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308A - 배선관리기록장치 - Google Patents

배선관리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308A
KR20020085308A KR1020010024744A KR20010024744A KR20020085308A KR 20020085308 A KR20020085308 A KR 20020085308A KR 1020010024744 A KR1020010024744 A KR 1020010024744A KR 20010024744 A KR20010024744 A KR 20010024744A KR 20020085308 A KR20020085308 A KR 20020085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arking means
fitting
facilities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근석
Original Assignee
서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근석 filed Critical 서근석
Priority to KR1020010024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5308A/ko
Publication of KR20020085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30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통신선이나 전력케이불 또는 각종 배선, 배관 등의 시설물 설치에 따른 시설물내역 등을 용이하게 표시 및 유지함과 동시에 그 유지보수를 위한 위치 및 내역 확인이 용이하도록하여 시설물의 유지 관리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배면에는 밴드걸이구(11a)를 포함한 양측의 받침구(11)를 형성한 일정크기의 기록판(1)에 시설물 내역을 나타내기 위해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표시부(12)를 다수 구획 형성하되, 상기 각 표시부(12)에는 다수의 표식끼움공(12b)과 Seven-segment를 이용한 8자음각형상(12a)배열과 기준공(12p)을 중심으로 방향표시 방식 배열(F내지F1)등으로 음각형성하여, 상기 임의 표식끼움공(12b)에 표식수단(5a내지5e)의 탄설끼움부(51)가 탈, 부착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리 기록장치이다.

Description

배선관리기록장치 {WIRING-CONTROL RECORDING DEVICE}
본 발명은 배선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통신선로나, 전력케이불 또는 각종 배선, 배관 등의 시설물 설치에 따른 시설내역 등을 용이하게 표시 및 유지함과 동시에 유지보수를 위한 시설위치 및 내역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여 시설물의 유지 관리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불이 가설되는 철탑이나 전주 또는 통신선을 포함한 각종 케이불 및 각종 배관 등 지중매설에 따른 시설물들 그리고 가로수나 가로등과 같은 기간시설물들의 다양한 설치 정보 내역을 후 작업자가 보다 쉽게 인지, 확인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리기록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관리기록 장치는 그 대부분이 소정의 두께 및 크기를 갖는 판 형태의 기록판에, 별도의 스티커나 유성펜 등을 이용하여 시설물에 대한 정보내역을 표시하도록하여 소기의 목적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종래의 기록관리장치는, 시설물이 추가 설치되거나 또는 교체 설치되는 경우, 시설물의 변동내역을 나타내기 위해 기록판상에 새롭게 스티커를 준비하여, 그 준비된 스티커를 다시금 부착하거나 혹은 기록된 내용을 지우고 유성펜으로 다시금 기록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많을 뿐 아니라, 기록판에 표시된 내역표시가 장기간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일정기간을 지나면, 비 바람 햇볕등에 의해 기재된 내역이 지워져 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전달이 불가능하게 되어 시설물의 유지보수시 작업자가 시공오류를 일으킬수 있으므로 일정기간 경과후에는 기록판 자체를 교체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수반된다.
