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5220B1 - 자동차용 범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5220B1
KR100245220B1 KR1019960077116A KR19960077116A KR100245220B1 KR 100245220 B1 KR100245220 B1 KR 100245220B1 KR 1019960077116 A KR1019960077116 A KR 1019960077116A KR 19960077116 A KR19960077116 A KR 19960077116A KR 100245220 B1 KR100245220 B1 KR 100245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umper cover
hydraulic cylinder
bump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813A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7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22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28Metallic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차체프레임상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되, 상기 유압실린더는 서로 직각되는 피스톤1과 피스톤2가 설치되어서 상기 피스톤1은 선단이 탄성스프링을 가지고 범버커버의 배면에 지지되어 지고, 또다른 피스톤2는 선단이 상기 범버커버의 끝단부와 연결되어지므로서 차량의 충돌로 인한 범버커버의 변형시 상기 범버커버의 끝단이 외향되게 벌어지지 않고 안쪽으로 당겨지고, 이로서 범버커버의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수리시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범퍼
본 발명은 자동차용 범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차체프레임상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되, 상기 유압실린더는 서로 직각되는 피스톤1과 피스톤2가 설치되어서 상기 피스톤1은 선단이 탄성스프링을 가지고 범버커버의 배면에 지지되어 지고, 또다른 피스톤2는 선단이 상기 범버커버의 끝단부와 연결되어진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범퍼는 차체를 구성하는 차체프레임상에 단순히 범버커버가 설치되어지므로서 별도의 완충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웠으며, 나아가 상기 범버커버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수리시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된 배려되지 못하였다.
또한, 차량의 충돌시에는 상기 범버커버의 끝단부가 외향되게 돌출되어지므로서 상기 범버커버의 변형이 커지게 되며, 이에따라 수리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도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차체프레임상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되, 상기 유압실린더는 서로 직각되는 피스톤1과 피스톤 2가 설치되어서 상기 피스톤1은 선단이 탄성스프링을 가지고 범버커버의 배면에 지지되어지고, 또다른 피스톤2는 선단이 상기 범버커버의 끝단부와 연결되어지므로서 차량의 충돌로 인한 범버커버의 변형시 상기 범버커버의 끝단이 외향되게 벌어지지 않고 안쪽으로 당겨지고, 이로서 범버커버의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수리시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의 구성도,
도2는 도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프레임 2 : 유압실린더
3 : 피스톤1 4 : 피스톤2
5 : 탄성스프링 6 : 범버커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프레임(1)상에 유압실린더(2)가 설치되되, 상기 유압실린더(2)는 서로 직각되는 피스톤1(3)과 피스톤2(4)가 설치되어서 상기 피스톤1(3)은 선단이 탄성스프링(5)을 가지고 범버커버(6)의 배면에 지지되어지고, 또다른 피스톤2(4)는 선단이 상기 범버커버(6)의 끝단부와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된 도1내지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범퍼의 구성도로서, 차체프레임(1)의 좌우측에 각각 유압실린더(2)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유압실린더(2)는 "T"형상을 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피스톤1(3)과 피스톤2(4)가 각각 설치되어지되, 상기 차량의 전방을 향한 피스톤(1)은 선단이 탄성스프링(5)을 가지고 범버커버(6)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져 있으며, 다른 하나의 피스톤2(4)는 상기 피스톤1(3)과 직각되게 가로로 설치되어서 선단이 범버커버(6)의 끝단과 연결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2)에 설치되는 피스톤1(3)과 피스톤2(4)는 상기 피스톤1(3)이 유압실린더(2)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오면 상기 피스톤2(4)도 상기 유압실린더(2)의 안쪽으로 밀려 들어오도록 유압이 작용하게 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경미한 충돌로 범버커버(6)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유압실린더(2)에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어진 피스톤1(3)이 탄성스프링(5)과 유압실린더(2)내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범버커버(6)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큰 충돌력으로 상기 범버커버(6)에 큰 충격력이 가해지면 유압실린더(2)상에 전방을 향하여 설치된 피스톤1(3)이 탄성스프링(5)을 가압하며 유압실린더(2)내로 유입되어지게 되며, 상기 유압실린더(2)내의 유압이 상기 유압실린더(2)상에 피스톤1(3)과 직각되도록 설치된 피스톤2(4)에 작용되어지므로서, 상기 피스톤2(4)역시 유압실린더(2)의 안쪽으로 당겨져 들어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2(4)가 유압실린더(2)로 유입되어지는 힘을 받게 되면 상기 피스톤2(4)의 선단에 고정된 범버커버(6)의 끝단이 안쪽으로 벌어지면서 변형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서 상기 범버커버(6)의 변형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프레임상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되, 상기 유압실린더는 서로 직각되는 피스톤1과 피스톤2가 설치되어서 상기 피스톤1은 선단이 탄성스프링을 가지고 범버커버의 배면에 지지되어지고, 또다른 피스톤2는 선단이 상기 범버커버의 끝단부와 연결되어지므로서 차량의 충돌로 인한 범버커버의 변형시 상기 범버커버의 끝단이 외향되게 벌어지지 않고 안쪽으로 당겨지고, 이로서 범버커버의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수리시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차체프레임(1)상에 유압실린더(2)가 설치되되, 상기 유압실린더(2)는 서로 직각되는 피스톤1(3)과 피스톤2(4)가 설치되어서 상기 피스톤1(3)은 선단이 탄성스프링(5)을 가지고 범버커버(6)의 배면에 지지되어지고, 또다른 피스톤2(4)는 선단이 상기 범버커버(6)의 끝단부와 연결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범퍼.
KR1019960077116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범퍼 KR100245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116A KR100245220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116A KR100245220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범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813A KR19980057813A (ko) 1998-09-25
KR100245220B1 true KR100245220B1 (ko) 2000-03-02

Family

ID=1949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116A KR100245220B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52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813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7595A (en) Automobile bumper
US4213644A (en) Energy-absorbing bumper assembly
ATE223821T1 (de) Rammschutzeinheit für kraftfahrzeug
KR100263127B1 (ko) 자동차의 필러 패널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구조물
KR100245220B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174349Y1 (ko) 자동차의 공압 실린더형 범퍼
JPH08301028A (ja) フロント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装置
KR970015261A (ko) 범퍼 보강구조
KR19980053815A (ko) 자동차의 범퍼 구조
KR20040023265A (ko) 자동차용 범퍼
KR950008240A (ko) 자동차의 충격완화용 백바
KR100471474B1 (ko) 와이형 프레임을 갖는 차량의 정면충돌에너지 흡수구조
KR200344743Y1 (ko) 자동차용 범퍼
KR19980034026U (ko) 자동차 펜더의 파손 방지구조
KR0135166Y1 (ko) 전조등이 설치된 자동차용 범퍼
KR19980052116U (ko) 유체 실린더를 지니는 완충범퍼
KR970039389A (ko) 가스식 쇽압쇼바 내장 범퍼
KR960021939A (ko) 자동차의 범퍼구조
KR970039272A (ko) 자동차 범퍼 스테이
KR20020068575A (ko) 보행자 보호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범퍼
KR19980048444U (ko) 자동차 번호판 취부구조
KR19980059681A (ko) 자동차용 캉가루 범퍼
KR970039421A (ko) 자동차의 후방범퍼의 추돌 경보용 보조 범퍼
KR970039388A (ko) 유압식 범퍼 조립체
KR19980012956U (ko) 차량의 범퍼스테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