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960B1 - 코드분할다중접속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분할다중접속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960B1
KR100205960B1 KR1019960076669A KR19960076669A KR100205960B1 KR 100205960 B1 KR100205960 B1 KR 100205960B1 KR 1019960076669 A KR1019960076669 A KR 1019960076669A KR 19960076669 A KR19960076669 A KR 19960076669A KR 100205960 B1 KR100205960 B1 KR 100205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aging
service
paging message
voice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384A (ko
Inventor
장한식
정해관
임슬기
임재성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6007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9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22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for recording tex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pplications where calls are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communication
    • H04M2203/658Combination of voice calls and p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음성페이징 시스템에서의 음성페이징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음성페이징 시스템에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음성페이징서비스(Voice Paging Service)를 수행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음성페이징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 페이징 메시지를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피호출자에게 전송하여 음성페이징서비스(Voice Paging Service)를 수행하므로써, 종래의 무선호출서비스에 비해 표현의 제한성 및 이용의 편의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고, 가입자는 단방향 이동전화서비스와 같은 고부가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전화 가입자번호를 전혀 소모하지 않고 음성페이징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음성페이징서비스에 이용됨.

Description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음성페이징서비스(Voice Paging Service)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 무선호출망, 및 단전문 센터(SMS : Short Message Center) 등의 음성페이징 시스템에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음성페이징서비스(Voice Paging Service)를 수행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음성페이징서비스는 호출자의 음성이 음성페이징 시스템을 경유하여 피호출자의 단말기로 전달되는 무선호출서비스이다. 음성데이타가 아닌 약속된 특정 코드를 수신하여 단말기에 내장 정형문을 들려주거나 단순 숫자메시지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형태는 음성페이징서비스가 아닌 것으로 정의한다.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단전문서비스는 단전문 센터의 저장과 전달(Store and Forward) 기능 및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채널과 통화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단말기간 또는 이동 단말기와 메시지 입력장치간에 짧은 문자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서비스 식별번호는 음성페이징서비스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8 디지트(digit) 무선호출 가입자번호 체계에서 첫 번째 디지트(digit)를 서비스 식별번호로 할당한다.
현재, 무선호출 사업자들에 의하여 제공되고 있는 대표적인 무선호출서비스로서는 숫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숫자페이징(Numeric paging), 간단한 문자메세지의 수신이 가능한 문자페이징(Alphanumeric Paging), 및 30초내의 간단한 음성메시지를 전달하는 음성사서함서비스(VMS : Voice Mail Serive) 등이 있다.
그러나, 숫자 및 문자페이징으로는 호출메시지의 표현이 극히 제한되며, 특히 문자 페이징의 경우에는 메시지 작성을 위하여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거나 전담 운용자 (operator)의 도움이 필요하므로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이 크게 제약을 받으며, 또한 음성사서함서비스는 피호출자가 남겨진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접 음성사서함으로 전화를 걸어 청취하여야 하므로 전화를 거는 번거로움은 물론 이동중인 가입자는 전화가 있는 장소를 찾아가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음성페이징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형태로 피호출자에게 전송하여 음성페이징서비스(Voice Paging Service)를 수행하므로써, 종래의 무선호출서비스에 비해 표현의 제한성 및 이용의 편의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고, 가입자는 단방향 이동전화서비스와 같은 고부가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전화 가입자번호를 전혀 소모하지 않고 음성페이징 가입자를 수요할 수 있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페이징 시스템의 구성.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식별번호 할당에 대한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전화기 102 : 일반공중전화망
103 : 무선호출망 104 : 음성사서함 시스템
105 : 홈위치등록기 106 : 이동교환기
107 : 단전문 센터 108 : 방문 이동교환기
109 : 기지국 110 : 이동통신망
