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661B1 -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 Google Patents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661B1
KR100243661B1 KR1019960065446A KR19960065446A KR100243661B1 KR 100243661 B1 KR100243661 B1 KR 100243661B1 KR 1019960065446 A KR1019960065446 A KR 1019960065446A KR 19960065446 A KR19960065446 A KR 19960065446A KR 100243661 B1 KR100243661 B1 KR 100243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repeater
signal
output signal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009A (ko
Inventor
윤병호
서완석
최동율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6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66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04B10/032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using working and prot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하위단의 광중계기에서 입력 손실 장애가 일정시간 동안 검출되었을 경우에, 광중계기의 감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구를 상위 광중계기로 전송하고, 상위 광중계기는 광케이블의 단락시에만 광출력신호를 자동차단하도록 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광중계장치로 입력되는 광신호의 손실이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검출되면, 상/하향 선로에 따라 정상인 운용 또는 예비선로를 통해 광신호를 송신한 광중계장치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청 메시지를 감시 채널로 송신하고, 반대방향 광선로를 통해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광중계장치는 광선로의 장애이면 해당 광중계기의 광신호 출력을 차단한 후에, 이에 대한 응답을 광출력신호 자동차단을 요청한 광중계장치로 송신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광중계기가 사용되는 광전송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method of automatic laser shutdown for optical repeaters with 1+1 protected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ystems}
본 발명은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의 광중계기에 사용되는 광증폭기의 출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ALS : Automatic Laser Shutdown)에 관한 것이다.
광증폭기의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ALS)은 고출력의 광전력이 발생하는 광증폭기가 사용될 때, 광케이블의 단락시 운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첫째로, 단국(중계기)과 중계기 사이의 광선로가 절단되었을 경우에, 일반적으로 광선로는 양방향 및 운용/예비 채널의 광케이블이 모두 절단될 수 있다.
둘째로, 운용자의 실수 또는 고의로 광커넥타를 개방할 경우에, 각각의 광케이블은 독립적으로 절단된다.
이러한 광증폭기 출력신호의 자동차단(ALS) 기능은 전송장치의 신뢰도면에서 장치의 장애와는 구별되어 광케이블의 단락시에만 작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케이블의 단락을 판별할 수 있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광섬유 단락 지점에서 광섬유 단락면과 공기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반사 신호를 받아 하향 광링크상의 절단의 유무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수신되는 지점에서 입력되는 광신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향 광선로상의 절단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전자의 방식은 광섬유의 단락면이 매우 고를 경우에 최대 광전력을 반사하는데, 케이블 절단시 항상 그러한 단면 절단은 기대할 수 없다. 그러므로, 케이블 절단을 판별할 수 없을 만큼 반사되는 광전력이 작은 경우도 발생케 되어 확실한 판별을 기대할 수 없으며, 또한 반사된 광신호를 받을 경우 또 다른 수동 광소자가 필요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수신되는 지점에서 입력되는 광전력을 판별하여야 하는데, 이는 광케이블의 단락시 입력되는 광전력이 거의 없으므로 광선로 장애 판별에 사용하는 장애(즉, 광선로의 신호대 잡음비(S/N)와 연관된 장애 파라미터로서 약 -2dB ~ -3 dB 저하될 때 발생)와는 다른 파라미터가 사용되어야 한다(예를 들면, 약 -10dB 이하의 광전력 수신시에 발생).
도 1 은 국제표준화기구인 ITU(구 CCITT)의 권고안인 G.958(1992)의 부록에 기재된 종래의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을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면에서 "1"은 상향 단국, "5"는 하향 단국, "a"는 하향 운용 광선로, "c"는 상향 운용 광선로, "2a,3a,4a"는 광중계국2,3,4의 하향 운용 광중계기, "2c,3c,4c"는 광중계국2,3,4의 상향 운용 광중계기, "A"는 광선로 단락 지점, "M7"은 "3a"에서 일정시간 동안 연속적인 입력손실 검출 후 "3c"의 광출력 차단, "M8"은 "2c"에서 일정시간 동안 연속적인 입력손실 검출 후, "2a"의 광출력 차단을 나타낸다. 여기서, "2,3,4"의 중계기는 각각의 분리된 장치이고, "a,c"는 중계기 장치로 하향/상향의 기능을 각각 담당하지만 같은 제어장치가 제어를 한다.
