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867B1 -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867B1
KR100246867B1 KR1019960065312A KR19960065312A KR100246867B1 KR 100246867 B1 KR100246867 B1 KR 100246867B1 KR 1019960065312 A KR1019960065312 A KR 1019960065312A KR 19960065312 A KR19960065312 A KR 19960065312A KR 100246867 B1 KR100246867 B1 KR 10024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computer
docking
docking device
lock
notebook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6794A (ko
Inventor
가즈히코 마에다
마사키 고바야시
다케토시 요케무라
다카시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97006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6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009For portabl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사용모드에 대응한 휴대형 컴퓨터 및 그 주변장치의 보호를 할 수 있는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휴대형 컴퓨터와 기계적으로 합체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에 있어서, 제 1 키 포지션, 제 2 키 포지션 및 제 3 키 포지션을 갖는 제 1 보호수단과, 상기 제 2 및 제 3의 2개의 키 포지션을 갖는 제 2보호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보호수단은, 임의로 선택되며, 상기 제 1보호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 포지션만으로서, 상기 휴대형 컴퓨터 및 주변장치를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상기 제 2보호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키 포지션으로 주변장치를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이다.

Description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본 발명은, 이른바 휴대형 컴퓨터와 기계적으로 합체됨과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해당휴대형 컴퓨터의 여러가지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휴대형 컴퓨터용도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로서 시큐리티를 완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기술
근래의 기술혁신에 따라서, 데스크탑형, 노트북형등 각종 퍼스널 컴퓨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 중, 노트북 컴퓨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배터리로 구동가능한 타입의 퍼스널 컴퓨터 이다.
노트북 컴퓨터는, 소형 경량을 중시하기 때문에, 주변기기를 위한 수용 공간에 여유가 없다. 디바이스의 확장성을, PC 카드만으로 의지 의지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표면적도 좁기때문에 버스 슬롯수가 현저하게 제약되어 있다. 데스크탑 컴퓨터 에서는, 10개 이상의 버스 슬롯을 갖는 제품도 귀한것이 아닌것에 대하여, 랩탑 노트북형의 컴퓨터에서는, 패스 슬롯이 전혀 장비되어 있지 않든지, 있더라도 단지 1, 2개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는, 운반 가능성을 최대의 특징으로 하지만, 사무실 사용과 휴대 사용때의 사이에서 그 때마다 케이블류(예를들면, 프린터케이블, 모니터 케이블, 통신케이블등)를 장착 및 분리하는 데에는 상당하게 번잡하며, 사용성을 손실하게 된다.
즉, "도킹 스테이션" (Docking Station : 확장박스 또는 확장유닛 이라고도 한다)는, 노트북 컴퓨터의 운반성을 손상하는 일없이, 또한, 사무실에서 사용시에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작업환경을 노트북 컴퓨터에 부여하기위한 것이다. 도킹 스테이션의 주된 기능은, 「포트대행(Port Replication)기능」과,「버스확장(Bus Expansion)기능」이다. 이 중에서, 포트 대행기능은, 도킹 스테이션이 노트북 컴퓨터의 접속포트류를 연장하여 구비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도킹 스테이션측의 각 포트에 미리 케이블을 접속해두면, 사용자는 노트북컴퓨터를 도킹 스테이션에 합체시키기는 것만으로, 바로 프린트라든지 외부 부착모니터, 네트워크의 이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 이다. 케이블류의 접속을 일괄해서 관리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케이블 메니지멘트 기능」이라고 부르는 것도 있다. 한편, 버스 확장기능은, 도킹 스테이션이 노트북 컴퓨터의 버스를 확장함과 동시에, 1개 이상의 버스 슬롯을 구비하는 것에의해 실현된다. 노트북 컴퓨터를 도킹 스테이션에 합체시키면, 이것에의해서, 원하는 아답터 카드나 디바이스류를 도킹 스테이션을 통해 이용가능하게 된다. 사용자는, 노트북 컴퓨터의 까다로운 공간상의 제약을 받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도킹 스테이션자체에 관해서는, 예를들면 본출원인에게 이미 양도되어 있는 일본 특허출원 평5-181593호(출원인의 사내 정리번호: JA9-93-027)의 명세서나, 일본 특허출원 평6-134124호(출원인의 사내 정리번호:JA9-94-030)의 명세서등에 명시되어 있다.
도 21에는, 노트북 컴퓨터(100)및 도킹 스테이션(200)의 대표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노트북 컴퓨터(100)는, 그 배면부에 도킹용의 커넥터(이하, 도킹 커넥터라고 칭함)을 구비하고 있다 (도시생략). 이 도킹 커넥터는, 통상, 수십에서 수백의 커넥터 핀으로 구성되며, 각 커넥터 핀에는 노트북 컴퓨터(100)내의 포트 신호나 버스 신호에 할당되고 있다. 노트북 컴퓨터(100)측이 도킹 커넥터에 할당하는 버스(즉 확장하고자 하는 버스)는, 일반적으로는, 입출력 버스인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 버스이다. 이것은, ISA가 오랫동안 당업계의 표준 규격이기 때문에, ISA디바이스, ISA 어플리케이션등, 계승가능한 과거의 자산이 풍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최근에는, ISA 버스가 아닌, CPU의 로칼 버스로서 위치 되어지는 PCl(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버스를 도킹 커넥터에 할당되는(즉, PCl 버스를 확장한다)타입의 노트북 컴퓨터도 출현하여 왔다. 이것은, 그래픽이나, PC카드등, 고속인 데이타 전송동작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가 증가한 1개의 PCl 버스상에 접속 가능한 디바이스의 개수가 한정되기 때문에 확장할 필요가 있는 것과, 브리지 회로경유로 전기적으로 안정하여 버스를 연장할 수 있는 것 등의 이유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PC 카드는 노트북 컴퓨터(100)의 측면에 있는 PC카드 슬롯 또는 도킹 스테이션(200)의 측면에 있는 PC카드 슬롯에 삽입되게 되며, 그 삽입 토출은 자유롭게 된다.