특히 통신선로에 있어 케이블을 다량으로 설치되어 이런 통신선로시설에는 시설관리를 위한 관리번호와 시설내역표시가 없으면 시설량이 방대하기 때문 작업자가 시설 유지보수시 작업 개소에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 평소 이런 방대한 통신선로 시설에 부착된 기록판에 기록되는 시설물내역의 확인 및 수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각종 시설물의 시설내역을 시설물에 설치되는 별도의 기록판에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또는 유성펜으로 기재하는 방식으로 시설물에 대한 내역을 표시하는 식으로 기록판을 유지관리 하는데 따라 야기되는 종래의 배선관리 기록방식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각종 시설물의 내역에 대한 정보로서 관리되는 관리기록 내용을 오랜기간이 경과 되더라도 기록내용의 손상이나 변질없이 장구히 보존토록 하며 시설물에 대한 내역확인 및 유지 보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내역이 변경이 되어 변화된 그 내역에 대한 표시를 변경 하여야할 경우, 아주 간단히, 표식수단만을 임의 표식구멍에 그 위치를 바꿔 끼워주는 것만으로 표시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배선관리 기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B - B선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배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5a내지 도5e는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되는 표식수단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배면사시도이며
도7은 도6의 B - B선 단면도
도8a내지 도8e는 도6에서 사용되는 표식수단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록판 5a 내지 5e; 표식수단 11; 받침구
11a; 밴드걸이공 12;표시부 12a: Seven-segment를 이용한 8자음각형상
12b; 표식끼움공 51; 탄설끼움부 52: 절편 가: 절편과절편의 이음매듭
61: 단봉 8a내지8e: 표식수단 A: 전주번호찰 B: 전주 C: 스틸밴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선관리 기록장치는, 배면에는 다수의 밴드걸이공(11a)를 포함한 받침구(11)를 형성한 일정크기의 기록판(1)에 시설물 내역을 나타내기 위해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표시부(12)를 다수 구획형성하되, 상기 각 표시부(12)에는 다수의 표식끼움공(12b)을 내재한, Seven-segment를 이용한 8자음각형상(12a)배열과 기준공(12P)을 중심으로 방향 표시방식 배열(F내지F1)로 음각형성된 다수의 표식끼움공이 (12b)있으며, 표식수단(5a내지 5e)의 형상은 Seven-segment를 이용한 다수의 절편으로 형성되었으며 그 절편마다 표식끼움부(51)가 있고 절편(52)과 절편(52)은 이음매듭(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임의의 아라비아숫자를 만드는데 필요에 따라 표식수단 형상그대로 사용하거나 아니면 절편(52)의 매듭(가)을 닙퍼로 용도에 맞게 잘라서, 상기 임의 끼움공(12b)에 표식수단의 탄설끼움부(51)가 탈,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발명을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선관리 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예의 사시도이고, 도2은 도1의 B - B선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선관리 기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기록판(1)과 표식수단(5a내지 5e)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기록판(1)은 대략 장방형으로 되어 일정두께를 갖는 것으로 그 배면에는 중앙에 밴드끼움공(11a)을 갖는 받침구(11)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판면에는 설치된 시설물의 시설내역을 기록하는 Seven-segment를 이용한 8자음각형상(12a) 부위를 기본으로 하여 여기에 내역(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를 임의 크기로 다수 구획 형성하되, 이 표시부(12)는 기록판(1)의 판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돌출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표시부(12)에는 Seven-segment를 이용한 8자음각형상(12a)등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음각에는 다수의 표식끼움공(12b)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표시부(12)에 Seven-segment를 이용한 8자음각내에 위치한 표식끼움공(12b)은 표식수단(5a내지 5e)의 절편들을 끼워 숫자를 조합하는데 활용한다.
상기의 표시부에서는 1 - 99까지의 수를 자유자재로 나타낼수 있으며 이런식으로 각 표시부(12)마다 그 표시부(12)의 표시 특성상 일정단위의 수를 사전에 작업자와 기록판 설치자간에 서로의 약속에 의해 8자음각형상(12a)이 아닌, Seven-segment를 이용한 임의의 수를 사전에 정하고(12c) 표시할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수가 아닌 시설내역도 Seven-segmemt를 이용하여 그 절편으로 간단히 표시하고져 각 표시부의 임의의 공간에 가로(F) 혹은 세로(F1)로 음각형상과 표식끼움공을 형성하여 설치물의 시설내역(F2)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낼수 있게되고 또 파악할수 있게 된다.
상기의 표시부와 표시부는 시설내용 특성상 서로가 연관되어 있기에 이를 기록판에 일정형태의 공을 만들어 연결고리(E)를 만들었다.