국제표준화기구(ITU-T)의 권고안에 따르면, 만약 하향 광케이블의 A 지점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에 광중계기 "3a"에서 연속적인 입력손실이 검출되고, 이에 따라 같은 장치에 속해 있는 광중계기 "3c"의 송신출력을 차단시킨다(M7).
따라서, 광중계기 "2a"와 같이 속해 있는 광중계기 "2c"는 입력손실을 검출하고, 같은 방식으로 자국의 광중계기 "2a"의 송신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광출력신호를 자동 차단하게 된다(M8).
상기와 같은 방법은 1+1 단방향 보호절체된 전송장치에서, 단일방향(상향 혹은 하향중 하나) 광케이블 절단시에도 상향/하향의 광출력을 모두 차단함으로 실제로 절단되지 않은 방향의 광선로에도 불필요한 절체가 발생한다. 이러한 절체는 정상 운용중인 선로에서 절체 과정중에 발생될 수 있는 데이터의 손실을 초래하여 전송장치의 전송품질 및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정상 운용중인 신호를 차단하므로 상향 수신단(2c)에서 검출되는 입력손실이 상향 선로의 광케이블의 단락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하향단의 장애(A)에 의한 것인지가 불분명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광중계기의 입력손실 장애가 장치장애에 의한 것인지 혹은 광선로의 단락에 의한 것인지를 정확히 판별하기 위해, 하위단의 광중계기에서 입력 손실 장애가 일정시간 동안 검출되었을 경우에 광중계기의 감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구를 상위 광중계기로 전송하고, 상위 광중계기에서 광케이블의 단락시에만 광출력신호를 자동차단하도록 하는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ITU-T 권고안 G.958에 따른 종래의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1+1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에서의 단일 광선로 단락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1+1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예비 광선로의 동시 단락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중계장치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중계기의 내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향 단국 5 : 하향 단국
a : 하향 운용 광선로 b : 하향 예비 광선로
c : 상향 운용 광선로 d : 상향 예비 광선로
2a 내지 2d, 3a 내지 3d, 4a 내지 4d : 광중계기
U1 내지 U4 : 광선로증폭 유니트
U5 : 광중계기 감시제어 프로세서 유니트
B1 : 광증폭기 B2 : 파장분할역다중화기
B3 : 파장분할다중화기 B4 : 감시 데이터 채널 처리기
F1 : CPU 접속 버스 F2 : 광증폭기 감시 버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용 및 예비선로의 상/하향 링크에 각각 연결된 다수개의 광중계기와 감시 채널을 통해 광선로를 감시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광중계장치를 다수개 구비한 1+1 보호 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에서의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중계장치로 입력되는 광신호의 손실이 일정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검사결과에 따라, 입력되는 광신호의 손실이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에, 연속적인 광신호의 입력 손실이 광선로(운용선로, 예비선로)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분석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운용선로나 예비선로중 하나의 광선로에서 입력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하향 광선로에 따라 정상인 운용선로나 예비선로를 통해 광신호를 송신한 광중계장치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청 메시지를 감시 채널로 송신하는 제 3 단계; 반대방향 광선로를 통해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광중계장치가 광중계기 유니트의 고장정보를 확인하여 광중계기 자체의 장애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광중계기 유니트의 고장이 아닌 경우에 상기 광선로의 장애로 인지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인지결과에 따라, 상기 광선로의 장애시에, 해당 광중계기의 광신호 출력을 차단한 후에, 차단 결과를 광출력신호 자동차단을 요청한 광중계장치로 알리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운용선로 및 예비선로 모두 입력 손실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반대방향 광선로의 광중계장치를 통해 광신호 출력 자동차단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 6 단계; 및 반대방향 운용 및 예비 광선로로부터 광신호의 출력 자동차단 메시지를 수신하면, 광중계기 제어 장치가 요구된 운용 및 예비 광선로의 광출력신호를 차단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이 수행된 광중계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광신호를 출력하여 그 수신단의 광중계기에서 광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확인결과, 광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수신된 경우에,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의 해제 메시지를 자동차단 기능이 수행중인 광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및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광중계장치가 해당 광중계기가 유지하고 있는 광출력 차단 상태를 해제한 후에,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 해제 실시 메시지를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해제를 요구한 광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G.958에 의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은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고, 어떤 선로(상향 혹은 하향)에서의 선로 절단으로 인한 광출력 자동 차단을 위해서, 다른 방향 선로의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실제로 절단되지 않은 선로의 신호를 강제로 차단하여 정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선로에서도 신호가 전달되지 않게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상 동작하는 선로의 신호를 차단하지 않고 메시지를 보내는 채널을 통해 절단된 지점에 있는 광중계기의 광출력을 차단하도록 메시지를 보내고, 종래의 방법에서의 문제점인 광중계기의 입력손실 장애가 장치 장애에 의한 것인지 혹은 광선로의 단락에 의한 것이지를 정확히 판별할 수 없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하위단의 광중계기에서 입력 손실 장애가 일정시간동안 검출되었을 경우, 광중계기의 감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ALS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광중계기 장치 장애로 인한 출력 광전력의 저하로 발생되는 불필요한 ALS를 방지할 수 있고, 단일 지점의 케이블 단락시 단방향으로의 ALS가 가능하여 전송장치의 전송품질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동기식 전송장치 뿐만아니라 광중계기를 사용한 전송장치의 ALS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ALS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ITU-T 권고안 G.958의 ALS와의 차이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ALS가 이루어지는 방식에 국한하여 설명한다.
