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586B1 - 금형의 다이와 이 금형의 다이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금형의 다이와 이 금형의 다이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586B1
KR100246586B1 KR1019970036529A KR19970036529A KR100246586B1 KR 100246586 B1 KR100246586 B1 KR 100246586B1 KR 1019970036529 A KR1019970036529 A KR 1019970036529A KR 19970036529 A KR19970036529 A KR 19970036529A KR 100246586 B1 KR100246586 B1 KR 100246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hole
groove
mold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947A (ko
Inventor
김용길
정경균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70036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58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20Making tool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금형의 다이와 이 다이 가공방법을 개시한다. 이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은 제1부재의 중앙부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결합공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2부재의 가장자리에 관통공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부재의 결합공에 제1부재를 결합하는 제3단계와, 결합되어 일체화된 제1,2부재의 홈에 전극을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을 방전가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가공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이고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금형의 다이 및 이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
본 발명은 금형의 다이 및 이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리드 프레임을 펀칭하기 위한 금형의 다이와 이 금형의 다이를 방전가공방법에 의해 가공하는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방전가공(electro-discharge machining; EDM)은 가공전극과 공작물을 등유와 같은 액중에서 0.04 내지 0.05mm 정도의 간극을 두고 소정의 전압을 걸어주면 표면의 작은 돌기부에서 방전이 일어나고, 이 방전에 의해 기름 및 공작물이 증발 및 용융되며, 용융된 부분이 제거 됨으로써 공작물을 가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전가공은 가공이 복잡한 형상이나 초경합금 등의 가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전가공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함에 있어서, 공작물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공하거나 절단가공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와이어(wire)가 이용된다.
상술한 방전가공법을 이용하여 리드 프레임을 펀칭하기 위한 금형을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드 프레임을 타발하기 위한 금형중 다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에 펀치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12)이 중앙부를 중심으로하여 형성된 것으로 그 배열 상태가 리드 프레임의 형상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각을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리드 프레임의 다이(10)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소재(100)의 표면을 가공한 후 상기 관통공이 형성될 위치에 드릴(super drill;111)을 이용하여 와이어 결선용 홀(strat hole;101)를 형성한다.(도 2a) 상기와 같이 와이어 결선용 홀(101)의 형성이 완성되면 와이어(200)를 상기 결선용홀(101)을 통하여 삽입한 후 이 와이어(200)를 음극으로 하고 상기 소재를 양극으로하여 관통공을 가공한다.(도 2b)
상술한 바와 같이 금형의 다이를 방전가공하는 것은 사각을 이루는 관통공의 완성치수가 0.3×3.7mm 정도이므로 와이어에 의한 관통공의 완성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선용 홀(101)의 자국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다이를 이루는 소재를 복수개로 분할한 후 분할된 경계부를 중심으로하여 양측을 연삭각공하여 관통공을 형성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관통공을 연삭가공하는 것은 다이의 수재를 분할 가공하므로 개별부품의 정밀도를 향상시켜야하고, 조립시에 관통공의 가공에 따른 오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통공의 배열에 따른 가공이 어려우며 가공시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펀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의 정밀도가 향상된 금형의 다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가공에 따른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금형의 다이를 도시한 사시도.
제2a도와 제2b도는 종래 금형이 가공방법을 단계별로 도시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A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사시도.
제5a도 내지 제5d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가공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제1부재 311 : 결합공
320 : 제2부재 330 : 관통공
340 :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금형 다이는 중앙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이 결합공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이루는 제1요홈이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제1요홈과 더불어 상기 펀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이루는 제2요홈이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펀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에 있어서, 제1부재의 중앙부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결합공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2부재의 가장자리에 관통공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부재의 결합공에 제1부재를 결합하는 제3단계와, 결합되어 일체화 된 제1,2부재의 홈에 전극을 삽입하여 상기 홈을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관통공을 방전가공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드 프레임을 펀칭하기 위한 금형은 펀치와 이 펀치가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이를 포함하는데, 상기 다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결합공(311)이 형성되며 결합공(3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관통공(330)의 일부를 이루는 제1요홈(312)이 형성된 제1부재(310)와, 상기 제1부재(310)의 결합공(311)에 결합되며 상기 제1요홈(312)과 더불어 상기 펀치가 삽입되는 관통공(330)을 이루는 제2요홈(321)이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부재(3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부재(320)의 하면에는 제1부재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32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금형의 다이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310)의 중앙부에 결합공(311)을 형성하는 제1단계를 수행한다. 이 제1단계에서는 상기 제1부재(310)이 표면의 조도가 소정값이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공(311)은 방전가공방법에 의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부재(310)의 가공시 완료되면 상기 제1부재(310)의 결합공(311)에 끼워지는 제2부재(320)을 가공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는데, 이 제2부재의 가공은 그 크기가 상기 결합공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가공한다. 그리고 제2부재(3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관통공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홈(340)을 형성한다. 상기 제2부재(320)의 가장자리에 홈(340)은 연삭가공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2부재(310)(320)의 가공이 완료되면 결합공(311)에 제2부재(320)를 억지 끼워맞춤하여 결합하는 제3단계를 수행하고, 결합이 완료된 제1,2부재(310)(320)을 연삭하여 평면도를 맞춘다. 제1,2부재(310)(3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1,2부재(310)(320)의 홈(340)에 전극을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330)을 방전가공하는 제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방전가공은 와이어로 이루어진 전극을 상기 홈(340)에 삽입한 후 요홈을 시작점으로하여 관통공(330)의 궤적을 따라 가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금형의 다이 및 금형의 다이 가공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관통공을 형성함에 있어서 관통공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홈을 시작점으로하여 방전가공하게 되므로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가공이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간단하므로 가공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셋째; 가공에 따른 불량율을 줄일 수 있다.
