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998B1 - 머신비젼시스템에서의기판위치정렬방법 - Google Patents

머신비젼시스템에서의기판위치정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998B1
KR100247998B1 KR1019970049753A KR19970049753A KR100247998B1 KR 100247998 B1 KR100247998 B1 KR 100247998B1 KR 1019970049753 A KR1019970049753 A KR 1019970049753A KR 19970049753 A KR19970049753 A KR 19970049753A KR 100247998 B1 KR100247998 B1 KR 100247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hole
reference mark
upper plate
coord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7316A (ko
Inventor
마연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998B1/ko
Publication of KR1999002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 G01B11/00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g. centring a tool relative to a hole in the workpiece, additional detection means to correct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위치 정렬 방법은, 머신 비젼 시스템에 의하여 상판 아래의 소정 위치에 하판을 정렬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형성 단계, 표시 단계, 촬상 단계 및 정렬 단계를 포함한다. 형성 단계에서는 상판의 소정 위치에 제1 및 제2 구멍이 형성된다. 표시 단계에서는 하판의 소정 위치에 각 구멍과 대응되는 제1 및 제2 기준 마크가 표시된다. 촬상 단계에서는 하판이 상판 아래로 단계적으로 이동되면서 상판이 촬상된다. 정렬 단계에서는, 상판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영상에서 그 밝기가 변하는 영역의 픽셀 좌표들로부터 각 구멍 및 각 기준 마크의 중심 좌표들이 구해지고, 각 기준 마크의 중심 좌표가 대응되는 각 구멍의 중심 좌표에 근접되도록 하판이 정렬된다.