한편, 도킹 스테이션(200)은, 전기회로 계통을 내장하는 본체와, 본체의 윗면에 노트북 컴퓨터(100)를 올려놓기 위한 재치부와, 이 재치부의 후단에서 윗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의 전면에는 노트북 컴퓨터(100)의 배면의 도킹 커넥터와 접합하기 위한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다. 이 커넥터의 표면은 미사용시의 보호를 위해 개폐자유로운 뚜껑으로 덮혀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재치부의 양측 테두리에는 노트북 컴퓨터의 장착을 유도하기위한 한쌍의 선조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그렇지만, 도킹 스테이션은 포트대행 기능만을 구비한 비교적 소규모인 것으로 고정식 또는 착탈식의 기억장치(HDD나 FDD, CD-ROM드라이브 등)을 탑재하기 위해 수용공간('미디어베이'라고 칭함)을 복수개 구비하거나, 아답터 카드를 복수매 탑재할 수 있는 비교적 대규모인 것까지 여러가지의 제품형태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여러가지의 제품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주로 개인의 노트북 컴퓨터의 주변장치를 확장하는 목적으로,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복수의 사람이 공유하여 각 노트북 컴퓨터의 주변장치를 확장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개인사용(single user mode)의 경우,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의 경우에 도킹 도킹 스테이션에 고정되어 도난 등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키를 갖고 노트북 컴퓨터를 도킹 스테이션에 고정하며, 또한, PC카드의 꺼냄을 금지하며, 이러한 상태로 키를 뽑아 그 키를 보관하는 것에 의해 노트북 컴퓨터 및 PC카드의 보호가 이루어진다.
또한, 여러사람이 공용사용(multi user mode)하는 경우에는 키의 삽입 이탈에 의해 보호하면, 각 개인마다의 키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관리가 번잡하게 되어 불편하게 된다. 또한, 도킹 스테이션이 공유의 경우에는, 통상 도킹 스테이션에서의 자기의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을 마쳤다면, 도킹 스테이션에서 자기의 노트북 컴퓨터를 분리하게 되며, 키를 갖고 노트북 컴퓨터를 도킹 스테이션에 고정하여 보호할 필요가 없다. 한편, 도킹 스테이션의 PC카드는 공유되기 때문에 통상은 꺼내지 않으며, 이러한 PC카드를 항상 도난등에서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있는 도킹 스테이션에 있어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보호가 완전하게 이루어진 것이 없었다. 특히, 1대의 도킹 스테이션으로 싱글 사용자 모드 및 멀티 사용자 모드의 양쪽에 요구되는 보호요건을 만족하는 것은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형 컴퓨터가 기계적으로 합체됨과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사용되며, 상기 휴대형 컴퓨터 및 그 주변장치의 보호가 가능한 우수한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사용 모드에 대응한 휴대형 컴퓨터 및 그 주변장치의 보호가 가능한 우수한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참작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형 컴퓨터와 기계적으로 합체됨과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휴대형 컴퓨터용의 도킹장치에 있어서, 제 1키 포지션, 제 2키 포지션 및 제 3키 포지션을 갖는 제 1보호수단과, 상기 제 2 및 제 3의 2개의 키 포지션을 갖는 제 2보호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보호수단은, 임의로 선택되며, 상기 제 1보호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1 키 포지션만으로 상기 휴대형 컴퓨터 및 주변장치를 상기 도킹장치로 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상기 제 2의 보호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의 키 포지션으로 주변장치를 상기 도킹장치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보호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 1키 포지션만으로 키의 분리가 가능한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및 제 3 키 포지션에서는 키의 분리가 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시큐리티 키(213)의 각 키 포지션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시큐리티 키(213)를 이젝트 포지션에 놓은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싱글 사용자 모드에서 시큐리티 키(213)를 이젝트 포지션에 놓은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멀티 사용자 모드에서 시큐리티 키(213)를 이젝트 포지션에 놓은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싱글 사용자 모드에서 시큐리티 키(213)를 언록크 포지션에 놓은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는 멀티 사용자 모드에서 시큐리티 키(213)를 언록크 포지션에 놓은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싱글 사용자 모드에서 시큐리티 키(213)를 록크 포지션에 놓은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훅(215)이 노트북 컴퓨터(100)을 걸은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싱글 사용자 모드에서 시큐리티(213)를 언록크 포지션에서 록크 포지션에 놓은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언록크 포지션에서의 이젝트기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언록크 포지션에서의 이젝트기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이젝트 포지션에서의 이젝트기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이젝트 포지션에서의 이젝트기구를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언록크 포지션에서의 도킹장치 상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록크 포지션에서의 도킹장치 상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17은 언록크 포지션에서의 도킹장치 상부의 제 1셔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18은 도킹장치 하부의 제 2셔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19는 싱글 사용자 모드에서 멀티 사용자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나타낸 설명도.
