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545B1 - Х-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Х-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545B1
KR100246545B1 KR1019970054427A KR19970054427A KR100246545B1 KR 100246545 B1 KR100246545 B1 KR 100246545B1 KR 1019970054427 A KR1019970054427 A KR 1019970054427A KR 19970054427 A KR19970054427 A KR 19970054427A KR 100246545 B1 KR100246545 B1 KR 100246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membrane
ray absorber
tee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158A (ko
Inventor
최상수
유형준
정해빈
Original Assignee
정선종
대한민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대한민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5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545B1/ko
Publication of KR1999003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2Masks or mask blanks for imaging by radiation of 100nm or shorter wavelength, e.g. X-ray masks, extreme ultraviolet [EUV] masks;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0Masks or mask blanks for imaging by charged particle beam [CPB] radiation, e.g. by electron beam;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6Phase shift masks [PSM]; PSM blanks; Preparation thereof
    • G03F1/32Attenuating PSM [att-PSM], e.g. halftone PSM or PSM having semi-transparent phase shift portion;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058Mask illumination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25Imaging strategies, e.g. for increasing throughput or resolution, printing product fields larger than the image field or compensating lithography- or non-lithography errors, e.g. proximity correction, mix-and-match, stitching or double patter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aAs의 햄트(HEMTs) 소자 개발에 필요한 티형 및 감마형 게이트와 같은 특수 게이트(special gate) 제작에 사용되는 X-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X-선 마스크를 사용하여 티형 게이트를 제작할 때, 티형 게이트의 풋프린터(footprint)를 X-선 리소그래피를 통해 먼저 형성시킨 후, 다시 광 리소그래피로 헤드(Head)부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리소그래피를 다시 수행하는 등 공정상의 절차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풋프린터 부분에 해당되는 X-선 흡수체와 헤드 부분에 해당되는 X-선 흡수체의 두께를 달리하여 X-선 투과도를 조절하고, 이들 X-선 흡수체가 마스크 기판에 동시에 존재하도록 X-선 마스크를 제작하므로써, 한번의 X-선 리소그래피로 티형 및 감마형 게이트와 같은 특수 게이트를 웨이퍼상에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Х-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마스크 패턴에 X-선을 노광시켜 그 마스크 패턴에 해당하는 형상을 웨이퍼 표면에 전사할 때 사용되는 X-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GaAs의 햄트(HEMTs) 소자 개발에 필요한 티형 및 감마형 게이트와 같은 특수 게이트(special gate) 제작에 사용되는 X-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X-선 마스크의 제조공정을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기판(11) 상하부에 X-선 투과체(12A 및 12B)를 형성한 후, 상부 X-선 투과체(12A)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하부 X-선 투과체(12B) 및 마스크 기판(11)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상부 X-선 투과체(12A)상에 레지스트(13)를 도포한다(도 1a). 노출된 상부 X-선 투과체(12A) 부분이 멤브레인(membrane; 14)이 된다. 멤브레인(14)은 X-선이 잘 투과되도록 약 2 ㎛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레지스트(13)를 전자빔을 이용한 노광 공정 및 현상공정을 수행하여 멤브레인(14) 부분에 레지스트 패턴(13A)을 형성한다(도 1b).
전기도금으로 레지스트 패턴(13A)사이로 노출된 멤브레인(14)상에 X-선 흡수체(15)를 성장시킨다(도 1c).
