 배선영역이 표시된다.
RT장착전주가 발견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RT장착전주임"을 표시하는 마크 <RT>가 ID "2" 및 "5"옆에 표시된다(스텝ST18). 이때, 발견된 RT전주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집모양의 마크로 나타낸다.
목표영역에 다수의 사용자가 있을 경우, 사용자 모두를 동시에 표시하면, 디스플레이는 비지로 되어 사용자에 대한 시인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나타내야 할 사용잔는 그 발견된 RT전주근방에 위치된 사용자로 한정된다. "시인성의 저감"의 문제가 없다면, 스텝ST14에서 목표영역내의 사용자모두를 표시하는 것이 허용된다(제1도에 도시한 상태).
RT장착전주를 검색할 때 등록된 데이터(제8도 및 제9도)에 의거해서 상하부전주와 와이어와의 관계를 추적하는 것이 본 실시예의 하나이 요지이다. 즉, 전주는 상하류와이어에 대한 리스트를 지니는 한편, 와이어는 상하부전주에 대한 리스트를 지닌다. 상기 리스트를 이용해서 상부로부터 순차 하부를 검색하면, 최종적으로 특정루트가 학립된다.
이 검색에 있어서, 전주가 RT를 장착한 것인지의 여부를 동시에 조사한다. RT장착전주인 경우, 후술하는 특정색(또는 패턴)이 할당되고(스텝ST28), RT가 장착된 다음 전주에까지 동일색(동일패턴)이 할당된다. 따라서, 동일한 RT군의 배선영역의 표시가 완료된다.
제2도에 있어서, 사용자(가입자)가 할당되고, 케이블 등의 장치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라인수에 따라 할당된다. 또, RT는 필요에 따라 전주에 할당된다.
상기 설명한 각 스텝에 있어서, 워크스테이션(30A)의 조작자가 행해야만 하는 처리는 목표영역(이 경우 도쿄의 치요다구내의 특정영역)을 특정하는 일뿐이다. 목표영역의 맵정보 및 RT정보가 데이터베이스(32A) 또는 데이터베이스(12)에 이미 기억되어 있을 경우, 제1도 또는 제2도에 도시한 표시는 이 목표영역을 특정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조작자가 "RT배선영역의 간이표시"를 특정하면(스텝ST20YES), 배선영역의 표시환경에 관한 특정데이터의 유무를 체크한다(스텝ST22). 이 특정데이터에 의해, 배선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을 특정한다(스텝ST24). 즉, 조작자의 희망에 따라, 배선영역색(흑백표시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레이스케일), 형상, 필링패턴, 면적(영역크기), 점멸리듬(각 영역이 다른 페이스로 점멸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 및 표시종류(2차원 표시 또는 3차원표시)를 특정한다.
배선영역에 대해 어떠한 표시환경도 특정되어 있지 않으면, 시스템디폴트데이터를 이용한다(스텝ST26).
스텝ST24에서 특정된 표시환경 또는 스텝ST26에서 사용되는 디폴트표시환경에 의하면, 제1검색RT(전주ID2)로부터 다음 검색RT(전주ID5)까지의 와이어(L23, L34, L45, L221, L331, L3132)에 위치된 전주(ID=2,3,4,2-1,3-1,3-2)에 의거해서, 특정영역(RT장치를 커버하는 사용자영역)이 우선적으로 표시된다(스텝ST28).
마찬가지로, 제2검색RT(전주ID5)로부터 제3검색RT(도시생략)까지의 와이어(L56, L67, L551,L5152, L5253, L52521)상에 위치된 전주(ID-5, 6, 5-1, 5-2, 5-3, 5-2-1)에 의거해서, 특정영역(RT장치를 커버하는 사용자영역)이 우선적으로 표시된다(스텝ST28).
상기 스텝ST28의 표시동작은 최종검색RT전주까지 수행된다. 그러나, 워크스테이션(30A)의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되는 표시화면은 그의 일부이어도 된다(표시되지 않은 일부가 화면 또는 스크롤의 절환에 의해 화면상에 출력될 수 있다).
스텝ST28의 동작이 완료된 경우,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특정색 또는 형상으로 특정범위영역이 우선적으로 표시된 RT배선영역이 얻어진다.
조작자의 동작이 특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스텝ST24에서의 입력데이터에 의해 시뮬레이션작업하에서 특정 RT군의 표시영역만을 반짝이게(즉 섬광으로)하거나 점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뮬레이션에 의해 수반된 전주, 와이어 및/또는 사용자의 첨가, 삭제 및 재할당은, 제7도에 도시한 워크스테이션(3A(30B))의 키보드, 마우스 또는 타블렛(도시생략)을 조작자가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 시뮬레이션에 의해 수반된 최종적으로 특정된 전주, 와이어 및/또는 사용자의 첨가, 삭제 및 재할당은 로컬데이터베이스(32A(32B)) 및 마스터데이터베이스(12)에 (필요시 변화된 최종명칭으로)기억된다.