111 : 음성페이징 겸용 이동단말기 112 : 음성페이징 전용 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음성페이징 시스템에 적용되는 음성페이징서비스(Voice Paging Service) 방법에 있어서, 호출자가 일반공중전화망과 무선호출망을 경유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호출자로부터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압축/저장한 후에 단전문 센터(SMC)로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달을 요구하는 제1단계 ;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홈위치등록기(HLR)를 통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에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부터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단전문서비스 형식으로 포맷화한 다음에 현재 가입자가 위치한 방문자 이동교환기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할당을 요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에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할당하면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를 경유하여 할당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음성페이징 시스템에 적용되는 음성페이징 서비스(Voice Paging Service) 방법에 있어서, 호출자가 대표번호를 다이얼하여 일반공중전화망과 이동교환기를 경유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음성 사서함 시스템에서는 피호출자 번호와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압축/저장한 후에 단전문 센터(SMC)로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달을 요구하는 제1단계 ;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홈위치등록기(HLR)를 통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에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부터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단전문서비스 형식으로 포맷화한 다음에 현재 가입자가 위치한 방문자 이동교환기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 할당을 요구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에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 할당하면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를 경유하여 할당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성페이징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01"은 전화기, "102"는 일반공중전화망, "103"은 무선호출망, "104"는 음성사서함 시스템, "105"는 홈위치등록기, "106"은 이동교환기, "107"은 단전문 센터, "108"은 방문 이동교환기, "109"는 기지국, "110"은 이동통신망, "111"은 음성페이징 겸용 이동단말기, "112"는 음성페이징 전용 단말기를 각각 나타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식별번호 할당에 대한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표 1과 같은 2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호출자가 무선호출망(103)을 경유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110)에 접속하여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110)의 통화 채널(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단전문서비스(SMS) 형태로 피호출자에게 전달하는 음성페이징 전용서비스로서, 음성페이징서비스만을 이용하고자 하는 가입자들을 기존 이동전화번호를 소모하지 않고 수용할 수 있으며, 호출자는 대표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피호출자에게 접속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이동전화서비스에 음성페이징서비스를 부가한 형태이므로 따로 가입자번호를 할당할 필요없이 이동전화 가입자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대표번호를 통하여 피호출자에게 접속하고, 단말기는 이동전화와 음성페이징 겸용 단말기(111)를 사용한다.
이처럼, 두 번째 방법에서는 이동전화에 음성페이징서비스를 부가한 형태이므로 음성페이징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가입자번호가 필요없이 이동전화 가입자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별도로 가입자번호를 부여하여야 하는 데, 현재 7 디지트(digit) 이동전화 가입자번호 체계로는 여유가 그리 많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8 디지트(국번 4 디지트)로 확장된 무선호출 가입자번호 체계를 이용하여 음성페이징 전용 가입자를 수용한다. 즉, 확장된 국번 4 디지트(digit)중에서 첫 번째 디지트 한 개를 서비스 식별번호(음성페이징서비스용)로 할당하는 방법으로 이는 도 2와 같다.
그런데, 현재 이동통신망 (110)에서는 가입자번호에 무조건 망 식별번호(011,017)를 첨가하므로 실제적으로는 10 디지트(digit)로 가입자번호를 처리한다. 그러므로, 서비스 식별번호로 할당된 "X"는 무선호출망(103)에서 서비스 식별 후에 이동통신망(110)으로 넘겨줄 때는 반드시 삭제하고 망 식별번호는 첨가해야 된다. 또한, 단말기의 롬(ROM : Read Only Memory)에 내장된 가입자번호도 서비스 식별번호(X)를 제외한 10 디지트(digit)가 되어야 한다. 즉, 호출자가 일반공중전화망(PSTN)(102)을 통하여 가입자를 호출할 때에는 11 디지트(012-Xabc-defg)가 되며,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의 이동통신망(110)내에서 자율등록(AR : Autonomous Registration) 및 홈위치등록기/방문자위치등록기(HLR/VLR : Home Location Registe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등록할 때에는 10 디지트(012-acd-defg)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번호체계에서 가입자번호 "9123-4567"(서비스 식별번호를 "9"로 가정)을 가진 가입자에게 음성페이징을 할 경우에 다음과 같은 번호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먼저, 호출자는 일반공중전화망(PSTN)(102)으로 "012-9123-4567"을 호출한다. 그러면, 일반공중전화망(PSTN)(102)에서는 망 식별번호(012)를 제거하고 무선호출망(103)으로 "9123-4567"을 건네준다.
이후, 무선호출망(103)에서는 국번의 첫 번째 자리수(서비스 식별번호 9)를 인식하여 서비스 식별번호("9")를 제거하고 망 식별번호를 첨가하여 "012-9123-4567"을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110)으로 넘겨준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망(110)의 음성사서함 시스템(104)에서는 호출자의 메시지를 녹음/압축/저장하고, 단전문 센터(SMS : Short Message Center)(107)에게 "012-123-4567" 번호로 전달될 음성페이징 메시지가 있음을 알린다.