레지스트(13)를 제거한 후, 하부 X-선 투과체(12B)의 가장자리부분을 따라 파이렉스 링(Pyrex ring : 16) 형성하여 X-선 마스크가 완성된다(도 1d). 파이렉스 링(16)은 역학적으로 튼튼한 지지대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X-선 마스크는, 상술한 바와같이,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기판(11), 역학적으로 튼튼한 지지대 역할을 하는 파이렉스 링(16), X-선을 잘 투과시키는 멤브레인(14) 및 X-선을 잘 흡수하는 X-선 흡수체(15)로 구성된다. 그런데, X-선 흡수체(15)가 있는 멤브레인(14) 부분은 X-선이 전혀 투과하지 않고, X-선 흡수체(15)가 없는 멤브레인(14) 부분은 X-선이 모두 투과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이러한 X-선 마스크를 사용하여 티형 게이트와 같은 특수 게이트를 제작할 때, 티형 게이트의 풋프린터(footprint)를 X-선 리소그래피를 통해 먼저 형성시킨 후, 다시 광 리소그래피로 헤드(Head)부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리소그래피를 다시 수행하는 등 공정상의 절차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X-선 리소그래피를 통해 티형 및 감마형 게이트와 같은 특수 게이트를 한번의 X-선 리소그래피를 통해 형성시킬 수 있는 X-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X-선 마스크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기판, 멤브레인, X-선 흡수체 및 마스크 기판 뒷면에 형성된 파이렉스 링으로 구성된 X-선 마스크에 있어서,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대응되는 X-선 흡수체와,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대응되는 X-선 흡수체가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에 적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 한다.
또한, 본 발명의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은 멤브레인이 형성된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민감도가 우수한 레지스트와 민감도가 작은 레지스트를 상기 멤브레인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도포하거나,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적층되도록 도포하는 단계; 전자빔을 이용한 자기정렬식 노광법, 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및 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레지스트들을 노광시키고,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레지스트 패턴들을 형성하는 단계; 전기 도금을 실시하여,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대응되는 X-선 흡수체와,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대응되는 X-선 흡수체가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거나, 상기 멤브레인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레지스트 패턴들을 제거한 후, 상기 기판 뒷면에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마스크 기판 12A 및 12B: X-선 투과체
13: 레지스트 13A: 레지스트 패턴
14: 멤브레인 15: X-선 흡수체
16: 파이렉스 링
21, 31, 41, 51, 61, 71, 81, 91, 101, 111, 121 및 131: 멤브레인
22, 32, 42, 82, 92 및 102: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22A, 32A, 42A, 82A, 92A 및 102A: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
23, 33, 43, 83, 93 및 103: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23A, 33A, 43A, 83A, 93A 및 103A: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
52, 62, 72, 112, 122 및 132: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52A, 62A, 72A, 112A, 122A 및 132A: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
53, 63, 73, 113, 123 및 133: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53A, 63A, 73A, 113A, 123A 및 133A: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
24, 34, 44, 54, 64, 74, 84, 94, 104, 114, 124 및 134: 제 1 X-선 흡수체
25, 35, 45, 55, 65, 75, 85, 95, 105, 115, 125 및 135: 제 2 X-선 흡수체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들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기판, 멤브레인, X-선 흡수체 및 마스크 뒷면에 접착한 파이렉스 링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X-선 마스크에서, 멤브레인 부분과 X-선 흡수체 부분만을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X-선 마스크 제조공정은 통상의 공정으로 멤브레인 부분을 형성한 상태에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positive resist; 22)는 멤브레인(21) 상부에 도포되고,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23)는 멤브레인(21) 하부에 도포된다.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2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sensitivity)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22) 보다 우수한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22 및 23)를 고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22A 및 23A)을 형성한다. 민감도가 낮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22)는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제거되어 개방(open) 부분이 좁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2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23)는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22)와 멤브레인(21)을 투과하여 산란된 전자에 의해 자동적으로(자기정렬식 노광법) 노광된 부분이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넓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23A)이 형성된다. 전자빔 리소그래피 장치의 가속 전압이 40 kV 이상이 되면 전자빔이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멤브레인 뒤쪽에 있는 레지스트에 충분히 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전자 산란이 일어난다.
