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161B1 -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을 갖는 시계 - Google Patents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을 갖는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161B1
KR100248161B1 KR1019920024839A KR920024839A KR100248161B1 KR 100248161 B1 KR100248161 B1 KR 100248161B1 KR 1019920024839 A KR1019920024839 A KR 1019920024839A KR 920024839 A KR920024839 A KR 920024839A KR 100248161 B1 KR100248161 B1 KR 10024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watch
connecting portion
driven
vib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894A (ko
Inventor
프랑크 바우처
Original Assignee
월터 본 카넬
꼼빠니 데스 몬트래스 론진 프란시론 소시에떼 아노님
이브스 모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터 본 카넬, 꼼빠니 데스 몬트래스 론진 프란시론 소시에떼 아노님, 이브스 모렐 filed Critical 월터 본 카넬
Publication of KR93001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2Back-gearing arrangements between gear train and han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08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graduations
    • G04B19/082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graduations varying from the normal closed scal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4Clocks or watches with date or week-day indicators, i.e. calendar clocks or watches; Clockwork calendars
    • G04B19/241Clocks or watches with date or week-day indicators, i.e. calendar clocks or watches; Clockwork calendars the date is indicated by one or more ha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호로메트릭 무브먼트와, 무브먼트에 의하여 구동되고 기어톱니(26a-26y)를 갖는 중간휠(22)과, 날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시스템(16)과, 그리고 표시시스템(16)에 결합되고 기어톱니(26a-26y)와 맞물려 있는 피구동 기어톱니(32)를 포함하는 진동부재(30)와 진동부재(30)의 자유로운 후진복귀를 유도하도록 하는 결합해제수단(40)와, 진동부재(30)의 후진복귀를 한정하기 위한 대응접속부(CB)와 연결된 접속부(B)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은 구동중 정상적으로 진동부재(30)의 기어톱니(32)가 맞물려지는 중간휠(22)의 기어톱니(26a-26y)중의 하나(26a)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을 갖는 시계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진형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시계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을 보인 것으로 제1도에서 보인 지지판과 다이얼이 부분적으로 절개표시되고 시작위치(눈금 1을 가리키는 위치)에 있는 날짜지침을 점선으로 보인 평면도.
제3도는 표시수단이 회전되어 날짜지침이 최종위치(눈금 31의 위치)에 놓여 있으을 보인 제2도와 유사한 평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부재를 보인 제3도의 IIIA-III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제2도와 유사한 평면도.
제5도와 제6도는 제2도-제4도에서 부분적으로 보이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이 착설되는 지지판을 보인 평면도와 저면도.
제7도와 제8도는 제6도와 제5도의 VII-VII선 및 VIII-VIII선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이 조립유지판에 의하여 덮인 상태를 보인 제2도와 유사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수단(display means) 2 : 시계줄
4 : 시계케이스 8 : 시침
10 : 분침 12 : 초침
16 : 정보표시시스템(display system)
18 : 날자침(date hand) 22 : 중간휠(intermediate wheel)
26a-26y : 구동기어톱니(driving gear teeth)
30 : 진동부재(oscillating element)
32 : 피구동기어톱니(driven gear teeth)
34 : 공구(return means)
40 : 결합해제수단(declutching means)
50 : 제1지지판(first plate) 52 : 제1개방부(first cut out)
54 : 제2개방부(second cut out) 56 : 돌출부(tongue)
60 : 제2지지판(second plate) 64 : 개방슬로트(open slot)
B : 접속부(abutment) CB : 대응접속부(counter-abutment)
본 발명은 기계식 또는 전기기계식의 시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원형의 진로를 따라 이동한 후에 본래의 시작위치로 역작동하여 복귀할 수 있게 된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표시는 예를 들어 시, 분, 초, 날짜 등과 같은 아날로그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표시수단은 시계산업분야에서 구분표시수단 또는 진동표시수단(oscillating display means)과 같은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스위스특허 CH-27961에는 각 12 눈금과 60 눈금에 도달한 후에 시작점으로 복귀하는 두 개의 시계바늘에 의하여 다이얼에 표시된 원호형 눈금에서 시간과 분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후진형 표시수단을 갖는 시계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시계도 상기 언급된 정의가 적용된다.
