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429B1 -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및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및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429B1
KR100242429B1 KR1019970039048A KR19970039048A KR100242429B1 KR 100242429 B1 KR100242429 B1 KR 100242429B1 KR 1019970039048 A KR1019970039048 A KR 1019970039048A KR 19970039048 A KR19970039048 A KR 19970039048A KR 100242429 B1 KR100242429 B1 KR 100242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paging
speed
flex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484A (ko
Inventor
이창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4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고속페이징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에서 저속페이징 가입자와 고속페이징 가입에 대한 로밍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술이다.
저속광역 가입자의 경우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귀속국을 떠나 로밍 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가 스스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야 로밍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조건중 하나가 될 수 있는데 기존 저속페이지 프로토콜 자체에 로밍에 관한 내용이 없기 때문에 무선호출 교환시스템과 무선호출 수신단말기간에 별도의 지역인식을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사용하므로 불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페이징 호가 유입될 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의 지역이동 유무를 검출하고, 상기 지역이동 유무를 검출한 후 일반 저속가입자 호출인지 아니면 플렉스 고속 가입자호출인지 판단하여 지역이동이 있을시 플렉스 고속가입자 호출이면 플렉스 고속호출데이터를 실어 광역호출을 광역호 처리부로 요구하며, 상기 광역호출 요구를 받아 플렉스 광역호출 데이터가 수신될 시 FRM(Flex Roaming Message)을 포맷팅하여 이동된 지역의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발신하고, 상기 무선호출 수신단말기가 이동된 지역의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FRM을 수신한 후 가입자정보를 분석한 후 플렉스 고속 호출정보가 감지될 시 무선호출 데이터를 TNPP Version 3.7규정에 의해 코딩하여 호출 데이터를 고속기지국으로 전송하여 무호출 수신단말기를 호출한다.

Description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AGING CALL SYSTEM AND ROAMING METHOD FOR HIGH SPEED PAGING SERVING}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페이징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에서 저속페이징 가입자와 고속페이징 가입에 대한 로밍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은 POCSAG-512bps와 POCSAG-1200bps를 이용한 저속페이징 방식으로 페이징 가입자에 대하여 서비스를 수행하여 왔다. 이와같은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은 광역망 서비스가 가능하며 광역망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로밍서비스가 가능하여야 한다. 여기서 로밍 서비스(Roaming Service)는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의 영역에 진입하여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기 서비스를 요청받은 사업자는 원래 단말기가 등록한 사업자에게 통신하여 단말기 가입자 현황을 전달 받아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역망 무선호출 서비스를 위한 교환망의 구조도이다.
100은 페이저를 호출하고자 하는 일반가입자의 전화기이다. 200은 일반공중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으로 전화서비스를 하는 네트워크이다. 300은 PSTN 200에 접속되어 페이징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호출교환시스템이다. 301은 PSTN과 접속하여 호를 유입하는 PSTN정합부이다. 302는 페이징 호처리를 담당하는 페이징 호처리부이다. 303은 여러개의 기지국을 제어하면 무선호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정합부이다. 400은 여러개의 저속송신기 401로 무선호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 감시하는 일반저속 기지국이다. 304는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운용, 관리, 감시를 하기 위한 모듈의 운용정합부이다. 305는 페이징 호 처리부 302로부터 광역호를 받아 등록된 전지역으로 메시지와 가입자정보(RFCH, CAPCODE)를 보내고, 광역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광역호 메시지를 받아 메시지중 RF_CHANNEL_NO를 구하고 RF_CHANNEL_NO를 처리하는 페이징 터미널이 존재하면 페이징 호처리부 302로 광역호 처리를 요구하는 광역호 처리부이다. No.7 네트워크 500은 무선호출 교환시스템간의 로밍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이며, 사용되는 프로토콜 No.7 PSUP(Paging User Part)를 사용한다.