도 2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22A)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 멤브레인(21)에 제 1 X-선 흡수체(24)가 형성되며, 동시에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23A)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 멤브레인(21)에 제 2 X-선 흡수체(25)가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24 및 2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24 및 2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22A 및 2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티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32)는 멤브레인(31) 상부에 도포되고,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33)는 멤브레인(31) 하부에 도포된다.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3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32) 보다 우수한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32 및 33)를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32A 및 33A)을 형성한다.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의 분포는 티형이 되도록 고전압 전자빔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저전압 전자빔이 분포되도록 한다(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민감도가 낮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32)는 저전압 전자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전압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좁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3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33)는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32)와 멤브레인(31)을 투과한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넓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33A)이 형성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32A)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 멤브레인(31)에 제 1 X-선 흡수체(34)가 형성되며, 동시에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33A)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 멤브레인(31)에 제 2 X-선 흡수체(35)가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34 및 3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34 및 3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32A 및 3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티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42)는 멤브레인(41) 상부에 도포되고,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43)는 멤브레인(41) 하부에 도포된다.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4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42) 보다 우수한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42 및 43)를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42A 및 43A)을 형성한다.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의 분포는 감마형이 되도록 고전압 전자빔과 저전압 전자빔이 나란히 분포되도록 한다(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 민감도가 낮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42)는 저전압 전자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전압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좁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4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43)는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42)와 멤브레인(41)을 투과한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넓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43A)이 형성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42A)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 멤브레인(41)에 제 1 X-선 흡수체(44)가 형성되며, 동시에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43A)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 멤브레인(41)에 제 2 X-선 흡수체(45)가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44 및 4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44 및 4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42A 및 4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감마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1, 2 및 3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는 민감도가 다른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이용하고, 전자빔을 이용한 자기정렬식 노광법, 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또는 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으로 멤브레인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대응되는 제 1 X-선 흡수체가 형성되고, 멤브레인 하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대응되는 제 2 X-선 흡수체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X-선 마스크에 X-선을 투과시킬 경우, 제 1 X-선 흡수체, 멤브레인 및 제 2 X-선 흡수체가 중첩된 부분에서의 X-선 투과율은 0%에 가깝고, 멤브레인 및 제 2 X-선 흡수체가 중첩된 부분에서의 X-선 투과율은 약 50%이고, 멤브레인만 있는 부분에서의 투과율은 100%에 가깝게되기 때문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공간 이미지 패턴을 웨이퍼(도시않음)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2 및 3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는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및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bar pattern)으로 된 제 1 및 2 X-선 흡수체이기 때문에, 실제 웨이퍼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를 제작하기 위해 웨이퍼상에 도포되는 레지스트는 네거티브형을 사용하여야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 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negative resist; 52)는 멤브레인(51) 상부에 도포되고,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53)는 멤브레인(51) 하부에 도포된다.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5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52) 보다 우수한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52 및 53)를 고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52A 및 53A)을 형성한다. 민감도가 낮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52)는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좁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5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53)는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52)와 멤브레인(51)을 투과하여 산란된 전자에 의해 자동적으로(자기정렬식 노광법) 노광된 부분이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넓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53A)이 형성된다. 전자빔 리소그래피 장치의 가속 전압이 40 kV 이상이 되면 전자빔이 멤브레인을 통과하여 멤브레인 뒤쪽에 있는 레지스트에 충분히 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전자 산란이 일어난다.