도 20은 멀티 사용자 모드에서 시큐리티 키(213)를 언로크 포지션에 놓은 때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1은 종래의 도킹 스테이션의 대표적인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트북 컴퓨터 118 : PC카드 슬롯
200 : 도킹장치 210 : 재치부
211 : 측벽 212 : 링크 커버
213 : 시큐리티 키 214 : 선조돌기
215 : 훅 216 : 제 1셔터
220 : 돌출부 221 : 1커넥터
223 : 인디케이트 250 : 이젝트
255 : 이젝트 입구 331 : PC카드 슬롯
333 : 제 2셔터 410 : 캠
420 : 슬라이드 플레이트 430 : 회전 플레이트
440 : コ형 슬라이드 플레이트 450 : 연결 플레이트
460 : 홈부착 슬라이드 플레이트 480, 620 : 스프링
510, 520 : 연결재 530 : 연결봉
600 : 하부 슬라이드 630 : 개구부
640 : 슬라이드 틀 650 : L형 프래그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A. 외관구성
먼저, 본 발명을 구현한 장치의 외관구성에 관하여 설명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킹 스테이션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킹 장치(200)는 물리적으로 합체 및 분리할 수 있는 도킹장치 상부(200a)와, 도킹장치 하부(200b)라는 독립된 2개의 기기로 구성된다. 도킹장치 상부(200a)는 본 발명에 따른 시큐리티 키(213), 제 1셔터(216)및 훅(215)을 갖는다. 또한, 도킹장치 하부(200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셔터(333)를 갖는다.
A-1. 노트북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100)는 얕은 바닥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거의 후부 플랜지 부분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뚜껑체(120)으로 구성되는 퍼스널 컴퓨터이다. 노트북 컴퓨터(100)는 예를들면, A4사이즈 정도의 훗 프린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는 본체(110)의 윗면에는 키보드 유닛(115)이 마련되며, 뚜껑체(120)의 내면에는 액정표시 디스플레이(LCD)(125)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100)는 특히, 그 배면부에는 도킹 커넥터(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그 저면부에는 1쌍의 선조 돌기(후술)를 삽통시키기 위한 1쌍의 선조 홈(도시생략)과, 도킹장치(200)측의 훅(215)(후술)에 결합되기 위한 개구(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100)본체의 좌측면에는 PC카드를 착탈. 교환하기 위한 카드교환구(118)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같은 노트북 컴퓨터(100)의 한예는 일본 아이비엠(주)가 시판하는'IBM thinkpad 760(Thinkpad는 미국 IBM사의 상표)이다. 단, 노트북 컴퓨터의 구성자체는 본 발명의 요지는 아니다.
A-2. 제 1도킹장치
도킹장치(200)는 '휴대형 컴퓨터'로서의 노트북 컴퓨터(100)를 올려놓기 위한 재치부(210)와 재치부(210)의 후방에 볼록하게 마련된 돌출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재치부(210)는 노트북 컴퓨터(100)의 훗 프린터에 상당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다. 박형으로 강성이 있는 구조체이다. 재치부(210)의 좌단에는 측벽(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단에는 시큐리티 링크 커버(security link cover 212)가 마련되어 있다. 시큐리티 링크 커버(212)는 시큐리티 키(213)의 회전조작을 각부에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구(후술)을 덮어씌우기 위한 부재이다. 이 전달기구는 장치는 도킹장치(200)를 소정의 시큐리티 모드(후술)에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면, 재치부(210)의 거의 전방에 마련된 훅(215)이나, 링크커버(212)윗면에 세워 마련된 제 1셔터(216), 도킹장치(200)의 우측면에 달려 마련된 제 2셔터(333)등은 회전조작의 전달을 받도록 되어 있다 (후술).
