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837B1 -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단말기 제어 및응답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단말기 제어 및응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837B1
KR100278837B1 KR1019980031820A KR19980031820A KR100278837B1 KR 100278837 B1 KR100278837 B1 KR 100278837B1 KR 1019980031820 A KR1019980031820 A KR 1019980031820A KR 19980031820 A KR19980031820 A KR 19980031820A KR 100278837 B1 KR100278837 B1 KR 100278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wireless
cal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134A (ko
Inventor
김성수
조장관
김준모
Original Assignee
이봉훈
서울이동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훈, 서울이동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봉훈
Priority to KR101998003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83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5Selective call deco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 단말기 제어 및 응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1대 이상의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0)와, 무선 송수신 장치(1)(2) 및 송수신 제어기(3)를 구비한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10)에서 무선호출 단말기 일회성제어, 주기적 제어(일정횟수 주기지정, 연속적 주기지정), 주기적 제어해제 및 대용량 전송 제어 등의 단말기 제어 방법과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상기 제어방법에 따라 응답하는 방법을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무선호출 시스템이 무선호출 단말기의 주기적인 응답을 요구하는 경우의 처리 방법 및 무선호출 단말기의 전체 프로그램 변경 경우 일정부분의 모듈 단위 프로그램 추가 등과 같이 장문 메시지 형태의 단말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처리하는 방법 등은 제공되지 못하므로 서비스의 제약성과 무선호출 시스템의 단말 제어가 사실상 불가능 했다.
본 발명은 무선호출 서비스영역의 확대와 무선호출 시스템의 단말 제어에 대한 효율적인 응답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이 무선호출 단말기로 일회성 제어, 주기성 제어, 주기성 제어 해제, 혹은 대용량 전송 제어인지를 표시하는 단말 제어 종류를 포함한 단말 제어 명령을 인코딩하여 송신하고,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무선호출 시스템의 단말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디코딩한 이후 단말 제어 종류에 따라 처리 여부를 판단한 이후 판단된 단말 제어 명령의 절차를 수행하며, 단말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를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 단말기 제어 및 응답방법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의 무선호출 단말제어 및 응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호출 시스템이 무선호출 단말기로 일회성 제어, 주기적 제어(일정회수 주기지정, 연속적 주기지정), 주기적 제어 해제 혹은 대용량 전송 제어인지 여부를 포함한 단말 제어 명령을 인코딩하여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무선호출 시스템의 단말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디코딩한 이후 단말 제어의 종류를 판단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단말기가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부터 요구된 단말 제어 명령의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그리고 무선호출 단말기가 단말 제어 명령을 수행한 결과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의 단말기 제어 및 응답이 가능토록 발명한 것이다.
기존의 단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1개 이상의 교환장치, 중앙제어장치, 기지국 시설 및 단방향 무선호출 단말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시스템의 특성상 무선호출 시스템이 일방적인 송신을 수행한 후 종료하는 형태의 단방향 통신방식이기 때문에 단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이 비교적 간단한 시스템만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였지만, 현재는 통신방식의 고도화 및 서비스지역의 확대 등으로 인하여 점차 고도화되며 복잡해 지고 있다.
또, 단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무선호출기 사용자는 무선호출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하면 시내교환기를 통하여 통상 무선호출 터미널이라 불리우는 중앙제어장치로 보내져서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입자 등록 여부를 확인한 이후 무선호출 가입자의 번호를 부호화장치에서 무선호출 수신기의 고유번호로 부호화시켜 송신기를 통하여 송출하고 호출자에게 호출 하였다는 사실을 알려주게 된다.
또한, 중앙제어장치는 공중전화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부터 입력되는 호출요구를 가입자 조회, 서비스메뉴조회 등을 등록데이타에 따라서 행하고, 받아들인 신호에 대응하는 무선호출 신호를 만들어 송신국에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무선호출의 절대적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POSCAG(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ersary Group)의 경우 일반적으로 전송속도는 1,200bps (초당 1200비트)이며 이러한 전송속도로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특히 문자전송과 데이터 전송의 경우 BCD코드를 이용한 숫자전송의 경우 보다 많은 데이터량의 전송이 요구되어 동일 주파수에 수용되는 가입자가 제한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속 무선호출방식이 제안 되었다.