무선호출 수신단말기가 귀속국을 벗어나 타 지역으로 로밍 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는 자동으로 자신이 위치를 인식하여야 한다. 예를들어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에 귀속된 A지역에서 기준주파수대를 이용하여 지역인식코드를 방송(Broadcasting)하므로 지역 A를 방문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는 이 신호를 접속하여 자신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한다. 이렇게 자신의 위치를 인식한 후 이동한 지역을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으로 알려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광역가입자는 자신이 귀속국을 떠나 방문지역으로 로밍하면 그 스스로 일반전화를 이용하여 귀속국으로 특번을 통하여 알려야 한다. 왜냐하면 무선호출 단말기가 시스템으로 알리는 캐널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후 시스템의 운용자는 귀속 시스템의 일반 가입자에게 광역 클래스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존 저속가입자에 대해 로밍 서비스를 실시하여 왔다. 즉, 4번규격에 의해 어떤 가입자 00에게 광역클래스를 부여한다. 가입자 00가 귀속국을 떠나 방문지역으로 로밍한다. 가입자 00의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는 방문국의 지역인식코드를 방송에 의해 인식하기 위해 기준주파수에 대해 동조를 하고 지역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방문지역에서의 무선호출수신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그런 후 가입자는 일반전화를 이용하여 귀속국으로 특번을 통하여 귀속국으로 위치를 등록한다. 이때 특정 일반가입자가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를 호출하면 귀속의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이 NO.7 Paging User Part프로토콜에 의해 방문지역 시스템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방문지역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은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를 호출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은 저속페이징 방식으로 서비스할 시 예를들어 POCSAG-512bps인 경우 무선호출 서비스 속도가 512bps이어서 하나의 무선주파수 대역내에 단위 무선호출데이터가 차지하는 시간적 자원을 많이 소비함으로 결과적으로 많은량의 가입자를 수용할 수 없다. 그리고 한 단계진보된 POCSAG-1200bps도 2배의 용량증가를 가져왔지만 POCSAG프로토콜의 한계성을 벗어나지 못하여 페이징 수신단말기의 전지수명이 짧아지고 별도의 광역 프로토콜이 존재하지 않아 시스템과 페이징 수신단말기간의 지역인식 프로토콜을 별도로 정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저속광역 가입자의 경우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귀속국을 떠나 로밍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가 스스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야 로밍서비스를 받을수 있는 조건중 하나가 될 수 있는데 기존 저속페이지 프로토콜 자체에 로밍에 관한 내용이 없기 때문에 무선호출 교환시스템과 무선호출 수신단말기간에 별도의 지역인식을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사용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호출교환시스템에서 고속페이징 프로토콜에 로밍에 관련된 프로토콜을 갖도록 하여 별도의 지역인식 프로토콜을 정의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이 고속페이지 로밍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호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역망 무선호출 서비스를 위한 교환망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페이징 로밍서비스를 위한 무선호출 교환망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호출 교환시스템간의 접속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메시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역가입자마다 생성되는 테이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데이터의 테이블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페이징 가입자 및 저속 페이징 가입자 공통의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페이징 로밍서비스를 위한 무선호출 교환망의 구성도이다.
