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931B1 - 신규의 덴시플로릭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세포접착저해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의 덴시플로릭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세포접착저해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931B1
KR100246931B1 KR1019970070613A KR19970070613A KR100246931B1 KR 100246931 B1 KR100246931 B1 KR 100246931B1 KR 1019970070613 A KR1019970070613 A KR 1019970070613A KR 19970070613 A KR19970070613 A KR 19970070613A KR 100246931 B1 KR100246931 B1 KR 10024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ell adhesion
iii
denciflor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318A (ko
Inventor
고영희
전효곤
정명철
이호재
정영철
정동호
Original Assignee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호군
Priority to KR1019970070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9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2/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62/02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62/06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poly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1/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61/16Unsaturated compounds
    • C07C61/35Unsaturated compounds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잎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세포접착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세가지 신규의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접착저해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솔잎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덴시플로릭산 Ⅰ, 덴시플로릭산 Ⅱ 및 덴시프로릭산 Ⅲ는 세포접착저해 작용이 우수하므로 암전이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의 덴시플로릭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세포접착 저해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본 발명은 솔잎으로부터 분리한 강력한 세포 접착저해활성을 나타내며 신규의 구조를 가지는 디테르페노드화합물인 덴시플로릭산(densifloric acid)에 관한 것이다.
세포접착현상은 세포정보전달, 암, 면역, 신경, 발생, 세포증식, 세포분화, 세포인식 등의 여러 가지 생명현상에 관여하고 있고 염증, 암전이등과 같은 질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암환자의 주된 사망요인은 초기종양에 의한 것이 아니라 암세포의 다른 조직으로의 전이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암세포의 전이 기작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접착, 침윤, 혈관형성등의 삼단계설이 확립되어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를 차단하는 것에 의하여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암세포의 모세혈관 벽의 세포외기질과의 접착은 세포외기질 구성성분인 파이브로넥틴, 라미닌, 바이트로넥틴등에 존재하는 접착에 관여하는 펩타이드와 암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되는 인테그린과 같은 접착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기능을 조절제어하여 암전이를 억제하려는 시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 졌다. 즉 세포외 매트릭스인 파이브로넥틴, 라미닌, 콜라겐등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암세포의 세포외매트릭스상의 이동이나 접착을 저해하여 암전이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Humpheries등 1986, Science, 233, 467 ; Iwamoto등, 1987, Science, 138, 1132). 그러나 이와같은 물질들은 혈관내에서 단백질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하여 분해되는 결점이 있어 새로운 구조의 화합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세포의 접착을 억제하는 활성이 솔잎의 메타놀추출물에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고 이들 활성성분을 추적한 결과, 하기 구조를 가지는 세가지 신규 화합물인 덴시플로릭산 Ⅰ, Ⅱ 및 Ⅲ을 분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Figure kpo00000
본 발명의 목적은 덴시플로릭산 Ⅰ, Ⅱ 및 Ⅲ을 단독 또는 이들 화합물을 포함하는 솔잎 및 솔잎분획의 약학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용액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를 선택하였다. 소나무는 적송, 흑송이라 불리우며 상록교목으로 높이 30m, 지름 1.5m 안팎이며 가지가 퍼지고 윗부분의 수피가 적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동아는 적갈색이고 침엽은 2개씩 달리며 비틀리고 길이 6-12cm, 너비 0.5mm를 나타내는 식물로 그 잎에는 혈관 강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 솔잎으로부터 세포접착저해활성을 갖는 덴시플로릭산 Ⅰ, Ⅱ 및 Ⅲ을 용매추출공정이나 실리카, 흡착수지, 역상실리카 등에 의해 정제한다.