대표적인 예를 보면 모토로라에서 개발한 플렉스(FLEX: FLEXible), ETSI(European Telecommunicaion Standard Institute: 유럽통신기준 제정기관)에서 개발한 어미스(ERMES: European Radio MEssage System) 그리고 필립스에서 개발한 에이폭(APOC: Advanced Paging Operators Code)이란 신호방식이 있다.
하지만 이 방식 역시 단방향 전용 서비스로서 무선호출 시스템이 송신한 데이터에 대해 무선호출 단말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무선호출 단말기의 서비스 요구 등을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무선호출 단말기의 가입자의 경우 소정의 데이타를 전송받고도 그 데이타의 일부 또는 전체에 오류가 발생된 경우 어떤 내용의 메시지인지를 확인할 수 없고, 또 메시지의 송출자는 소정의 메시지가 제대로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고 다음 행동에 임하므로써 양자간의 무선통신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방향 무선호출이 등장하였으며, 양방향 무선호출의 특징은 현재의 POCSAG나 FLEX와 같은 단방향 무선호출 방식과는 달리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는 발신자가 수신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데이타 전송을 할 수 있다.
즉, 무선호출 시스템이 전송한 메시지가 올바르게 도착했는지를 여부를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응답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개발된 양방향 무선호출을 살펴보면 모토로라에서 FLEX의 일부 기능을 보완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ReFLEX, 이스라엘의 NEXUS사가 개발한 NexNet, AT&T의 CDPD를 기반으로 한 pACT 등이 있으나 국내 환경에 적합하지 않아 국내에서는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단문 메시지 형태의 일회적인 무선호출 단말기에 대한 제어 및 응답은 수행되고 있었으나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부터 무선호출 단말기의 주기적인 응답을 요청되는 방법과 대량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즉, 무선호출 단말기의 전체 프로그램 변경 혹은 일정부분의 모듈 단위 프로그램 추가 등과 같이 장문 메시지 형태의 단말제어가 필요한 경우에 처리하는 방법 등은 제공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호출 시스템이 단말 제어 메시지가 온전히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고 다음 동작을 수행하며 양자간의 무선통신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 단말기 제어 및 응답 방법에 대해 사용 가능하며, 무선호출 시스템에게 단말제어를 위한 절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1대 이상의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와, 무선 송수신장치 및 송수신 제어기를 구비한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무선호출 단말기로 단말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단말기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해석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포인트 호출채널 전환이 요구된 경우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하여 포인트 호출채널 식별번호와 기지국 식별번호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하고나면, 수신된 포인트 호출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포인트 호출채널로 장문형태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호출 단말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완료 이후에 상기 제어를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
혹은 포인트 호출채널 전환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 무선호출 단말기가 상기 명령에 따라 제어동작을 수행을 완료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명령어를 역방향 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순방향 무선링크로는 무선호출 단말기마다 채널이 고정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채널과 기지국에서 운용하는 송수신 제어기 별로 복수개의 채널로 구성된 포인트(Point) 채널을 가지는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무선호출 단말기가 역방향 무선링크로는 예약 알로하 타임슬롯(Reservation ALOHA time slots) 또는 슬롯 알로하 타임슬롯(Slotted ALOHA time slots)이 사용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특정의 무선호출 단말기로 단말 제어 명령어를 송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호출 시스템이 일회성 제어 혹은 주기성 제어를 무선호출 단말기에 요구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을 통하여 단말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무선호출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일회성 제어 혹은 주기성 제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주기성의 경우 일정시간동안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일정횟수 주기지정인지 혹은 주기적 해제 제어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수신한 경우 해제되는 연속적 주기 지정인지를 판단하여 수행한 이후 제어 결과를 응답하기위해 응답의 신속성이 보장되는 슬롯 알로하 타임슬롯(Slotted ALOHA time slot)을 사용하여 단말제어 결과의 응답한다.
