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664B1 -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 Google Patents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664B1
KR100245664B1 KR1019970039357A KR19970039357A KR100245664B1 KR 100245664 B1 KR100245664 B1 KR 100245664B1 KR 1019970039357 A KR1019970039357 A KR 1019970039357A KR 19970039357 A KR19970039357 A KR 19970039357A KR 100245664 B1 KR100245664 B1 KR 10024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component
spontaneous
interface
cri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704A (ko
Inventor
노영욱
이광재
정훈
Original Assignee
김윤
주식회사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 주식회사삼양사 filed Critical 김윤
Priority to KR1019970039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66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4Selection or control of the temperature during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9Relax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 섬유로서 양성분의 계면의 접착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해서 양성분의 계면에서 한쪽성분이 다른쪽 성분쪽으로 원형의 혹, 또는 삼각형의 혹을 형성하거나 또는 양성분의 계면이 지그재그형태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양성분의 상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으며 고품질의 균일한 나선형 자발 고권축성이 발현된다.

Description

계면 접착성과 권축 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본 발명은 계면 접착성과 권축 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 권축 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섬유 횡단면상의 경계면 상하부에 각각 양성분의 일부분으로 되어있는 원형 또는 삼각형 모양의 혹을(제1a도 및 제1b도 참조) 접합시키거나 제1c도와 같이 섬유 계면에서 양성분을 약간씩 섞이도록 하여 계면의 접촉 면적 확대 및 접착성을 증대시켜줌으로써 이완 열처리 공정에서 자발 고권축 특성과 함께 권축구조를 나선형으로 해줌은 물론 고권축시 일어날 수 있는 상분리현상이 획기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자발권축섬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축성이나 고유특성이 다른 이종의 폴리머를 함께 복합 방사하여 단일 섬유로 제조시 단일 필라멘트의 횡단면을 편심 시스-코어(Sheath-core) 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형으로 배열시켜 제조한 복합섬유는 잠재 권축성을 지니며, 이를 이완 열처리하면 나선상의 권축을 발현시킨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진 바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권축성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는 각각 수축성이 다른 섬유를 이수축혼섬방식으로 하여 고권축성을 발현시키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일특개소 59-216934호), 둘째는 성질이 다른 이종의 폴리머를 단일섬유로 복합방사하여 제조하는 방법(일특개소 51-67421호)과 셋째로는 동일계 폴리머로서 각각 물성이 다른 공중합체를 각각 제1성분과 제2성분으로 하여 고권축 특성을 발현하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일특개소 51-116220호)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첫째 방법인 이수축혼섬으로 제조되는 복합섬유는 동일조성의 폴리머의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연신시 각각 열수축성이 다르게 연신한 다음, 이들을 공기 교락시켜서 권축이 발현되도록하는 방법이므로 각각의 섬유에 대하여 연신하는 공정과 속도가 느린 공기 교락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조된 복합섬유는 권축의 발현상태가 불균일하고 섬유 상호간의 접착성이 약하기 때문에 후가공 공정중에서 섬유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각 성분간에 이탈이 발생하거나 권축 특성이 감소하는 등의 권축 내구성이 부족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두 번째 방법인 이종의 폴리머로 조성되는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마이드를 사용한 복합방사법으로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폴리머간상호의 낮은 상용성에 기인한 계면에서의 낮은 접착성 때문에 방사후의 섬유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양성분의 계면이 쉽게 분리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이 성분간의 분리에 따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성분의 복합사 단면형태를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가 아닌 편심 시스-코어 형태로 하는 것이 제안(일특개소 52-124925호)되고 있지만, 이 경우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에 비하여 권축 특성이 떨어지게 된다.
세 번째 방법인 동일계 공중합 폴리머를 사용, 2성분의 특성차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권축성 복합섬유는 양성분간의 상용성이 위의 경우 보다는 우수하나 권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성분간의 특성차를 높였을 경우에는 역시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과는 다르게 특정한 구금과 분배판을 이용하여서 계면접착성이 우수하고 균일하게 나선형 권축이 발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 연신작업성이 좋아서 생산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a도-제1c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자발권축 섬유의 횡단면도.