이러한 시계는 전체적으로 기계적인 시계무브먼트에 의하여 제어되고 분침이 연결된 파이프축에 고정된 휠에 결합된 톱니형 섹터(sector)에 결합하는 기어로 구성된 제1중간구동휠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시침은 제2중간휠에 결합되는 섹터에 직접 결합된 다른 파이프축에 착설된다.
각 중간휠(intermediate wheel)에는 손톱형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결부는 섹터와 결합할 수 있게 된 톱니에 인접하여 중간휠의 주연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방향인 제1방향으로 한바퀴 완전히 회전한 후 이 절결부는 섹터측으로 향하게 되고 이로써 섹터는 중간휠로부터 자유롭게되며 탄성복귀수단에 의하여 제1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자동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더욱이 섹터에는 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휠에는 이러한 접속부에 대응하는 대응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접속부와 대응접속부는 섹터의 회전이동을 제한하고 이에 착설된 시계바늘을 다이얼에서 그 시작위치에 정확히 복귀시킬 수 있도록 서로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섹터에 제공된 접속부는 그 높이가 톱니높이의 두 배가 되어 섹터동체의 높이와 같은 턱에 의하여 형성된다. 대응접속부는 섹터의 기어톱니보다 높은 위치에서 절결부상에 배치되는 중간휠의 톱니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중간휠은 이에 형성되는 절결부를 수용하고 대응접속부를 형성하는 톱니가 역방향으로의 이동종료시 턱에 의하여 형성된 접속부의 접촉으로 일어나는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또한 턱도 대응접속부와의 협동이 이루어지도록 섹터의 기어톱니로부터 충분히 돌출되는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주요 결점이 두께에 있다. 이러한 구성은 대형시계와 같은 시계무브먼트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이유는 이러한 시계의 디자이너가 시계의 두께를 특별히 줄이고자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구성은 최신형의 기계식이나 전기기계식의 시계에는 적용될 수 없는 바, 이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배터리나 날짜를 표시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구와 같이 큰 다른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기술의 구성은 손톱형의 절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휠을 가공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특수한 가공작업이나 턱을 형성하는 작업과 같은 작업은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결국 이러한 구성이 구비된 시계의 가격이 상승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스위스 특허 CH-143 411에 따라서, 특히 시간을 기리키는 시침이 손톱형의 절결부가 형성되게 직접 가공된 중간휠과 협동할 수 있게 된 톱니형 섹터에 고정착설된 시계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접속부와 대응접속부는 실질적인 길이를 갖는 빔과, 톱니형 섹터와 중간휠에 착설된 축으로 구성된다. 이 축은 절결부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배열된다.
또한 접속부와 대응접속부는 섹터와 중간휠로부터 돌출되고 그 두께가 상당한 공간을 차지한다.
끝으로, 스위치 특허 CH-61 478로부터는 날짜표시시계가 알려져 있다. 이 시계의 지침(hand) 하나는 몇 개의 톱니가 없는 날짜휠에 착설되며, 이 휠은 중간휠에 착설된 핀을 통하여 회전구동된다.