도 5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52A)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멤브레인(51)에 제 1 X-선 흡수체(54)가 형성되며, 동시에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53A)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멤브레인(51)에 제 2 X-선 흡수체(55)가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54 및 5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54 및 5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52A 및 5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티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62)는 멤브레인(61) 상부에 도포되고,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63)는 멤브레인(61) 하부에 도포된다.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6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62) 보다 우수한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62 및 63)를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62A 및 63A)을 형성한다.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의 분포는 티형이 되도록 고전압 전자빔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저전압 전자빔이 분포되도록 한다(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민감도가 낮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62)는 저전압 전자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전압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좁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6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63)는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62)와 멤브레인(61)을 투과한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넓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63A)이 형성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62A)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멤브레인(61)에 제 1 X-선 흡수체(64)가 형성되며, 동시에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63A)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멤브레인(61)에 제 2 X-선 흡수체(65)가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64 및 6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64 및 6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62A 및 6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티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72)는 멤브레인(71) 상부에 도포되고,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73)는 멤브레인(71) 하부에 도포된다.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7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72) 보다 우수한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72 및 73)를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72A 및 73A)을 형성한다.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의 분포는 감마형이 되도록 고전압 전자빔과 저전압 전자빔이 나란히 분포되도록 한다(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 민감도가 낮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72)는 저전압 전자빔에 영향을 받지않고 고전압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좁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7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73)는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72)와 멤브레인(71)을 투과한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넓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73A)이 형성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72A)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멤브레인(71)에 제 1 X-선 흡수체(74)가 형성되며, 동시에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73A)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멤브레인(71)에 제 2 X-선 흡수체(75)가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74 및 7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74 및 7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72A 및 7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감마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4, 5 및 6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는 민감도가 다른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이용하고, 전자빔을 이용한 자기정렬식 노광법, 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또는 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으로 멤브레인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대응되는 제 1 X-선 흡수체가 형성되고, 멤브레인 하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대응되는 제 2 X-선 흡수체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X-선 마스크에 X-선을 투과시킬 경우, 제 1 X-선 흡수체, 멤브레인 및 제 2 X-선 흡수체가 중첩된 부분에서의 X-선 투과율은 0%에 가깝고, 멤브레인 및 제 2 X-선 흡수체가 중첩된 부분에서의 X-선 투과율은 약 50%이고, 멤브레인만 있는 부분에서의 투과율은 100%에 가깝게되기 때문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공간 이미지 패턴을 웨이퍼(도시않음)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5 및 6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는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및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제 1 및 2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define)된 홀 패턴(hole pattern) 이기 때문에 실제 웨이퍼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를 제작하기 위해 웨이퍼상에 도포되는 레지스트는 포지티브형을 사용하여야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 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멤브레인(81) 상부에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83) 및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82)가 순차적으로 도포된다.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8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82) 보다 우수한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82 및 83)를 고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82A 및 83A)을 형성한다. 민감도가 낮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82)는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좁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8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83)는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82)를 투과하여 산란된 전자에 의해 자동적으로(자기정렬식 노광법) 노광된 부분이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넓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83A)이 형성된다. 전자빔 리소그래피 장치의 가속 전압이 40 kV 이상이 되면 전자빔이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82)를 통과하여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83)에 충분히 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전자 산란이 일어난다.
도 8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82A 및 83A)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 멤브레인(81)에 제 1 및 2 X-선 흡수체(84 및 85)가 일체화로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84 및 8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84 및 8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82A 및 8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티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멤브레인(91) 상부에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93) 및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92)가 순차적으로 도포된다.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9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92) 보다 우수한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92 및 93)를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92A 및 93A)을 형성한다.