전체 프로그램 혹은 모듈단위 프로그램 등의 전송과 같은 포인트 호출채널 전환가 필요한 대용량 전송제어인 경우에 무선호출 시스템은 무선호출 단말기에 대용량 전송제어 메시지를 인코딩하여 전송하면, 무선호출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디코딩하여 대용량 제어 메시지인지 확인되면 포인트 주파수를 스캐닝하여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하고 전환된 포인트 호출채널 및 기지국 정보 등을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전송하면, 무선호출 시스템은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여 장문 메시지 형태의 단말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장문 메시지 형태의 단말 제어 명령을 수신을 완료한 무선호출 단말기는 수신완료 사실을 포함한 메시지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완료한다.
여기서 포인트 호출채널을 통해 장문 메시지 형태의 단말 제어 명령을 전송할 경우, 단말이 안정성이 보장되는 순방향 무선링크로 할당된 예약 알로하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단말제어 결과에 응답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따라서, 역방향 채널상으로 무선호출 시스템의 단말 제어에 대한 효율적인 응답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이 적용된 무선호출망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데이타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데이타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순방향 셀 구성 및 포인트 호출채널,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 지정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역방향 셀 구성 및 주파수 지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무선 송수신장치
3 : 송수신 제어기
10 : 무선호출 시스템
20 : 무선호출 단말기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무선호출망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나타낸 데이타 흐름도를 낱차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데이타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순방향 셀 구성 및 포인트 호출채널,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 지정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역방향 셀 구성 및 주파수 지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적어도 1대 이상의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와, 무선 송수신장치 및 송수신 제어기를 구비한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무선호출 단말기로 단말제어 명령어를 인코딩하여 송신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단말기에서 수신한 제어 명령어를 디코딩하는 과정과;
상기에서 디코딩된 명령어에 따라 포인트 호출채널 전환이 요구된 경우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하여 포인트 호출채널 번호와 기지국 번호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한 이후 수신된 포인트 호출채널 정보에 따라 무선호출 시스템이 전환된 포인트 호출채널로 장문형태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무선호출 단말이 이를 수신완료 이후 제어를 수행을 완료하는 과정;
혹은 포인트 호출채널 전환이 요구되지 않은 경우 무선호출 단말기가 상기 명령에 따라 제어를 수행을 완료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단말기가 명령어에 따른 수행 결과를 공중으로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순방향 무선링크로는 도 4와 같이 무선호출 단말기(20)마다 채널이 고정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호출채널(f0)과 기지국에서 운용하는 송수신 제어기(3) 별로 복수개의 채널로 구성된 포인트(Point) 호출채널(f1-f4)을 가지며,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과 포인트 호출채널의 프레임 구조는 동일하다. 또한 전송하려는 메시지의 길이가 한 프레임을 넘을 때는 전송하는 채널은 포인트 호출 채널을 사용한다. 여기서 무선호출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로 동작하며, 포인트 호출 채널은 무선호출 시스템의 요구에 응답하여 무선호출 단말기에 의해 채널 스캐닝으로써 찾아지며, 이 때 포인트 호출채널로부터 수신된 기지국 식별자를 바탕으로 해당 기지국의 포인트 호출채널을 참조하게 된다.
역방향 무선링크로는 도 5와 같이 무선호출 단말기마다 채널이 고정된 역방향 채널(f5)에서 순방향 프레임 내에 하나 이상의 예약 알로하 타임슬롯(Reservation ALOHA time slots) 또는 슬롯 알로하 타임슬롯(Slotted ALOHA time slots)을 사용한다.
