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553B1 -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553B1
KR100242553B1 KR1019960071250A KR19960071250A KR100242553B1 KR 100242553 B1 KR100242553 B1 KR 100242553B1 KR 1019960071250 A KR1019960071250 A KR 1019960071250A KR 19960071250 A KR19960071250 A KR 19960071250A KR 100242553 B1 KR100242553 B1 KR 100242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amp
hood
hinged
housing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278A (ko
Inventor
정병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553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retrac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 램프의 하우징을 후드의 안쪽에 형성된 자리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하는 동시에, 이 하우징과 그 저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2절 링크를 이용하여 하나로 연결설치함으로써, 작동스위치의 조작으로 액츄에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헤드 램프가 후드의 자리면 상부로 돌출가능하게 되어, 헤드 램프를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리면의 안쪽으로 수납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드의 윗면에 자리면을 형성하고, 이 자리면의 안쪽에 헤드 램프의 하우징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이 하우징이 구동수단과 연결된 링크와 조합되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헤드 램프를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후드의 안쪽에 수납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야간에 운행할 때 운전자의 운전시야를 넓혀줄 수 있도록 등화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상기 등화장치 중에서 헤드 램프는, 첨부도면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을 비추면서 장애물이 튀어 나오는 것을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게 해주며, 또한 차량의 앞쪽으로 먼거리까지 볼 수 있게 하여서 운전시야를 더욱 높여 주게 된다.
본 발명은 헤드 램프의 하우징을 후드의 안쪽에 형성된 자리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하는 동시에, 이 하우징과 그 저부에 설치된 액츄에이터를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2절 링크를 이용하여 하나로 연결설치함으로써, 작동스위치의 조작으로 액츄에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헤드 램프가 후드의 자리면 상부로 돌출가능하게 되어, 헤드 램프를 이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리면의 안쪽으로 수납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램프와 2절 링크와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 램프20 : 작동수단
21 : 작동스위치30 : 작동링크
30a, 30b : 관절100 : 후드
110 : 자리면120 : 덮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후드(100)의 일부 구간을 절개하여서 그 아랫쪽에 형성된 자리면(110)에 상하로 회전하면서 이 후드(100)의 윗쪽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 헤드 램프(10)와, 상기 자리면(110)의 아랫쪽에 설치되어서 작동스위치(21)의 조작으로 상기 헤드 램프(10)와 연동가능한 작동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헤드 램프(10)와 작동수단(2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2절 링크(30)로 연결설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헤드 램프(10)는 임의로 상기 자리면(110)으부터 수납/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헤드 램프(10)의 힌지고정점으로부터 상기 2절 링크(30)가 설치된 위치까지의 거리와 상기 작동수단(30)에 힌지고정된 2절 링크(30)의 관절(30b)이 갖는 거리를 합한 길이는 상기 하우징(10)과 작동수단(20)의 회전중심점까지의 거리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2절 링크(30)의 관절(30a) 길이를 합한 것보다 항상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윗면에는 후드(100)의 일부가 절개되면서 이루어진 덮개(120)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20)은 정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스텝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면부호 10은 헤드 램프를, 100은 후드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후드(100)의 앞쪽 양측을 소정의 크기만큼 절개하여 그 아랫쪽에 자리면(110)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자리면(110)의 내부에 헤드 램프(10)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임의로 상기 후드(100)의 윗쪽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힌지고정하고, 상기 자리면(110)의 아랫쪽에는 헤드 램프(10)에 일단이 힌지고정된 작동링크(30)의 다른 일단에 조합되어 회전가능한 작동수단(20)을 구비하여서, 작동스위치(21)의 조작으로 상기 작동수단(20)이 정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면 상기 헤드 램프(10)가 자리면(110)으로부터 수납/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자리면(110)을 형성하기 위해 절개한 후드(100)의 일부분은 이 후드(100)와 유사한 곡면을 갖는 덮개(120)로 이용하게 되며, 이 덮개(120)는 상기 헤드 램프(10)의 윗면에 설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덮개(120)는 헤드 램프(10)가 최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후드(100)와 유사한 곡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헤드 램프(10)의 윗면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부호 20은 작동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작동수단(20)은 스텝 모터를 이용하게 되며, 이 스텝 모터는 항상 정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20)은 헤드 램프(10)가 설치된 아랫쪽에 설치하게 되며, 이 작동수단(20)은 운전석의 계기판이나 다기능 스위치에 설치된 작동스위치(31)의 조작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작동수단(20)은 작동스위치(21)의 조작으로 회전함에 따라 헤드 램프(10)를 동시에 연동시키기 위해 작동링크(30)를 매개로 서로 연결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30은 작동링크를 나타낸다.
상기 작동링크(30)는 2개의 관절(30a), (30b)이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2개의 관절(30a), (30b)은 서로 힌지고정되지 않은 각 끝단은 상기 헤드 램프(10)와 작동수단(20)의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헤드 램프(10)에 고정된 관절(10a)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게 되며, 상기 작동수단(20)에 설치되는 관절(30b)은 그 구동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각 관절(30a), (30b)은 그 크기를 달리 할 수 있으나, 상기 헤드 램프(10)에 힌지고정되는 위치 및 작동수단(20)의 고정된 관절(30b)의 길이에 따라 작동하는 상태를 달리하게 된다.