100은 페이저를 호출하고자 하는 일반가입자의 전화기이다. 200은 일반공중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으로 전화서비스를 하는 네트워크이다. 300은 PSTN 200에 접속되어 페이징 서비스를 수행하는 무선호출교환시스템이다. 301은 PSTN과 접속하여 호를 유입하는 PSTN정합부이다. 302는 진행중인 호가 있을시 일반 저속가입자 호출인지 아니면 플렉스 고속 가입자호출인지 판단하여 해당 페이징 호처리를 담당하는 페이징 호출부이다. 303은 여러개의 기지국을 제어하면선 무선호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정합부이다. 304는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운용, 관리, 감시를 하기 위한 모듈의 운용정합부이다. 305는 페이징 호 처리부 302로부터 광역호를 받아 등록된 전지역으로 메시지와 가입자정보(RFCH, CAPCODE)를 보내고, 광역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광역호 메시지를 받아 메시지중 RF_CHANNEL_NO를 구하고 RF_CHANNEL_NO를 처리하는 페이징 터미널이 존재하면 페이징 호처리부 302로 광역호 처리를 요구하는 광역호 처리부이다. 400은 여러개의 저속송신기 401로 무선호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 감시하는 일반저속 기지국이다. HPCR(High Performance Paging Control Rack)정합부 306은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에서 호처리된 호중에서 고속 페이징 기능을 이용하는 호를 HPCR 6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접속프로토콜 규격은 TNPP Version3.7(Telecator Network Paging Protocol)을 사용하며 호출데이터 내역은 페이저가 동조해야할 주파수번호, 캡코드(CAPCODE), 펑션코드(FUNCTION CODE), 페이지 형태(PAGE TYPE), 페이지 클래스(PAGE CLASS), 수신메시지등이 포함된다. HPCR 600은 TNPP를 경유하여 입력된 페이징 호출 데이터를 플렉스(FLEX)수선 프로토콜로 코딩하여 고속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고속페이징 전문 모듈이다. 고속기지국 700은 자신이 속해 있는 고속 송신기 701로 플렉스(FLEX)로 코딩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전송한다. 고속송신기 701은 플렉스 프로토콜로 페이징 수신단말기를 무선으로 호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호출 교환시스템간의 접속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메시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역가입자마다 생성되는 테이블 구성도이며,
LOCAL IDENTITY는 전지역을 n개의 지역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의 지역 코드이다.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은 광역가입자가 각각의 지역으로 이동 시 사용하는 방문채널이다. CURRENT POSITION은 현재 이 가입자의 위치를 나타내며, 가입자가 이동하지 않았다면 귀속시스템이 속해있는 지역코드에 YES로 표시된다. 만약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다면 해당 방문지역 코드에 YES가 되며, 본래의 지역코드는 NO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데이터의 테이블 구조도이다.
LOCAL IDENTITY는 도 4에서의 의미와 동일하며, DESTINATION POINT CODE는 각각의 지역코드의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의 No.7네트워크 500의 IDENTITY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속 페이징 가입자 및 저속 페이징 가입자 공통의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도이다.
여기서 D_ENCODING_TYPE의 값이 FLEX이면 고속가입자이고, 그렇지 않으면 일반가입자를 나타낸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속가입자에 대한 캡코드(CAPCODE)를 입력하여야 한다. 상기 캡코드 및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도 2에서 운용정합부 304는 플렉스(FLEX) 이용가입자를 등록할 수 있는데 이때 가입자의 캡코드(CAPCODE), 가입자 단말의 프레임번호(FRAME NUMBER), 페이지 콜랩스번호(PAGE COLLAPSE NUMBER), PHASE를 입력받은 후 기타 일반적인 정보를 받아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의 하드디스크 및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되는 메모리의 데이터 베이스 구조는 도 6과 같다. 도 6에서 프레임번호(Frame Number)는 D_Pval에 저장하고, 콜랩스번호(Collapse Number) 및 PHASE번호는 D_QRval에 저장한다. 이때 일반 저속용 가입자도 등록할 수 있으며, 캡코드 및 기타 일반적인 정보만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정보를 입력시킨 후 무선호출 교환시스템A와 운용자간 규정에 의거하여 운용자는 운용정합부 304를 통하여 특정 플렉스 가입자에게 광역CLASS를 부여한다. 이때 도 4와 같은 테이블이 시스템 메모리와 디스크의 특정가입자의 기록지점에 기록된다.