그러면, 단전문 센터(SMS)(107)는 국번("123")을 인식하여 해당 홈위치등록기(HLR)(105)에 문의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음성사서함 시스템(104)에 저장된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단전문서비스(SMS) 형식으로 만들어 단말기가 현재 등록되어 있는 방문자 이동교환기 (MSC : Mobile Switching Center)(108)를 경유하여 단말기 (111,112)로 전달한다.
한편, 등록시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기는 전원이 온(ON)되면 롬(ROM)에 내장된 "012-123-4578"을 역방향 제어채널을 통하여 기지국(109)을 경유하여 지역 방문자위치등록기(VLR)로 전달한다. 이후, 지역 방문자위치등록기(VLR)에서는 국번("123")을 인식하여 해당 홈위치등록기(HLR)(105)로 "012-123-4567"의 인증을 요구한다. 다음으로, 해당 홈위치등록기(HLR)(105)에서는 망 식별번호("12")를 인식하여 음성페이징 가입자 데이타베이스(Database)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방문자위치등록기(VLR)로 통보하고 자신의 내용을 경신(Update)한다. 또한, 이전에 단말기가 등록된 방문자위치등록기(VLR)로 "012-123-4567"의 등록삭제 요구신호를 보낸다.
이처럼, 첫 번째 방법의 번호체계는 다소 복잡하지만 두 번째 방법(대표번호 이용 : 2 단계 다이얼링)과는 달리 호출자가 한 번의 다이얼링(1 step dialling)으로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이동전화 가입자번호를 하나도 소모하지 않고 일천만(7 디지트) 가입자의 수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음성데이타 압축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음성데이타는 일반공중전화망(PSIN)(102)에서 64kbps의 펄스부호 변조(PCM : Pulse Code Modulation) 디지탈 데이타로 전송된다. 이러한 64kbps의 데이타를 9.6kbps(사용자 데이타율은 8kbps)의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110)의 트래픽 채널로 전송하기에는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고압축 음성부호화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한다. 이에는 이미 표준화 되어 있는 6.4/5.6kbps, 비표준의 4.8/4.0kbps, 및 최근에 발표된 2.4/2.0kbps 등을 사용한다. 아래의 표 21에서는 각 음성부호화 방식별로 호출자가 30초간 음성을 남겼을 때를 가정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비교한다.
본 발명에서 음성데이타의 압축은 음성사서함 시스템(104)에서 이루어지는 데, 일반공중전화망(102)으로부터 전송된 음성을 6.4∼2.0kbps로 압축하여야 하며, 압축된 음성데이타를 단전문 센터(107)에서 단전문서비스 형식으로 변환하여 코드 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110)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로 전달한다. 한편, 단말기는 단전문서비스(SMS) 형식의 압축된 음성데이타를 수신하면 이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기(Decoder)를 내장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호출 전화기에서 피호출자 번호(012-Xabc-defg)를 다이얼하면, 일반공중전화망(PSTN)과 무선호출망을 경유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된다. 즉, 일반 공중전화망에서는 피호출자 번호를 수신하면 망 식별번호를 제외한 피호출자 번호를 무선호출망으로 전송하고, 무선호출망은 피호출자 번호에서 서비스 식별번호를 제거하고 다시 망 식별번호를 첨가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호출자에게 전달할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남기라는 안내방송을 하고, 호출자는 제한된 시간 동안(예 : 30초) 전화기를 통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전달된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6.4∼2.0kbps로 압축/저장하고, 호출자에게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어 자신과 호출자간의 통화를 종료한다.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저장된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피호출자 번호(012-acd-defg)의 가입자에게 전달할 것을 단전문센터(SMC)로 요구하고, 단전문 센터(SMC)는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달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보내어 응답한다.
단전문 센터(SMC)에서는 홈위치등록기(HLR)로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요구하여 가입자(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단전문 센터(SMC)에서는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압축/저장된 음성페이징 메시지의 전달을 요구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단전문서비스 형식으로 포맷화한 후에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어 자신과 음성사서함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종료한다.
단전문 센터(SMC)에서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현재 가입자가 위치한 방문자 이동교환기(Visit MSC)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 할당을 요구하면, 방문자 이동교환기에서는 비어있는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한 개 할당한 후에 단전문 센터(SMC)로 단전문 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트래픽 채널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낸다.
