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520B1 -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520B1
KR100242520B1 KR1019950029712A KR19950029712A KR100242520B1 KR 100242520 B1 KR100242520 B1 KR 100242520B1 KR 1019950029712 A KR1019950029712 A KR 1019950029712A KR 19950029712 A KR19950029712 A KR 19950029712A KR 100242520 B1 KR100242520 B1 KR 100242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ir
pipe
air inlet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19950029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520B1/ko
Priority to PCT/KR1996/000152 priority patent/WO199701042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520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에 연소동작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먼지를 청정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엘리먼트가 없이 구성된 무엘리먼트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엘리먼트형 공기청정기는 엘리먼트를 포함하지 않고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먼지가 내부 수용된 오일의 비산 및 비락에 의하여 점착되어 걸러진 후 하부에 구성된 집진튜브로 집진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공기청정 효과 개선을 위하여 유입 공기의 싸이클론 현상에 따른 1차 집진을 위한 예청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집진 정도 및 오일량을 시각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오일관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검 및 청소가 용이하여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기 청정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구성된 비산접시의 사시도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간략한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도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는 간략한 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예시 개략 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예시 개략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예시 개략 단면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예시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1,94 : 오일수용케이스 4,32 : 상부케이스
6,50 : 공기배출관 8,34,72 : 공기유입관
10,49,93 : 오일관 12,51,95 : 마개
14 : 오일량측정용 창 16,16a,16b,46,46a,46b : 파형차양
18,45,54,78 : 비산접시 20,58,90 : 오일순환공
22,43 : 단관 24,47,66,91 : 집진튜브
26 : 밴드 28,68 : 집게
30a,30b,52a,52b : 파형날개 36 : 예청부
38 : 내공기유입관 40 : 간막이
42 : 꼭지부분 44,65 : 배큐에이터밸브
56 : 유도판 60 : 비산날개
62 : 공기유입구 64 : 예청부
70 : 나사 73 : 고정지지체
74,79 : 요홈 76,80 : 베어링
82 : 비산파이프 84 : 고정팬
86 : 비산휠 88 : 비산구
92 : 싸이클론날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의 엔진에 유입되는 공기를 청정시키도록 흡기다기관의 공기 유입구에 무엘리먼트형으로 장착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엔진을 작동시키려면 실린더 내에 공기를 흡입하고 또 연소 후에는 연소 가스를 배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장치가 흡배기 장치이다. 이중 흡기장치는 흡입공기를 각 실린더에 분배하는 흡기 다기관(Intake Manifold)과 흡입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Air Cleaner)로 구성된다.
공기 청정기는 먼지나 띠끌 같은 물질이 엔진에 흡입되면 실린더나 피스톤을 손상시키고 또 엔진오일에 혼입되어 기타 윤활 접촉부분의 마멸도 촉진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흡기 다기관의 입구에 설치되어 공기를 여과시킨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건식 공기 청정기(Dry Type Air Cleaner)와 습식 공기 청정기(Wet Type Air Cleaner)로 구분된다. 