그런 후 특정가입자(무선호출 수신단말기a)가 귀속지역에 있을 경우 일반가입자 전화기 100으로부터 호출이 있을 시 페이저 호처리를 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도 2에서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에서 PSTN 200을 경유하여 귀속지역내에 위치한 무선호출 수신기를 호출하는 호를 시도하면 PSTN정합부 301이 이를 감지하고 호를 연결하여 페이징 호처리부 302로 통보한다. 상기 페이저 호처리부 302는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에게 호가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적절한 톤을 연결한 후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으로부터 디지트 정보 수신을 기다린다. 이때 일반가입자는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을 통해 고속가입자(무선호출 수신기a)에게 알리고자 하는 디지트 정보를 누른 후 수화기를 내려놓는다. 이때 페이징 호처리부 302는 지금 진행중인 호의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가 귀속지역을 떠나 타 지역으로 이동했는지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의 내부메모리에 기록된 도 4의 테이블의 CURRENT POSITION를 읽어들여 판단한다. 이때 CURRENT POSITION이 YES이면 귀속지역에서 호출임을 인식한다. 그런 후 페이징 호처리부 302는 내부메모리에 기록된 도 6과 같은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D_ENCODING_TYPE를 읽어들여 현재 진행중인 호가 일반저속가입자인지 플렉스 고속가입자인지 판단한다. 상기 현재 진행중인 호가 플렉스 고속가입자이면 진행중인 호를 HPCR 정합부 306으로 넘긴다. 상기 HPCR 정합부 306은 넘겨받은 호를 TNPP Version 3.7 규격으로 코딩하여 HPCR 600으로 전달한다. HPCR 600은 고속기지국 700 및 고속송신기 701를 이용하여 플렉스 프로토콜 즉, TNPP Version 3.7 (Telecator Network Paging Protocol)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를 호출한다. 여기서 TNPP Version 3.7 (Telecator Network Paging Protocol)은 광역 서비스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페이지 호 처리부 302에서 현재진행중인 호가 일반저속 가입자용 호이면 기지국 정합부 303으로 호를 넘긴다. 기지국 정합부 303은 저속기지국 400 및 저속송신기 401을 경유하여 POCSAG-512bps 또는 POCSAG-1200bps 프로토콜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를 호출한다.
그러나 특정가입자(무선호출 수신단말기a)가 귀속지역을 타지역으로 벗어나 있을 경우 일반가입자 전화기 100으로부터 호출이 있을 시 페이저 호처리를 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는 HPCR 600과 플렉스 고유의 프로토콜에 의해 방문지역 예를들어 지역B로 이동했음을 자동으로 인지하고 도 4의 테이블에서 B지역의 코드에 해당하는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에 동조한다. 그러면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의 가입자는 일반가입자 전화기 100을 통해 자신된 귀속된 무선호출 교환시스템 A로 자신의 번호를 다이얼하여 방문지역을 등록한다. 이때 가입자의 시스템 메모리에는 도 4의 테이블과 같이 방문지역 LOCAL IDENTITY인 B지역에 해당하는 CURRENT POSITION을 YES로 전환되고 이전의 CURRENT POSITION이 NO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무선호출수신기 a를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에서 PSTN 200을 경유하여 타 지역에 위치한 무선호출 수신기a를 호출하면 PSTN정합부 301이 이를 감지하고 호를 연결하여 페이징 호처리부 302로 통보한다. 상기 페이징 호처리부 302는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에게 호가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적절한 톤을 연결한 후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으로부터 디지트 정보 수신을 기다린다. 이때 일반가입자는 일반가입자의 전화기 100을 통해 고속가입자(무선호출 수신기a)에게 알리고자 하는 디지트 정보를 누른 후 수화기를 내려놓는다. 이때 페이징 호처리부 302는 지금 진행중인 호의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가 귀속지역을 떠나 타 지역으로 이동했는지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의 내부메모리에 기록된 도 4의 테이블의 CURRENT POSITION를 읽어들여 판단한다. 이때 귀속지역의 CURRENT POSITION가 NO이고 B지역의 CURRENT POSITION가 YES이므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가 타지역으로 이동했음을 인지한다. 따라서 도 4의 RADIO FREQUENCY NUMBER와 기타 필요한 가입자 정보를 도 6의 가입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들여 무선호출 수신단말기 a를 호출한 가입자가 남긴 디지트 정보를 합쳐 광역호 처리부 305로 보내 광역호출을 요구한다. 이때 광역호출데이터가 일반저속가입자인지 플렉스 고속가입자인지 명시된다. 상기 광역호 처리부 305는 페이징 호처리부 302로부터 의뢰 받은 광역 호출데이터를가 플렉스 고속가입자이면 도 3의 FRM(Flex Roaming Message)을 일반광역 호출데이터이면 도 3의 LRM(Low Speed Roaming Message)을 포맷팅한다. 