Description

머신 비젼 시스템에서의 기판 위치 정렬 방법
본 발명은 머신 비젼 시스템에서의 기판 위치 정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머신 비젼 시스템은, 각종 자동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 대상을 촬상하여 그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와 같은 머신 비젼 시스템을 이용하는 공정들 중 하나는 상판과 하판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공정이다.
상판과 하판의 위치를 정렬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로서 다음의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첫번째, 상판 및 하판에 각각 한 쌍의 기준 마크들을 표시하여 정렬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두 번째, 상판 및 하판에 각각 두 쌍 이상의 기준 마크를 표시하여 정렬하는 방법이다. 이 두 번째의 방법은 미국 특허 제 4,755,053호에 잘 설명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두 번째의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판(10)의 소정 위치에 4 개의 구멍들(12a, 12b, 18a, 18b)을 뚫고, 2 개의 구멍들(12a, 12b)에 대응되도록 하판(14)에 기준 마크들을 표시한다. 다음에 상기 하판(14)의 기준 마크들이 구멍들(12a, 12b)을 통하여 나타나도록 하판(14)을 이동시킨다. 이때 다른 구멍들(18a, 18b)과의 상대 위치가 파악되므로 정렬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상기 첫번째의 방법은 한 쌍의 기준 마크들을 이용하므로 정렬의 정밀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두 번째의 방법은 두 쌍의 기준 마크들을 이용하므로 기준 마크들이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판 및 하판의 활용 면적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한 쌍의 기준 마크들을 이용하여도 정렬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머신 비젼 시스템에서의 기판 위치 정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판 위치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기판들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위치 정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기판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신 비젼 시스템에서의 위치 정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임의의 형상의 주사 위치에 대한 밝기의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함수를 주사 위치에 대하여 미분한 특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상판, 21...하판,
20a...구멍, 21a...기준 마크.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정렬 방법은, 머신 비젼 시스템에 의하여 상판 아래의 소정 위치에 하판을 정렬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형성 단계, 표시 단계, 촬상 단계 및 정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형성 단계에서는 상기 상판의 소정 위치에 제1 및 제2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표시 단계에서는 상기 하판의 소정 위치에 상기 각 구멍과 대응되는 제1 및 제2 기준 마크가 표시된다. 상기 촬상 단계에서는 상기 하판이 상기 상판 아래로 단계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상판이 촬상된다. 상기 정렬 단계에서는, 상기 상판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영상에서 그 밝기가 변하는 영역의 픽셀 좌표들로부터 상기 각 구멍 및 각 기준 마크의 중심 좌표들이 구해지고, 상기 각 기준 마크의 중심 좌표가 대응되는 상기 각 구멍의 중심 좌표에 근접되도록 상기 하판이 정렬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기준 마크의 중심 좌표가 대응되는 상기 각 구멍의 중심 좌표에 근접되도록 정렬되므로, 한 쌍의 기준 마크들만이 이용되어도 정렬의 정밀도가 높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중심의 x 좌표 Xc 및 y 좌표 Yc는, Xc =
Figure pat00001
, Yc =
Figure pat00002
의 식들에 의하여 계산된다. 여기서, i는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경계 픽셀들의 일련 번호, N은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경계 픽셀 수,
Figure pat00003
는 i번째 경계 픽셀의 x 좌표, 그리고
Figure pat00004
는 i번째 경계 픽셀의 y 좌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각 경계 픽셀의 위치는, 상기 상판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영상에서 그 밝기가 변하는 영역의 밝기 변화율의 무게 중심으로서 찾아진다. 예를 들어,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각 경계 픽셀의 x 좌표
Figure pat00005
및 y 좌표
Figure pat00006
은,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의 식들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j는 x축 경계 픽셀의 번호, m은 y축 경계 픽셀의 번호, k는 상수,
Figure pat00011
는 x축상에서 (k-1)번째 픽셀의 휘도와 k번째 픽셀의 휘도의 차이, 그리고
Figure pat00012
는 y축상에서 (k-1)번째 픽셀의 휘도와 k번째 픽셀의 휘도의 차이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판(20)은 그 중앙에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고, 하판(21)은 그 중앙에 기준 마크(21a)가 표시되어 있다. 이 기준 마크(21a)는 구멍(20a)보다 작은 크기이므로, 기준 마크(21a)의 중심 좌표가 구멍(20a)의 중심 좌표와 일치하거나 근접되게 함으로써, 정밀한 위치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위치 정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판(도 2의 21)이 고정된 상판(도 2의 20) 아래로 단계적으로 이동되면서 상판(20)이 촬상된다. 여기서, 상판(20)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영상에서 그 밝기가 변하는 영역의 픽셀 좌표들로부터 상판(20)의 구멍(도 2의 20a)에 대한 경계 픽셀들의 좌표를 구한다(단계 31). 또한, 이 경계 픽셀들의 좌표를 이용하여, 상판(20)의 구멍(20a)에 대한 중심 좌표를 구한다(단계 32). 다음에, 하판(21)을 이동시켜, 그 기준 마크(도 2의 21a)를 목표 지점 즉, 상기 구멍(20a)의 중심 좌표로 이동시킨다(단계 33). 여기서, 하판(21)의 기준 마크(21a)의 중심 좌표는 상기 단계 31 및 32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구해진다. 즉, 상판(20)의 구멍(20a) 안에 나타나는 하판(21)의 기준 마크(21a)의 영상에서 그 밝기가 변하는 영역의 픽셀 좌표들로부터 하판(21)의 기준 마크(21a)에 대한 경계 픽셀들의 좌표가 구해지고, 이 경계 픽셀들의 좌표를 이용하여 그 중심 좌표가 구해진다. 다음에, 기준 마크(21a)의 중심 좌표와 상판 구멍(20a)의 중심 좌표의 차이가 소정의 허용 범위보다 크면(단계 34), 목표 위치를 보정하여(단계 35) 상기 단계 33을 반복 수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임의의 형상을 순차적으로 주사하면 그 경계 영역(a_b 구간, c_d 구간)에서 밝기의 큰 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형상의 경계 지점을 정밀하게 찾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판(도 2의 20)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영상에서 그 밝기가 변하는 영역의 밝기 변화율 즉, 밝기 미분량의 무게 중심인 주사 위치가 경계 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상판(20)의 구멍(도 2의 20a)의 각 경계 픽셀의 x 좌표
Figure pat00013
및 y 좌표
Figure pat00014
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결정된다.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여기서, j는 x축 경계 픽셀의 번호, m은 y축 경계 픽셀의 번호, k는 상수,
Figure pat00019
는 x축상에서 (k-1)번째 픽셀의 휘도와 k번째 픽셀의 휘도의 차이, 그리고
Figure pat00020
는 y축상에서 (k-1)번째 픽셀의 휘도와 k번째 픽셀의 휘도의 차이를 나타낸다.
또한, 하판(도 2의 21)의 기준 마크(도 2의 21a)의 각 경계 픽셀의 x 좌표
Figure pat00021
및 y 좌표
Figure pat00022
도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결정된다.
대부분의 경우, 가장 높은 밝기 변화율(도 5의 P0,-P2)에 해당되는 지점이 그 무게 중심에 해당된다.
상판(20)의 구멍(20a)의 중심의 x 좌표 Xc 및 y 좌표 Yc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pat00023
, Yc =
Figure pat00024
여기서, i는 구멍(20a)의 경계 픽셀들의 일련 번호, N은 구멍(20a)의 경계 픽셀 수,
Figure pat00025
는 i번째 경계 픽셀의 x 좌표, 그리고
Figure pat00026
는 i번째 경계 픽셀의 y 좌표를 가리킨다.
또한, 하판(21)의 기준 마크(21a)의 중심의 x 좌표 Xc 및 y 좌표 Yc도 아래의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된다.
Figure pat00027
, Yc =
Figure pat00028
여기서, i는 기준 마크(21a)의 경계 픽셀들의 일련 번호, N은 기준 마크(21a)의 경계 픽셀 수,
Figure pat00029
는 i번째 경계 픽셀의 x 좌표, 그리고
Figure pat00030
는 i번째 경계 픽셀의 y 좌표를 나타낸다.
따라서, 위의 수학식들을 이용하여, 구멍(20a) 및 기준 마크(21a)의 중심 좌표들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기준 마크(21a)들만을 이용하여도 정렬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신 비젼 시스템에서의 기판 위치 정렬 방법에 의하면, 위치 정렬의 정밀도를 높이고 기판의 활용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4)