ALS의 목적은 광선로 절단 혹은 광커넥터 개방시에, 고출력의 광전력이 광섬유 외부로 방사되어, 운용자 혹은 고장수리반원의 안전(예를 들면, 실명위험으로부터의 안전 등)을 해칠 경우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ALS는 광선로의 절단 혹은 광섬유 커넥터 개방시에만 필요한 조치로서, 광중계장치 자체의 결함으로 발생되는 광신호 입력 손실일 경우에는 불필요한 기능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958 해당 부록의 ALS 방식에서는 A지점에서 광선로(광섬유케이블) 절단이 일어날 경우에, 광중계기 "3a"에서 광신호 입력 손실을 감지하여 반대방향으로 송신되는 광중계기 "3c"의 레이저 출력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광중계기 "2c"의 광신호 입력 손실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고, 하향으로 입력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이용하여 광중계기 "2a"의 레이저 광출력을 차단한다.
또한, G.958 해당 부록에서는 1+1 보호절체시 상기 기술된 방법을 운용선로 및 예비선로에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1+1 보호절체된 광전송시스템에서 적용되며, 대부분의 광전송시스템은 1+1 혹은 N:1의 보호절체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N:1 보호절체의 경우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광중계장치 자체결함 혹은 광선로 절단에 의한 광입력 손실인지를 광중계장치간의 감시제어 채널에 해당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판단하여, 광선로 절단이 원인일 경우 ALS를 실시하고, 광중계장치의 결함일 경우에는 ALS를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ALS가 요구되는 광선로의 반대방향 선로를 차단하지 않고 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1+1 보호절체시에 G.958 부록에서 주장하는 ALS 방식에서 필연적인 절차인 양방향 전송 차단에서 수반되는 광전송장치의 전송품질 및 신뢰성 저하를 막을 수 있다.
1+1 보호절체시의 G.958 부록의 ALS 방식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도 1에서 광중계기 "3a"의 입력 광신호 손실은 광중계기 "3a"의 입장에서 볼 때 광중계기 "3c"의 결함 혹은 A지점의 광선로 절단으로 발생한 것인지를 알 수가 없고, 무조건 광중계기 "3a"의 레이저 출력을 차단하여, 광중계기 "3c"를 통하여 전송되고 있는 정보의 손실을 초래하며, 또한 이러한 방식을 운용 및 예비선로에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ALS 실시중에는 ALS 해당 광선로의 반대방향으로의 예비선로 감소를 의미하므로 신뢰성을 하락시킬 수 있다. 따라서, 1+1 보호절체시의 G.958 부록의 ALS 방식은 광전송장치의 전송품질 및 신뢰성을 상대적으로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ALS시에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불필요한 양방향 차단을 없앰으로써, ALS 실시중 광선로의 반대방향 전송이 차단없이 가능하며, 또한 1+1 보호절체 선로를 확보하여 전송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참고적으로 본 발명이 광전송시스템에서 운용 및 예비선로를 두어 광선로를 이중화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운용 및 예비선로를 두는 이유는 ALS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광시스템 혹은 광선로의 결함으로 발생되는 정보손실을 막고자 하는 것이다. 즉, 운용선로를 이용하여 정보 전달을 하고 있을 경우에 해당 선로 혹은 노드 시스템의 장애로 정보 전달이 불가능할 경우에 예비선로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운용 및 예비선로를 ALS에 부수적으로 이용한다.