상기한 표식수단(5a내지 5e)은 일측에 일정 길이의 탄설끼움부(51)를 형성하고, 끼움부(51)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50)가 표시부(12)에 형성된 임의의 표식끼움공(12b)의 단부에 끼워져 걸리도록하여 표시부(12)에 대한 표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 선단은 표시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표시면(52)의 형상은 Seven- segment를 이용한 절편(52)의 형상이며, 이 절편은 작업자가 임의의 숫자나 시설내역을 자유롭고 간단하게 그리고 편리하게 작업하기 위하여 표식수단(5a내지 5e)인 그 절편(52)들을 ㅁ자형(5a), ㄷ자형(5b), ㄴ자형(5c), 1자형(5d) 8자형(5e),붙혀서 형성되었으며 이를 임의의 시설내역을 표기함에 있어 상기의 형상 그대로 사용할수도 있고 아니면 시설표기의 필요에 따라 그 절편(52)들의 이음매듭(가)을 닙퍼로 잘라 임의의 그 절편들을 표식끼움공에 끼움으로 간단하게 정확히 시설내역을 표시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배선관리기록장치(A)는 도9에 도시한바와 같이 시설물이 설치된 전주나 가로등 지주등에 고정밴드(C)등을 이용하여 부착설치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배선관리기록장치(A)에는 설치된 시설물의 각종 시설내역이 상기에서 상술한바와 같은 방법으로 표시 된다.
예를 든다면 시설내역 " 18 "을 표시한다면(도4), 십단위는 5d의 절편을 표식끼움공에 그대로 끼우고 일단위는 5a와 5b를 표식끼움공에 숫자 형상에 맞추어 끼우면 간단하게 숫자 " 18 "을 표시할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8자형인 5e만 갖고 해당 숫자에 맞추어 닙퍼로 절편의 이음매듭(가)을 잘라서 해당 수를 만들어 표식끼움공에 끼우는 방법도 있다.
여기에서 십단위이상 백단위, 천단위등 그 이상의 어떤 단위의 숫자를 표기하는 경우도 시설물 사용조건에 맞겠끔 사용자와 사전에 약속을 한다면 얼마든지 숫자의 단위를 조정하여 표시부에 표기할수 있으며 또 작업완료후에도 임의로 시설내역에 맞겠끔 조정할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4에서와 같이 숫자 이외의 시설내역(F내지F1)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절편(52)의 이음매듭(가)을 잘라 끼움으로 간단히 표시하는 특징도 있다.
도6, 도7에서와 같이 표시부의 Seven-segment를 이용한 8자음각형상(12a)에 표식끼움공(12b)대신 단봉(61)을 형성하고 표식수단(8a내지 8e)를 끼울수도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표시부에서(12) Seven-segment를 이용한 8자음각배열이 가로배열로 되어 있는데, 이렇게 반듯히 가로배열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설내역에 따라 세로배열, 대각선배열등 임의로 변경하여 배열을 적용시킬 수 있으며, 또 숫자의 단위도 시설에 따라 백단위, 천단위, 만단위등 시설내역에 따라 시설내역에 맞추어 조절할수 있으며,
상기의 표시부(12)에서 8자음각(12a)을 8자양각으로 하는 방법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듯히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배선관리기록장치에 의하면 각종 통신선이나 각종 전력케이불 또는 배선 배관등의 시설물 및 가로수, 공원수명판및 교량의 교각번호, 고속도로의 거리표시판,육교등시설물의 지상고 표시판등 설치에 따른 가설내역을 표시 유지함에 있어 기록판에 아라비아숫자 8자음각 표시방식 배열로 형성된 다수의 표식끼움공에 표식수단을 끼워서 설치함으로서 끼워진 표식수단의 위치 또는 끼워 설치된 표식수단의 설치여부에 의해 설치된 시설물에 대한 시설내역을 확인할수 있게 됨에 따라 표식수단이 설치된 상태에서 오랜기간이 경과 되더라도 외부여건에 의해 전혀 변형됨이 없어 표시내역에 대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시설물의 보수 유지관리가 보다 용이해지며 시설물의 교체또는 보강설치에 따른 설치내역의 변동시에도 표식끼움공에 대한 표식수단의 위치만 변경시키면 그 정정표시가 가능하게 되므로 그 기록내역의 수정역시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설물관리에 따른 제반비용을 절감할수 있으며 효율적인 시설물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배선기록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배면에는 밴드걸이공(11a)을 포함한 다수의 받침구(11)를 형성한 일정크기의 기록판(1)에 시설물내역을 나타내기 위해 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표시부(12)를 다수구획 형성하되, 상기 각 표시부(12)에는 Seven-segment를 이용한 8자음각에 다수의 표식끼움공(12a)이 형성하여, 상기 임의 표식끼움공(12a)에 표식수단(5a내지 5e)의 탄설끼움부(51)가 탈, 부착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선관리기록장치.