건식 공기 청정기는 캡, 개스킷, 여과엘리먼트 및 케이스 등으로 구성되며 습식 공기 청정기는 엘리먼트 케이스와 오일배드(Oil Bath)등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건식 공기 청정기는 공기가 케이스 입구로부터 들어와 청정기 케이스의 안 둘레를 따라 돌면서 여과 엘리먼트를 통과하여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후 중심부에서 흡기 다기관으로 들어가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습식 공기 청정기는 공기가 공기 청정기 케이스와 케이스 커버사이로 흡입되어 공기 청정기 케이스와 엘리먼트 케이스 사이를 거쳐 밑 부분의 유면에서 급격히 턴되어 위로 올라가 엘리먼트 내를 통과하여 공기 청정기커버에 닿으며 중앙부로 들어가도록 구성되며 이때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중 비교적 무거운 것은 유면에서 턴되어 급격히 상승할 때 오일 위로 떨어지고 비교적 가벼운 것은 엘리먼트를 통과할 때 엘리먼트 내에 부착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건식 공기 청정기는 장시간 사용등의 원인으로 여과 엘리먼트에 이물질이 많이 끼게 되면 흡입저항이 증가하여 공기 흡입량이 감소되므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피스톤 헤드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불완전 연소로 인한 매연이 증가하며 또 여과 엘리먼트의 미세한 구멍보다 더 작은 이물질 또는 먼지중 일부가 여과 엘리먼트를 그대로 통과하여 피스톤의 톱랜드부에 쌍이면 실린더 특히 라이너의 마모를 촉진하며 더욱 쌓이게되면 라이너와 피스톤의 톱랜드부와의 유격이 없어지게 되므로 과부하가 걸릴때 엔진과열로 인하여 팽창(알루미늄 피스톤은 주철부분에 비하여 2배 정도 더팽창됨)으로 마찰력이 커진다. 전술한 이유로 마찰력이 증가하면 커넥팅 로드가 휘어지거나 절손되고 실린더 블럭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엘리먼트를 통과한 이물질은 밸브의 밀착불량을 초래하여 압축가스와 폭발가스가 누출되고 따라서 성능이 저하되기도 한다.
따라서, 건식 공기 청정기의 엘리먼트들을 수시로 점검해야할 필요성이 있었으나, 잦은 엘리먼트의 점검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과 불필요한 경비의 부담을 가중시켰으며 특히 페엘리먼트는 폐기처분시 환경상에 공해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반면에 습식 공기 청정기는 여과효율이 건식 공기 청정기에 비하여 양호하나 엘리먼트의 점검과 청소시 분해 및 재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청소 후 발생되는 폐유는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을 착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먼트의 결합없이 흡기다기관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오일비산 방식으로 청정시켜서 엔진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무엘리먼트형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엔진이 정지 중이거나 가동중인 상태에서도 내부 청소가 용이한 무엘리트먼트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해하지 않고 육안으로 오일의 상태를 체크하고 촉감(침전된 부분은 단단함)으로 청소 시기와 내부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일과 침전물의 분리청소가 가능하여 환경공해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침전물을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입되는 공기 중 무거운 이물질에 대해 자체 무게에 따른 1차 집진을 수행한 후 2차적으로 오일의 비산 및 비락에 따른 청정 과정을 수행하여 공기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는 상부 케이스에 공기유입관과 공기배출관이 일체로 구성되고(공기융입관과 공기배출관이 다단형으로 구성되기도함) 그 하부에 깔대기형 오일수용케이스가 부착되며 상기 공이유입관 하부에 비산접시가 구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턴시키며 공기압에 의하여 수용된 오일이 비산되고 소정길이 내부로 연장된 상기 공기유입관의 단부에 복수개의 파형차양이 구성되어 비산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수용케이스내로 비락시키며, 상기 오일수용케이스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단관에 집진튜브가 마개 또는 집게로 밀봉결합되어 비락된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 및 먼지를 집진하고 청소시 개방하여 단단한 침전부만을 배출하며 상기 오일수용케이스의 측벽에 단부가 상향수직 또는 원형굴곡된 소정길이 오일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관에는 단부가 마개로 막음된 오일량체크수단이 구성되어 현재 오일량을 체크하고 필요시 마개를 개방하여 보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특징은 상부케이스에 공기유입관과 공기배출관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깔대기형 오일수용케이스가 부착되며, 상기 공기유입관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먼지가 싸이클론 현상에 의하여 1차적으로 낙진되어 청정되도록 예청부가 구성되고 상기 예청부에 일체로 내공기유입관이 연결되어 1차 청정된 공기를 유도하며 상기 내공기유입관 하부에 비산접시가 구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턴시키며 공기압에 의하여 수용된 오일을 비산시키고, 소정길이 내부로 연장된 상기 공기유입관의 단부에 복수개의 파형차양이 구성되어 비산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수용케이스내로 비락시키며 상기 오일수용케이스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단관에 집진튜브가 밀봉결합되어 비락된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 및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오일수용케이스의 측벽에 단부가 상향 수직굴곡된 소정길이 오일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관에는 단부가 마개로 막음된 오일량체크수단이 구성되어 현재 오일량을 체크하고 팰요시 마개를 개방하여 보충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특징은 상부케이스 공기유입관과 공기배출관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깔대기형 오일수용케이스가 부착되며, 상기 공기유입관 하부에 비산접시가 구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턴시키며 공기압에 의하여 