제3도에 있어서 오버랩윈도(P1~Pn)에 복수의 RT배선영역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윈도(P1)는 치요다구의 니반쵸의 RT배선영역을 나타내고, 윈도(P2)는 치요다구의 욘반쵸의 RT영역을 나타내며, 윈도(Pn)는 황궁주위의 RT배선영역을 나타낸다.
스텝ST26의 디폴트데이터가 사용되면, 전주 ID2의 RT군의 RT배선영역(ID=2, 3, 4, 2-1, 3-1, 3-2)이 사선으로 채워진 특정색의 사각형(사각형의 실제치수는 30m×30m에 상당함)의 집합으로 표시된다. 또한 전주 ID5의 RT군의 RT배선영역(ID=5, 6, 5-1, 5-2, 5-3, 5-2-1)이 단속적인 선으로 채워진 특정색의 사각형의 집합으로 표시된다. 이들 사각형의 표시는 조작자의 제어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각 RT군의 그룹화처리는 제8도 및 제9도에 표시한 ID리스트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특정전주가 그의 ID로 특정되어 제8도에 표시한 전주 ID리스트를 참조할 경우, 그 전주의 상하류와이어가 특정될 수 있다. 또 특정와이어가 그의 ID로 특정되어, 제9도에 표시한 와이어 ID리스트를 참조할 경우, 그 와이어의 상하부전부가 특정될 수 있다. 제8도 또는 제9도에 표시한 리스트를 참조하여 각각의 전주 및 그들의 리딩(leading)와이어를 추적함으로써, 각 RT군의 그룹화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워크스테이션(30A)의 CPU에 의해).
스텝ST24에서 입력된 조작자데이터가 스텝ST28에서 표시용으로 사용될 경우, 예를 들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ID2의 RT군의 RT배선영역(ID=2, 3, 4, 2-1, 3-1, 3-2)은 사선으로 채워진 특정색의 원(각 원의 실제치수는, 조작자가 20m를 특정한 경우 20m직경에 상당함)의 집합으로 표시된다. 또한, 전주 ID5의 RT군의 RT배선영역(ID=5, 6, 5-1, 5-2, 5-3, 5-2-1)은 단속적인 선으로 채워진 특정색의 원의 집합으로 표시된다. 이들 원집합의 표시는 조작자의 제어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스텝ST24에서의 조작자에 의한 입력내용에 따라,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ID2의 RT군의 RT배선영역을 사선으로 채워진 특정색(예를 들면, 녹색)의 사각형의 집합으로 표시하고, 전주ID5의 RT군의 RT배선영역을 단속적인 선으로 채워진 특정색(예를 들면, 녹색)의 원의 집합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들 표시는 조작자의 제어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텝ST24에서의 조작자에 의한 입력내용에 따라, 전주 ID2의 RT군의 RT배선영역을 특정색(예를 들면, 녹색)의 사각형의 집합으로, 그리고, 전주ID5의 RT군의 RT배선영역을 교차사선으로 채운 다른 색(예를 들면, 밝은 청색)의 원의 집합으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들 표시는 조작자의 제어없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제6도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영역을 둘러싸는 형상은 각 RT에 대해 변경해도 된다(제1RT커버영역은 원; 제2RT커버영역은 사각형; 제3RT커버영역은 오각형; 제4RT커버영역은 육각형; 제3RT커버영역은 별형상의 육각형(△과 ▽의 조합)).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각 예는 2차원으로 표시하였으나, RT배선영역은 3차원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전주 및 사용자가 2차원표시로 꽉차 있으므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인성이 나쁜 경우,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표시를 채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주의 사용자간의 위치관계는 3차원으로 표시되어 시인성이 향상된다.
2이상의 각각의 전주영역이 2차원표시에 있어서 크게 중첩되어 있더라도, 3차원표시를 이용하면, 이들 각 전주를 분리해서 표시할 수 있다.
2차원데이터(X축/Y축 데이터)로 표현된 각각의 전주에 특정 Z축데이터를 첨부함으로써 3차원표시를 행할 수 있다. 각 Z축데이터를 결정하는 예로서는, 인접전주간의 거리가 원(또는 사각형)표시영역의 크기(예를 들면 3cm)보다도 작을 경우, 표식영역크기의 Z축데이터를 2개의 인접전주중 하나에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3축(X, Y, Z)데이터에 의해서 디스플레이상에 3차원도면을 그리기 위한 알고리즘은, 공지의 3D모델링/렌더링소프트웨어에 채용된 것이어도 된다.