한편, 특정의 무선호출 시스템(10)이 단말 제어 명령어를 송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을 통해 전송된 단말제어 메시지가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호출 시스템(10)이 순방향 무선링크의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을 통해 인코딩된 단말 제어 메세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단말기(20)이 단말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디코딩하고 일회성 제어, 주기적 제어, 주기적 제어 해제인지 여부를 판독하고, 주기적 제어인 경우 반복 횟수를 지정하는 일정횟수 주기지정인지 혹은 연속적 주기지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단말기(20)가 해독된 제어 명령에 따라 단말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단말기(20)가 수행된 결과 응답을 무선호출 시스템(10)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가진다.
또한,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을 통해 전송된 단말제어 메시지가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을 요구한 경우에는,
무선호출 시스템(10)에서 순방향 무선링크의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을 통해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할지의 여부를 포함한 메세지를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단말기(20)에 단말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디코딩하여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이 필요한 대용량 전송 제어인 경우 주파수를 스캐닝하여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하고 전환된 포인트 호출채널 번호및 기지국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슬롯 알로하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응답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0)로 부터 수신된 상기 포인트 호출채널 정보를 통해 무선호출 시스템(10)이 포인트 호출채널을 결정하여 무선호출 단말기(20)가 대기하고 있는 포인트 호출채널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대기하고 있는 포인트 호출채널을 통해 다른 포인트 호출채널로 변경할 것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포인트 호출채널을 통해 무선호출 시스템(10)으로 부터 수신된 포인트 호출채널 전환 지시에 따라 무선호출 단말기(20)가 전환하고 전환 사실을 역방향 채널을 통해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통보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시스템(10)이 설정된 포인트 호출채널로 무선호출 단말기(20)로 장문 제어 메시지 형태의 제어 명령 혹은 프로그램 등을 전송하고, 제어 명령 처리를 완료시점에 무선호출 단말기가 응답할 수 있는 예약 알로하 타임슬롯을 지정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무선호출 단말기(20)가 상기 메시지 혹은 프로그램을 수신을 완료하고 제어를 수행한 이후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지정된 예약 알로하 타임슬롯을 통해 무선호출 시스템(20)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순방향 무선링크로는 무선호출 단말기(20)마다 채널이 고정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채널과 기지국에서 운용하는 송수신 제어기(3) 별로 복수개의 채널로 구성된 포인트(Point) 채널을 가지며, 역방향 무선링크로는 예약 알로하 타임슬롯(Reservation ALOHA time slots)과 슬롯 알로하 타임슬롯(Slotted ALOHA time slots)이 사용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먼저, 본 발명에서 특정의 무선호출 단말기(20)로 단말 제어 명령어를 송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을 통하여 일회성 제어, 주기적 제어 혹은 주기적 제어 해제가 가능하며, 주기적 제어의 경우 일정횟수 지정된 제어 방법과 연속적인 지정 제어 방법이 있다.
일정횟수 지정 제어 방법은 일정횟수 만큼을 지정한 이후 무선호출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완료하며, 연속적인 지정 제어 방법은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적 제어 해제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무선호출 단말은 계속적으로 지정시간 단위로 제어에 대해 응답한다.