수용된 오일이 비산되고, 상기 공기유입관과 비산접시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중심부 요홈을 갖는 제1및 제2베어링이 지지수단에 의하여 고정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에 축이 결합되고 외벽에 팬을 가짐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회전되고 내부 관통구 내의 나선회전식으로 상승되는 오일을 비산시키기 위하여 일정거리 간격으로 복수개의 비산구와 비산휠이 형성된 비산파이프가 구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관의 인접부분의 케이스에 싸이클론 날개가 고정 구성되어 공기압에 의하여 비산접시로부터 비산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수용케이스내로 비락시키며, 상기 오일수용케이스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단관에 집진튜브가 밀봉결합되어 비락된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 및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오일수용케이스의 측벽에 단부가 상향 수직굴곡된 소정길이 오일관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관에는 단부가 마개로 막음된 오일량체크수단이 구성되어 현재 오일량을 체크하고 필요시 마개를 개방하여 보충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는 하부가 그 깔대기 형상을 갖고 소정 양의 오일이 담기는 오일수용케이스(2)로 구성되고 상부 케이스(4)에는 청정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관(6) 및 이물질 또는 먼지를 함유한 외부공기가 강제 유입되는 공기유입관(8)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수용케이스(2)의 측벽에는 오일관(10)이 연결되며 이 오일관(10)은 수평방향 연장 후 소정 길이만큼 상측 수직 절곡 형상을 갖고 수직 절곡된 오일관의 단부는 개폐 가능한 마개(12)로 밀폐되어 있으며, 단부의 아래에는 현재 오일량을 시각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오일량측정용 창(14)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오일량체크수단은 오일관(10)의 단부에 끼움가능한 투명재질의 밸브(도시 안됨)로서 외벽에 상한 및 하한을 인식할 수 있는 눈금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강제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공기유입관(8)은 내부로 오일수용케이스(2)에 담긴 오일 표면 인접부위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단부에 일체형으로 다단의 파형차양(16)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유입관(8)의 하부에는 제2도와 같은 비산접시(18)가 구성되어 있다. 비산 접시(18)는 오일에 적정 레벨까지 잠기고 개구가 오무려진 사발 형상을 가지며 공기유입관을 통하여 공기가 오일 표면에 충돌함에 따라 비산되는 오일 양만큼 외부로부터 오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개의 오일순환공(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수용케이스(2)는 하부 중앙에 소정 크기의 단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관(22)에는 집진튜브(24)가 밴드(26)에 의하여 밀봉결합되어 있고, 집진튜브(24)의 하단은 집게(28)에 의하여 밀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관(22)에 연결된 집진튜브(24)는 오일과의 충돌 또는 비산에 의하여 공기속의 걸러진 이물질 또는 먼지가 집진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도 및 제2도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의 무엘리트형 공기 청정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강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유입관(8)을 통하여 비산접시(18)내의 오일면에 충돌하여 공기와 같이 유입된 비교적 무거운 이물질 또는 먼지가 1차적으로 걸러지고 비산접시(18)의 오일면에 충돌하여 턴된 공기와 비산된 오일이 뒤섞여서 파형차양(16)으로 튀게 된다. 이때 턴된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먼지가 비산된 오일에 점착된 후 파형차양(16)에 의하여 유도되어 비산접시(18) 근처로 떨어지고 이러한 과정이 파형차양(16)의 형상에 따라 수차례 반복되어 오일에 의하여 공기가 청정하게 될 수 있다. 파형차양(16)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산되는 오일을 비산접시(18) 부근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한편 공기배출관(16)으로 오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흡입저항없이 이물질 또는 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공기배출관(6)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흡기다기관으로 제공되므로 청정한 공기의 유입으로 엔진에 이상 또는 성능저하 등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과정에 따라 오일 내에 함유되는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져서 단관(22)을 통하여 집진튜브(24)로 모이게 되고 오일내에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함유되는 양 만큼 오일량측정용 창의 오일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점검자는 사용중 오일량측정용 창(14)의 레벨을 체크하여 일정량 이상 집진튜브(24)내에 이물질 또는 먼지가 쌓인 것으로 판단되면 집진튜브(24) 상부에 도시되지 않은 밀봉용 집게를 집어서 상측을 밀봉시킨 후 