그런 후 광역처리부 305는 도 5에서 방문지역 B의 LOCAL IDENTITY에 해당하는 DESTINATION POINT CODE를 구한다. 그런다음 상기 FRM(Flex Roaming Message)을 DESTINATION POINT CODE에 해당하는 지역 B의 무선호출 교환시스템 B로 No.7네트워크 500을 경유하여 발신한다. 이때 무선호출 교환시스템 B에서는 FRM을 수신하며, 무선호출 교환시스템 B의 광역호 처리부 305는 FRM으로부터 RADIO FREQUENCY CHNNEL NUMBER 및 기타 필요한 가입자정보를 분석하여 페이징 호처리부 302로 전달한다. 상기 페이징 호처리부 302는 전달된 호가 플렉스 고속 광역호 정보임을 인지하고 HPCR 정합부 306으로 무선호출 데이터를 송출을 요구한다. 그러면 상기 HPCR 정합부 306은 넘겨받은 무선호출 데이터를 TNPP Version 3.7 규격으로 코딩하여 HPCR 600으로 전달한다. HPCR 600은 고속기지국 700 및 고속송신기 701를 이용하여 플렉스 프로토콜 즉, TNPP Version 3.7 (Telecator Network Paging Protocol)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a를 호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에서 일반저속 페이징 로밍호출 서비스 뿐만 아니라 고속 페이징 로밍 호출서비스를 할 수 있으며, 고속페이징 호출서비스하므로 인해 주어진 단위 주파수대에서 하나의 호출데이터가 차지하는 자원을 절약하여 주파수 사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고속페이지 프로토콜에 광역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므로 시스템과 무선호출 수신단말기간에 지역인식 프로토콜을 적용하지 않고서 광역서비스 기능을 서비스 받을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플렉스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의 바탕위에 국가간 로밍서비스, 문자형 로밍 서비스, 전지역 로밍 서비스, 전지역 호 전환기능등 새로운 부가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기본이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PSTN과 접속하여 호를 유입하는 PSTN정합부와,
    상기 PSTN 정합부로부터 진행중인 호가 유입될 시 일반 저속가입자 호출인지 아니면 플렉스 고속 가입자호출인지 판단하여 일반저속 페이징호 및 플렉스 고속 페이징호 호처리를 담당하는 페이징 호처리부와,
    여러개의 기지국을 제어하면서 무선호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 정합부와,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운용, 관리, 감시를 하기 위한 모듈의 운용정합부와,
    여러개의 저속송신기로 무선호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 감시하는 저속 기지국과,
    상기 페이징 호 처리부로부터 광역호를 받아 등록된 전지역으로 메시지와 가입자정보(RFCH, CAPCODE)를 보내고, 광역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광역호 메시지를 받아 메시지중 RF_CHANNEL_NO를 구하고 RF_CHANNEL_NO를 처리하는 페이징 터미널이 존재하면 상기 페이징 호처리부로 광역호 처리를 요구하는 광역호 처리부와,
    상기 페이징 호처리부에서 처리된 호가 고속 페이징호일 시 TNPP Version3.7규격에 의해 호데이터를 HPCR로 전달하는 HPCR 정합부와,
    상기 HPCR 정합부를 통해 TNPP Version3.7규격에 의해 코딩된 페이징 호출 데이터를 플렉스(FLEX)수신 프로토콜로 코딩하여 고속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HPCR과,
    자신이 속해 있는 고속 송신기로 플렉스(FLEX)로 코딩된 무선호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고속기지국과,
    상기 고속기지국으로부터 무선호출데이터를 받아 플렉스 프로토콜로 페이징 수신단말기를 무선으로 호출하는 고속송신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NPP Version3.7규격은, 광역 서비스 기능을 탑재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NPP Version3.7의 규격은, 페이저가 동조해야할 주파수번호, 캡코드, 펑션코드, 페이지타입, 페이지 클래스, 수신메시지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
  4.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고속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있어서,
    페이징 호가 유입될 시 무선호출 수신단말기의 지역이동 유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지역이동 유무를 검출한 후 일반 저속가입자 호출인지 아니면 플렉스 고속 가입자호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지역이동이 있을 시 플렉스 고속가입자 호출이면 플렉스 고속호출데이터를 실어 광역호출을 광역호 처리부로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광역호출 요구를 받아 플렉스 광역호출 데이터가 수신될 시 FRM을 포맷팅하여 이동된 지역의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발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호출 수신단말기가 이동된 지역의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FRM을 수신한 후 가입자정보를 분석한 후 플렉스 고속 호출정보가 감지될 시 무선호출 데이터를 TNPP Version 3.7규정에 의해 코딩하여 호출 데이터를 고속기지국으로 전송하여 무선호출 수신단말기를 호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NPP Version3.7의 규정은, 페이저가 동조해야할 주파수번호, 캡코드, 펑션코드, 페이지타입, 페이지 클래스, 수신메시지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 제어방법.