측벽(211)과 링크커버(212)의 내벽과의 간격은 안쪽으로 향함에 따라서, 노트북 컴퓨터(10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재치부(210)의 윗면은 좌우양측에는 안쪽방향으로 따라서, 소정간격을 둔 1쌍의 선조돌기(214a, 214b)가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노트북 컴퓨터(100)를 도킹장치(200)에 탑재 할때에는(도 1의 1점쇄선),노트북 컴퓨터(100)는 측벽(211)과 링크커버(212)의 내벽에 의해 이동방향이 규제됨과 함께, 1쌍의 선조돌기(214a, 214b)에 의해 유도되어 원활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후방의 돌출부(220)는 그 전면우측에 노트북 컴퓨터(100)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221)를 매설하고 있다. 커넥터(221)는 그 전기적 및 기계적사양은 노트북 컴퓨터(100)측의 도킹 커넥터와 합치되어 있다. 커넥터(221)는 예를들면, 240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는 각종포트 신호나, 버스 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돌출부(220)의 내부에는 전기회로가 실장되어 있다(도시생략). 이 전기회로는 주로 커넥터(221)에 포함되는 각 신호핀을 포트 신호와 버스 신호등으로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각 신호핀을 분리하여 취급하는 데에는 도킹장치(200)자체가 포트기능을 대행하는 부분과, 버스확장 기능을 대행하는 부분을 겸하여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B. 시큐리티 키의 회전장치(키 포지션)
도킹장치(200)의 좌측면 후방에 마련된 시큐리티 키(213)은 도 2에 나타내듯이 우측부터 차례로 '이젝트 포지션', '언록크 포지션', '록크 포지션'이라는 3개의 키 포지션을 갖고 있다. 각 키 포지션은 장치의 조작상황에 대응하고 있다. 즉, 이젝트 포지션은 탑재된 노트북 컴퓨터(100)을 분리하기 위한 키 포지션이며, 언록크 포지션은 노트북 컴퓨터(100)를 탑재가능 하지만 록크되지 않기위한 키 포지션이며, 또한, 록크 포지션은 탑재된 노트북 컴퓨터(100)및 PC카드 등의 분리를 금지하기 위한 키 포지션이다. 시큐리티 키(213)의 회전조작은 링크 커버(212)내의 전달기구를 통해 각부에 전달되며(후술), 도킹장치(200)의 각부는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되어 잇다. 또한, 돌출부(220)의 윗면 우측단에는 키 포지션을 표시하기 위한 인디게이터(223)가 마련되어 있다.
B-1. 이젝트 포지션
도 3에는 시큐리티 키(213)를 이젝트 포지션에 올려놓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시큐리티 키(213)를 언록크 포지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킴에 따라서, 연동되어 돌출부(220)의 전면의 좌우에서는 1쌍의 이젝터(250a, 250b)가 돌출된다. 이젝터(250a, 250b)는 탑재된 노트북 컴퓨터(100)(도 3에서는 도시생략)에 맞닿아 그대로 그것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구조로 되어있는 것 이다.
또한, 시큐리티 키(213)에는 이젝트 포지션에서 언록크 포지션에 복귀하기 위해 복원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다. 이것은 이젝트 조작자체는 일시적인 상태에 불과하며, 통상은 노트북 컴퓨터(100)를 탑재 가능한 언록크 상태로 놓여진다는 이유에 의거하는 것이다. 또한, 이젝트 포지션 및 언록크 포지션에서는 시큐리티 키(213)는 키 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은 록크 상태 이외에서는 키조작이 필요하게 되며, 키를 뺄 필요성이 없는 것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키가 끼여져 있는 것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가 도킹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멀티 사용자 환경)
이러한 포지션에 있어서, 싱글 사용자 모드의 경우는, PC카드 슬롯(331)에 PC카드류를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반면, 그 분리에 대하여서도 어떤 방호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된다(도 4A(333)의 위치).
그러나, 멀티 사용자 모드의 경우는, PC카드 슬롯(331)에는 PC카드류를 자유롭게 장착할 수 없으며, 그 분리에 대해 방호가 이루어져 있는(도 5 (650))상태로 된다.
B-2. 언록크 포지션
시큐리티 키(213)를 거의 직립시킨 상태가 언록크 포지션이다. 언록크 상태는, 이젝트 포지션과 록크 포지션의 사이의 중립적인 상태이다.
이러한 포지션에 있어서, 싱글 사용자 모드의 경우는, 노트북 컴퓨터(100)나 PC카드 슬롯(118, 331)에 PC카드류를 자유로이 장착할 수 있는 반면, 그 분리에 대하여서도 어떤 방호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도 6A (216)및 도 6A의 (333)위치).
그러나, 멀티 사용자 모드의 경우는, 노트북 컴퓨터(100)나, PC카드 슬롯(118)에 PC카드류를 자유로이 장착할 수 있으며, 그 분리에 대하여서도 어떠한 방호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도 7A (216)의 위치)상태이지만, PC카드 슬롯(331)에는 PC카드류를 장유로이 장착할 수 없으며, 그 장착에 대하여 방호가 이루어져 있는(도 7의 650)상태로 된다.
B-3. 록크 포지션(싱글 사용자 모드만)
싱글 사용자 모드에 있어서, 시큐리티 키(213)를 언록크 포지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킹장치(200)는 록크 포지션으로 들어간다.
록크 포지션으로의 이동에 따른 하나의 작용은, 훅(215)에 의한 노트북 컴퓨터(100)의 분리금지 이다. 록크(215)는 언록크 상태에서는 재치부(210)에서 출몰자유 롭다(도 8참조). 그러나, 록크 포지션으로 연동하여 출현상태로 고정되며, 재치부(210)으로의 끌어넣음이 금지 된다. 이결과, 도 9에 나타내듯이 훅(215)은 노트북 컴퓨터(100)저면의 대응부분에 뚫려 마련된 개구에 결합된 그대로 되며, 노트북 컴퓨터(100)의 분리가 금지 된다.