넷째; 다이를 여러개로 분할하지 않아도 되므로 다이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일예로들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원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상기 다이의 가공방법은 리드 프레임을 펀칭하기 위한 다이의 가공 뿐만아니라 와이어를 이용한 공작물의 방전가공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중앙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결합공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관통공의 일부를 이루는 제1요홈이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결합공에 결합되며 상기 제1요홈과 더불어 상기 펀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이루는 제2요홈이 그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의 하면에 이로부터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다이.
  3.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에 있어서, 제1부재의 중앙부에 결합공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결합공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제2부재의 가장자리에 관통공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부재의 결합공에 제1부재를 결합하는 제3단계와, 결합되어 일체화된 제1,2부재의 홈에 전극을 삽입하여 상기 관통공을 방전가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을 연삭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 있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억지 끼워 맞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다이 가공방법.
KR1019970036529A 1997-07-31 1997-07-31 금형의 다이와 이 금형의 다이가공방법 KR100246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529A KR100246586B1 (ko) 1997-07-31 1997-07-31 금형의 다이와 이 금형의 다이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529A KR100246586B1 (ko) 1997-07-31 1997-07-31 금형의 다이와 이 금형의 다이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947A KR19990012947A (ko) 1999-02-25
KR100246586B1 true KR100246586B1 (ko) 2000-04-01

Family

ID=1951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529A KR100246586B1 (ko) 1997-07-31 1997-07-31 금형의 다이와 이 금형의 다이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31B1 (ko) * 2002-01-23 2007-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고정구조
KR101632320B1 (ko) 2015-06-30 2016-06-21 (주) 엠에스텍 다이 중앙에 장착된 복수의 하위 코어로 구성된 코어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의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947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511A (en) Composite lead frame manufacturing method
CA2460705C (en) Non-serapating diffuser for holes produced by a two-step process
US20030075034A1 (en) Two-piece metal punch construction and method for making
KR100246586B1 (ko) 금형의 다이와 이 금형의 다이가공방법
JP3546915B2 (ja) 交差穴加工方法および穴加工用工具
CN108971674B (zh) 一种电解加工微沟槽的装置及电解加工方法
US6282787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an electronic part absorbing nozzle
JP3136522B2 (ja) 陰極線管電子銃電極
CN219724872U (zh) 一种多边形引脚钎焊治具
CN116786920B (zh) 电火花加工方法及加工设备
JPH04336919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に於けるスパイラル加工方法
WO2023195526A1 (ja) 電解コンデンサ用リード端子、圧延部の製造装置、及び、圧延部の製造方法
KR100564179B1 (ko)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JPH027774B2 (ko)
JP2002263954A (ja) ハイポイドギヤの加工用受け治具
JPH0418737Y2 (ko)
JPS6120629A (ja) バ−リング加工方法
JPH10201186A (ja) 打ち抜き方式のコイルの製造方法
JPH09199660A (ja) 半導体搭載用基板
JP3006321U (ja) ペジャー用モータの振動発生部
SU1077740A1 (ru) Способ электроэрозион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 пуансона вырубного штампа
JPH02112310A (ja) 水晶振動子の保持構造
JPH04301334A (ja) 電子銃用電極構体の製造方法
JPH05237725A (ja) 放電加工用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2157729A (ja) 小径穴抜用プレス金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