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648B1 - 플라이백 변성기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변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648B1
KR100246648B1 KR1019930016755A KR930016755A KR100246648B1 KR 100246648 B1 KR100246648 B1 KR 100246648B1 KR 1019930016755 A KR1019930016755 A KR 1019930016755A KR 930016755 A KR930016755 A KR 930016755A KR 100246648 B1 KR100246648 B1 KR 10024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yback transformer
lead
case
high pressure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080A (ko
Inventor
히데유끼 모찌따
미쯔히로 가노
지 다까하시
데루아끼 사또
다까시 시바
Original Assignee
하시모또 야스고로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찌 미즈사와 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시모또 야스고로,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찌 미즈사와 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하시모또 야스고로
Publication of KR940005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목적]
포커스, 스크린 출력 접속기부의 절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생산 합리화를 하기 쉬운 플라이백 변성기를 제공한다.
[구성]
포커스 팩(11)의 케이스(12)에 짜넣어진 세라믹 저항기(13)의 가변 저항기(17b),(17d)의 출력꺼내기용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전 고무(28′),(28″)를 케이스(12)에 끼워넣고 케이스(12)에 이 도전고무(28′),(28″)에 이어지는 터널상의 안내홈(30′),(30″)을 설치하고 포커스, 스크린 출력 PVC 선(20′),(20″)를 플라스틱에 인서트 성형한 접속기(32)를 안내홈(30′),(30″)에 삽입하고 PVC 선(20′),(20″)의 심선을 도전고무(28′),(28″)에 찔러꽂게 하였다.

Description

플라이백 변성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플라이백 변성기의 정면도.
제2도는 그 플라이백 변성기에 사용하는 세라믹 저항기의 평면도.
제3도는 그 플라이백 변성기에 사용하는 세라믹 저항기의 요부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에서 바라본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B-B 단면도.
제6도는 그 플라이백 변성기에 사용하는 접속기의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계된 플라이백 변성기의 단면도.
제8도는 그 플라이백 변성기에 사용하는 필름 콘덴서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9도는 그 필름 콘덴서의 전개도.
제10도는 그 플라이백 변성기에 사용하는 고압 콘덴서의 사시도.
제11도는 그 플라이백 변성기에 사용하는 고압 콘덴서의 단면도.
제12도는 그 고압 콘덴서의 절연통을 케이스에 끼워맞춘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계된 고압 접속기의 요부 사시도.
제14도는 그 고압 접속기의 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고압 접속기의 요부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플라이백 변성기의 단면도.
제17도는 플라이백 변성기의 절연통 부근의 확대 단면도.
제18도는 일반적인 플라이백 변성기의 회로도.
제19도는 종래의 플라이백 변성기의 외관도.
제20도는 종래의 포커스팩의 요부 종단면도.
제21도는 그 포커스백에 사용하는 세라믹 저항기의 평면도.
제22도는 종래의 접속기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 : 플라이백 변성기(flyback transformer)
2 : 저압 코일 3 : 고압 코일
4 : 다이오드 6,32 : 접속기
9 : 단자 11 : 포커스 팩(focus pack)
12 : 케이스 13 : 세라믹 저항기
17b,17d : 가변 저항기 23 : 절연통
28′,28″ : 도전고무 30′,30″ : 안내홈
106 : 고압 접속기 107 : 고압 콘덴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등에 사용되며 포커스 전압, 스크린 전압의 꺼내기용 리드선을 인출하는 접속기를 내장한 플라이백 변성기(flyback transform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이백 변성기의 생산성을 향상하고 접속기부의 절연성을 높이고 소형화가 가능한 플라이백 변성기에 관한 것이다.
플라이백 변성기는 CRT를 사용한 영상표시장치등에 사용되며 CRT의 양극에 직류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 펄스 변성기인 동시에, CRT의 조정전압인 포커스 전압, 스크린 전압, 히터 전압, 영상표시 장치의 회로에 필요한 모든 전압인 신호계, 영상계 구동용 직류전압, 각종 제어 펄스를 공급한다.
제18도는 플라이백 변성기의 회로도이다.