또, 본 발명의 덴시플로릭산 Ⅰ, Ⅱ 및 Ⅲ을 약제학적으로 혹은 식품제조에서 허용 가능한 담체와 부형제를 이용하고 공지의 방법으로 제제화하여 단위용량 형태 또는 다용량 용기에 내입 시킨다. 제제형태는 오일 또는 수성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형태이거나, 엑기스제, 분말제,과립제, 정제, 캅셀제 어떤 형태로든 관계없다. 또, 공지의 분산제, 현탁제 또는 안정화제를 함유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덴시플로릭산Ⅰ, Ⅱ 및 Ⅲ을 솔잎으로부터 분리 또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접착저해 생물활성등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1은 중수소클로로포름(CDCl3)용액에서 덴시프로릭산(Ⅰ)의 프로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중수소메타놀(CD3OD)용액에서 덴시프로릭산(Ⅱ)의 프로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중수소메타놀(CD3OD)용액에서 덴시프로릭산(Ⅲ)의 프로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중수소클로로포름(CDCl3)용액에서 덴시프로릭산(Ⅰ)의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중수소메타놀(CD3OD)용액에서 덴시프로릭산(Ⅱ)의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중수소메타놀(CD3OD)용액에서 덴시프로릭산(Ⅲ)의 탄소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솔잎으로부터 덴시플로릭산 Ⅰ, Ⅱ 및 Ⅲ의 분리 및 정제
소나무로부터 채취한 신선한 솔잎을 0.5- 1센티미터로 절단한 후 알코올용액에 침지하여 얻은 추출액을 감압건조하여 동량의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잘 교반한후 방치한후 형성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농축하고 50% 아세토니이트릴에 녹여 50% 아세토나이트릴로 충진된 역상의 카이셀겔(kieselgel)인 유로프렙(europrep) 60-60 C18 칼럼에 흡착시켜 50%아세토나이트릴, 80%아세토나이트릴, 100%아세토나이트릴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탈착시킨후 그 활성을 측정하여 활성을 갖는 분획을 YMC-ODS-A의 HPLC칼럼에 75%아세토나이트릴로 용출하여 활성있는 분획으로 다섯 피이크를 얻었다. 이중에서 가장 먼저 나온 피이크를 덴시플로릭산 Ⅲ, 두 번째 피이크를 덴시플로릭산 Ⅱ, 네 번째 피이크를 덴시프로릭산 Ⅰ이라 명명하였다. 세 번째 피이크와 다섯 번째 피이크는 각각 기존물질인 데하이드로아베이틱산(dehydroabeitic acid)와 산다라코피마린산(Sandaracopimaric acid)으로 밝혀졌다. 상기 세가지 물질은 하기 실시예2의 화학물질의 구조해석을 통하여 신규의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덴시플로릭산Ⅰ, Ⅱ 및 Ⅲ의 구조해석
신규 화합물 덴시플로릭산Ⅰ, Ⅱ 및 Ⅲ은 흰색분말로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르포름에 잘 녹았으나 물에는 녹지 않았다. 질량분석결과, 분자량은 각각 302, 318, 318로 나타났고 구조식은 프로톤갯수, 카본갯수 등을 바탕으로 하여 각각C20H30O2, C20H30O3, C20H30O3으로 나타났다. 메탄올에서 자외선 최대 흡수파장은 각각 231과 208, 216, 213이었다. 탄소와 양성자핵자기공명 스펙트럼 분석결과는 하기 표1에 나타내었고 기타, 양성자-양성자 코지(1H-1H COSY), HMBC, DEPT, 양성자-탄소 코지(1H-13C COSY), ROESY 등의 기기분석기술에 의하여 상기의 덴시플로릭산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덴시프로릭산Ⅰ, Ⅱ 및 Ⅲ의 양성자 및 카본 케미칼 시프트(ppm)
중수소화클로로포름(CDCl3)중의 덴시플로릭산 중수소화메탄놀(CD3OD)중의 덴시플로릭산 Ⅱ 중수소화메탄놀(CD3OD)중의 덴시플로릭산 Ⅲ
양성자(1H) 카본(13C) 양성자(1H) 카본(13C) 양성자(1H) 카본(13C)
메칠(CH3) 1.760.771.16 11.814.616.3 0.681.11 15.017.0 15.317.1
메틸렌(CH2) 1.622.19, 2.341.38, 1.481.67, 1.772.12, 2.331.79, 1.864,48, 4.844.89, 5.05 18.422.926.637.037.538.1108.1109.9 1.611.36, 1.511.55, 1.741.55, 1.812.09, 2.401.21, 1.714.51, 4.865.09, 5.435.16, 5.20 19.427.929.237.6138.2138.48107.6115.0115.4 1.571.421.801.53, 1.641.83, 2.351.07, 1.714.73, 4.795.03, 5.205.09, 5.45 19.427.831.738.338.939.3107.6115.3115.3
메틴 1.991.845.426.34 49.357.0133.6141.5 2.052.174.496.37 51.054.485.3137.2 1.871.604.376.37 51.153.872.5137.1
사급탄소 38.747.5133.5147.7185.3 39.749.0148.6149.8182.5 39.648.5149.7150.8182.7
실시예3: 덴시플로릭산 Ⅰ, Ⅱ 및 Ⅲ의 생물활성
암세포접착저해활성은 라미닌으로 코팅시킨 96웰의 마이크로플래이트를 1%소혈장알부민으로 세척하고 0.1%의 소혈장알부민을 함유하는 엠이엠(MEM)배지 50마이크로리터를 첨가한후 시료와 105개의 생쥐흑색종세포 B16-F1세포현탁액을 첨가하고 5% CO2존재하에서 37oC에서 한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킴텍스 타월에 뒤집어 엎어 부착하지 않은 세포를 버리고 100마이크로리터의 따뜻한 인산완충식염수 와 0.5%소혈장알부민으로 세척하고 나서 다시 100마이크로리터의 인산완충생리식염수로 다시 세척하고 부착세포는 2.5% 글루타르알데하이드 40마이크로리터로 30분동안 고정화시키고 수도수로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건조된 부착세포를 20%메타놀용액에 0.4%되게 크리스탈비이올렛용액 100미이크로리터로 20분 동안 염색하고 다시 수도수로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건조된 세포를 30%에탄올로 만든 1mM염산용액을 첨가하여 마이크로플래이트리더(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세포접착저해율은 하기 식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세포접착의 저해율이 50%에 달하는 저해제의 농도로 결정하였다.