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의 분포는 티형이 되도록 고전압 전자빔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저전압 전자빔이 분포되도록 한다(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민감도가 낮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92)는 저전압 전자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전압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좁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9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93)는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92)를 투과한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넓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93A)이 형성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92A 및 93A)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 멤브레인(91)에 제 1 및 2 X-선 흡수체(94 및 95)가 일체화로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94 및 9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94 및 9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92A 및 9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티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멤브레인(101) 상부에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103) 및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102)가 순차적으로 도포된다.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10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102) 보다 우수한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102 및 103)를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102A 및 103A)을 형성한다.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의 분포는 감마형이 되도록 고전압 전자빔과 저전압 전자빔이 나란히 분포되도록 한다(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 민감도가 낮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102)는 저전압 전자빔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전압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좁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10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103)는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102)를 투과한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제거되어 개방 부분이 넓은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103A)이 형성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102A 및 103A)의 개방된 부분으로 노출된 멤브레인(101)에 제 1 및 2 X-선 흡수체(104 및 105)가 일체화로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104 및 10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104 및 10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102A 및 10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감마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7, 8 및 9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는 민감도가 다른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이용하고, 전자빔을 이용한 자기정렬식 노광법, 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또는 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으로 멤브레인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대응되는 제 2 X-선 흡수체가 형성되고, 제 2 X-선 흡수체 상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대응되는 제 1 X-선 흡수체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X-선 마스크에 X-선을 투과시킬 경우, 제 1 X-선 흡수체, 제 2 X-선 흡수체 및 멤브레인이 중첩된 부분에서의 X-선 투과율은 0%에 가깝고, 제 2 X-선 흡수체 및 멤브레인이 중첩된 부분에서의 X-선 투과율은 약 50%이고, 멤브레인만 있는 부분에서의 투과율은 100%에 가깝게되기 때문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공간 이미지 패턴을 웨이퍼(도시않음)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8 및 9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는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및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bar pattern)으로 된 제 1 및 2 X-선 흡수체 이기 때문에, 실제 웨이퍼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를 제작하기 위해 웨이퍼상에 도포되는 레지스트는 네거티브형을 사용하여야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 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멤브레인(111) 상부에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13) 및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12)가 순차적으로 도포된다.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1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12) 보다 우수한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112 및 113)를 고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12A 및 113A)을 형성한다. 민감도가 낮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12)는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좁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1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13)는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12)를 투과하여 산란된 전자에 의해 자동적으로(자기정렬식 노광법) 노광된 부분이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넓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13A)이 형성된다. 전자빔 리소그래피 장치의 가속 전압이 40 kV 이상이 되면 전자빔이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12)를 통과하여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13)에 충분히 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전자 산란이 일어난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12A 및 113A)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멤브레인(111)에 제 1 및 2 X-선 흡수체(114 및 115)가 일체화로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114 및 11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114 및 11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12A 및 11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티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멤브레인(121)상부에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23) 및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22)가 순차적으로 도포된다.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2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22) 보다 우수한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122 및 123)를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22A 및 123A)을 형성한다.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의 분포는 티형이 되도록 고전압 전자빔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 저전압 전자빔이 분포되도록 한다(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민감도가 낮은 제 1 네가티브 레지스트(122)는 저전압 전자빔에 영향을 받지않고 고전압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좁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2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23)는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22)를 투과한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넓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23A)이 형성된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22A 및 123A)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멤브레인(121)에 제 1 및 2 X-선 흡수체(124 및 125)가 일체화로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124 및 12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124 및 12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22A 및 12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티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멤브레인(131) 상부에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33) 및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32)가 순차적으로 도포된다.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33)는 전자빔에 대한 민감도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32) 보다 우수한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사용한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132 및 133)를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을 이용하여 노광시키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32A 및 133A)을 형성한다.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의 분포는 감마형이 되도록 고전압 전자빔과 저전압 전자빔이 나란히 분포되도록 한다(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 민감도가 낮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32)는 저전압 전자빔에 영향을 받지않고 고전압 전자빔에 직접 노광된 부분만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좁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32A)이 형성되고, 민감도가 높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133)는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132)를 투과한 고전압 및 저전압 전자빔에 의해 노광된 부분이 남게되어 패턴 부분이 넓은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33A)이 형성된다.