지침이 구동방향으로 이동완료되었을때, 핀이 날짜휠에서 톱니가 없는 부분으로 형성된 절결부내에 놓이게 되고 중간휠과 결합되지 않음으로서 이러한 휠의 운동과 지침의 운동이 정지된다. 아울러, 날짜휠은 수동조작형 휠에 결합하고 이 휠에는 톱니가 없는 섹터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직경은 수동조각형 휠의 톱니선단이 이루는 원의 직경과 동일하다. 이는 톱니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날짜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접속부를 형성토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자동장치가 아니며 부가적인 작동휠을 필요로 하는 바, 이는 제조코스트가 증가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휠은 외부로부터의 접근을 위하여 케이스로부터 돌출됨으로서 무브먼트가 밀폐되지 않고 먼지나 불순물에 노출된다. 또한 중간휠이 구동핀에 의하여 날짜지침의 각 단계 마다 1회전하여야 하므로 중간휠은 감속비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완전히 자동으로 후진하고 사전에 결정된 두께의 표준형 무브먼트를 장치할 수 있도록 특히 높이를 낮추기 위하여 가능한 한 최소의 두께를 갖는 표시수단이 구비된 시계를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및 조립 코스트가 낮은 시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기계식 또는 전기기계식 시계는 시계무브먼트, 시계무브먼트에 의하여 구동되고 기어톱니를 갖는 중간휠과,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이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이 날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시스템과, 상기 표시시스템에 결합되고 기어톱니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부재를 포함하고, 중간휠이 기어톱니가 진동부재를 회전구동시키도록 진동부재의 기어톱니와 결합하며, 중간휠의 기어톱니와 진동부재의 기어톱니는 각각 구동톱니나 피구동톱니를 구성하고, 상기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이 진동부재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과, 구동톱니와 피구동톱니사이의 결합을 잠정적으로 중단시켜 진동부재를 자유롭게 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해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해제수단은 구동톱니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자동후진형 표시 수단이 진동부재의 후진을 제한하도록 대응접속부와 결합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가 진동부재에 고정되는 반면에 대응접속부가 중간휠에 고정되고, 상기 대응접속부가 구동중에 진동부재의 피구동 톱니와 결합하는 중간휠의 구동톱니의 하나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결합해제수단을 구성하는 절결부는 그 길이가 단부톱니인 두 개의 구동톱니로 한정되고, 이들 톱니의 하나가 상기 대응접속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대응접속부를 형성하는 구동톱니가 다른 구동기어톱니와 동일한 형태이고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또한, 접속부는 대응접속부를 형성하는 구동기어톱니와 협동토록 진동부재의 피구동톱니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부채꼴형의 날짜표시수단, 즉 후진형의 표시수단(1)을 보인 것이다. 시계(P)에 구비된 이 표시수단은 날짜와 같은 정보를 아날로그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시계(P)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시계줄(2)이 연결된 케이스(4)에 조립되는 기계식 또는 전기기계식의 손목시계이다.
시계(P)는 원형 눈금에 1-4의 숫자와 8-12와 숫자가 표시되어 시간과 분을 나타내는 다이얼(6)을 포함한다. 이 다이얼(6)에는 케이스(4)내에 표준방식으로 조립되고 용두(14)에 의하여 손으로 작동될 수 있는 시계무브먼트(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구동되는 3개의 지침, 즉 시침(8), 분침(10)과 초침(12)이 배치되어 있다. 시침(8), 분침(10)과 초침(12)은 시계(P)의 무브먼트의 중심인 제1회전축선(X1)을 중심으로 하여 동축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채꼴형인 후진형 표시수단(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날짜, 특히 월의 날짜를 나타내는 1-31의 홀수의 날짜를 표시한 환상의 섹터(20)를 향하면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날짜지침(18)으로 구성되는 정보표시시스템(16)을 포함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계(P)의 무브먼트에 결합된 날짜지침(18)은 시작위치에서 눈금 1을 향하여 월의 첫째일에 놓이며, 이는 특히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대부분의 경우와 같이 표준시의 밤 12시에 하루에 한 단계씩 넘어간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계의 가장 간단한 실시형태에서 날짜지침(18)은 이 날짜지침이 최종회전위치인 눈금 31을 가리킬 때까지 계속 진진한다.
다음의 단계가 이루어지는 대신에, 날짜지침(18)은 자동적으로 그 시작위치를 향하여 후진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 날짜지침(18)은 후진운동한다. 이러한 운동은 1회전 범위의 일부범위에서, 특히 이 실시형태에는 350°범위에서만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1)은 부채꼴형 표시수단이라 할 수 있다.
제2도와 제3도에서, 이들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의 기계적인 구성을 상세히 보인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다이얼(6)과 지지판(50)은 일부절개되어 표시되었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 날짜지침(18)은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1)은 중심축선(XI)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토록 착설되고 예를 들어 31개의 톱니를 갖는 구동스타기어(24)에 고정된 구동피니언인 중간휠(22)을 포함한다. 구동스타기어는 시계무브먼트(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어되며 이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점퍼 스프링(jumper spring)(도시하지 않았음)과 결합된다.
중간휠(22)은 25개의 기어톱니(26a, 26b, ...26y)를 포함하며, 이들 톱니는 부호 26a-26y(26a부터 26y까지)로 표시하였다.
또한 후진형 표시수단(1)은 날짜지침(18)이 구동되는 축(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하여 표시시스템(16)에 결합된 진동부재(30)를 포함한다.