플라이백 변성기(1)는 저압 코일(2), 고압 코일(3), 다이오드(4) 등으로 구성되며, CRT(5)와는 접속기(6,6′,6″)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접속기(6′,6″)는 저항기(17)에서 분압해서 얻은 전력의 출력단이 된다. 이 저항기(17)는 고정 저항기(17a,17c,17e,17f)와 가변 저항기(17b,17d)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저항기(17a∼17f)는 일괄해서 포커스 팩(focus pack)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접속기(6,6′,6″)의 사용으로 플라이백 변성기(1)의 제조시에 긴 리드선을 없앨 수 이고 제조 공정의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9도는 플라이백 변성기(1)의 종래예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고출력 리드선(7)은 플라이백 변성기(1)내의 양극출력단인 접속기(6)에 접속된다.
포커스 출력단인 접속기(6′)와 스크린 출력단인 접속기(6″)는 포커스 전압, 스크린 전압의 꺼내기용 리드선과 접속하기 위해 단자(9′,9″)가 부착되어 있다. 단자(9′,9″)는 플라이백 변성기(1)의 케이스(10)에 끼워맞춤 하는 포커스 백(11)의 일부에 설치된 통(12′,12″)내에 설치하고 있다.
제20도는 상기 포커스 팩(11)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포커스 팩(11)은 플라스틱제의 케이스(12)에 세라믹 저항기(13), 가변 저항용 회전 노브(14), 브러시(15), 단자(9′,9″)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제21도는 상기 세라믹 저항기(13)의 평면도이며, 이것은 세라믹 기판(16)에 저항기(17)를 인쇄소성한 것이다. 도면에 고정 저항기(17a,17c,17e,17f), 가변 저항기(17b,17d) 및 전극(18a,18b,18c,18d)이 도시되어 있다. 부호(18a)는 세라믹 저항기(13)의 고압 입력부의 전극, 부호(18d)는 그라운드에 접속하는 전극, 부호(18b)는 포커스, 부호(18c)는 스크린 전압 꺼내기용 전극이다.
종래, 포커스 팩(11)은 접속기화 하기 위해 제20도와 같은 구성으로 하고, 단자(9′,9″)와 전극(18b,18c)과의 접속은 납땜, 도전성 스프링의 사용, 또는 다른 리드선으로 접속하고 있었다. 또한, 포커스 전압, 스크린 전압은 상기와 같이 고전압이므로 단자(9′,9″)의 주위는 절연을 위해 인접한 면사이의 거리를 크게 취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통(12′,12″)을 사용하고 있다.
제22도는 포커스 팩(11)과 접속하는 포커스, 스크린 전압 꺼내기용 접속기(19)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접속기(19)는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수지피복선(이하, PVC선이라 함)(20′,20″)의 일단에 단자(9′,9″)와 접속하기 위한 금속제 소켓(21′,21″)을 압착하고 이것들을 플라스틱제의 코넥터 하우징(22)에 조립되어 있다.
포커스 전압측은 전압이 높으므로 절연성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포커스용 PVC선(20′)을 코넥터 하우징(22)으로부터 인출하는 부분에 고무제의 튜브(26)를 입혀서 절연되어 있다. 또, 코넥터 하우징(22)은 금속제 소켓(21′,21″)을 덮어씌우듯이 절연통(23′,23″)을 일체로 설치하고 있으며, 코넥터 하우징(22)에 열쇠 훅(24)이 붙어있다.
코넥터 하우징(22)을 단자(9′,9″)에 접속할 때는, 단자(9′,9″)가 금속제 소켓(21′,21″)에 삽입되고, 통(12′,12″)이 절연통(23′,23″)의 내측에 끼워맞춰지고, 훅(24)이 포커스 팩(11)의 돌기(25)(제21도 참조)와 걸어맞춤된다. 단자(9′,9″)의 절연은 통(12′,12″)과 절연통(23′,23″)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인접한 면사이의 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플라이백 변성기로서 관련된 출원으로서 예컨대 일본 실공소 63-39924호 공보, 실공소 63-39926호 공보에 기재한 것등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상기 출력부 접속기(6′,6″) 및 포커스, 스크린 전압 꺼내기용 접속기(19)에는 높은 전압이 가해지므로 접속부의 절연이 중요하다.