RT배선영역은 단일의 RT에 의해 커버 가능한 사용자(간압자)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간주된다. 사용자가 매장소마다 분산되어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이 영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하기가 곤란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RT군에 의해 커버되는 사용자만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시인성좋게 RT배선영역의 간이표시를 행할 수 있다.
RT배선영역은 복수의 RT전주를 포함하는 맵에 있어서 간이한 식별법으로(예를 들면, 컬러마크에 의해)표시되므로, RT서비스영역을 한눈에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컬러마크에 의거한 식별처리가 간단하므로, 표시속도가 증대된다.
제1도 내지 제6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와이어에 대해서는, 광파이버는 전주사이로 추정되고, 금속배선은 전주로부터 사용자가지 추정된다. 와이어의 실현수단은 광파이버 혹은 금속선으로 제한되지 않고, 이 와이어는 무선송신수단(예를 들면 위성통신)에 의해 부분적으로 실현해도 된다.
또, 액세스네트워크의 배선영역을 표시하는 방법은 RT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ONU등의 기타 유형의 송신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여기서, 송신장치는, 소위 EㆍO변환기능(즉, 광신호를 금속배선용의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능동더블스트스킴으로서 분류된다.
또, RT배선영역의 표시는 본 발명에 의해 용이해지므로, 표시속도가 빠르다(실시간처리가 가능함). 또, RT배선영역이 컬러로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므로, 이 영역을 한눈에 인식할 수 있으므로, 시인성있게 운영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에 의해서 쉽게 이점 및 변형예를 부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상세한 설명 및 각종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에 상당하는 것에 의해 규정된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이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소정의 맵정보 및 배선정보를 얻는 공정; 상기 배선정보로부터, 배선노드정보 및 노드간의 배선정보를 추출하는 공정; 상기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상기 노드정보에 따른 배선노드 및 상기 노드간의 배선정보에 따른 배선을 표시하는 제1표시공정; 상기 표시된 배선노드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공정; 및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상기 표시된 개별의 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주위의 특정범위를,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여된 시각적인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2. 소정의 맵정보 및 배선정보를 얻는 공정; 상기 배선정보로부터, 배선노드정보 및 노드간의 배선정보를 추출하는 공정; 상기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상기 노드정보에 따른 배선노드 및 상기 노드간의 배선정보에 따른 배선을 표시하는 제1표시공정; 상기 표시된 배선노드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된 배선노드근방의 사용자를 표시하는 제2표시공정; 및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상기 표시된 개별의 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주위의 특정범위를,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여된 시각적인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3. 소정의 맵정보 및 배선정보를 얻는 공정; 상기 배선정보로부터, 배선노드정보 및 노드간의 배선정보를 추출하는 공정; 상기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상기 노드정보에 따른 배선노드 및 상기 노드간의 배선정보에 따른 배선을 표시하는 제1표시공정; 상기 표시된 배선노드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공정; 및 상기 단말장치가장착된 상기 표시된 개별의 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주위의 특정범위를,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여된 색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4. 소정의 맵정보 및 배선정보를 얻는 공정; 상기 배선정보로부터, 배선노드정보 및 노드간의 배선정보를 추출하는 공정; 상기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상기 노드정보에 따른 배선노드및 상기 노드간의 배선정보에 따른 배선을 표시하는 제1표시공정; 상기 표시된 배선노드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공정; 및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상기 표시된 개별의 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주위의 특정범위를,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여된 필름패턴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5. 소정의 맵정보 및 배선정보를 얻는 공정; 상기 배선정보로부터, 배선노드정보 및 노드간의 배선정보를 추출하는 공정; 상기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상기 노드정보에 따른 배선노드 및 상기 노드간이 배선정보에 따른 배선을 표시하는 제1표시공정; 상기 표시된 배선노드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공정; 및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상기 표시된 개별의 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주위의 특정범위를,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여된 형상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6. 소정의 맵정보 및 배선정보를 얻는 공정; 상기 배선정보로부터, 배선노드정보 및 노드간의 배선정보를 추출하는 공정; 상기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상기 노드정보에 따른 배선노드 및 상기 노드간의 배선정보에 따른 배선을 표시하는 제1표시공정; 상기 표시된 배선노드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공정; 및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상기 표시된 개별의 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주위의 특정범위를,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여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여된 방법은 다른 색, 다른 필링패턴 또는 다른 형상을 활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7. 소정이 맵정보 및 배선정보를 얻는 공정; 상기 배선정보로부터, 배선노드정보 및 노드간의 배선정보를 추출하는 공정; 상기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상기 노드정보에 따른 배선노드 및 상기 노드간이 배선정보에 다른 배선을 표시하는 제1표시공정; 상기 표시된 배선노드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공정; 및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상기 표시된 개별의 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주위의 특정범위를,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여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여된 방법은 다른 리듬의 점멸 또는 섬광표시를 활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노드 상에 장착된 단말장치는, 상부영역으로부터 상기 배선노드까지의 상부배선정보와 상기 배선노드로부터 하부영역까지의 하부배선정보를 지니고, 상기 노드간의 배선정보는 상기 정보에 의해 나타낸 배선의 상부배선노드정보와 상기 정보에 의해 나타낸 배선의 하부배선노드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은, 상기 상부배선정보, 상기 하부배선정보, 상기 상부배선노드정보 및 상기 하부배선노드정보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특정배선노드와 그의 상류 또는 하류와이어간의 관계를 추적함으로써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주위의 특정범위를 시각적으로 동일방법으로 표시하는 공정을 또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는 2차원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10.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는 3차원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11. 맵정보 및 배선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소정의 맵정보 및 배선정보를 얻는 수단; 상기 배선정보로부터, 배선노드정보 및 노드간의 배선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맵정보에 의거한 맵상에, 상기 노드정보에 따른 배선노드 및 상기 노드간의 배선정보에 따른 배선을 표시하는 제1표시수단; 상기 표시된 배선노드에 있어서 각각 소정의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를, 식별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2표시수단; 및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상기 표시된 개별의 노드에 접속된 1개이상의 상기 배선노드주위의 특정범위를, 상기 단말장치가 장착된 개별의 배선노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여된 시각적인 방법으로 표시하는 제3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영역의 간이표시장치.