하측의 집게(28)를 풀고 쌓인 이물질 또는 먼지와 같은 침전물을 밀어내어 청소하고 다시 집진튜브(24)의 하부를 집게(28)로 밀봉한 후 상측의 집게를 제거하면 집전튜브(24)의 청소를 마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청소 또는 점검과정에 있어서 오일량이 부족하면 점검자는 오일관의 마개(12)를 개방한 후 오일관 내로 오일을 주유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필요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제1도 및 제2도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서 비산접시(18)의 상측 개구부분의 테두리에 제3도 또는 제4도와 같이 파형날개(30a, 30b)를 일체로 형성시켜서 비산과 비락에 따른 오일 청정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파형차양(16a, 16b)과 파형날개(30a,30b)는 제3도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하거나 제4도와 같이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청정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제5도에 구성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는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먼지중 비교적 무거운 것을 1차적으로 청정시킨 후 제1도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서 2차적으로 청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제1도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를 참조하면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제1도와 유사하고 상부케이스(32)의 공기유입관(34)이 구성된 하부에 예청부(36)가 구성되어 있으며, 공기유입관(34)의 단부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예청부(36)로 유도하도록 가이드판(37)이 구성되어 있고, 가이드판(37)의 끝단부에는 공기를 예청부(36)로 유도할 때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경사판(37a)이 이점쇄선으로 확대하여 측면에서 본바와 같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으며, 이 경사판(37a)은 가이드판(37)의 주연부를 따라 연속하여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예청부(36)에는 1차적으로 청정된 공기가 제1도와 동일하게 비산접시(16)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내공기유입관(38)에 연결되어 있으며 예청부(36)가 형성된 프레임부분과 내공기유입관(38)사이에는 소정 높이의 간막이(40)가 구성되어 있다. 이 간막이(40)는 공기유입관(34)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예청부(36)에서 줄여서 비교적 무거운 이물질 또는 먼지를 꼭지부분(42)으로 떨어뜨려 모으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꼭지부분에는 제5도의 상세확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성 있는 고무재질의 배큐에이터밸브(44)가 장착된다.
따라서 공기유입관(34)을 통하여 예청부(36)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비교적 무거운 이물질 또는 먼지가 유입공기의 순간 속도 감속 및 싸이클론 현상에 의하여 예청부(36)의 꼭지부분(42)으로 떨어지고 이로써 유입공기의 1차적인 청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청정된 공기는 내공기유입관(38)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제1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비산접시(45) 및 파형차양(46)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오일이 비산됨에 의한 청정과정을 거친 후 공기배출관(50)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흡기다기관으로 진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1차적인 집진 동작에 의하여 예청부(36)의 꼭지부분(42)에 부착된 배큐에이터밸브(44)에 모인 이물질 또는 먼지는 엔진속도가 800RPM이하가 되면 고무 탄력에 의하여 벌어져 배출되고 800RPM이상이 되면 부압에 의하여 닫혀져 밖의 공기가 흡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5도의 경우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산접시의 상부 테두리에 파형날개(52a, 52b)를 형성시켜서 비산 및 비락에 따른 청정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제6도 및 제7도와 같이 파형차양(46a,46b)과 파형날개(52a, 52b)를 수평 또는 소정경사각을 갖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비산접시의 형태를 제2도에 국한하지 않고 제8도와 같이 비산접시(54)가 저면 중심에 볼록한 부분을 갖고 이 볼록한 부분의 상측에 오일 순환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관(56)이 구성되어 있으며, 볼록한 부분의 측면으로 오일순환공(58)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비산날개(60)가 흡입압력에 의하여 부드럽게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62)의 단부에 탄력있는 고무재질을 설치하여 비산날개(60)가 상,하 이동시 밀착작용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요철구조로 결착하고 이 바산날개(60)의 상,하이동시 밀착작용으로 여과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을 막도록 할 수 있다.