즉, 상기 헤드 램프(10)에 고정된 관절(30a)의 크기는 작동수단(20)에 고정된 관절(30b)의 크기보다 항상 그 길이가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해드 램프(10)의 힌지고정점의 중심과 관절(30a)까지의 거리 및 기타 여러 가지의 요인에 따라 달리하게 된다.
이하, 상기 헤드 램프(10)와 작동수단이 설치되는 위치 및 상기 작동링크(30)를 구성하는 각 관절과의 상관관계를 첨부도면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램프와 2절 링크와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상태도로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링크(30)를 구성하는 2개의 관절(30a), (30b)은 상기 헤드 램프(10)의 외주면에 힌지고정되는 관절(30a)이 항상 작동수단(20)에 고정설치되는 관절(30b)의 크기보다는 항상 그 길이가 긴 것을 이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 헤드 램프(10)의 힌지중심점으로부터 상기 관절(30a)이 힌지고정된 지점까지의 거리(A)와 상기 작동수단(20)에 고정된 관절(30b)의 길이(B)를 합한 길이는 항상 헤드 램프(10)에 힌지고정된 관절(30a)의 길이(C) 및 상기 헤드 램프(10)와 작동수단(20)까지의 길이(D)를 합한 것보다는 항상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헤드 램프(10)에 힌지고정된 관절(30a)의 길이가 작동수단(20)에 고정된 관절(30b)의 길이보다 길게 되면, 상기 작동수단(20)은 헤드 램프(10)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해 정방향으로 회전을 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역방향으로도 회전을 해야만 한다.
또한, 상술한 거리의 합, 즉 위에서 표시한 거리의 합인 A와 B 사이의 거리의 합이 C와 D의 거리의 합보다 크게 되면 본 발명의 작동수단(20)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헤드 램프(10)는 항상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후드의 앞쪽 양측에 각각 소정의 크기로 절개하여 자리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자리면이 안쪽에 헤드 램프가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 헤드 램프의 아랫쪽에는 헤드 램프와 연동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 2절 링크의 다른 일단이 고정된 작동수단을 설치하여서, 상기 작동수단을 작동시킴에 따라 2절 링크가 정방향으로만 회전하면서 헤드 램프가 자리면의 안쪽에 수납/인출을 반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헤드 램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만 이 헤드 램프가 자리면으로부터 회전하여 후드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게 되어, 주위 환경에 따른 헤드 램프의 각 기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드가 설치된 차량의 앞쪽 미관을 더욱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후드(100)의 일부 구간을 절개하여서 그 아랫쪽에 형성된 자리면(110)에 상하로 회전하면서 이 후드(100)의 윗쪽으로 돌출가능하도록 힌지고정된 헤드 램프(10)와, 상기 자리면(110)의 아랫쪽에 설치되어서 작동스위치(21)의 조작으로 상기 헤드 램프(10)와 연동가능한 작동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헤드 램프(10)와 작동수단(20)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2절 링크(30)로 연결설치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헤드 램프(10)는 임의로 상기 자리면(110)으부터 수납/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램프(10)의 힌지고정점으로부터 상기 2절 링크(30)가 설치된 위치까지의 거리와 상기 작동수단(30)에 힌지고정된 2절 링크(30)의 관절(30b)이 갖는 거리를 합한 길이는 상기 하우징(10)과 작동수단(20)의 회전중심점까지의 거리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된 2절 링크(30)의 관절(30a) 길이를 합한 것보다 항상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윗면에는 후드(100)의 일부가 절개되면서 이루어진 덮개(120)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20)은 정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한 스텝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KR1019960071250A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KR100242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250A KR100242553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250A KR100242553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278A KR19980052278A (ko) 1998-09-25
KR100242553B1 true KR100242553B1 (ko) 2000-03-02

Family

ID=1949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250A KR100242553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82336A1 (en) * 2019-11-04 2023-11-30 Naade, Inc. Vehicle bumper with selectively deployable integrated light b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593B1 (ko) * 2001-01-16 2003-06-27 영일특장 주식회사 차량용 탐조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82336A1 (en) * 2019-11-04 2023-11-30 Naade, Inc. Vehicle bumper with selectively deployable integrated light 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278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64266A (ko) 후방 공기 안내 장치
KR100242553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개폐장치
FR2808753B1 (f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module de rangement escamotable
JPH04339018A (ja) 自動車の補助力で操作されるコンバーティブル・ルーフを制御するためのスイッチ
KR980001376A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KR960004748Y1 (ko) 자동차용 전동 후사경의 구조
KR0135631Y1 (ko) 자동차의 전구가 장착된 아웃사이드 미러
JPH057209B2 (ko)
KR20027787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KR200141405Y1 (ko) 자동차용 파라솔
KR200153384Y1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0138787Y1 (ko) 차량용 헤드램프 장착 구조물
KR19980031301A (ko) 후방미러가 일체화 된 차량용 리어스포일러
JPH0880782A (ja) 車室内ランプ装置
KR960014080B1 (ko) 자동차의 자동이동식 룸램프
KR100229445B1 (ko) 자동차용 와이퍼
KR20020079120A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970041578A (ko) 후드 자동 개폐장치
KR970026153A (ko) 버스용 도어 개폐장치
KR20010066050A (ko) 자동차용 스포일러 내장형 후사경
KR980001075A (ko) 자동차의 자동 차양 장치
KR970005925A (ko) 자동차의 개폐식 사이드 미러
JP2005053390A (ja) 自動車のルーフ構造
KR970061586A (ko) 차량용 도어(Door)의 비막이 장치
KR19990018484U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