KR1019970026217A 1996-06-20 1997-06-20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KR1002490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59858A JPH1011483A (ja) 1996-06-20 1996-06-20 配線エリアの簡易表示方法
JP96-159858 1996-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042A KR980004042A (ko) 1998-03-30
KR100249085B1 true KR100249085B1 (ko) 2000-03-15

Family

ID=15702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217A KR100249085B1 (ko) 1996-06-20 1997-06-20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11483A (ko)
KR (1) KR100249085B1 (ko)
ID (1) ID170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4666A (en) * 1996-12-23 1999-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eb-based administration of IP tunneling on internet firewalls
JP2001357085A (ja) * 2000-06-14 2001-12-26 Takenaka Komuten Co Ltd 有体物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20085308A (ko) * 2001-05-07 2002-11-16 서근석 배선관리기록장치
JP6091819B2 (ja) * 2012-09-14 2017-03-08 株式会社東芝 配電系統監視制御装置
JP2019144279A (ja) * 2018-02-15 2019-08-2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7323391B2 (ja) * 2019-09-05 2023-08-08 富士古河E&C株式会社 配線設計システム
JP7349470B2 (ja) * 2021-05-14 2023-09-22 北陸電話工事株式会社 設計支援装置、設計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7030B2 (ja) * 1991-07-24 1999-10-0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事象表示装置
JPH05316655A (ja) * 1992-05-07 1993-11-26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表示装置
JPH05323867A (ja) * 1992-05-18 1993-12-07 Hitachi Ltd 網管理表示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6325113A (ja) * 1993-05-12 1994-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設備管理図作成方法
JPH08110916A (ja) * 1994-08-19 1996-04-30 Hitachi Ltd 施設配置方法及び施設配置計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17067A (id) 1997-12-04
KR980004042A (ko) 1998-03-30
JPH1011483A (ja) 199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270B1 (ko) 지도데이터 작성방법 및 작성장치
CN101894386B (zh) 多层次模型中图元层间关系直观显示的方法及系统
AU731535B2 (en) Data providing structure, data providing method and data providing terminal
WO19930054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raster display having expandable graphic representations
KR20060002964A (ko) 윈도우 스택 제어방법, 윈도우 관리 프로그램, 및 윈도우관리장치
KR100249085B1 (ko) 배선영역의 간이표시방법
CN107948008B (zh) 一种用于低压配电网监控系统的建模方法
CN111291438B (zh) 文件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5608140A (zh) Lkj基础数据的图形化自动编制方法
EP0614151A1 (en) Information management process for cable network with automatic generation of graphic applications
CN105162120A (zh) 一种基于Web GIS的大电网实时地理潮流展示方法
WO2023132555A1 (en) Augmented reality-base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method and server
CN113553486A (zh) 输电线路运行状态可视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651799A (zh) 列控工程数据表的自动生成系统
CN111275788A (zh) 基于共性模板图和差异化拓扑图的图形合成方法
CN107767039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CN113916244A (zh) 巡检位置设置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2084288A (zh) 一种地图可视化管理装置
JP2906826B2 (ja) 設備管理システム
CN101930690B (zh) 地图辨识处理系统及其方法
CN117315181B (zh) 基于3d建模的地理信息构建系统
CN111967114B (zh) 一种设备布线图的绘制方法
JPH0973532A (ja) 図面管理システム
CN109753550A (zh) 一种基于特殊算法的osp物理路径展现方法
JPS6334667A (ja) 図面検索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