제8도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도 제9도와 같이 케이스의 외부에 예청부(64)를 형성하고 예청부(64)의 꼭지부분에 배큐에이터밸브(65)를 구성하여 청정 과정을 1차 및 2차로 구분하여 청정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집진튜브(66)에서 오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0도와 같이, 집진튜브(66)는 그 단부를 접은 후 두 철편으로 구성된 집게(68)사이에 삽입하고 나사(70)로 조이거나 하나의 철편을 회전식으로 결착시켜 자동적으로 밀봉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집진튜브(66)를 접지 않고 마개로 막을 수도 있다.
한편, 제11도를 참조하면 흡기와 배기 및 오일관 집진밸브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나 비산 방식에 있어서 비산파이프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유입관(72)의 상측 일부분에는 고정지지체(73)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지지체(73)의 중심부에는 요홈(74)을 갖는 베어링(76)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비산접시(78)에도 베어링(76)과 대응되는 위치에 요홈(79)을 갖는 베어링(80)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76,80)의 요홈(74,79)에는 비산파이프(82)의 양단에 회전가능토록 단부가 뾰족한 형상의 축이 끼워진다. 비산파이프(82)는 중심부 외벽에 고정팬(84)이 구성되어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회전토록 되어 있으며, 일정간 격을 두고 비산휠(86)과 비산구(8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산접시(7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요홈(74,79)을 갖는 베어링(76,80)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끼워져있고 오일비산에 따른 오일순환을 위하여 저면에 오일순환공(90)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강제 송풍되는 공기가 공기유입관(72)으로 유입되면 공기압이 고정팬(84)에 작용하여 비산파이프(82)가 회전하게되고,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서 공기압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오일은 비산접시(78)의 테두리를 타고 비산되어 일점쇄선 내와 같은 형상의 싸이클론날개(92)에 부딪히게 되며, 또한 공기압에 의하여 비산파이프(82)내로 오일의 상승이 일어나서 오일은 비산파이프(82)내를 통하여 상승되고 이 과정에 있어서 비산파이프(82)의 회전에 의하여 비산구(88)를 통하여 오일이 비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비산파이프(82)의 비산구(88)를 통한 오일의 비산과 비산접시(78)내의 공기압에 의한 비산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먼지가 오일에 점착되고 먼지 또는 오일이 싸이클론 날개(92)에 부딪혀 오일수용케이스(94)내로 비락된다. 그런후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으로 공기배출관(96)를 통하여 청정된 공기가 도시되지 않은 흡기다기관으로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엘리먼트가 없는 것으로서 흡입저항이 없으면서 공기를 청정하게 여과할 수 있어 엔진의 성능발휘와 장기간 수명을 유지하는데 막대한 역할을 수행하며 공기 청정기의 점검 및 수리를 위하여 분해할 필요성이 없고 단지 오일량체크 및 재급유로써 점검 및 수리되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때 예청부의 배큐에이터밸브와 집진튜브의 청소가 엔진 구동 중에도 가능하여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건식 또는 습식 공기 청정기와 같이 주기적으로 엘리먼트를 교체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없고 오일과 침전물의 분리청소가 가능하므로 이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오일량의 점검이 용이하므로 청소할 시기와 내부 상태를 눈으로 또는 집진튜브를 만져보는 촉감(침전된 부분은 단단함)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어서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예청부 구성시 1차 예청 과정을 수행한 후 2차적으로 오일로 공기 청정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공기 청정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상부케이스(4)에 공기유입관(8)과 공기배출관(6)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깔대기형 오일수용케이스(2)가 부착되며,
    상기 공기유입관(8) 하부에 다수의 오일순환공(20)을 갖는 비산접시(18)가 구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턴시키며 공기압에 의하여 수용된 오일이 비산되고,