종래는 제22도에 도시하듯이 통(12′,12″)의 내부에 단자(9′,9″)를 부착하고, 제22도에 도시하듯이 접속기(19)를 접속해서 각각의 전압을 꺼내고 있다.
금속 소켓(21′)과 코넥터 하우징(22)간은 금속 소켓(21′)을 부착하기 위해 틈이 생긴다. 따라서, 금속 소켓(21′)으로부터 포커스 출력 PVC 선(20′)의 표면을 고전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출구에 고무제의 튜브(26)를 입히고, 인접한 면의 내압을 향상할 필요가 있었다. 단자(9′,9″)를 사용하면 그 길이만큼 인접한 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역으로 인출구를 길게 하거나 통(12′,12″)이나 절연통부(23′)를 길게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대형이 된다.
또, 단자(9′,9″)와 PVC 선(20′,20″)를 접속하는데 소켓(21′,21″)이 필요하므로 부품 갯수가 불어나고 작업 공정도 늘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자(9′,9″)와 세라믹 기판(16)의 전극(18b,18c)을 납땜하면 케이스(12)와의 짜넣기 작업성이 나쁘고,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 도전성 스프링을 사용하면 부품갯수가 증가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고 부품을 추가하는 일없이 형상을 크게 하지 않고 포커스, 스크린 출력 리드선을 부착하고, 부착후에 당겨도 용이하게 빠지지 않고, 포커스, 스크린 출력 접속기부의 절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생산 합리화를 하기 쉬운 플라이백 변성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의 본 발명은, 포커스 팩의 케이스에 짜넣어진 세라믹 저항기의 가변 저항기의 출력꺼내기용 전극과 접촉하는 도전고무를 그 케이스에 끼워넣고, 케이스에 이 도전고무와 이어지는 안내홈을 두고, 포커스 및 스크린 출력용의 리드선의 선단부 부근을 플라스틱에 인서트 성형한 접속기를 상기 안내홈에 삽입하고, 접속기로부터 돌출한 리드선의 심선을 상기 도전고무에 찔러꽂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달성하기 위해, 제2의 본 발명은 플라이백 변성기의 케이스내에 저압 코일과, 고압 코일과, 이 고압 코일의 출력부에 접속된 고압 콘덴서를 수납하고, 그 고압 콘덴서의 중심부에 리드선 인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절연통을 설치하고, 그 절연통을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고압 리드 인출구통에 끼워맞추고, 그 고압 리드 인출통의 내부에 스톱퍼를 두고 이 스톱퍼의 고압 리드 인출구부와 반대측의 통내에 도전 고무를 삽입하고, 이 도전 고무에 고압 콘덴서의 고압측 리드선, 다이오드의 리드선을 삽입하여 접속하고, 케이스 내부의 공간부에 절연재를 충전하고, 케이스에 설치한 고압 리드 인출구로부터 고압 리드 인출통내에 고압 리드선을 삽입하고, 그 고압 리드선의 선단을 도전 고무에 삽입하여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3의 본 발명은 고압 출력 리드선을 고정하기 위한 캡에 갈고리를 두고, 그 캡이 끼워맞춤되는 절연 홀더의 상기 갈고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그 갈고리가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플라이백 변성기에 있어서, 상기 캡의 갈고리를 설치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구멍을 막는 폐쇄부를 상기 절연 홀더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4도의 본 발명은 플라이백 변성기의 케이스에 일체로 절연통을 두고 그 절연통의 내측의 소정위치에 나사를 형성하고, 그 나사의 아래쪽에 도전고무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절연통의 위쪽으로부터 고압출력 리드선을 상기 나사에 비틀어 넣어 고정하는 동시에 그 고압 출력 리드선의 선단 심선을 상기 도전 고무에 찔러꽂고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작용]