진동부재(30)는 제1축선(X1)과는 별도의 제1회전축선(X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토록 착설되고 기어톱니(32)를 갖는 날짜휠(진동부재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함)로 구성된다.
제3도에서 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중간휠(22)의 기어톱니(26a-26y)는 진동부재(30)를 환상 섹터(20)의 원호에 해당하는 각도범위만큼 회전구동시키기 위하여 이 진동부재(30)의 기어톱니(32)와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중간휠(22)을 통하여 시계(P)의 무브먼트로부터 모터출력을 공급받게 되므로 중간휠(22)의 기어톱니(26a-26y)는 구동톱니이고 진동부재(30)의 기어톱니(32)는 피구동톱니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표시수단(1)은 진동부재(30)를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복귀수단(34)을 포함하며, 이러한 복귀수단(34)은 일측단이 진동부재(30)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제5도-제8도에서 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지지판(50)에 직접고정되어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위치가 유지되는 태엽형 스프링(복귀수단과 동일한 부호로 표시함)으로 구성된다. 복귀수단(34)은 진동부재(30)가 제2도에서 보인 그 시작위치를 향하여, 즉 후진방향(도시된 예에서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복귀되게 배치된다/
또한 표시수단(1)은 구동톱니(26a-26y)와 피구동톱니(32)사이의 결합상태를 잠정적으로 차단하여 진동부재(30)의 자유로운 복귀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해제수단(40)을 포함한다.
이 결합해제수단(40)은 구동톱니(26a-26y)에 형성된 절결부(결합해제 수단과 동일한 부호로 표시함)로 구성된다. 결합해제수단(40)의 절결부는 중간휠(22)에서 톱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다.
이와 같이, 제2도에서 보인 위치에서, 진동부재(30)의 톱니(32)는 중간휠(22)의 이들 톱니(26a-26y)와 결합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결합해제수단(40)의 절결부가 피구동톱니(32)측으로 향할 때, 진동부재(30)는 중간휠(22)과 실질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시계(P)의 무브먼트에 결합되지 않는다.
동시에, 진동부재(30)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복귀수단(34)에 의하여 그 시작위치를 향해 시계반대방향으로 역회전이동하고 이러한 회전이동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수단(1)의 접속부(B)와 대응접속부(CB)에 의하여 그 시작위치에서 제한된다.
접속부(B)는 진동부재(30)에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대응접속부(CB)는 중간휠(22)의 기어톱니(26a-26y)중 하나이 톱니(부호 26a로 표시함)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구동중에 진동부재(30)의 피구동톱니(32)와 결합되는 중간휠(22)의 구동기어톱니(26a-26y)중 하나의 톱니(26a)에 형성되는 대응접속부(CB)는 중간휠(22)에 특별히 부가적으로 가공하거나 조립하여 형성할 필요가 없다.
결합해제수단(40)을 구성하는 절결부는 상기 대응접속부(CB)를 형성하는 단부톱니인 톱니(26a)와 역시 다른 단부톱니인 톱니(26y)의 두 톱니에 의하여 한정되는 원호길이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접속부(CB)를 형성하는 구동톱니(26a)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다른 구동톱니(26a-26y)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특히, 이러한 톱니(26a)의 두께도 다른 구동톱니(26a-26y)의 두께와 동일하다.
접속부(B)에 대하여, 이 접속부는 대응접속부(CB)를 형성하는 톱니(26a)와 결합토록 높이(h)(제2도)를 갖는 진동부재(30)의 피구동톱니(32)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다.
제3(a)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속부(B)는 진동부재(30)의 두께와 같은 두께로 연장되어 있다.
특히, 이 도면에서 접속부(B)의 두께(E1)는 톱니(32)의 두께(E2)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제4도는 중간휠(22)이 두 구동톱니그룹(G1)(G2)을 가지고 이러한 그룹이 두 절결부(40)(40a)에 의하여 나누어져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날짜지침(18)의 회전범위가 더욱 제한되고 이 날짜지침은 중간휠(22)의 1회전중에 두번 전진하고 복귀한다. 절결부의 수와 이로써 구분되는 구동톱니그룹의 수가 둘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그 이상의 수를 가질 수 있다.