제2도는 제1c도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구금 및 분배판의 종단면도.
제3a도는 제1a도, 제1b도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구금 및 분배판의 종단면도.
제3b도는 제1a도, 제1b도를 제조하기 위한 방사구금 및 분배판의 횡단면도.
제4도는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방사구금 및 분배판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1, A2 : A성분의 혹 B1, B2 : B성분의 혹
E, D : A성분의 유로 C, F : B성분의 유로
G : 토출공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a도와 제1b도의 단면형태의 섬유를 얻기 위해서는 기존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태의 방사구금 형태와는 달리(제4도 참조) 제3a도와 제3b도에 나타난 것처럼 구금위의 상부 분배판에서 양성분의 유로를 C와 D뿐만아니라 E와 F로도 분배하여 A성분은 E와 D유로로, B성분은 F와 C유로로 통과시켜서 A와 B성분의 구금 윗부분에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약간씩 쏠리도록 해서 제1a도와 제1b도의 형태의 섬유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로(E), (F)가 원형공일때는 제1a도에서와 같이 양성분의 계면에 원형의 혹(A1)(B1)이 형성되며, 삼각형공일때는 제1b도 처럼 양성분의 계면에 삼각형의 혹(A2)(B2)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면을 가진 섬유는 일반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의 단면보다는 접촉 면적이 넓을 뿐만아니라 한 성분이 다른쪽 성분을 물고 있기 때문에 탁월한 접착성을 보여줌으로서 권축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반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원사는 이완 열처리시 양성분의 열수축 차이에 의한 비틀림에 의해 자발권축이 일어나는데, 이때 계면이 중심축에 따라 일직선상에 있게 되기 때문에 비틀림이 일부 억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조된 섬유는 혹부분이 중심축 반대쪽에 있기 때문에 비틀림이 용이하며, 그로인해 균일하면서도 우수한 권축이 생기는 것이다.
제1c도와 같은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2도에 표시한 방사구금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는 기존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방사구금 및 분배판(제4도)과 동일 하지만 방사구금을 두개의 부분으로 나눈 후 그 사이에 강철 또는 알루미늄 재질의 스크린 필터(screen filter)(S)를 설치함으로써 A성분과 B성분의 유로가 일부 흐트려지도록 하여서 섬유 계면에서 A, B성분이 직선이 아닌 지그재그(zig-zag)형태의 계면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섬유는 일반적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원사보다 접촉면적의 증가로 우수한 접착성을 가지게 되며 권축특성도 향상된다.
[실시예 1~3]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중량 평균분자량 6.5×104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를 280℃의 온도로 방사공 36개에서 용융압출하되, 제3도에 도시된 방사구금 및 분배판을 사용하여서 실시예 1은 혹부분이 원형인것을 실시예 2는 삼각형인 것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3은 제2도에 도시된 방사구금 및 분배판을 사용하여 일정속도로 권취함으로서 미연신 필라멘트를 제조하고 이를 연신 배율 3.0배, 연신온도 110/190℃의 조건에서 연신 공정을 실시하고 연신후 이완 열처리는 습열(수) 80℃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사의 특성 및 방사연신 작업성을 표 1 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2]
제1성분은 고유점도가 0.85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비교실시예 1) 및 상대점도가 2.5인 폴리아마이드 계통의 나이론이고(비교실시예 2), 제2성분은 고유점도가 0.52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방사온도에서의 용융점도차가 약 1,730포아스인 것을 사용하였다. 방사구금 및 분배판은 제4도에 도시된 것을 사용하였으며, 그외 조건은 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사의 특성 및 방사연신작업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마모시험후 상분리 백분율 : 원사를 직물로 제직한 후 마모강도 시험장치(팽창막법)를 사용하여 일정주기 후에(ASTM D3885) 상분리된 것에 대한 백분율
압축탄성 : KS K 2617(면 이불솜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료를 20×20㎝의 크기로 하여 측정하였다.
권축수 C1, C2 : 시료를 단섬유로 채취하여 가능한한 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0.05g/d의 초하중에서 5cm식 10본을 만든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초하중 권축수(K/inch) C1을 측정하고, 초하중을 제거하여 장력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30초 방치한 후 외관 권축수 C2를 측정한다.
[표 1]
Figure kpo00002
본 발명은 특정한 구금 및 분배판을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자발 권축 섬유의 단점인 상분리 현상을 방지하였으며, 비틀림이 용이하므로 고 품질의 균일한 나선형 자발 고권축성을 가진다.
또 본 발명은 방사연신 작업성이 좋으므로 높은 생산성으로 자발권축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3)