단전문 센터(SMC)에서는 방문자 이동교환기(Visit MSC)로 트래픽 채널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접수하면 단전문 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방문자 이동교환기(Visit MSC)를 경유하여 할당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이를 복호화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음성으로 메시지를 들려준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호출 전화기에서 대표번호(011-tuv-wxyz)를 다이얼하면, 일반공중전화망(PSTN)과 이동교환기(MSC)를 경우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된다. 즉, 일반 공중전화망에서는 대표번호를 수신하면 망 식별번호를 제외한 대표번호를 이동교환기로 전송하고, 이동교환기에서는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호 라우팅(call routing)을 요구한다.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피호출자의 번호(abc-defg)를 입력하라는 안내방송을 하고 호출자가 피호출자 번호의 입력을 마치면, 계속하여 전달할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입력하라는 안내방송을 내보낸다. 호출자는 제한된 시간 동안(예 : 30초) 전화기를 통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전달된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6.4∼2.0kbps로 압축/저장하고, 호출자에게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어 자신과 호출자간의 통화를 종료한다.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저장된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피호출자 번호(012-acd-defg)의 가입자에게 전달할 것을 단전문 센터(SMC)로 요구하고, 단전문 센터(SMC)는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달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보내어 응답한다.
단전문 센터(SMC)에서는 홈위치등록기(HLR)로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요구하여 가입자(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단전문 센터(SMC)에서는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압축/저장된 음성페이징 메시지의 전달을 요구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단전문서비스 형식으로 포맷화한 후에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어 자신과 음성사서함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을 종료한다.
단전문 센터(SMC)에서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현재 가입자가 위치한 방문자 이동교환기(Visit MSC)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 할당을 요구하면, 방문자 이동교환기에서는 비어있는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한 개 할당한 후에 단전문 센터(SMC)로 단전문 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트래픽 채널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낸다.
단전문 센터(SMC)에서는 방문자 이동교환기(Visit MSC)로 트래픽 채널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접수하면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방문자 이동교환기(Visit MSC)를 경유하여 할당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이를 복호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음성으로 메시지를 들려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음성페이징 시스템에서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단전문 서비스 형태로 피호출자에게 전송하여 음성페이징서비스를 수행하므로써, 종래의 무선호출서비스에 비해 표현의 제한성 및 이용의 편의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고, 가입자는 단방향 이동전화 서비스와 같은 고부가서비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전화 가입자번호를 전혀 소모하지 않고 음성페이징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음성페이징 시스템에 적용되는 음성페이징서비스(Voice Paging Service) 방법에 있어서, 호출자가 일반공중전화망과 무선호출망을 경유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호출자로부터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압축/저장한 후에 단전문 센터(SMC)로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달을 요구하는 제1단계;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홈위치등록기(HLR)를 통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에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부터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단전문 서비스 형식으로 포맷화한 다음에 현재 가입자가 위치한 방문자 이동교환기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 할당을 요구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에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할당하면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를 경유하여 할당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단계는, 호출자가 호출 전화기에서 피호출자 번호(012-Xabc-defg)를 다이얼하여 상기 일반공중전화망(PSTN)과 무선호출망을 경유하여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남기라는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에 따라 호출자는 제한된 시간 동안 상기 호출 전화기를 통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전달받은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압축/저장한 후에 호출자에게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어 자신과 호출자간의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 저장된 음성 페이징 메시지를 피호출자 번호 (012-abc-defg)의 가입자에게 전달할 것을 상기 단전문 센터로 요구하면,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달 요구에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보내어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는, 호출자가 상기 호출 전화기에서 피호출자 번호(012-Xabc-defg)를 다이얼하면 상기 일반공중전화망에서 피호출자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호출망에서는 망 식별번호를 제외한 피호출자 번호를 상기 무선호출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호출망에서는 피호출자 번호에서 서비스 식별번호를 제거하고 다시 망 식별번호를 첨가하여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요구하여 가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압축/저장된 음성페이징 메시지의 전달을 요구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단전문서비스 형식으로 포맷화한 후에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어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현재 가입자가 위치한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에서는 비어있는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찾아 할당한 후에 상기 단전문 센터로 단전문 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트래픽 채널(통화채널)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는 단계;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로부터 트래픽 채널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접수하면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를 경유하여 할당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통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가입자 단말기는 이를 복호화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음성으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6. 