모든 실시형태에서 보이고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속부(B)와 진동부재(30)를 형성하는 휠의 피구동톱니(32)는 상기 휠을 구성하는 두께(E2)의 판재(P)(제3(a)도)에 절취형성된다. 따라서, 접속부(B)는 다른 부가적인 공정없이 톱니(32)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동일한 가공 및 스템핑공정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도와 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속부(B)는 대응접속부(CB)를 형성하는 구동톱니(26a)와 협동토록 요입측면(FL)(제3도)에 형성된 윤곽을 갖는다. 따라서, 날짜지침(18)이 후진하여 그 시작위치로 복귀될때, 진동부재(30)는 톱니(26a)가 요입측면(FL)에 작용함으로써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또한 접속부(B)는 진동부재(30)의 피구동톱니(32)로부터 톱니의 두개반 정도의 폭에서 돌출된 세그먼트(S)로 구성됨을 보이고 있다.
접속부(B)는 진동부재(30)의 피구동 기어톱니(32)를 형성할 때 동시에 얻는다. 이를 위하여, 이러한 진동부재(30)를 형성하는 휠은 톱니(32)의 선단이 이루는 원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절취된다. 직경의 증가분은 접속부(B)의 높이(H)(제3도)의 두 배에 해당한다. 따라서, 톱니(32)는 진동부재(30)에 이 접속부(B)만을 남기고 통상적인 밀링컷터(milling cutter)(도시하지 않았음)를 이용하여 판재(P)(제3(a)도)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제5도-제8도에서 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진동부재(30)가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는 지지판(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판(50)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P)의 무브먼트의 기판상에서 그 하측면(F1)(제6도와 제7도)에 의하여 조립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판(50)은 상대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개방된 두개의 개방부(52)(54)를 포함한다. 제1개방부(52)에서 중간휠(22)이 수용되고 제2개방부(54)에는 진동부재(30)가 수용된다. 이를 위하여, 제2개방부(54)는 돌출부(56)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의 단부에서 진동부재(30)가 외팔보형태로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돌출부(56)는 제2회전축선(X2)에 일치하도록 제2개방부(54)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 직경방향으로 돌출된다.
지지판(50)은 하측면(F1)측에 제3의 개방부(59)를 포함하며 이는 다른 두 개방부(52)(54)의 축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9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제1의 지지판(50)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6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지지판(60)은 제2개방부(54)상에서 이에 동축상으로 제1의 지지판(50)에 형성된 제4개방부(58)내에서 진동부재(30)상에 스크류(62)로 고정된다.
제2지지판(60)에는 복귀수단(34)을 텐션하에 배치하여 진동부재(30)를 당기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공구(도시하지 않았음)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슬로트(64)가 형성되어 있다.

Claims (14)

  1. 시계무브먼트(horometric movement), 시계무브먼트에 의하여 구동되고 기어톱니(26a-26y)를 갖는 중간휠(22)(intermediate wheel)과,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는 기계식 또는 전기기계식 시계에 있어서, 이 자동후진형 표시수단(16)이 날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시스템(16)과, 상기 표시시스템에 결합되고 기어톱니(26a-26y)를 갖는 하나 이상의 진동부재(30)를 포함하고, 중간휠(22)의 기어톱니가 진동부재(30)를 회전구동시키도록 진동부재의 기어톱니와 결합하며, 중간휠(22)의 기어톱니와 진동부재(30)의 기어톱니는 각각 구동톱니와 피구동톱니를 구성하고, 상기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이 진동부재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과, 구동톱니와 피구동톱니사이의 결합을 잠정적으로 중단시켜 진동부재를 자유롭게 후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해제수단(40, 40a)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해제수단은 구동톱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이 진동부재의 후진을 제한하도록 대응접속부(CB)와 결합되는 접속부(B)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가 진동부재에 고정되는 반면에 대응접속부(CB)가 중간휠(22)에 고정되고, 상기 대응접속부가 구동중에 진동부재의 피구동 톱니와 결합하는 중간휠의 구동톱니(26a-26y)의 하나(26a)에 의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을 갖는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해제수단을 구성하는 절결부가 단부톱니인 두개(26a-26y)의 구동톱니(26a-26y)로 그 길이가 한정되고, 이들 톱니의 하나(26a)가 상기 대응접속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대응접속부(CB)를 형성하는 구동톱니(26a)가 다른 구동기어톱니(26a-26y)와 동일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4. 