참고적으로, 광선로의 장애일 경우에는 주로 광섬유 케이블이 절단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이때 하향방향으로 광신호 입력 손실이 발생된다.
광전송시스템내, 예를 들면 광중계장치의 내부 장애(펌프 LD 고장, 펌프 LD 제어회로 고장, 전원 고장 등)일 경우에도 광출력이 나오지 않게 되어 하향방향으로 광신호 입력 손실이 발생되나, 이 경우에 일반적인 광전송장치에서는 해당 노드의 프로세서에서 장애를 검출하여 그 정보를 하향 혹은 상향방향에 있는 노드에 전달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1+1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에서의 단일 광선로 단락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에 대한 설명도로서, 도면에서 "b"는 하향 예비 광선로, "d"는 상향 예비 광선로, "2b,3b,4b"는 광중계국2,3,4의 하향 예비 광중계기, "2d,3d,4d"는 광중계국2,3,4의 상향 예비 광중계기, "M1"은 "3a"에서 일정 시간동안 연속적인 입력손실 검출, "M2"는 상향단 광중계국으로 ALS 요청 메시지 전송, "M3"은 ALS 요청 메시지 수신후 "2a"의 광출력 차단, "M4"는 "2a"의 광출력 차단후 ALS 실시 메시지 송신을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은 양단국(1,5) 사이의 세 지점에 광중계장치가 있고, 각 광중계장치마다 4개의 광중계기(2a 내지 2d, 3a 내지 3d, 4a 내지 4d)가 단국1을 기준으로 하여 하향방향(a,b)과 상향방향(c,d)의 광선로로서 연결되어 있다.
하향/상향 방향으로의 광선로는 운용(a, c) 및 예비(d, b) 선로로 분리되어 1+1 보호절체가 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을 설명하면, 하향방향의 운용 선로 A 지점에서 광선로 단락이 발생하면, 광중계장치의 광중계기 "3a"에서 입력손실 장애가 검출되고(M1), 일정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이 장애가 유지되면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청" 메시지(M2)를 자국의 상향방향 운용 및 예비선로에 연결된 광중계기 "3c" 혹은 "3d"를 통해 상향단 광중계기 "2c" 혹은 "2d"로 전송한다.
상향단 광중계장치는 광중계기 "2c" 또는 "2d"를 통해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국의 광중계기의 장애인지를 판단하여 자국의 해당 광중계기 "2a"의 장치 장애가 아닐 경우 광출력을 차단하고(M3),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실시 메시지(M4)를 단락되지 않은 광선로(b)를 통해 하향단 광중계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하향단 광중계국에서는 자신이 보낸 메세지의 수행을 확인할 수 있다. 메세지의 교환은 광중계기 감시 데이터 채널을 통해 이루어진다.
광출력신호 자동차단기능의 해제 과정은,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이 수행된 광중계기(2a)를 통해 주기적으로 광신호를 출력하여, 그 수신단의 광중계기(3a)에서 입력손실 장애가 해제됨을 확인하고, 입력손실 해제가 일정 시간동안 유지된 이후,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의 해제 메시지를 상향단의 광중계장치로 전송하고, 상향단 광중계장치에서는 해당 광중계기(2a)가 유지하고 있는 광출력 차단 상태를 해제한다. 이후에, 하향단의 광중계장치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 해제 실시 메시지를 전송하여, 광출력신호의 자동차단 기능이 해제되었음을 알려준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1+1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에서의 운용 및 예비 광선로의 동시 단락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에 대한 설명도로서, 도면에서 "M5"는 "3a,3b"에서 일정 시간동안 연속적인 입력손실 검출후 "3c,3d"의 광출력 차단, "M6"은 "2c,2d"에서 일정 시간동안 연속적인 입력손실 검출후 "2a,2b"의 광출력 차단, "B"는 광선로 단락 지점을 각각 나타낸다.