음성페이징 시스템에 적용되는 음성페이징서비스(Voice Paging Service) 방법에 있어서, 호출자가 대표번호를 다이얼하여 일반공중전화망과 이동교환기를 경유하여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피호출자 번호와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압축/저장한 후에 단전문 센터(SMC)로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달을 요구하는 제1단계;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홈위치등록기(HLR)를 통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에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부터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단전문서비스 형식으로 포맷화한 다음에 현재 가입자가 위치한 방문자 이동교환기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 할당을 요구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에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할당하면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를 경유하여 할당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통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호출자가 호출 전화기에서 대표번호(011-tuv-wxyz)를 다이얼하여 상기 일반 공중전화망(PSIN)과 이동교환기(MSC)를 경유하여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호출자는 피호출자 번호(abc-defg)를 입력하라는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에 따라 피호출자 번호를 입력한 후에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입력하라는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안내방송에 따라 제한된 시간 동안 상기 호출 전화기를 통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는 전달받은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압축/저장한 후에 호출자에게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어 자신과 호출자간의 통화를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 저장된 음성 페이징 메시지를 피호출자 번호(011-abc-defg)의 가입자에게 전달할 것을 상기 단전문 센터로 요구하면,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달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서 보내어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는, 호출자가 상기 호출 전화기에서 대표번호(011-tuv-wxyz)를 다이얼하면 상기 일반공중전화망에서는 대표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일반공중전화망에서 망 식별번호를 제외한 대표번호를 상기 이동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교환기에서는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호 라우팅(call routing)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9. 제6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상기 홈위치등록기로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요구하여 가입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으로 압축/저장된 음성페이징 메시지의 전달을 요구하여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받아 단전문서비스 형식으로 포맷화한 후에 음성페이징 메시지 전송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어 상기 음성사서함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단전문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현재 가입자가 위치한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에서는 비어 있는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찾아 할당한 후에 상기 단전문 센터로 단전문 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트래픽 채널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보내는 단계; 상기 단전문 센터에서는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로부터 트래픽 채널 할당 요구에 대한 응답(Acknowledge) 신호를 접수하면 단전문 서비스 형식의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방문자 이동교환기를 경유하여 할당된 트래픽 채널(통화채널)을 통하여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음성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가입자 단말기는 이를 복호화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가입자에게 음성으로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KR1019960076669A 1996-12-30 1996-12-30 코드분할다중접속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KR100205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669A KR100205960B1 (ko) 1996-12-30 1996-12-30 코드분할다중접속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669A KR100205960B1 (ko) 1996-12-30 1996-12-30 코드분할다중접속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84A KR19980057384A (ko) 1998-09-25
KR100205960B1 true KR100205960B1 (ko) 1999-07-01

Family

ID=1949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669A KR100205960B1 (ko) 1996-12-30 1996-12-30 코드분할다중접속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294A (ko) * 2002-04-30 2003-11-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음성 포탈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749370B1 (ko) * 2006-04-10 2007-08-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84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1057B1 (en) Method of calling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US9036801B2 (en) Enhanced call retur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86348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 voice mail notification to a subscriber using cellular phone network
US6035193A (en) Telephone system having land-line-supported private base station switchable into cellular network
JP3544978B2 (ja) 移動機電話システム内の未登録移動機加入者に対する呼び出し取扱い方法
US6522879B2 (en) Two-way telephone and two-way paging service on the same wireless infrastructure
US6912400B1 (en) Procedure to transmit information at telephone answering service
US6298231B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wireless devices
JPH0510337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と移動体通信方法
US7340246B1 (en) Transmission of information during call establishment
US87060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reminder messages
US687107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optimum call routing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706486B1 (ko) 지능망을 이용하여 발신번호를 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205960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단전문서비스를 이용한 음성페이징서비스 방법
US5907811A (en) Personal reach service with paging and optional point of entry via cellular network
KR100275474B1 (ko) 디지털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성 페이징 서비스 방법
KR100191927B1 (ko) 멀티 캡코드 방식의 광역 무선호출 시스템
KR20040054065A (ko) 그룹 통화 기능을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100346197B1 (ko)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242429B1 (ko)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및그 제어방법
FI116020B (fi) Välitön kuva- ja ääniviestien lähetysmenetelmä ja järjestelmä
KR19990031014A (ko)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음성메시지 청취 확인 방법
KR980007029A (ko) 종량과금 무선호출 프로토콜
JPH0350465B2 (ko)
JPH05110678A (ja) 伝言交換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