저해율(%) = (B-A)/B X 100
여기에서 , A는 저해물질을 넣은 시료의 흡광도이고 B는 저해물질을 넣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분리된 덴시플로릭산Ⅰ, Ⅱ 및 Ⅲ의 세포접착을 50% 저해하는 농도를 측정한 결과, 각각 4.2㎍/mL, 11.7㎍/mL, 및 14.7㎍/mL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실시예에서 상세히설명한 바와같이, 솔잎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세가지의 신규 화합물 덴시플로릭산 Ⅰ, Ⅱ 및 Ⅲ은 암세포가 세포외매트릭스의 일종인 라미닌에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암전이의 예방 및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타 세포접착에 의해 야기되는 염증반응의 치료 및 예방제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생물의약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하기 구조의 일반식을 가지는 덴시플로릭산 Ⅰ, 덴시프로릭산 Ⅱ 와 덴시플로릭산 Ⅲ
    Figure kpo00001
  2. 솔잎을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 및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솔잎으로부터 덴시플로릭산의 제조방법
  3. 덴시플로릭산의 유효량 및 약학적으로 또는 식품제조시 허용가능한 담체와 부형제를 포함하는 세포접착 저해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암전이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970070613A 1997-12-19 1997-12-19 신규의 덴시플로릭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세포접착저해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024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613A KR100246931B1 (ko) 1997-12-19 1997-12-19 신규의 덴시플로릭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세포접착저해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613A KR100246931B1 (ko) 1997-12-19 1997-12-19 신규의 덴시플로릭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세포접착저해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318A KR19990051318A (ko) 1999-07-05
KR100246931B1 true KR100246931B1 (ko) 2000-03-15

Family

ID=1952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613A KR100246931B1 (ko) 1997-12-19 1997-12-19 신규의 덴시플로릭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세포접착저해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9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31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lagoïty‐Auguste et al. Wine phenolics—analysis of low molecular weight componen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opoff et al. Formation of aromatic compounds from carbohydrates: part 1. Reaction of D-glucuronic Acid, D-glacturonic Acid, D-xylose, and L-arabinose in slightly acidic, aqueous solution
Es-Safi et al. New phenolic compounds formed by evolution of (+)-catechin and glyoxylic acid in hydroalcoholic solution and their implication in color changes of grape-derived foods
Dallas et al. Degradation of oligomeric procyanidins and anthocyanins in a Tinta Roriz red wine during maturation
Mata et al. Phytotoxic compounds from Flourensia cernua
EP0402925B1 (en) A method of isolating ginkgolides from the leaves of the ginkgo tree and purifying them
JP2009084216A (ja) Atp産生促進剤および表皮細胞賦活化剤。
CN110496179B (zh) 一种提取槟榔果实中抗氧化物质的方法及应用
CN116606273B (zh) 具有美白作用的黄花夹竹桃黄酮的制备方法
KR100246931B1 (ko) 신규의 덴시플로릭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세포접착저해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Radi et al.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some phenolic compounds in apricot fruit (Prunus armeniaca L.)
CN108272890B (zh) 一种从木材加工副产物杨树皮脱脂后再提取酚酸类成分的制备方法
KR100252195B1 (ko) 신규의사우루릭산및그제조방법과이를포함하는세포접착저해활성을가지는조성물
AU2006319748B2 (en)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US5276177A (e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
Li et al. Structure and accumulation of phenolics in elicited Echinacea purpurea cell cultures
KR100382982B1 (ko) 알로에바아바덴시스로부터의강력한산화방지제식별법
KR100363111B1 (ko) 감태로부터 분리된 신규 물질, 이의 추출 및 정제방법, 및항산화제로 사용하는 용도
KR100341797B1 (ko) 홍화씨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항산화물질인 n-페룰로일세로토닌의 분리 정제방법
US6589573B2 (en) Xanthine oxidase inhibi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0145944B1 (ko) 버들송이로부터 생산되는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736251B (zh) 金丝皇菊的提取单体皇菊素b及其提取方法和应用
CN113087752B (zh) 一种具有抗氧化活性的黄酮糖苷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4368336A (ja) 杜仲葉エキス由来のアンジオテンシン転換酵素活性阻害剤
KR0159642B1 (ko) 토릴린을 함유하는 항암제 활성 증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