    소정길이 내부로 연장된 상기 공기유입관(8)의 단부에 동심원 상으로 다단형태의 굴곡을 이루는 파형차양(16)이 오일면 전체에 걸쳐 상기 공기유입관(8)과 일체로 형성되어 비산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수용케이스(2)내로 신속하게 비락시키며
    상기 오일수용케이스(2)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단관(22)에 집진튜브(24)가 밴드(26)에 의해 결합되고 그 하단이 집게(28)로 밀봉되어 비락된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 및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오일수용케이스(2)의 측벽에 단부가 상향 굴곡된 소정길이 오일관(1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관(10)은 단부에 마개(12)로 막음되고 현재오일량을 시각으로 체크가능한 오일량체크수단이 구성되며 필요시 상기 마개(12)를 개방하여 오일을 보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접시(18)의 테두리 부분에 상기 파형차양(16a)(16b)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파형을 갖는 파형날개(30a,30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차양(16a)과 파형날개(30a)가 오일면에 평행토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차양(16b)과 파형날개(30b)가 상측으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5. 상부케이스에 공기유입관(34)과 공기배출관(50)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깔때기형 오일수용케이스(41)가 부착되며 상기 공기유입관(34)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먼지가 싸이클론 현상에 의하여 1차저으로 낙진되어 청정되도록 예청부(36)가 구성되고 상기 예청부(36)에 일체로 내공기유입관(38)이 연결되어 1차 청정된 공기를 유도하며,
    상기 내공기유입관(38) 하부에 비산접시(45)가 구성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턴시키며 공기압에 의하여 수용된 오일을 비산시키고,
    소정길이 내부로 연장된 상기 내공기유입관(38)의 단부에 동심원 상으로 다단형태의 굴곡을 이루는 파형차양(46)이 오일면 전체에 걸쳐 상기 내공기유입관(38)과 일체로 형성되어 비산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수용케이스(41)내로 신속하게 비락시키며
    상기 오일수용케이스(41)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단관(42)에 집진튜브(47)가 밴드(26)에 의해 결합되고 그 하단이 집게(28)로 밀봉되어 비락된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 및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오일수용케이스(41)의 측벽에 단부가 상향 굴곡된 소정길이 오일관(49)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관에는 단부가 마개(51)로 막음된 오일량체크수단이 구성되어 현재 오일량을 체크하고 필요시 마개를 개방하여 보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청부(36)는 유입된 공기가 싸이클론 현상에 의하여 낙진될 수 있는 낙진부분과 상기 낙진부분의 단부에 '끼워져 낙진된 이물질 또는 먼지를 필터링하는 배큐에이터밸브(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큐에이터밸브(44)는 탄력성 있는 고무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차양은 내공기유입관(38)과 분리형성하여 흡입되는 공기압력에 의하여 상,하로 위치변경이 가능하여 고속시 상측에 위치되고 저속시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9. 상부케이스(71)에 공기유입관(72)과 공기배출관(96)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하부에 깔대기형 오일수용케이스(94)가 부착되며,
    상기 공기유입관 하부에 비산접시(78)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중심부 요홈(74,79)을 갖는 제1 및 제2베어링(76,80)이 지지수단에 의하여 고정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베어링에 축이 결합되고 외벽에 회전팬(84)을 가짐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하여 회전되고 내부 관통구를 통하여 상승되는 오일을 비산시키기 위하여 일정거리 간격으로 복수개의 비산구(88)와 비산휠(86)이 형성된 비산파이프(82)가 구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관(72)의 하단부 인접부분의 상부케이스(71)에 싸이클론 날개(92)가 고정 구성되어 공기압에 의하여 비산접사(78)로부터 비산되는 오이을 상기 오일수용케이스(94)내로 비락시키며,