또한 무선호출 시스템이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을 통해 선행 장문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호출 단말기가 포인트 호출채널 전환을 수행한 이후 장문 제어 메시지(즉, 단말 프로그램 혹은 모듈 프로그램 포함)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호출 단말기가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하지 않는 단말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무선호출 단말기(20)가 제어 결과를 응답하기위해 응답의 신속성이 보장되는 슬롯 알로하 타임슬롯(Slotted ALOHA time slot)을 사용하여 단말제어 결과의 응답하며, 무선호출 단말기가 포인트 호출채널로 전환하기를 원하는 단말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 단말 제어 메시지는 슬롯 알로하 타임슬롯을 사용하며, 장문 제어 메시지(단말 제어 명령 혹은 프로그램을 포함)의 경우 단말이 안정성이 보장되는 순방향 무선링크로 할당된 예약 알로하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단말제어 결과에 응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호출 시스템의 단말제어를 위한 절차를 제공하며 무선호출 시스템이 단말 제어 메시지가 제대로 전달된 것으로 간주하고 다음 행동에 임함으로써 양자간의 무선통신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단말제어 응답 절차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적어도 1대 이상의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0)와, 무선 송수신장치(1)(2) 및 송수신 제어기(3)를 구비한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10)에서 특정의 무선호출 단말기(2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무선호출 단말기는 처리 결과를 응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10)이 무선호출 단말기(20)로 일회성 제어, 주기성 제어, 주기성 제어 해제, 혹은 대용량 전송 제어인지를 표시하는 단말 제어 종류 신호를 포함한 단말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0)가 무선호출 시스템(10)의 단말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해석하여 디코딩한 이후 단말 제어 종류를 판단하여 제어동작에 대한 처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된 단말 제어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그리고 상기 수행한 절차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 단말기 제어 및 응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제어절차에 따라 수행된 결과를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하였으나 결과 응답신호를 확인하지 못할 경우,
    무선호출 단말기가 상기 제어절차 수행결과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전송한 이후 일정기간 후에 반복하여 동일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이 과정 중에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부터 제어처리 완료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호출 단말기 제어 전송을 완료하는 과정;
    그리고 일정 횟수를 반복한 이후에도 상기 전송된 결과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무선호출 단말기에 제어명령 처리 미완료를 운용자에게 표시한 이후 무선호출 단말기 제어 전송을 완료하는 과정을; 부가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 단말기 제어 및 응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의 절차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과 포인트 호출채널로 구분된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무선호출 시스템이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로 제어신호을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호출 단말기가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무선호출 단말기가 제어 처리 결과에 대한 응답신호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 단말기 제어 및 응답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의 절차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은,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과 포인트 호출채널로 구분된 시스템에서 긴 메시지 제어 및 프로그램 변경을 위해 브로드캐스팅 호출채널로 포인트 호출채널 전환 요구를 수행하는 단계와;
    포인트 호출채널을 통해 응답할 예약 알로하 타임슬롯을 포함한 장문 형태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수행하는 단계와;
    그리고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단말 제어 결과 응답을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순방향 단말제어에 대해 응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 단말기 제어 및 응답 방법.
KR1019980031820A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단말기 제어 및응답 방법 KR100278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820A KR100278837B1 (ko)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단말기 제어 및응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820A KR100278837B1 (ko)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단말기 제어 및응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134A KR20000013134A (ko) 2000-03-06
KR100278837B1 true KR100278837B1 (ko) 2001-01-15

Family

ID=1954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820A KR100278837B1 (ko)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단말기 제어 및응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8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134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8283B2 (en) System and method to inform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of the operating capabilities of a mobile terminal located therein
JP4673537B2 (ja) 移動局によるパケット交換ページの受信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
JPH1150207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通信される情報を編成および回復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654598B1 (en) Method for setting up call in wireless local loop system
KR100278837B1 (ko)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의 양방향 무선단말기 제어 및응답 방법
KR100347325B1 (ko) Imt-2000 시스템에서의 셀 방송 서비스 처리장치 및방법
JP2909356B2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00279342B1 (ko)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용 역방향 무선링크의 데이터 중복전송방법
KR100304606B1 (ko) 선택적양방향무선호출시스템에서의데이터재전송방법
KR100237458B1 (ko) 무선호출 교환시스템에서 고속가입자 로밍예약호출방법
KR100278838B1 (ko)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호출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233915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대기 처리 방법
KR100225524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언어 선택 방법
KR2005011053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0233914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처리 방법
KR20000046562A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방법
EP15932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call setup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0137353B1 (ko) 주파수 공용시스템의 통화채널 접속방법
KR100250666B1 (ko) 개인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페이징요구방법
KR100284484B1 (ko)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JP3028497B2 (ja) 無線構内交換機
JP3073843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及び基地局状態情報伝送方法
KR100284315B1 (ko) 양방향 무선호출용 역방향 채널의 타이밍 결정방법
KR100242429B1 (ko) 고속페이징 로밍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호출 시스템및그 제어방법
KR100214123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와 제어국 간의 발신 단문 서비스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