KR1019970039048A 1997-08-16 1997-08-16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및그 제어방법 KR100242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48A KR100242429B1 (ko) 1997-08-16 1997-08-16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및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048A KR100242429B1 (ko) 1997-08-16 1997-08-16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및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84A KR19990016484A (ko) 1999-03-05
KR100242429B1 true KR100242429B1 (ko) 2000-02-01

Family

ID=1951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048A KR100242429B1 (ko) 1997-08-16 1997-08-16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및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4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6886A (en) * 1993-12-27 1996-04-09 Motorola, Inc. Wide area paging with roaming subscriber units
KR970055748A (ko) * 1995-12-06 1997-07-31 김광호 무선 호출 시스템의 전국망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6886A (en) * 1993-12-27 1996-04-09 Motorola, Inc. Wide area paging with roaming subscriber units
KR970055748A (ko) * 1995-12-06 1997-07-31 김광호 무선 호출 시스템의 전국망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84A (ko) 199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8283B2 (en) System and method to inform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of the operating capabilities of a mobile terminal located therein
US57970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 roaming pager
JP4037056B2 (ja) 移動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管理
US6292672B1 (en) Call pickup group controlled by wireless terminals
US7010296B2 (en) Method of registering services in mobile-communication system
US6654598B1 (en) Method for setting up call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0168786B1 (ko) 무선 호출 시스템의 광역호 처리방법
KR100242429B1 (ko)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및그 제어방법
US20030199274A1 (en) Method for providing calling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237458B1 (ko)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에서 고속가입자 로밍예약호출방법
KR100233916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대기 통보 방법
US6298240B1 (en) Terminating extension groups controlled by wireless terminals
KR100234133B1 (ko) 고속페이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및 그 제어방법
KR100255322B1 (ko)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에서 지역번호 자동 삽입방법
JP302880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と移動機およびその発信方法
JP2836715B2 (ja) ロケーションレジスタのデータ転送方法
KR100194755B1 (ko) 무선호출망과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셀기반 양방향 무선데이타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05960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KR100242702B1 (ko) 호 보류 및 회의 통화 처리 방법
JP348725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呼び出し制御方法
KR20000003242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영역 등록 방법 및 그를 이용한다단계 페이징 방법
KR100242701B1 (ko) 회의 통화 처리 방법
KR100278837B1 (ko)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단말기 제어 및응답 방법
JPH08205230A (ja) パーソナルローミング制御方式
KR19980045200A (ko)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무선호출기 내장형 ct2 단말기의 위치등록 및 해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