하향방향의 운용 및 예비선로 A, B 지점에서 단락이 발생하면, 하향방향의 광중계기(3a, 3b)에 입력손실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이 장애가 유지되면(M1) 자국내 상향방향 광중계기(3c, 3d)를 통해 광출력을 차단하도록 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향단 광중계기(2c, 2d)에 광출력 차단 명령이 발생되며, 하향방향 광중계기 2a, 2b의 광출력을 차단한다. 이때에도 도 2의 경우와는 달리 명령 실시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생략된다.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의 해제 과정을 살펴보면, 운용/예비의 양 광중계기(2a/2b)에서 주기적으로 광출력을 내보내고, 각각의 수신단에서 입력손실 장애가 해제됨을 확인하고, 입력 손실 해제가 일정 시간동안 유지된 후에,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 해제 메시지를 상향단의 광중계장치로 전송하고, 상향단 광중계장치에서는 해당 광중계기(2a,2b)가 유지하고 있는 광출력 차단 상태로 해제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광중계장치와 광중계기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중계장치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U1,U2,U3,U4"는 광선로증폭 유니트, "U5"는 광중계기 감시제어 프로세서 유니트, "F1"은 CPU 접속 버스, "F2"는 광증폭 블록 감시 버스를 각각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중계장치는 1+1 보호절체일 경우에, 4개의 광선로 증폭 유니트(U1 내지 U4)와 광중계기 감시를 담당하는 감시제어 프로세서 유니트(U5)로 구성된다.
감시제어 프로세서 유니트(U5)는 CPU 접속 버스(F1)를 통하여, 광선로증폭 유니트와 감시데이터 채널의 장애를 감시하고, 각 유니트를 제어하며, 메시지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중계기의 내부 구조도로서, 도면에서 "B1"은 광증폭기, "B2"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 "B3"은 파장분할 다중화기, "B4"는 감시 데이터 채널 처리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선로증폭 유니트(U1 내지 U4)를 중심으로 광중계기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a"에서 입력되는 광신호는 파장분할 역다중화기(B2)에서 원신호와 감시 데이터 채널 신호로 분리되고, 원신호는 광증폭기(B1)에서 증폭되며, 감시 데이터 채널 신호는 감시 데이터 채널 처리기(B4)에서 처리된다. 감시 데이터 처리기(B4)에서 처리된 감시 데이터는 광중계기 감시제어 프로세서 유니트(U5)에 전달된다.
증폭된 원신호와 송신될 감시 데이터 신호는 파장분할다중화기(B3)에서 혼합되어 다음 광중계장치로 전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 방법에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하향단의 광중계기에서 입력손실 장애가 일정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검출되었을 경우 광중계기의 감시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구를 상위 광중계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광케이블 단락시에만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에 있어서, 광중계기 장치 장애로 인한 출력 광전력의 저하로 발생되는 불필요한 광선로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고, 운용 및 예비 선로의 단일 지점 광케이블 단락시 단방향으로의 광출력신호 자동차단이 가능하여 광전송시스템의 신뢰도 및 전송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 뿐만 아니라 광중계기를 사용한 일반적인 전송시스템에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운용 및 예비선로의 상/하향 링크에 각각 연결된 다수개의 광중계기와 감시 채널을 통해 광선로를 감시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광중계장치를 다수개 구비한 1+1 보호 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에서의 광출력신호 자동차단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중계장치로 입력되는 광신호의 손실이 일정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검사결과에 따라, 입력되는 광신호의 손실이 연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에, 연속적인 광신호의 입력 손실이 광선로(운용선로, 예비선로)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분석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운용선로나 예비선로중 하나의 광선로에서 입력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하향 광선로에 따라 정상인 운용선로나 예비선로를 통해 광신호를 송신한 광중계장치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청 메시지를 감시 채널로 송신하는 제 3 단계;
    반대방향 광선로를 통해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광중계장치가 광중계기 유니트의 고장정보를 확인하여 광중계기 자체의 장애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광중계기 유니트의 고장이 아닌 경우에 상기 광선로의 장애로 인지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의 인지결과에 따라, 상기 광선로의 장애시에, 해당 광중계기의 광신호 출력을 차단한 후에, 차단 결과를 광출력신호 자동차단을 요청한 광중계장치로 알리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운용선로 및 예비선로 모두 입력 손실이 발생된 경우에, 상기 반대방향 광선로의 광중계장치를 통해 광신호 출력 자동차단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 6 단계; 및
    반대방향 운용 및 예비 광선로로부터 광신호의 출력 자동차단 메시지를 수신하면, 광중계기 제어 장치가 요구된 운용 및 예비 광선로의 광출력신호를 차단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이 수행된 광중계기를 통해 주기적으로 광신호를 출력하여 그 수신단의 광중계기에서 광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확인결과, 광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수신된 경우에,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의 해제 메시지를 자동차단 기능이 수행중인 광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및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광중계장치가 해당 광중계기가 유지하고 있는 광출력 차단 상태를 해제한 후에,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기능 해제 실시 메시지를 광출력신호 자동차단 해제를 요구한 광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KR1019960065446A 1996-12-13 1996-12-13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KR10024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446A KR100243661B1 (ko) 1996-12-13 1996-12-13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446A KR100243661B1 (ko) 1996-12-13 1996-12-13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09A KR19980047009A (ko) 1998-09-15