  1. 머신 비젼 시스템에 의하여 상판 아래의 소정 위치에 하판을 정렬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소정 위치에 제1 및 제2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판의 소정 위치에 상기 각 구멍과 대응되는 제1 및 제2 기준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하판을 상기 상판 아래로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상판을 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의 촬상에 의하여 얻어진 영상에서 그 밝기가 변하는 영역의 픽셀 좌표들로부터 상기 각 구멍 및 각 기준 마크의 중심 좌표들을 구하고, 상기 각 기준 마크의 중심 좌표가 대응되는 상기 각 구멍의 중심 좌표에 근접되도록 상기 하판을 정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정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중심의 x 좌표 Xc 및 y 좌표 Yc는,
    Xc =
    Figure pat00031
    , Yc =
    Figure pat00032
    의 식들에 의하여 계산되는 정렬 방법.
    여기서, i는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경계 픽셀들의 일련 번호, N은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경계 픽셀 수,
    Figure pat00033
    는 i번째 경계 픽셀의 x 좌표,
    Figure pat00034
    는 i번째 경계 픽셀의 y 좌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각 경계 픽셀의 위치는,
    상기 밝기가 변하는 영역의 밝기 변화율의 무게 중심으로서 찾아지는 정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또는 기준 마크의 각 경계 픽셀의 x 좌표
    Figure pat00035
    및 y 좌표
    Figure pat00036
    은,
    Figure pat00037
    =
    Figure pat00038
    ,
    Figure pat00039
    =
    Figure pat00040
    의 식들에 의하여 결정되는 정렬 방법.
    여기서, j는 x축 경계 픽셀의 번호, m은 y축 경계 픽셀의 번호, k는 상수,
    Figure pat00041
    는 x축상에서 (k-1)번째 픽셀의 휘도와 k번째 픽셀의 휘도의 차이,
    Figure pat00042
    는 y축상에서 (k-1)번째 픽셀의 휘도와 k번째 픽셀의 휘도의 차이.
KR1019970049753A 1997-09-29 1997-09-29 머신비젼시스템에서의기판위치정렬방법 KR100247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53A KR100247998B1 (ko) 1997-09-29 1997-09-29 머신비젼시스템에서의기판위치정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9753A KR100247998B1 (ko) 1997-09-29 1997-09-29 머신비젼시스템에서의기판위치정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16A KR19990027316A (ko) 1999-04-15
KR100247998B1 true KR100247998B1 (ko) 2000-04-01

Family

ID=1952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9753A KR100247998B1 (ko) 1997-09-29 1997-09-29 머신비젼시스템에서의기판위치정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975B1 (ko) * 2015-11-11 2017-07-19 주식회사 티원 배터리 위치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975B1 (ko) * 2015-11-11 2017-07-19 주식회사 티원 배터리 위치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16A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7080B1 (en) Inspection method of inclination of an IC-package
EP1921506A2 (en) Position Detecting Method and Device, Patterning Device, and Subject to be detected
US7884861B2 (en) Image resolution multiplier
US20040109599A1 (en) Method for locating the center of a fiducial mark
KR20070062905A (ko) 차분 비교 검사방법 및 차분 비교 검사장치
EP3531817B1 (en) Substrate inspection device and substrate inspection method using same
KR100247998B1 (ko) 머신비젼시스템에서의기판위치정렬방법
US6633663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component dimensional information
JP2001124700A (ja) ラインセンサーカメラを備えた検査機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2872518B2 (ja) 画像認識位置合わせ装置
JPS61243303A (ja) 実装基板の外観検査方式
KR102593263B1 (ko) 검사 방법 및 검사 장치
JPS6311804A (ja) 位置決め用マ−ク位置検出方式
JP2000258121A (ja) 複数カメラ校正用のマスター基板及び画像認識カメラの校正方法
JPH10260016A (ja) 画像認識装置
JPH04361104A (ja) 基板マーク位置検出方式
JP3511456B2 (ja) パターン検査方法
KR100269221B1 (ko) 집적회로칩의 정렬방법
JPH0553320B2 (ko)
JPS62287108A (ja) 電子部品位置測定方法
JPH01265102A (ja) 電子部品の電極部の重心検出方法
JP4829701B2 (ja) 部品実装機のカメラスケーリング取得方法
JPH1083453A (ja) チップマウンターにおける角形部品のコーナー認識方法
JPH07286819A (ja) 部品の位置認識方法および位置認識装置
JPH04109641A (ja) 位置合せ方法および位置合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