또한, 록크 포지션으로의 이동에 따른 다른 작용은, 노트북 컴퓨터(100)의 PC카드 슬롯(118)에서의 PC카드의 빠짐을 금지하고 있다. 상술하였듯이 노트북 컴퓨터(100)는 그 좌측면의 거의 후방에 카드교환구(118)를 구비하고 있다. 반면, 도킹장치(200)는 그 링크 커버(212)의 윗면에는 제 1셔터(216)가 세워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 1셔터(216)는 시큐리티 키(213)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되어 있다. 언록크 포지션에서는 제 1셔터(216)는 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A), 노트북 컴퓨터(100)의 카드 교환구(118)를 전부 개방하고 있다. 그렇지만, 록크 포지션에서는 제 1셔터(216)는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어 카드 교환구(118)의 적어도 일부를 막으며(B), 그결과 PC카드의 빠짐이 바람직하게 금지된다.
또한, 록크 포지션으로의 이동에 따른 다른 작용은, 도킹장치의 하부(200b)의 PC카드 슬롯(331)에서의 PC카드의 빠짐을 금지하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도킹장치(200)는, 그 좌측면의 거의 후방에 카드 교환구(33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킹장치(200)의 좌측면의 거의 중앙에는 제 2셔터(333)가 달려서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제 2셔터(333)는 시큐리티 키(213)의 회전조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언록크 포지션에서는 제 2셔터(333)는 거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A), 도킹장치(200)의 카드교환구(331)를 전부 개방하고 있다. 그렇지만, 록크 포지션 에서는 제 2셔터(333)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되어 카드 교환구(331)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며(B), 그 결과 PC카드의 빠짐이 바람직하게 금지된다.
또한, 록크 포지션으로의 이동에 따른 다른 작용은, 도킹장치의 상부(200a)와 도킹장치(200b)의 분리 금지 이다. 양자의 분리를 금지하는 것에 의해 도킹장치(200)내의 주변기기(예를들면, 미디어 베이에 수용되는 HDD, CD-ROM, FDD등)의 무단의 빠짐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록크 포지션에서는 다른 키 포지션과 상이하여 시큐리티 키(213)를 빼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부정한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키 조작을 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시큐리티상태를 담보하기 위한 것이다.
C. 내부기구
상기 이젝트 포지션에서의 이젝터(250a, 250b)(이하 2개를 한쌍으로서 이젝터(250)이라고 칭함)의 조립을 도 11내지 도 14의 개략도에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언록크 포지션에서의 이젝트(250)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킹장치(200)의 내부가 풀리도록 도킹장치(200)의 바깥틀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포지션에 있어서는 이젝터(250)는 도킹장치의 내부에 격납되어 있다. 이 상태는 록크 포지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어서,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시큐리티 키(213)를 이젝트 포지션으로 회전시키면, 캠(500)이 이젝터(250a)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재(150)의 돌기부(515)를 전방으로 밀어내며, 연결재(510)은 연결봉(530)을 회전축 으로서 회전하여 연결재(510)를 통해 이젝크터(250a)의 일부가 이젝터 입구(255)에서 도킹장치(200)의 외부에 돌출되며, 노트북 컴퓨터(100)(도시생략)의 좌측 후부를 누르게 된다.
또한, 연결재(510)의 회전은 그대로 연결봉(530)에 전해지며, 연결봉(530)을 통해 연결봉(530)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재(520)를 같은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젝터(250a)와 동시에 이젝터(250b)의 일부가 이젝터 입구(255)에서 도킹장치(200)의 외부에 돌출되며, 노트북 컴퓨터(100)(도시생략)의 우측 후부를 누르게 된다.
이어서, 언록크 포지션에서 록크 포지션으로 이행하는 경우의 각부의 내부 기구를 설명한다. 도 15는 언록크 포지션에서의 도킹장치 상부(200a)의 내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내부기구는 시큐리티 키(213)에 연동하는 캠(410)과 캠(410)의 돌기부(411)에 접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42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420)에 연결되는 회전 플레이트(430)와, 회전 플레이트(430)에 연결된 홈부착 슬라이드 플레이트(460)와 홈부착 슬라이드 플렝이트(460)의 홈(461)에 결합되는 기어를 갖는 훅(215)과, 한끝단을 회전플레이트에 연결된 연결 플레이트(450)과, 연결플레이트의 다른 끝단에 연결된 コ자형상 슬라이드 플레이트(440)와, コ자형상 슬라이드 플레이트(440)의 슬라이드 베이스(442)에 직립으로 결합되는 제 1셔터(216)로 이루어져 있다.
도 16에 시큐리티 키(213)를 록크 포지션으로 한 경우의 내부의 기구의 각 요소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우선 노트북 컴퓨터(100)(도시생략)의 록크기구를 설명한다. 시큐리티 키(213)를 록크 포지션으로 회전시키면, 캠(410)의 돌기부(411)에 의해 슬라이드 플레이트(420)의 수직부(421)가 후방으로 눌리며, 슬라이드 플레이트(42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된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430)의 한끝단 점접(424)이 상부로 끌어올려지며, 이것을 통해 회전플레이트(430)는 회전축(433)을 중심에 좌회전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430)의 다른 단(433)은 아랫측으로 밀리며, 회전 플레이트(430)의 다른단(433)에 접속된 홈부착 슬라이드 플레이트(460)가 전방으로 슬라된다. 이 전방 슬라이드에 의해 홈(461)을 통해 훅(215)가 일어서며, 노트북 컴퓨터(100)을 고정한다(도 9참조).