KR100243661B1 true KR100243661B1 (ko) 2000-02-01

Family

ID=1948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446A KR100243661B1 (ko) 1996-12-13 1996-12-13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36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758B1 (ko) * 1999-10-05 2002-07-04 이계철 광가입자 선로 자동 절체 장치
KR100584358B1 (ko) 2004-01-24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애 감시 기능을 갖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방식의수동형 광 가입자망
KR100584383B1 (ko) 2004-01-20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선로가입자장치들의 링크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광선로종단장치 및 이를 적용한 기가비트 이더넷 기반의수동 광가입자망
US7835641B2 (en) 2007-08-31 2010-11-16 Lantiq Deutschland Gmbh Light emitter controlling
KR101360848B1 (ko) * 2013-04-23 2014-02-11 주식회사 쏠리드 광 네트워크 시스템
KR101459606B1 (ko) * 2013-08-27 2014-11-12 주식회사 쏠리드 광 네트워크 이중화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726B1 (ko) * 1999-12-29 2002-06-20 서평원 역방향 광링크 감시에 의한 자동광원차단 장치
KR100720632B1 (ko) * 2005-07-29 2007-05-21 엘지노텔 주식회사 Wdm-pon 시스템에서 자동 선로 차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758B1 (ko) * 1999-10-05 2002-07-04 이계철 광가입자 선로 자동 절체 장치
KR100584383B1 (ko) 2004-01-20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선로가입자장치들의 링크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광선로종단장치 및 이를 적용한 기가비트 이더넷 기반의수동 광가입자망
KR100584358B1 (ko) 2004-01-24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애 감시 기능을 갖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 방식의수동형 광 가입자망
US7835641B2 (en) 2007-08-31 2010-11-16 Lantiq Deutschland Gmbh Light emitter controlling
KR101360848B1 (ko) * 2013-04-23 2014-02-11 주식회사 쏠리드 광 네트워크 시스템
WO2014175516A1 (ko) * 2013-04-23 2014-10-30 주식회사 쏠리드 광 네트워크 시스템
US9853723B2 (en) 2013-04-23 2017-12-26 Solid, Inc. Optical network system
US10554296B2 (en) 2013-04-23 2020-02-04 Solid, Inc. Optical network system
KR101459606B1 (ko) * 2013-08-27 2014-11-12 주식회사 쏠리드 광 네트워크 이중화를 위한 네트워크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009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5321B2 (ja) 光レベル制御方法
US5491572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rouble in two-way single-fiber optical transmission
JPH11205243A (ja) 光伝送回線自動電力停止システム
JP4977200B2 (ja) ネットワーク防護スイッチ機構およびネットワーク防護方法
JP2000174706A (ja) 光信号の出力パワ―を自動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GB2348063A (en) Optical supervisory channel for monitoring faults in light-guides
KR100259043B1 (ko) 광전송시스템에서 자동 레이져 차단 방법
KR100243661B1 (ko) 1+1 보호절체된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의 광중계기에서의 광출력 신호 자동차단방법
US20120224848A1 (en) Optical fiber transmission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0981212A1 (en) Path monitoring i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KR100457134B1 (ko) 광선로전환시스템
WO2001033756A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optical communication signals
US6839515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on a standby link in optical transmission facilities
JP4509398B2 (ja) 光バースト送受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EP1788727A1 (en) Method to protect human eyes i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100258091B1 (ko) 광 전송 시스템에서의 자동 광전력 차단제어방법
JP3083118B2 (ja) 光通信障害検出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光通信システム
KR100406959B1 (ko) 광 반사 신호 검출에 의한 광원 자동 차단 장치
KR100340726B1 (ko) 역방향 광링크 감시에 의한 자동광원차단 장치
JPH11239102A (ja) 光信号出力停止の方法とその回路
JPH07202805A (ja) 光ファイバ網の監視システム
CN113541795B (zh) 一种波分系统osc通道单纤双向实现方法及设备
JP2001077731A (ja) 光波長多重伝送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主信号双方向シャットダウン方式
JPS6212217A (ja) 光通信方式
KR100528968B1 (ko) 광전송 시스템의 유지보수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