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143B1 - 소형칼라프린터 - Google Patents

소형칼라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143B1
KR100243143B1 KR1019970053342A KR19970053342A KR100243143B1 KR 100243143 B1 KR100243143 B1 KR 100243143B1 KR 1019970053342 A KR1019970053342 A KR 1019970053342A KR 19970053342 A KR19970053342 A KR 19970053342A KR 100243143 B1 KR100243143 B1 KR 10024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light
light
photosensitive medium
color printer
light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328A (ko
Inventor
홍민표
김운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31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72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4La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감광매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레이저광을 생성 출사하는 다수의 표면광 레이저를 구비한 적어도 세 개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와, 표면광 레이저 각각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와 감광 매체 사이에 마련되어 표면광 레이저에서 출사된 광 각각을 집속시키는 집속렌즈 어레이와,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에서 라인 단위로 중첩 조사된 광에 의해 감광매체 상에 2차원 칼라 화상이 형성되도록 감광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감광매체는 조사되는 광에 의해 감광되어 영상이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인스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칼라 프린터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소형 칼라 프린터{Compact color printer}
본 발명은 칼라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토너를 사용하지 않는 소형 칼라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칼라 프린터는 다중 칼라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4개의 광 주사장치로 순차적으로 감광드럼을 대전 즉, 감광시키고, 감광후의 각 단계마다 상기 감광드럼의 감광위치에 현상기로부터 각 칼라의 토너를 흡착시켜 영상을 형성한 후, 이 영상을 종이에 인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칼라 프린터에 채용되는 광 주사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광 주사장치(1)는 광을 생성 출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3)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3)에서 출사된 발산광을 집속시키는 렌즈 어레이(6)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3)는 지지판(4)에 일렬로 배치되고 단색광을 출사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3)는 감광드럼(7)의 영상 기록면의 폭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 렌즈 어레이(6)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3)의 각 발광 다이오드(5)에 대응되게 배치된 다수의 렌즈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4개의 광 주사장치(1)를 채용하는 종래의 칼라 프린터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3)에서 출사된 광에 의해 감광드럼(7)은 라인 단위로 감광되고, 그 감광 위치에는 일 현상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일 칼라의 토너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감광드럼(7)을 감광시키고, 그 감광위치에 각 칼라별 토너를 부착하는 과정을 4번 반복함으로써, 다중 칼라의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칼라 프린터는 칼라 영상을 형성하기 위해 4개의 광 주사장치(1) 및 이에 대응되는 현상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소형 경량화가 어렵다.
또한, 이에 따라 휴대가 불가능하여,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에 의해 형성된 영상 중 일부를 인쇄하기 위해, 작업실로 이동한 다음 영상기기의 영상 및 데이터를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칼라 프린터로 출력시켜 종이 등의 인쇄 용지에 인쇄해야 하므로, 그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토너를 사용하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한 소형 칼라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칼라 프린터에 채용되는 광 주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칼라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표면광 레이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3,15...표면광 레이저 어레이 12,14,16...표면광 레이저
29...집속렌즈 어레이 30...감광매체
31...이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칼라 프린터는 감광매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레이저광을 생성 출사하는 다수의 표면광 레이저를 구비한 적어도 세 개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와; 상기 표면광 레이저 각각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와 감광 매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표면광 레이저에서 출사된 광 각각을 집속시키는 집속렌즈 어레이와;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에서 라인 단위로 중첩 조사된 광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 상에 2차원 칼라 화상이 형성되도록 상기 감광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매체는 조사되는 광에 의해 감광되어 영상이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인스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칼라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형 칼라 프린터는 감광매체(30)의 폭방향으로 배치된 세 개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와,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를 구동하는 구동부(23)와,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에서 출사된 광 각각을 집속시키는 집속렌즈 어레이(29)와, 감광매체(30)를 이송하는 이송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 각각은 상기 감광매체(30)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레이저광을 생성 출사하는 다수의 표면광 레이저(12)(14)(1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는 서로 다른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며, 상기 각 어레이를 이루는 표면광 레이저(12)(14)(16)는 각각 동일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를 이루는 표면광 레이저(12)는 예컨대, 적색 칼라의 광을 생성 출사한다. 상기 제2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3)를 이루는 표면광 레이저(14)는 예컨대, 녹색 칼라의 광을 생성 출사한다. 그리고 상기 제3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5)를 이루는 표면광 레이저(16)는 청색 칼라의 광을 생성 출사한다. 여기서,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 각각은 상기 감광매체(30)의 영상 기록면의 폭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면광 레이저(12)(14)(16)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23)과, 활성층(25)과, 제1 및 제2반사기층(24)(26)과, 제1 및 제2전극(21)(27)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23)은 화합물 반도체 물질에 n형 또는 p형 불순물을 도핑하여 사용하거나 불순물을 함유하지 않는 진성 반도체 물질을 사용한다.