이어서, 제 1셔터의 슬라이드를 설명한다. 시큐리티 키(213)를 회전 시켜, 록 포지션으로 하면, 상기와 같이 하여 회전 플레이트(430)가 좌회전 한다. 그러면, 회전 플레이트(430)와 연결플레이트(450)의 접점(431)이 윗쪽으로 눌려올려 진다.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450)는 축(451)을 회전축으로서 우회전하게 되며, 연결플레이트의 다른 단과 コ자형상 슬라이드 플레이트(440)의 접점(441)은 아래측으로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コ자형 플레이트(440)는 이것에 접속되어 있는 스프링(430)의 복원력도 전달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며, 슬라이드 베이스(442)에 결합되어 있는 제 1셔터(216)가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노트북 컴퓨터(100)의 측면에 있는 PC카드 슬롯의 일부가 차폐되며, 노트북 컴퓨터(100)에 장착되어 있는 PC카드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도 10참도). 또한, 제 1셔터(216)는 노트북 컴퓨터(100)의 PC카드 슬롯(118)의 위치에 맞춘 형상의 것으로 교환가능 하다.
이어서 도킹장치 하부(200b)에 있는 제 2셔터의 슬라이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킹장치(200)는 그 상부(200a)와 하부(200b)로 분리된다. 도킹장치 하부(200b)에 있는 제 2셔터의 구조를 도 18에 나타낸다. 하부 슬라이드(600)은 스프링(620)에 의해 도킹장치 하부(200b)와 연결되어 있다. 하부 슬라이드(600)는 슬라이드 틀(640)의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한다. 제 2셔터(333)는 하부 슬라이드(600)에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 스라이드(600)에 병행하여 슬라이드 된다. 하부 슬라이드(600)에는 돌기부(610)가 있으며, 이러한 돌기부(610)가 도킹장치 상부(200a)부 돌출되어 있다(도 16). 도 16에 있어서, 시큐리티 키(213)를 회전시켜, 록크 포지션으로 하면, 상기와 같이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42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된다. 그래서, 슬라이드 플레이트(420)의 개구부(422)에서 돌출되어 있는 하부 슬라이드(600)의 돌출부(61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420)에 동반되어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18에 있어서, 하부 슬라이드(600)가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며, 동반해서 제 2셔터(333)도 동일하게 A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PC카드 슬롯(331)의 일부를 차폐하며, 도킹장치 하부(200b)내부에 있는 PC카드의 보호가 될수 있게 된다(도 10 참조).
멀티 사용자 모드에서의 도킹장치 하부(200b)내부에 있는 PC카드의 보호 및 록크 포지션 금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킹장치 하부(200b)의 슬라이드 틀(640)에는 개구부(630)가 있다. 이 개구부(630)은 도킹장치 하부(200b)내부의 고정위치에 마련되어 있다(도 18참조). 도 19에 나타내듯이 돌기부(655)를 갖는 L자형 플러그(650)를 개구부(630)에 끼운다. 이것에 의해 하부 슬라이드(600)의 슬라이드가 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하부 슬라이드(600)의 돌기부(610)도 고정되게 된다. 이런이유로, 도 15에 있어서, 돌기부(610)의 고정에 의해 슬라이드 플러그(420)가 걸리며, 시큐리티 키(213)가 록크 포지션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L자형상 플러그(650)를 삽입한후 도킹장치 상부(200a)와 도킹장치 하부(200b)와 결합되며, 일체형의 도킹장치(200)로 하는 것에 의해 L자형 플러그(650)의 분리를 할 수없게 하며, 따라서, PC카드 슬롯(331)의 일부를 차폐하며, 도킹장치 하부(200b)내부에 있는 PC카드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도 20 참조).
추가
이상,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상기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용을 이룰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예시라는 형태로, 본 발명을 명시하였으며, 한정적으로 해석 되어지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뒤에서 기재한 특허청구 범위의 란을 참조 바란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형 컴퓨터와 기계적으로 합체됨과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사용하며, 상기 휴대형 컴퓨터 및 그 주변장치의 보호가 가능한 우수한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하는 사용모드에 대응한 휴대형 컴퓨터 및 그 주변장치의 보호가 가능하며, 우수한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에 있어서,
    ① 언록크 포지션과 록크 포지션을 가진 기계식 록(mechanical lock)과,
    ② 상기 기계식 록을 상기 언록크 포지션과 록크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시큐리티 키(security key)와 -상기 시큐리티 키는 상기 록크 포지션에서 상기 기계식 록으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상기 언록크 포지션에는 상기 기계식 록으로부터 분리불가능함.-,
    ③ 상기 기계식 록이 상기 록크 포지션에 위치됨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형 컴퓨터를 상기 도킹장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기계식 록이 상기 언록크 포지션에 위치됨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형 컴퓨터를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이탈시키는 래치(latch)와,
    ④ 상기 기계식 록이 상기 록크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금지시키는 금지기(inhibitor)를 포함하는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는 주변장치의 주변장치의 장착을 수용하며, 상기 금지기는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상기 장착된 주변장치의 제거를 금지시키는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3. 휴대형 컴퓨터와 상기 휴대형 컴퓨터를 지지하기 위한 도킹장치가 조합된 조합 장치에 있어서,
    ① 언록크 포지션과 록크 포지션을 가진 기계식 록(mechanical lock)과,
    ② 상기 기계식 록을 상기 언록크 포지션과 록크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조정하기 위한 시큐리티 키(security key)와 -상기 시큐리티 키는 상기 록크 포지션에서 상기 기계식 록으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상기 언록크 포지션에서는 상기 기계식 록으로부터 분리불가능함.-,
    ③ 상기 기계식 록이 상기 록크 포지션에 위치됨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형 컴퓨터를 상기 도킹장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기계식 록이 상기 언록크 포지션에 위치됨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형 컴퓨터를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이탈시키는 래치(latch)와,
    ④ 상기 기계식 록이 상기 록크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금지시키는 금지기(inhibitor)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형 컴퓨터는 주변장치의 장착을 수용하며, 상기 래치는 상기 기계식 록이 상기 록크 포지션에 위치됨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형 컴퓨터내에 장착된 상기 주변장치를 고정시키는 조합장치.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장치는 주변장치의 장착을 수용하며, 상기 금지기는 상기 도킹장치로부터 상기 장착된 주변장치의 제거를 금지시키는 조합장치.