도 13c를 참조하면, 전기도금을 실시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32A 및 133A)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멤브레인(131)에 제 1 및 2 X-선 흡수체(134 및 135)가 일체화로 형성된다. 제 1 및 2 X-선 흡수체(134 및 135)는 Au, Ta, W등으로 이루어지며, 각 흡수체(134 및 135)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132A 및 133A)을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감마형 게이트 형성용 X-선 마스크가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 10, 11 및 12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는 민감도가 다른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이용하고, 전자빔을 이용한 자기정렬식 노광법, 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또는 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으로 멤브레인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대응되는 제 2 X-선 흡수체가 형성되고, 제 2 X-선 흡수체상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대응되는 제 1 X-선 흡수체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X-선 마스크에 X-선을 투과시킬 경우, 제 1 X-선 흡수체, 제 2 X-선 흡수체 및 멤브레인이 중첩된 부분에서의 X-선 투과율은 0%에 가깝고, 제 2 X-선 흡수체 및 멤브레인이 중첩된 부분에서의 X-선 투과율은 약 50%이고, 멤브레인만 있는 부분에서의 투과율은 100%에 가깝게되기 때문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공간 이미지 패턴을 웨이퍼(도시않음)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11 및 12 실시예에 따른 X-선 마스크는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및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제 1 및 2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define)된 홀 패턴(hole pattern)이기 때문에 실제 웨이퍼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를 제작하기 위해 웨이퍼상에 도포되는 레지스트는 포지티브형을 사용하여야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 레지스트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종래 티형 게이트를 제작할 때는 X-선 마스크를 사용하여 티형 게이트의 풋프린트(Footprint)를 X-선 리소그래피을 통해 먼저 형성 시킨 후 다시 리소그래피으로 헤드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종래 방법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두 번에 걸친 리소그래피을 수행해야 하는 등 공정이 복잡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X- 선 마스크를 이용하면 한번의 X-선 리소그래피으로 원하는 헤드 및 풋프린트를 가지는 게이트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이 단순화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X-선 마스크는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와 같은 특수 게이트의 풋프린터 부분에 해당되는 X-선 흡수체와 헤드 부분에 해당되는 X-선 흡수체의 두께를 달리하여 X-선 투과도를 조절하고, 이들 X-선 흡수체가 마스크 기판에 동시에 존재하도록 X-선 마스크를 제작하므로써, 한번의 X-선 리소그래피로 티형 및 감마형 게이트와 같은 특수 게이트를 웨이퍼상에 창출할 수 있다.

Claims (22)

  1.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기판, 멤브레인, X-선 흡수체 및 마스크 기판 뒷면에 형성된 파이렉스 링으로 구성된 X-선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형성되며,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으로 된 제 1 X-선 흡수체와,
    상기 멤브레인 하부에 형성되며,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으로 된 제 2 X-선 흡수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X-선 흡수체 각각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X-선 흡수체와 상기 제 2 X-선 흡수체는 상기 멤브레인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4.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기판, 멤브레인, X-선 흡수체 및 마스크 기판 뒷면에 형성된 파이렉스링으로 구성된 X-선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형성되며,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홀 패턴이 되도록 형성된 제 1 X-선 흡수체와,
    상기 멤브레인 하부에 형성되며,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홀 패턴이 되도록 형성된 제 2 X-선 흡수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X-선 흡수체 각각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된 홀 패턴과 상기 제 2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된 홀 패턴은 상기 멤브레인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7.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기판, 멤브레인, X-선 흡수체 및 마스크 기판 뒷면에 형성된 파이렉스 링으로 구성된 X-선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형성되며,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으로 된 제 2 X-선 흡수체와,
    상기 제 2 X-선 흡수체 상부에 형성되며,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으로 된 제 1 X-선 흡수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X-선 흡수체 각각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9.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기판, 멤브레인, X-선 흡수체 및 마스크 기판 뒷면에 형성된 파이렉스링으로 구성된 X-선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형성되며,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홀 패턴이 되도록 형성된 제 2 X-선 흡수체와,
    상기 제 2 X-선 흡수체 상부에 형성되며,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홀 패턴이 되도록 형성된 제 1 X-선 흡수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X-선 흡수체 각각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된 홀 패턴과 상기 제 2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된 홀 패턴은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12. 멤브레인이 형성된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민감도가 작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상기 멤브레인 하부에 민감도가 우수한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전자빔을 이용한 자기정렬식 노광법, 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및 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노광시키고,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기 도금을 실시하여,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으로 된 제 1 X-선 흡수체를 형성하고, 상기 멤브레인 하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으로 된 제 2 X-선 흡수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기판 뒷면에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X-선 흡수체 각각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X-선 흡수체와 상기 제 2 X-선 흡수체는 상기 멤브레인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15. 