상기 활성층(25)은 진성반도체물질을 단일 및 다중 양자-우물 구조 또는 슈퍼 래티스 구조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 활성층(25)은 상기 제1 및 제2전극(21)(27)에 인가되는 순방향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반사기층(24)(26)에서 제공된 전자와 정공의 결합에 의해 광을 방출한다.
상기 제1 및 제2반사기층(24)(26)은 상기 활성층(25)의 하부와 상부 각각에 서로 다른 형의 불순물 반도체물질층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두 반사기층(24)(26) 각각은 굴절율이 다른 두 반도체화합물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 두반사기층(24)(26)은 상기 제1 및 제2전극(21)(27)에서 인가되는 순방향 바이어스에 의해 상기 활성층(25)에 전자와 정공을 제공하며, 상기 활성층(25)에서 발생된 광을 공진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전극(21)(27)은 상기 기판(23)의 하부와 제2반사기층(26) 상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전극(27)은 광이 출사되도록 하는 윈도우(28)를 제외한 상기 제2반사기층(26) 상에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표면광 레이저(12)(14)(16)는 제1 및 제2전극(21)(27)에 순방향 바이어스를 걸어주면, 상기 활성층(25)에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해 광이 방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반사기층(24)(26)에서 공진되어, 공진 조건에 맞는 파장영역의 광이 상기 윈도우(28)를 통하여 출사된다.
이때, 상기 표면광 레이저(12)(14)(16)는 반도체 물질층의 적층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므로,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 각각을 이루는 다수의 표면광 레이저(12)(14)(16)는 동일 기판(23)상에 동일한 반도체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세 개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를 이루는 표면광 레이저(12)(14)(16) 각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어레이로 제조하기 쉬우며, 각 어레이의 표면광 레이저를 이루는 반도체 물질 및 제1 및 제2반사기층(24)(26)의 공진조건을 적절히 함으로써 출사되는 광의 파장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예컨대, 세 파장영역의 광을 생성 출사하는 세 개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로부터 상기 감광매체(30)의 한 라인에 광을 중첩 조사함으로써 다중 칼라의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 개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는 상기 구동부(23)에 의해 콘트롤된다. 즉, 영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구동부(23)는 각 표면광 레이저(12)(14)(16)로부터 선택적으로 광이 출사되도록 콘트롤한다.
상기 집속렌즈 어레이(29)는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와 감광 매체(3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집속렌즈 어레이(29)에는 각 표면광 레이저에 대응되게 복수의 집속렌즈가 마련되어 상기 각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에서 출사된 광을 집속시킨다.
상기 이송부(31)는 상기 감광매체(30)를 화살표 방향(A)으로 이송한다. 이 이송부(31)는 모터(32)와, 다수의 롤러(35)와, 상기 모터(32)의 회전을 상기 롤러(35)에 전달하는 기어(33)를 포함하다.