KR1019960065312A 1996-03-28 1996-12-13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KR100246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73669 1996-03-28
JP8073669A JPH09269848A (ja) 1996-03-28 1996-03-28 携帯型コンピュータ用ドッキ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6794A KR970066794A (ko) 1997-10-13
KR100246867B1 true KR100246867B1 (ko) 2000-03-15

Family

ID=1352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312A KR100246867B1 (ko) 1996-03-28 1996-12-13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70283A (ko)
EP (1) EP0798622B1 (ko)
JP (1) JPH09269848A (ko)
KR (1) KR100246867B1 (ko)
DE (1) DE69724684D1 (ko)
TW (1) TW4791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835A (en) * 1996-03-29 1999-09-28 Sanyo Electric Co., Ltd. Attachment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feature expanding unit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separation type feature expanding device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attachment device and feature expanding unit
KR100195868B1 (ko) * 1996-12-09 1999-06-15 윤종용 확장시스템과의 결합전 전원차단기능을 갖는 컴퓨터 및 컴퓨터시스템
KR100455649B1 (ko) * 1997-03-10 200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장치의착탈잠금제어장치및그방법
JP3718317B2 (ja) * 1997-04-23 2005-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関連装置
KR19990015963U (ko) * 1997-10-22 1999-05-15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의 보조기기 잠금장치
US6072695A (en) * 1997-10-30 2000-06-06 Hewlett-Packard Company Horizontal loading docking station with uninterrupted power supply
JPH11185926A (ja) 1997-12-25 1999-07-09 Yazaki Corp コネクタ、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用いられる型構造
US5924878A (en) * 1998-03-17 1999-07-20 Compal Electronics, Inc. Protection device for expansion device of portable computer
US6151218A (en) * 1998-08-21 2000-11-2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hysical security system for portable computer/port replicator
CA2246139A1 (en) * 1998-08-26 2000-02-26 Computer Security Devices Inc. Laptop computer security device
WO2000017733A1 (fr) * 1998-09-22 2000-03-30 Sanyo Electric Co., Ltd. Accessoire pour dispositif electronique
JP3176345B2 (ja) * 1998-10-21 2001-06-18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ポートリプリケータ解除機構のストッパの動作不能の防止機構
US6275378B1 (en) * 1999-01-19 2001-08-14 Compal Electronics, Inc. Safety lock for notebook-type computer dock
US6015308A (en) * 1999-02-01 2000-01-18 Compal Electronics, Inc. Docking station for a notebook computer
US6061234A (en) * 1999-03-15 2000-05-09 Dell U.S.A., L.P. Secured snap-on cover for a computer system docking station
JP2000305845A (ja) * 1999-04-16 2000-11-0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用拡張ユニットにおける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6189349B1 (en) * 1999-05-28 2001-02-20 Hewlett-Packard Company Single retracting security hook of desktop port replicator providing security for dissimilar multiple portable computers
US6129430A (en) * 1999-06-03 2000-10-10 Inventec Corp. Stylus removal mechanism
EP1210139B1 (de) 1999-08-05 2006-10-11 MAP Medizin-Technologie GmbH Vorrichtung zur zufuhr eines atemgases und befeuchtungsvorrichtung
TW468713U (en) * 2000-10-17 2001-12-11 Sinox Co Ltd Locking device for mini computer
KR20020041631A (ko) * 2000-11-28 2002-06-03 윤종용 휴대용 컴퓨터로부터 도킹 스테이션을 분리하는 방법
US6459574B1 (en) * 2000-12-28 2002-10-01 Intel Corporation Docking station having a cooling unit to cool an electronic device
JP4420605B2 (ja) 2001-02-16 2010-02-24 レスメド・リミテッド 加湿器入口を介しての液の逆流を防ぐ構造を有する加湿器
US6549416B2 (en) * 2001-03-15 2003-04-15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with protected connector
US6683786B2 (en) * 2002-01-07 2004-01-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with movable electrical interface
KR100439719B1 (ko) 2002-01-08 2004-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
TW547905U (en) * 2002-06-13 2003-08-11 Wistron Corp Fastener
KR100906248B1 (ko) 2002-10-16 2009-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킹스테이션 및 이를 이용한 노트북 컴퓨터
US6885552B2 (en) * 2002-12-20 2005-04-26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functional security mechanism in a docking station
US7379295B2 (en) * 2003-04-09 2008-05-27 Arima Computer Corporation One-touch release apparatus
AU2003903139A0 (en) 2003-06-20 2003-07-03 Resmed Limited Breathable gas apparatus with humidifier
CN102784432B (zh) 2003-06-20 2015-09-02 瑞思迈有限公司 带有加湿器的可吸入气体设备
US7201407B2 (en) * 2003-06-25 2007-04-10 Southco, Inc. Sliding panel latch
US7227747B2 (en) * 2004-10-20 2007-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uring computer equipment
US7139168B2 (en) * 2004-10-28 2006-11-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ocking station
US7345871B2 (en) * 2005-02-01 2008-03-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a tablet computer display
US8179672B2 (en) 2006-06-30 2012-05-15 National Products, Inc. Portable device docking station