제1항에 있어서, 대응접속부(CB)를 형성하는 구동톱니(26a)가 다른 구동기어톱니(26a-26y)와 동일한 두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B)가 대응접속부(CB)를 형성하는 구동톱니(26a)와 협동토록 진동부재(30)의 피구동톱니(32)의 높이 이상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B)가 진동부재(30)의 두께의 범위내에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B)의 두께가 피구동톱니(32)의 두께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휠(22)이 절결부로 나누어지는 두그룹(G1, G2) 이상의 구동톱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9. 제1항에 있어서, 진동부재(30)가 휠(wheel)이고, 이 휠의 상기 접속부(B)와 상기 피구동 기어톱니(32)가 상기 휠을 구성하는 판재(P)에서 절취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B)가 대응접속부(CB)를 형성하는 구동톱니(32)와 협동도록 요입측면이 형성된 윤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B)가 진동부재(30)의 피구동톱니(32)로부터 톱니의 두개 반(two half teeth)의 폭에서 돌출된 세그먼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2. 제1항에 있어서, 시계무브먼트에 고정될 수 있게 된 하나 이상의 지지판(50)을 포함하고, 이 지지판(50)은 상대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개방된 두개의 개방부(52, 54)를 포함하며, 제1개방부(52)에는 상기 중간휠(22)이 수용되고 제2개방부(54)에는 진동부재가 수용되고, 제2개방부는 그 중심을 직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56)를 포함하며 이 돌출부(56)가 상기 진동부재(30)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30)가 돌출부(56)에 외팔보형태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진동부재(30)상에서 상기 지지판(50)에 고정된 제2지지판(60)을 포함하고, 제2지지판(60)에는 복귀수단을 텐션하에 배치하여 진동부재(30)를 당기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공구(34)가 삽입될 수 있는 개방슬로트(64)(open slot)가 형성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
KR1019920024839A 1991-12-28 1992-12-21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을 갖는 시계 KR100248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859/91A CH681761B5 (fr) 1991-12-28 1991-12-28 Pièce d'horlogerie du type mécanique et/ou électromécanique, pourvue de moyens d'affichage à déplacement retrograde automatique.
CH03859/91-6 1991-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894A KR930013894A (ko) 1993-07-22
KR100248161B1 true KR100248161B1 (ko) 2000-04-01

Family

ID=426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839A KR100248161B1 (ko) 1991-12-28 1992-12-21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을 갖는 시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35562A (ko)
EP (1) EP0549941B1 (ko)
JP (1) JP3256908B2 (ko)
KR (1) KR100248161B1 (ko)
CN (1) CN1041245C (ko)
CH (1) CH681761B5 (ko)
DE (1) DE69204043T2 (ko)
HK (1) HK1007009A1 (ko)
TW (1) TW2036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8756B1 (en) * 1991-09-13 1997-01-22 Citizen Watch Co. Ltd. Multi-time indicating analog watch
CH684815B5 (fr) * 1993-07-15 1995-07-14 Longines Montres Comp D Mécanisme de quantième annuel pour pièce d'horlogerie.
JP3489892B2 (ja) * 1994-12-27 2004-01-2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電子時計
CH690047A5 (fr) * 1996-02-01 2000-03-31 Gerald Genta Sa Pièce d'horlogerie à affichage rétrograde des minutes, notamment montre-bracelet.
CH690515A5 (fr) * 1996-03-27 2000-09-29 Patek Philippe Sa Pièce d'horlogerie munie d'un affichage du quantième.
CA2313427C (en) 2000-07-28 2002-06-11 A. Daniel Brophy Personal organization tool
EP1372047A1 (fr) * 2002-06-13 2003-12-17 Desco von Schulthess AG Pièce d'horlogerie à affichage rétrograde
CH696860A5 (fr) * 2003-03-27 2007-12-31 Franck Muller Watchland S A Mécanisme d'affichage rétrogradant.