상기 제1의 본 발명에 의하면, 포커스 및 스크린 출력용 리드의 선단부를 플라스틱에 인서트 성형하여 접속기로 하며, 이것을 안내홈으로 삽입하여 도전고무에 찔러넣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단자나 여기에 접속하는 스프링, 고무제의 튜브, 금속제 소켓등이 불필요하고, 부품갯수나 조립공정이 줄어들어, 소형화, 원가 절감등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 제2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고압 콘덴서의 중심에 설치한 절연통을 케이스에 형성한 고압 리드 인출통부에 끼워맞춤식으로 고정하므로서, 고압 콘덴서와 케이스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고 또, 출력부 접속기를 절연통내의 고압 리드 인출통부에 배치하므로서 케이스로부터 격리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절연이 확실, 간단하며 게다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의 본 발명에 의하면, 폐쇄부에 이해 캡과 절연 홀더의 끼워맞춤과 동시에, 캡의 구멍을 막고 끼워맞춤 후에 캡을 벗기는 지그가 들어가는 틈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고압 출력 리드선의 부착에 따라서 영구히 끼워맞춤이 된다. 이것으로 고압 출력 리드선이 불시에 벗겨지는 일이 없어지며,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3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통에 설치한 나사에 고압 출력 리드선을 비틀어 넣음으로서 고압 출력 리드선을 당겨도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비틀어넣은 부분의 마찰, 압접력으로 인접한 면의 내전압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실시예 1에서, 제18도 내지 제22도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번호를 기재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플라이백 변성기의 외관도, 제2도는 세라믹 저항기의 평면도, 제3도는 포커스 팩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에서 바라본 도면, 제5도는 제4도의 B-B 단면도이다.
세라믹 저항기(13)는 제2도에 도시하듯이, 세라믹 기판(16)상에 형성된 고정 저항기(17a,17c,17e,17f), 가변 저항기(17b,17d), 전극(18a,18b,18c,18d)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변 저항기(17b,17d)의 출력 꺼내기부의 전극(18b,18c)에는 땜납용접을 하고, 고압의 전극(입력부)(18a)이나 접지 전극부(18d)는 땜납용접을 하지 않아도 된다.
세라믹 저항기(13)를 제3, 제5도에 도시하듯이, 플라스틱제 케이스(12)에 회전 노브(14), 브러시(15)와 일체로 짜넣는다. 상기 전극(18b,18c)에 상대하는 케이스(12)의 부분에는 전극 고정 구멍(27′,27″)이 설치되고, 도전 고무(28′,28″)의 일부가 끼워맞춤되고, 구멍부(29′,29″)는 케이스(12)의 외부에 이어지는 터널상의 안내홈(30′,30″)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구멍부(29′,29″)와 안내홈(30′,30″)과의 경계부는 테이퍼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도전 고무(28)는 실리콘 고무에 카본 블랙이나 은등의 금속 미분말을 분산, 유지한 것이며 특성은 하기와 같다.
경도 : 60-80(HS)
신장 : 140-330(%)
인장강도 : 20∼82(kg/cm2)
인열강도 : 10∼15(kg/cm2)
체적 저항율 : 0.05∼6(Ωcm)
도전 고무(28′,29″)의 길이는 전극 고정 구멍(27′,27″)의 깊이보다 길게 되어 있으며, 케이스(12)에 세라믹 저항기(13)를 짜넣으면 상기 전극(18b,18c)에 압접한다. 전극(18b,18c)에 땜납용접을 하는 것은 이 압접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안내홈(30′,30″)의 출구 부근에는 돌기(31)를 설치하고 있다.
포커스, 스크린 출력용 PVC 선(20′,20″)은 제6도에 도시하듯이 2개를 평행하게 병렬하고, 플라스틱제로 인서트 성형하여 접속기(32)로 하고 있다. PVC 선(20′,20″)를 성형시에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홈(33)을 설치하고 있다. 접속기(32)의 선단은 심선을 끌어내고 있으며, 접속기(32)의 동체부(32a,32b)는 상기 케이스(12)의 안내홈(30′,30″)의 형상에 맞추고 있다.
동체부(32a,32b)는 한쪽에서 일체로 되며, 일부에 후크(34)를 두고 있다. 후크(34)는 접속기(32)를 안내홈(30′,30″)에 삽입 고정할 때, 돌기(31)에 걸어맞춤되어서 접속기(32)를 당겨도 벗어나지 않게 하고 있다.