US7426108B2 (en) * 2006-06-30 2008-09-16 Carnevali Jeffrey D Portable device docking station
US7298611B1 (en) 2006-06-30 2007-11-20 Carnevali Jeffrey D Portable device docking station
US7471508B2 (en) * 2006-07-01 2008-12-30 Lenovo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computer
CN101153525B (zh) * 2006-09-30 2013-01-09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连接/断开机构及组合装置
US7978466B2 (en) * 2008-02-27 2011-07-1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Computer docking station for a vehicle
JP4511609B2 (ja) 2008-05-19 2010-07-28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ドッキング装置
NZ727179A (en) 2008-06-05 2018-06-29 Resmed Ltd Treatment of respiratory conditions
TWM364235U (en) * 2009-04-28 2009-09-01 Pegatron Corp Bas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8931481B2 (en) 2009-06-04 2015-01-13 Redmed Limited Flow generator chassis assembly with suspension seal
TW201118232A (en) * 2009-11-18 2011-06-01 Inventec Corp Lock
US8427826B2 (en) 2010-11-29 2013-04-23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Computer docking station assembly
USD706261S1 (en) 2012-01-24 2014-06-03 Intel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CN112068637A (zh) * 2012-01-24 2020-12-11 英特尔公司 移动计算设备、装置和系统
US9429993B2 (en) * 2013-11-21 2016-08-30 Toshiba Global Commerce Solutions Holdings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docking systems
US10907383B2 (en) 2017-03-01 2021-02-02 ACCO Brands Corporation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917986B2 (en) 2018-03-08 2021-02-09 ACCO Brands Corporation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067533B1 (en) * 2018-03-27 2018-09-04 Precision Mounting Technologies Ltd. Locking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892123S1 (en) 2018-07-16 2020-08-04 ACCO Brands Corporation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899598S1 (en) 2018-09-04 2020-10-20 3B Medical, Inc. CPAP device
TWI739698B (zh) * 2020-12-24 2021-09-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擴充裝置及電子系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0271A (en) * 1992-10-29 1995-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docking apparatus including a key mechanism controlling a power supply and a lock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71381C (en) * 1991-07-19 1998-12-15 Youji Satou Electronic apparatus, card-type electronic component used with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with expanding apparatus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JP2596702B2 (ja) * 1993-07-23 1997-04-0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情報処理装置
US5757616A (en) * 1996-10-31 1998-05-26 Hewlett-Packard Company Physical security system for portable compu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0271A (en) * 1992-10-29 1995-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docking apparatus including a key mechanism controlling a power supply and a loc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8622A2 (en) 1997-10-01
DE69724684D1 (de) 2003-10-16
US5870283A (en) 1999-02-09
EP0798622B1 (en) 2003-09-10
KR970066794A (ko) 1997-10-13
TW479163B (en) 2002-03-11
JPH09269848A (ja) 1997-10-14
EP0798622A3 (en) 1999-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6867B1 (ko) 휴대형 컴퓨터용 도킹장치
US20030202323A1 (en) Docking unit for portable computer
US5805412A (en) Multiple stacked docking stations and portable computer
US6331934B1 (en) Computer docking station with anti-theft locking mechanisms for removable components
EP1126360B1 (en) Desktop computer appliance
US5707162A (en) Modula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970002362B1 (ko) 커넥터 장치
US5321580A (en) Expansion device with power cord and guide groove for expanding functions of compact electronic apparatus
US7118483B2 (en) Modular CPU enclosure for gaming machines
US6745330B1 (en) Computer system having peripheral device look
US4894792A (en) Portable computer with removable and replaceable add-on modules
US5574625A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rotatable port covers
US5477415A (en) Automatic computer docking station having a motorized tray, cammed side connectors, motorized side connectors, and locking and unlocking guide pins
US7495900B2 (en) Protection mechanism for connectors
EP1791225A2 (en) Security block for a communications connector
JP5406751B2 (ja) 盗難防止装置
US5210681A (en) Expansion device for expanding functions of compact electronic apparatus
EP072013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822001B2 (ja) コネクタボックス
JP3394841B2 (ja) 携帯型電子機器
WO2021221670A1 (en) Storage drive adapters with drive cartridges
JP200511624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4206388A (ja) 電子機器
TW202111556A (zh) 轉接裝置
JPH10302892A (ja) Pcカードイジェク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