JP3714355B2 (ja) * 2003-05-29 2005-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計時装置およびその自動停止方法
CH706126B1 (fr) * 2008-03-25 2013-08-30 Maurice Lacroix Sa Pièce d'horlogerie comportant un mécanisme d'affichage rétrograde.
DE102013109288B3 (de) * 2013-08-27 2014-05-22 Lange Uhren Gmbh Uhr
JP1522008S (ko) * 2014-03-13 2015-04-20
USD856823S1 (en) * 2014-11-11 2019-08-20 Kun-Chi Wu Wrist watch
CN106292242B (zh) * 2015-06-11 2017-12-22 天津海鸥表业集团有限公司 一种手表时分针行星显示传动机构
CH712219A2 (fr) * 2016-03-15 2017-09-15 Chanel Sa Genève Mécanisme pour mouvement de montre à affichage rétrograde et sautant.
EP3330809B1 (fr) * 2016-12-01 2019-10-16 Omega SA Montre comportant un dispositif d'affichage de quantième
JP7076194B2 (ja) * 2017-02-17 2022-05-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機構モジュール、ムーブメントおよび時計
JP2019148534A (ja) * 2018-02-28 2019-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計
USD957268S1 (en) * 2020-01-09 2022-07-12 Montres Breguet Sa (Montres Breguet Ag) (Montres B Watch cas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7961A (fr) * 1903-04-09 1904-03-15 Giovanni Sgherlino Pièce d'horlogerie
CH27838A (fr) * 1903-05-05 1904-02-29 Lopez Mantaras Gabriel Montre
US1846962A (en) * 1926-09-16 1932-02-23 Charles J Reitz Clock-controlled calendar
US3842590A (en) * 1973-06-28 1974-10-22 Citizen Watch Co Ltd Calendar timepiece
JPS5137264A (ko) * 1974-09-25 1976-03-29 Citizen Watch Co Ltd
CH651440GA3 (en) * 1982-10-01 1985-09-30 Fab D'ebauches De Sonceboz Sa Semi-instantaneous calendar indication mechanism for a watch, especially a wristwatch
JP2990842B2 (ja) * 1991-04-30 1999-1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計の日付表示構造及び日付曜日表示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9941B1 (fr) 1995-08-09
TW203652B (ko) 1993-04-11
CN1073778A (zh) 1993-06-30
JPH05297153A (ja) 1993-11-12
HK1007009A1 (en) 1999-03-26
DE69204043D1 (de) 1995-09-14
CH681761B5 (fr) 1993-11-30
CN1041245C (zh) 1998-12-16
EP0549941A1 (fr) 1993-07-07
US5235562A (en) 1993-08-10
JP3256908B2 (ja) 2002-02-18
KR930013894A (ko) 1993-07-22
CH681761GA3 (ko) 1993-05-28
DE69204043T2 (de) 199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8161B1 (ko) 자동후진형 표시수단을 갖는 시계
JP2525360B2 (ja) 時 計
US4945521A (en) Watch
US7029169B2 (en) Chronograph timepiece having zeroing structure
US5086416A (en) Display module for watch movement
US5043955A (en) Analogic display module for watch movement
JP2000065957A (ja) 時計ム―ブメントのための日付機構
US6847589B2 (en) Watch including a case of elongated shape
JP4626970B2 (ja) 複数の扇形運針輪列レイアウトが可能な多機能時計
JP5517004B2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1043635B1 (en) Chronograph timepiece and lever device for timepiece
JP4737637B2 (ja) 複数のムーブメントレイアウトを実現できる多機能時計
CN112987535B (zh) 按需的钟表学显示机构
US20040208087A1 (en) Chronograph timepiece containing chronogeaph train wheel disposed in chronograph unit
US2591819A (en) Calendar timepiece
JP4675540B2 (ja) 日付表示装置
JP4721188B2 (ja) 複数タイプの運針輪列を含む多機能時計
US20040208085A1 (en) Chronograph timepiece having calendar mechanism
EP0189893B1 (en) Gear train mechanism stop device of timepiece
JPS6133473B2 (ko)
US3601976A (en) Calendar watch
US20040190381A1 (en) Chronograph timepiece having hour/minute coupling lever
US2948107A (en) Date-watch
CN113646706B (zh) 用于制表的指示器装置
JPH04340493A (ja) 機械式及び/または電気機械式の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