  2. 청구 1에 있어서
    기록판(1)의 각 표시부(12)의 표식수단(5a내지 5e)은 그형상이 Seven- segment를 이용한 다수의 절편(52)으로 형성되었으며 그 절편(52)마다 표식끼움부(51)가 있고, 절편(52)과 절편(52)은 이음매듭(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임의의 아라비아숫자를 만드는데 표식수단(5a내지 5e)의 형상 그대로 사용할수도 있고, 그 이음매듭(가)을 닙퍼로 용도에 맞게 잘라서 상기 임의 표식끼움공(12b)에 표식수단의 탄설끼움부(51) 외면에 형성된 걸림부(50)가 표시부에 형성된 임의의 표식끼움공(12b)의 단부에 끼워져 걸리도록 하여 탈,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관리기록장치.
KR1020010024744A 2001-05-07 2001-05-07 배선관리기록장치 KR20020085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744A KR20020085308A (ko) 2001-05-07 2001-05-07 배선관리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744A KR20020085308A (ko) 2001-05-07 2001-05-07 배선관리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308A true KR20020085308A (ko) 2002-11-16

Family

ID=2770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744A KR20020085308A (ko) 2001-05-07 2001-05-07 배선관리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530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83A (ja) * 1996-06-20 1998-01-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配線エリアの簡易表示方法
KR19990083672A (ko) * 1999-03-30 1999-12-06 서근석 배선관리기록장치
KR20010038712A (ko) * 1999-10-27 2001-05-15 성락연 배선관리 기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83A (ja) * 1996-06-20 1998-01-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配線エリアの簡易表示方法
KR19990083672A (ko) * 1999-03-30 1999-12-06 서근석 배선관리기록장치
KR20010038712A (ko) * 1999-10-27 2001-05-15 성락연 배선관리 기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6017B1 (ja) 協賛式避難誘導案内標示板
DE60110698D1 (de) System zur Positionierung und Zusammenbau eines Fensters auf einem Fensterheber
JP4431511B2 (ja) 消波ブロック、消波ブロック統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消波ブロック統合管理方法
FR2802682B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identification d'animaux et gestion des informations relatives aux dits animaux
KR20020085308A (ko) 배선관리기록장치
RU56518U1 (ru) Контрольно-измерительная колонка
DE69942603D1 (de) Verfahren zur Datenanzeige auf einer Matrixanzeigevorrichtung
KR101447095B1 (ko) 지중선로 표지기
US20060006240A1 (en) Utility component identification systems
KR100388926B1 (ko) 배선관리 기록장치
JP2007200015A (ja) 現場設備管理システム、現場設備管理方法
KR200394999Y1 (ko) 지하매설표시기
WO1993019447A1 (en) Marker nail
CN210341713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引导指示路牌
JPH11247809A (ja) 施工表示釘
WO2005012834A1 (en) Distance measuring target
JPH10111129A (ja) マンホール
KR100663061B1 (ko) 하수관의 지중 매설 위치 현황 표시블록
CN202258114U (zh) 一种基于rfid的地下管线地面标志点
CN211897976U (zh) 一种檐口标识字牌固定装置
FR2884321B1 (fr) Procede de gestion de la duree de vie d'une batteri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US7059266B1 (en) Reflective warning and locator collar for hydrants, pylons and support posts
CN203858822U (zh) 一种光缆标识牌
JP3140719U (ja) 協賛式避難誘導案内標示板
KR102116935B1 (ko) 디지털 옥외 광고물 통합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