접속기(32)를 안내홈(30′,30″)에 삽입고정할 때, PVC 선(20′,20″)의 심선에 구멍부(2a′,2a″)를 지나 도전고무(28′,28″)에 찔러꽂는다. 이 결과, 전극(18b,18c)의 전압이 도전 고무(28′,28″), 접속기(32)를 경유해서 포커스, 스크린 출력용 PVC 선(20′,20″)의 선단으로 인출된다.
도전 고무(28′,28″)로부터 접속기(32)까지의 거리는 접속기(32)의 동체부(32a,32b)에 의해서 길게 취해지며, 단자등이 불필요하므로 절연 튜브도 불필요하다. 또, PVC선(20′,20″)을 플라스틱으로 인서트 성형하고 있으므로, 절연이 강화되고 PVC선(20′,20″)의 인접한 면의 내압의 대책도 불필요하다.
PVC선(20′,20″)의 심선을 도전 고무(28′,28″)에 찔러 꽂는 경우에 심선이 꼬인 선인 경우는 찔러꽂는 부분을 땜납 코팅하든가 또는 땜납이나 주석등의 금속을 도포한 심선을 사용하면 작업 효율이 좋다. 심선을 단선으로 하면 또한 작업성이 양호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제7도 내지 제12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7도는 실시예 2에 관계된 플라이백 변성기의 단면도, 제8도는 고압 필름 콘덴서의 설명도, 제9도는 고압 필름 콘덴서의 전개도, 제10도는 고압 콘덴서의 사시도, 제11도는 고압 콘덴서의 단면도, 제12도는 고압 콘덴서를 케이스의 고압리드 인출통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8도에 도시하고 있듯이 고압 콘덴서(107)에는 폴리에스터 등의 수지 필름(114)이 여러겹으로 겹치고 있으며 일부의 필름(114′)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전극(115)이 증착되어 있다.
필름(114′)에는 전극(115)을 제9도에 도시하듯이 상층의 필름(114′)과 일부가 겹치게 증착하므로서 제9(b)도에 도시하듯이 C1 내지 C7의 콘덴서가 형성된다.
부호(108,109)는 직경 0.6mm 정도의 동선으로 되는 고압콘덴서(107)의 리드선이며, 양단을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116)을 끼어넣고, 금속박(116)과 전극(115)을 용접으로 접속하고 있다. 콘덴서(107)의 내압은 콘덴서 C1 내지 C7의 직렬 접속으로 유지케하고 있다. 콘덴서(107)의 용량은 C1 내지 C7의 값으로 정해지며, 브라운관(105)의 용량에 맞춰서 수백 pF 내지 pF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제9도의 상태의 콘덴서를 제10도와 같이 고압측 리드선(108)과 저압측 리드선(109)을 외측으로 낸 상태에서, 플라스틱제의 절연통(117)을 중심으로 하여 원통상으로 감는다. 그것을 액상의 절연물중에 침지하고, 필름의 틈에 절연물을 함침하고 경화시키므로서, 절연통(117)이 일체로 된 고압 콘덴서(107)가 얻어진다. 절연통(117)의 내측에 절연물이 부착하지 않게 실리콘 고무등의 마개(도시생략)를 한 후에 마개를 제거하면 된다.
절연통(117)은 제7도, 제12도에 도시하듯이 일단이 케이스(112)의 고압 리드선 인출구(112a)와 끼워맞춤되게 콘덴서(107)에서 돌출하고 있으며, 내경은 고압 리드 인출통(112a)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이며, 고압 리드선 인출통(112a)의 형상에 맞추고 있다.
제12도에 도시하듯이 케이스(112)의 고압 리드 인출통(112a)의 내부에는 내경에 조여진 스톱퍼(112b)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압 접속기(106)로서의 도전 고무(106′)가 고압 리드 인출통(112a)의 아래측으로부터 삽입된다. 도전 고무(106′)에 고압 출력 리드선(111)의 선단을 찔러꽂고, 반대측으로부터 고압 콘덴서(107)의 고압측 리드선(108)과 고압 코일(103)의 최고압측 다이오드의 리드선(104)(다이오드의 리드선(104)과 접속한 단자용 리드선이어도 좋다)을 찔러꽂는다.