멤브레인이 형성된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민감도가 작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상기 멤브레인 하부에 민감도가 우수한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전자빔을 이용한 자기정렬식 노광법, 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및 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노광시키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기 도금을 실시하여,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홀 패턴으로 된 제 1 X-선 흡수체를 형성하고, 상기 멤브레인 하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홀 패턴으로 된 제 2 X-선 흡수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기판 뒷면에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X-선 흡수체 각각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된 홀 패턴과 상기 제 2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된 홀 패턴은 상기 멤브레인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18. 멤브레인이 형성된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민감도가 우수한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상기 제 2 포지티브 레지스트 상부에 민감도가 작은 제 1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전자빔을 이용한 자기정렬식 노광법, 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및 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를 노광시키고, 노광된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기 도금을 실시하여,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으로 된 제 2 X-선 흡수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X-선 흡수체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바아 패턴으로 된 제 1 X-선 흡수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2 포지티브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기판 뒷면에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X-선 흡수체 각각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20. 멤브레인이 형성된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민감도가 우수한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상기 제 2 네거티브 레지스트 상부에 민감도가 작은 제 1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도포하는 단계;
    전자빔을 이용한 자기정렬식 노광법, 티형 도즈 분리 노광법 및 감마형 도즈 분리 노광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를 노광시키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전기 도금을 실시하여, 상기 멤브레인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헤드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홀 패턴으로 된 제 2 X-선 흡수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X-선 흡수체 상부에 티형 또는 감마형 게이트의 풋프린트 부분에 직접 대응되는 부분이 홀 패턴으로 된 제 1 X-선 흡수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2 네거티브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한 후, 상기 기판 뒷면에 파이렉스 링을 형성하는 단계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X-선 흡수체 각각의 두께는 X-선 투과율이 약 5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된 홀 패턴과 상기 제 2 X-선 흡수체에 의해 정의된 홀 패턴은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마스크 제조 방법.
KR1019970054427A 1997-10-23 1997-10-23 Х-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246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427A KR100246545B1 (ko) 1997-10-23 1997-10-23 Х-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427A KR100246545B1 (ko) 1997-10-23 1997-10-23 Х-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58A KR19990033158A (ko) 1999-05-15
KR100246545B1 true KR100246545B1 (ko) 2000-06-01

Family

ID=1952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427A KR100246545B1 (ko) 1997-10-23 1997-10-23 Х-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5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58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3018A (en) Pattern writing method during X-ray mask fabrication
TW462073B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2000331928A (ja) リソグラフ方法
KR20020072533A (ko) 하부 해상도 정렬 마크 윈도우를 구비하는 사진 식각 마스크
US5922495A (en) Mask for use in stitching exposure process
KR100412017B1 (ko) 노광방법 및 이 방법용 x선마스크구조체
KR100246545B1 (ko) Х-선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04071767A (ja) マスク、露光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943829A (ja) マスク、これを用いた露光装置やデバイス生産方法
US6645707B2 (e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GB2089524A (en) High Resolution Lithographic Progress
US4557986A (en) High resolution lithographic process
US5928814A (en) Photomask controlling transmissivity by using an impurity-containing film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JPH0992599A (ja) X線露光用マスクの作製方法及び該x線露光用マスクを用いたx線露光方法、及びx線露光装置、及びこれ等を用いた半導体ディ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それで作られた半導体ディバイス
US6296987B1 (en) Method for forming different patterns using one mask
JPH0611827A (ja) ホトマスクおよびその修正方法
JPH04194939A (ja) マスク形成方法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KR0126878B1 (ko) 크롬마스크를 이용한 하프-톤 마스크 제작방법
JP2545431B2 (ja) リソグラフィ―用レチクルおよびレチクルパタ―ン転写方法
JP2933759B2 (ja) 位相シフトマスクの製造方法
JPH05204130A (ja) レチクル及びマスクとその製造方法
JPH0283545A (ja) 波長選択型フォトマスク
JP2000305276A (ja) 露光方法および装置
US20040209196A1 (en) [microlithographic process]
KR0135064B1 (ko) 편광층을 이용한 마스크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웨이퍼의 노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