  1.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로서, 섬유횡단면상으로 양성분의 계면에서 한쪽성분의 일부분이 서로 다른쪽성분에 물려 있어서, 계면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계면의 상, 하부에서 원형의 혹(A1)(B1)으로 또는 삼각형의 혹(A2)(B2)으로 물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양성분이 계면에서 지그재그형태로 물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KR1019970039357A 1997-08-19 1997-08-19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KR100245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357A KR100245664B1 (ko) 1997-08-19 1997-08-19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357A KR100245664B1 (ko) 1997-08-19 1997-08-19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04A KR19990016704A (ko) 1999-03-15
KR100245664B1 true KR100245664B1 (ko) 2000-03-02

Family

ID=1951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357A KR100245664B1 (ko) 1997-08-19 1997-08-19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7003170T5 (de) 2006-12-27 2009-10-29 Korea Minting & Security Printing Corp. Funktionelle Faser zur Fälschungspräven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0860A (ja) * 1993-09-03 1995-03-14 Kuraray Co Ltd 繊維集合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0860A (ja) * 1993-09-03 1995-03-14 Kuraray Co Ltd 繊維集合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7003170T5 (de) 2006-12-27 2009-10-29 Korea Minting & Security Printing Corp. Funktionelle Faser zur Fälschungsprä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04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9338A (en) Method of forming autogenously bonded non-woven fabric comprising bi-component fibers
US4269888A (en) Heat-adhesive composite fib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7319470B2 (ja) 編物に用いる自発巻縮弾性混繊糸の製造方法
JP4832709B2 (ja)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4チャネル断面ステープルファイバ
JP3953040B2 (ja) 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7173A (ko)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이성분 중공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245664B1 (ko) 계면접착성과 권축특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자발권축섬유
JP3113124B2 (ja) 極細繊維ウエブの製造方法
KR101103379B1 (ko) 염색성이 개선된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91599B1 (ko) 자발권축섬유
KR20170130167A (ko) 잠재권축성을 가지는 이형단면 중공복합섬유 및 이를 이용한 섬유집합체
KR100231196B1 (ko) 압축회복력이 우수한 단성분 중공자발 권축섬유의 제조방법
KR101136694B1 (ko) 권축성이 우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JPS6358933B2 (ko)
KR100490790B1 (ko) 모세관냉각장치를이용한단성분중공자발권축섬유의제조방법
JP6948048B2 (ja) 潜在捲縮性複合繊維
KR101043884B1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KR100496044B1 (ko) 다엽형단면을 갖는 잠재권축성 열가소성 복합방사필라멘트및 그 제조방법
JPH0120627B2 (ko)
KR101653290B1 (ko) 횡축 이형 표면구조 섬유
JPH039207B2 (ko)
JPH0787880B2 (ja) 詰め綿用ポリエステル原綿の製造法
KR0170067B1 (ko) 잠재권축성 복합섬유의 제조방법
JP2571834B2 (ja) 麻様風合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8163A (ko)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중공사 제조방법, 그 방사노즐 및 그로부터 제조된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중공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