고압 콘덴서(107)는 내주측(절연통(117)측)이 고압측이고, 외주측이 저압측으로 되어있다. 이 때문에 고압 출력 리드선(111) 및 고압 접속기(106)와 고압 콘덴서(107)의 고압측의 전압은 같으므로 특히 절연의 필요가 없고 이것들의 거리는 짧아진다.
제7도에 도시하듯이 플라이백 변성기(101)의 케이스(112)에는 절연통(117)을 고정하기 위한 고압 리드 인출통(112a)이 설치되며 고압 콘덴서(107)의 절연통(117)을 끼워맞춤으로 고정하고 있다.
절연통(117)과 고압 리드 인출통(112a)를 걸어맞춤하면 고압 콘덴서(107)와 케이스(112)와의 거리는 일정하게 된다. 고압 콘덴서(107)의 저압측 리드선(109)은 고압 콘덴서(107)의 외주를 따라서 저압 코일 단자측의 단자(110)에 접속된다. 고압 콘덴서(107)의 외주는 접지 전위이며 저압측 리드선(109)과는 동일한 전위이기 때문에 절연 거리는 필요치 않다.
고압 리드 인출통(112a)에 설치한 스톱퍼(112b)에 고압 접속기(106)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고압 콘덴서(107)와 고압 접속기(106)의 거리도 일정하며, 고압 접속기(105)와 케이스(112)의 위치도 고정된다. 도면중의 (113)은 에폭시 수지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제13도 내지 제14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13도는 고압 접속기의 요부 사시도, 제14도는 그것이 단면도이다.
도면중의 (201)은 고압 출력 리드선, (202)는 고압 케이블 고정용 캡, (202a)는 갈고리, (202b)는 구멍, (203)은 절연통, (203a)는 돌기, (203b)는 갈고리 끼워맞춤구멍, (204)는 절연수지, (205)는 절연 부쉬, (206)은 오목부이다.
이들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 케이블 고정용 캡(202)의 내측에 절연통(203)의 상단부가 끼워들어가는 오목부(206)(제14도 참조)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206)내에 갈고리(202a)가 설치되고 갈고리(202a)를 형성할 때 구멍(202b)의 갈고리(202a)의 위쪽에 형성된다.
절연통(203)의 상기 갈고리(202a)가 삽입되는 위치에 갈고리 끼워맞춤구멍(203b)이 형성되고 그것이 위쪽에는 (203a)가 설치되어 있다.
제14도에 도시하듯이 캡(202)의 오목부(206)에 절연통(203)의 상단부를 삽입하고, 갈고리(202a)를 구멍(203b)에 끼워맞추는 동시에 상기 돌기(203b)에 의해 구멍(202b)의 개구가 폐쇄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선 고정용 캡(202′)의 원주방향에 복수의 갈고리(202a′)와 구멍(202b′)을 두고, 절연 홀더(203′)에도 이것과 대응해서 복수의 돌기(203a′)와 구멍 갈고리 끼워맞춤부(203b′)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으로 캡(202′)과 절연 홀더(203′)의 끼워맞춤부의 위치잡기가 용이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도의 실시예를 제16도, 제17도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선 고압 출력 리드선(307)을 부착하는 절연통(311)을 플라이백 변성기(301)의 케이스(310)에 일체로 부착한다.
절연통(311)의 내측의 소정 위치에는 단차부(段差部)(311″)가 설치되며 이것은 고압 접속기(306)의 도전 고무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스톱퍼로 되어 있다.
고압 접속기(306)의 도전 고무에는 고압 코일의 출력단자(303′)가 찔러넣어져 있다. 또, 이 접속기(306)는 플라이백 변성기(301)의 절연을 위한 에폭시 수지(314)를 주형할 때, 그것이 절연통(311)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절연통(311)의 다른쪽(고압 접속기(306)의 반대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절연통(311)의 내측에 제17도에 도시하듯이 나사(313)가 형성되고, 이것에 고압 출력 리드선(307)의 심선(307′)이 고압 접속기(306)의 도전 고무에 찔려꽂힐 때까지 비틀어 넣어진다.
찔러꽂혔는지 어떤지는 비틀어 넣어진 칫수로 판단해도 되며 접속상태를 전기적으로 점검해도 된다.