상기 다수의 롤러(35)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상기 일 기어(33)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3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감광매체(30)를 이송시키며, 나머지 롤러(35)들은 상기 감광매체(30)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도 2는 상기 감광매체(30)가 두 개의 롤러(35) 사이로 이송될 수 있도록 마련된 예를 보여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송부(31)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30) 화살표 방향(A)으로 소정 거리 이송된후,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15)로부터 주사되는 광에 의해 라인 단위로 감광된다. 즉, 상기 감광매체(30) 상의 일 주사라인은 제1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로부터 출사된 제1파장영역의 광에 의해 감광되어 제1칼라의 영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매체(30)는 상기 제1 및 제2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1)(13) 사이의 간격만큼 이송되고, 상기 일 주사라인은 상기 제2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3)로부터 출사된 제2파장영역의 광에 의해 감광되어 제2칼라의 영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광매체(30)는 상기 제2 및 제3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3)(15) 사이의 간격만큼 이송되고, 상기 일 주사라인은 상기 제3표면광 레이저 어레이(13)로부터 출사된 제3파장영역의 광에 의해 감광되어 제3칼라의 영상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감광매체(30)로 폴라로이드 필름 등과 같은 인스턴트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부가적인 토너 부착 과정 없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세 개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에서 라인 단위로 중첩 조사된 광에 의해 다중 칼라의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감광매체(30)로 인스턴트 필름을 채용하면, 세 파장영역의 광에 의해 상기와 같은 감광매체(30)에 직접 영상이 인쇄되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칼라 프린터는 토너를 사용하지 않고 폴라로이드 필름 등과 같이 인스턴트 필름으로 된 감광매체에 세 개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에서 출사된 광을 이용하여 라인 단위로 영상을 직접 인쇄하게 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칼라 프린터는 소형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가 가능하여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의 휴대용 영상 기기의 영상을 즉석에서 직접 인쇄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칼라 프린터는 영상기기에서 형성된 영상을 직접 인스턴트 필름 등에 인쇄할 수 있으므로, 촬영 도중 즉석에서 필요한 영상을 인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나 캠코더 등과 같은 휴대용 영상기기에 본 발명에 따른 칼라 프린터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4)

  1. 감광매체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 레이저광을 생성 출사하는 다수의 표면광 레이저를 구비한 적어도 세 개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와;
    상기 표면광 레이저 각각을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와 감광 매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표면광 레이저에서 출사된 광 각각을 집속시키는 집속렌즈 어레이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에서 라인 단위로 중첩 조사된 광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 상에 2차원 칼라 화상이 형성되도록 상기 감광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광매체는 조사되는 광에 의해 감광되어 영상이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인스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칼라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를 이루는 표면광 레이저는 동일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고,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는 서로 다른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칼라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광 레이저 어레이 각각을 이루는 표면광 레이저는 서로 다른 파장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칼라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속렌즈 어레이는 상기 각 표면광 레이저에 대응되는 집속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칼라 프린터.
KR1019970053342A 1997-10-17 1997-10-17 소형칼라프린터 KR10024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342A KR100243143B1 (ko) 1997-10-17 1997-10-17 소형칼라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342A KR100243143B1 (ko) 1997-10-17 1997-10-17 소형칼라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28A KR19990032328A (ko) 1999-05-15
KR100243143B1 true KR100243143B1 (ko) 2000-03-02

Family

ID=1952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342A KR100243143B1 (ko) 1997-10-17 1997-10-17 소형칼라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31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28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3103A (en) Color printer
KR101012779B1 (ko) 면발광 레이저 어레이, 광 주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4549784A (en) Optical fiber-guided scanning device
US20070166077A1 (en) Line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429034B2 (en) Light emitting device, light-emitting-element array chip, and exposure device
US11429035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exposure device
KR100243143B1 (ko) 소형칼라프린터
US20230185213A1 (en) Exposure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79413B2 (en) Image forming device that detects a moving time of a latent image carrier
KR100243144B1 (ko) 소형칼라프린터
JP2007164061A (ja) 光学装置および結像方法
EP1184707B1 (en) Image recorder
US20050243161A1 (en) Printer using direct-coupled emissive array
KR100243145B1 (ko) 소형칼라프린터
KR100584582B1 (ko) 광주사장치
JP2834220B2 (ja) 可変倍率記録光プリンタ
JP2984048B2 (ja) 結像素子及び画像読取装置及び光書込ヘッド
JP3459660B2 (ja) 露光装置及びプリンタ
US6210804B1 (en) Direct heat-sensitive recording method and device
JP2977089B2 (ja) 結像素子及び画像読取装置及び光書込ヘッド
KR100243142B1 (ko) 소형칼라프린터
JP4508817B2 (ja) 露光ヘッド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20050093965A1 (en) Multichannel printhead for photosensitive media
JP2008119883A (ja) プリンタ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17492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