    상기 오일수용케이스(94)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단관에 집진튜브(91)가 밀봉결합되어 비락된 오일에 포함된 이물질 및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오일수용케이스의 측벽에 단부가 상향 굴곡된 소정길이 오일관(9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관에는 단부가 마개(95)로 막음된 오일량체크 수단이 구성되어 현재 오일량을 체크하고 필요시 마개를 개방하여 보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KR1019950029712A 1995-03-28 1995-09-12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KR100242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712A KR100242520B1 (ko) 1995-03-28 1995-09-12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PCT/KR1996/000152 WO1997010429A1 (en) 1995-09-12 1996-09-05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50006799 1995-03-28
KR1019950006799 1995-03-28
KR1019950029712A KR100242520B1 (ko) 1995-03-28 1995-09-12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2520B1 true KR100242520B1 (ko) 2000-03-02

Family

ID=2663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712A KR100242520B1 (ko) 1995-03-28 1995-09-12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892A (ko) * 2002-10-07 2004-04-14 김성식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CN116816513A (zh) * 2023-08-28 2023-09-29 山东兆能能源新技术有限公司 一种瓦斯热解发电机组的进气调节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039U (ko) * 1991-08-14 1993-03-22 변동주 내연 기관의 수세식 공기 여과 장치
RU2006652C1 (ru) * 1991-04-19 1994-01-30 Геннадий Степанович Луковников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KR940002805Y1 (ko) * 1991-11-30 1994-04-23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침적식 에어크리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6652C1 (ru) * 1991-04-19 1994-01-30 Геннадий Степанович Луковников Воздухоочиститель
KR930005039U (ko) * 1991-08-14 1993-03-22 변동주 내연 기관의 수세식 공기 여과 장치
KR940002805Y1 (ko) * 1991-11-30 1994-04-23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침적식 에어크리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892A (ko) * 2002-10-07 2004-04-14 김성식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CN116816513A (zh) * 2023-08-28 2023-09-29 山东兆能能源新技术有限公司 一种瓦斯热解发电机组的进气调节装置
CN116816513B (zh) * 2023-08-28 2023-10-31 山东兆能能源新技术有限公司 一种瓦斯热解发电机组的进气调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0721D1 (de) Staubsammelanordnung in einem Staubsauger und Hauptgehäuse für einen Staubsauger mit solcher Anordnuung
RU2003117801A (ru) Пылеулавл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для пылесоса
CN215566311U (zh) 一种防进气管堵塞的空气滤清器
CN201930700U (zh) 一种离心雾化式脱尘器
US5453197A (en) Fuel-water contaminant separator
US3807144A (en) Air rectifiers, apparatus with process
CN113533639A (zh) 一种大气环境检测系统
KR100242520B1 (ko)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KR20140136660A (ko) 이동형 원심 분리식 집진기
CN101046308A (zh) 一种吸油烟功能强能排出清洁空气的玻璃罩吸油烟机
CN218339267U (zh) 一种滤筒式脉冲除尘器
KR20040031892A (ko) 무엘리먼트형 공기 청정기
CN2202872Y (zh) 吸油烟机滤油网集油杯装置的改进
CN211358114U (zh) 一种气固分离滤芯再生装置
KR19990002506U (ko) 깔때기형 공기 청정기
CN208330580U (zh) 通用汽油机旋风油浴式空滤器
CN209558442U (zh) 一种油烟机
KR200310735Y1 (ko) 습식공기청정기
KR20040064874A (ko) 습식공기청정기
CN109539349A (zh) 一种油烟机
CN201013491Y (zh) 油气旋转式空气滤清器
KR200353980Y1 (ko)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CN220939781U (en) Wet-process multistage spraying absorption dust removal equipment
CN2588244Y (zh) 一种免维护吸油烟机
WO1997010429A1 (en)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