고압 출력 리드선(307)의 절연 피복은 내열 염화 비닐/가교염화비닐 등이 쓰이며 재질이 연한데(공구로 끼면 변형한다) 비해서 내열이 높다.
나사(313)의 내경은 고압 출력 리드선(307)의 외경의 최소값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나사(313)로 고압 출력 리드선(307)의 외주부가 압접되며 고압 접속기(306)와 절연통(311)의 개구부간의 내전압이 올라간다. 또, 나사(313)는 산과 골의 반복이므로 인접한면 사이의 거리도 길어진다. 내전압은 나사의 길이, 지름, 피치 등을 바꾸므로서 조정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제17도의 테이퍼부(316)에 절연성의 실리콘 고무(317)를 도포하면서 고압출력 리드선(307)을 비틀어넣는다. 실리콘 고무(317)를 도포하므로서 그것이 윤활제로 되어 비틀어넣기 작업이 용이하다.
또, 실리콘 고무(317)가 나사(313)의 틈에 들어가, 밀봉되어서 내전압이 두드러지게 향상한다. 또한, 실리콘 고무(317)를 경화시키면 고압 출력 리드선(307)과 나사(313)가 일체로 접착하고, 고압 출력 리드선(307)에 외력을 가해도 움직이는 일이 없고 기계적 강도가 현저하게 증가되어서 신뢰성이 향상한다.
실리콘 고무(317) 대신에 에폭시 수지를 사용해도 마찬가지 효과가 얻어지며 강도나 내습성도 향상한다.
[발명의 효과]
상기 제1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포커스 및 스크린 출력용의 리드의 선단부를 플라스틱으로 인서트 성형하여 접속기로 하고, 이것을 안내홈으로부터 삽입해서 도전 고무에 찔러넣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종래 같이 단자나 이것에 접속하는 스프링, 고무제의 튜브, 금속제 소켓등이 불필요해지며, 부품 갯수 및 조립 공정의 삭감, 소형화, 비용의 저감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압 콘덴서의 중심에 설치한 절연통을 케이블에 형성한 고압리드 인출통부에 끼워맞춤 고정하므로서, 고압 콘덴서와 케이스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고, 또, 출력부 접속기를 절연통내의 고압 리드 인출통부에 배치하므로서 케이스에서 격리되게 함으로써 절연이 확실, 간단하며 게다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폐쇄부에 의해서 캡과 절연 홀더의 끼워맞춤과 동시에 캡의 구멍을 막고, 끼워맞춤 후에 캡을 벗기는 지그가 들어가는 틈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고압 출력 리드선의 부착에 따라서 영구 끼워맞춤이 된다. 이것으로 고압 출력 리드선을 실수로 벗기는 일이 없게 되며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3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절연통에 설치한 나사에 고압 출력 리드선을 비틀어 넣음으로서 고압 출력 리드선을 당겨도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비틀어 넣은 부분의 마찰, 압접력으로 인접한 면의 내전압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7)

  1. 포커스팩의 케이스에 짜넣어진 세라믹 저항기의 가변 저항기의 출력 꺼내기용 전극과 접촉하는 도전 고무를 그 케이스에 끼워넣고, 케이스에 이 도전 고무와 이어지는 안내홈을 설치하고, 포커스 및 스크린 출력용의 리드선의 선단부 부근을 플라스틱에 인서트 성형한 접속기를 안내홈에 삽입하고, 접속기로부터 돌출한 리드선의 심선을 도전 고무에 찔러꽂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의 심선으로서 단선, 또는 금속 코드에 의해서 단선화된 연선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3. 플라이백 변성기의 케이스내에 저압 코일과 고압 코일과 그 고압 코일의 출력부에 접속된 고압 콘덴서를 수납하고, 그 고압 콘덴서의 중심부에 리드선 인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절연통을 설치하고 그 절연통을 상기 케이스에 설치한 고압 리드 인출구통에 끼워맞추고, 그 고압 리드 인출통의 내부에 스톱퍼를 설치하고 이 스톱퍼의 고압 리드 인출구부와 반대측의 통내에 도전 고무를 삽입하고, 상기 도전 고무에 고압 콘덴서의 고압측 리드선, 다이오드의 리드선을 삽입하여 접속하고, 케이스 내부의 공간부에 절연재를 충전하고, 케이스에 설치한 고압 리드 인출구부로부터 고압 리드 인출통내로 고압 리드선을 삽입하고, 상기 고압 리드선의 선단을 도전 고무에 삽입하여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콘덴서는 필름을 여러개 겹쳐서 일부의 필름에 전극을 설치하고, 이들 필름을 상기 절연통을 중심으로 하여 원통모양으로 감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5. 고압 출력 리드선을 고정하기 위한 캡에 갈고리를 두고, 그 캡이 끼워맞추어지는 절연 홀더의 상기 갈고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그 갈고리가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한 플라이백 변성기에 있어서, 상기 캡의 갈고리를 설치하기 위해서 성형하는 구멍을 막는 폐쇄부를 상기 절연 홀더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6. 플라이백 변성기의 케이스에 일체로 절연통을 두고, 그 절연통의 내측의 소정 위치에 나사를 형성하고, 그 나사의 아래쪽에 도전 고무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절연통의 위쪽으로부터 고압 출력 리드선을 상기 나사에 비틀어넣고 고정하는 동시에 그 고압 출력 리드선의 선단 심선을 상기 도전 고무에 찔러꽂아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출력 리드선은 절연성의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상기 절연통에 나사식으로 끼워넣어져서 경화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변성기.
KR1019930016755A 1992-08-27 1993-08-27 플라이백 변성기 KR100246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28569 1992-08-27
JP22856992 1992-08-27
JP92-346587 1992-12-25
JP34658792 1992-12-25
JP166293 1993-01-26
JP93-1662 1993-01-26
JP93-53938 1993-03-15
JP5393893 1993-03-15
JP92-205350 1993-08-19
JP05205350A JP3122561B2 (ja) 1992-08-27 1993-08-19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JP93-205350 1993-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080A KR940005080A (ko) 1994-03-16
KR100246648B1 true KR100246648B1 (ko) 2000-03-15

Family

ID=2751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755A KR100246648B1 (ko) 1992-08-27 1993-08-27 플라이백 변성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22561B2 (ko)
KR (1) KR100246648B1 (ko)
TW (1) TW49903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2317B2 (ja) * 1995-02-27 2003-06-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JPH09232171A (ja) * 1996-02-23 1997-09-05 Acer Peripherals Inc フライバック変成器の出力リード線用の締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9031U (en) 2002-08-11
JPH06325944A (ja) 1994-11-25
JP3122561B2 (ja) 2001-01-09
KR940005080A (ko) 199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2240A (en) Method of connecting a coaxial cable to an electrical connector
EP3584889A1 (en) Connector device
EP0445283B1 (en) Combustion ignitor
US2583804A (en) Motor winding
US6201350B1 (en) Discharge lamp light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70215307A1 (en) Shielded Cable Terminal Assembly
KR100246648B1 (ko) 플라이백 변성기
CN111834774A (zh) 连接器、阻抗改善件、连接组件、改善连接器阻抗的方法
DE10128279A1 (de) Transformatorvorrichtung, Hochspannungsgenerator mit der Transformatorvorrichtung und Beleuchtungssystem mit der Tranformatvorrichtung
US4205891A (en)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suppressor connector
US4810899A (en) High-voltage connection device, especially for a high-voltage transformer, without lead-out cables and with detachable potentiometer set
JPH0642950B2 (ja) 静電式塗料スプレーガンとその製造方法
EP0109836B1 (en) Bushing
CN113451817A (zh) 一种双接触式结构的电缆连接器
EP0322160A2 (en) Cable seals
GB1338921A (en) Method of securing end contacts to electrical cables
US6327133B1 (en) Nylon shell doghouse capacitor assembly
CN211605476U (zh) 一种双接触式结构的电缆连接器
JP3352529B2 (ja) 接続箱用ケーブル端末構造およびその外方プラグ
KR910006685B1 (ko) 고전압 발생기
TWI693619B (zh) 電容器複合構件
CN217114954U (zh) 高压矩形连接器
CN110942873B (zh) 导电连接组件及罐式避雷器
EP0362777A1 (en) High tension cable device
US3718844A (en) Capacitor with terminal cl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