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484B1 -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484B1
KR100284484B1 KR1019980031925A KR19980031925A KR100284484B1 KR 100284484 B1 KR100284484 B1 KR 100284484B1 KR 1019980031925 A KR1019980031925 A KR 1019980031925A KR 19980031925 A KR19980031925 A KR 19980031925A KR 100284484 B1 KR100284484 B1 KR 100284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radio
way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202A (ko
Inventor
김준모
조장관
Original Assignee
강상훈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이봉훈
서울이동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훈,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이봉훈, 서울이동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상훈
Priority to KR101998003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48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사서함을 포함한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과,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기지국에는 무선 호출 단말기를 위한 최소한 하나의 송신 장치와 최소한 하나의 수신 장치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순방향 무선 링크를 통하여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가입자 사서함에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저장하는데,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에서는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시스템의 가입자 사서함의 특정 저장영역에서 저장된 메시지 혹은 상기 메시지 정보 필드의 최소한 일부분을 변경하려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요청이나 관리 요청을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메시지 정보 필드란 최소한 메시지 변경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필드이다.

Description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순방향 무선 링크를 통하여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상기 가입자 사서함에 상기 전송 메시지를 저장하는데,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에서는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시스템의 가입자 사서함의 특정 저장영역에서 저장된 메시지 혹은 상기 메시지 정보 필드의 최소한 일부분을 변경하려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요청이나 관리 요청을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는 단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인 POCSAG (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ersary Group)과 모토롤라사의 FLEXTM등이 있다. 이들 단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의 특성상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일방적인 송신을 수행한 후 종료하는 형태의 단방향 통신방식이기 때문에 단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이 비교적 간단한 시스템만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방향 무선호출에서 호출자는 무선호출 단말기 사용자의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하면 시내교환기를 통하여 통상 무선호출 터미널이라 불리우는 중앙제어장치로 보내져서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입자 등록 여부를 확인한 이후 무선호출 가입자의 번호를 부호화장치에서 무선호출 수신기의 고유번호로 부호화시켜 송신기를 통하여 송출하고 호출자에게 호출 하였다는 사실을 알려주게 된다.
중앙제어장치는 공중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부터 입력되는 호출요구를 가입자 조회, 서비스메뉴조회 등을 등록데이타에 따라서 행하고, 받아들인 신호에 대응하는 무선호출 신호를 만들어 송신국에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호출에 의한 피호출자, 즉 가입자는 무선호출이 있음을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인지하게되며, 호출된 메시지, 예를 들어 호출자의 음성녹음을 확인하기위해, 혹은 녹음된 메시지들을 관리하기 위해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하여 시스템의 구성의 하나인 VMS(Voice Mailing System)에 접근 권한을 획득한 뒤, 인증이 확인되면 자신에게 할당된 가입자 사서함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청취, 혹은 삭제 등의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양방향 무선호출 방식은 모토롤라사의 ReFLEXTM과 InFLEXionTM, GWCom사의 P.L.A.N./E.T. 등이 있으며, 기존의 단방향 무선호출 방식의 일방적인 메시지 전달 방식보다 진보한 것으로, 최소한 무선 호출 단말기는 무선호출 시스템이 전송한 메시지가 올바르게 도착했는지 여부를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응답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제안된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는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무선호출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가입자의 사서함에 메시지를 저장하는 방법은 제공되고 있었으나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상기 메시지 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즉 메시지 삭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관리방법이 없어 사용자 측면에서 불편한 요소가 되어왔다. 또한 사서함 정보 제어에 대한 서비스 확대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무선호출 시스템이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무선호출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한편, 사용자의 사서함에 상기 메시지를 저장하며,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상기 시스템의 가입자 사서함의 특정 저장영역에서 저장된 메시지 혹은 상기 메시지 정보 필드의 최소한 일부분을 변경하려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요청이나 관리 요청을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셀(Cell) 과 순방향 채널 구성 및 주파수 할당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셀 구성과 주파수 할당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양방향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순방향 및 역방향 무선링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사서함을 사용한 사용자 메시지 전송 프로토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a-1e, 10 ; 무선호출 단말기
2a-2e, 2a1-2e1 ; 수신기 3a-3e ; 주변기지국
4a-4i ; 셀 5 ; 무선호출 터미널
6 ; 공중망 교환기 7 ; PSTN망
8a ; 인터넷 8b ; E-메일
9a ; 전화 9b ; 팩시밀리
9c ; 개인용 컴퓨터 11 ; 안테나
12 ; 수신부 13 ; 디코더
14 ; 주파수 합성기 15 ; ID 메모리
16 ; 엔코더 17 ; 송신부
18 ; CPU 19 ; ROM
20 ; RAM 21 ; 표시기
22 ; 부저 23 ; 스피커
24 ; 진동모터 25 ; 키입력부
26 ; 히스토리 파일 30 ; 기지국 시스템
31 ; RF 송/수신부 32 ; 엔코더
33 ; 디코더 34 ; CPU
35 ; I/O 37 ; 전화선 인터페이스
40 ; 사용자 사서함 41 ; E-메일
42 ; 숫자 43 ; 문자
44 ; 음성 45-48 ; 메시지 번호 관리 테이블
51 ; 전화 52 ; 컴퓨터
56 ; PSTN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 및 다수의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 구성되는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에서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은 무선호출 단말기에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호출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연관되었거나 상기 단말기 내의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호출자 메시지 혹은 메시지 변경과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정보 필드의 최소한 일부분을 변경하는 제어요청 메시지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결과를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제어 요청 메시지 전송단계는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부여되거나 단말 내의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송신수단으로 상기 비밀키 자체를 나타내는 신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은 수신한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은 인증 작업을 통해 상기 비밀키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의 가입자에 속하는 것인지 판단하고 확인되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확인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수신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하나의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과; 다수의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은 호출자들이 남긴 각종 형태의 메시지를 가입자별, 메시지의 데이터 종류별 등으로 분류하고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의 메모리 수단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메시지 혹은 메시지 변경과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정보 필드의 최소한 일부분을 변경하려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요청을 역방향 무선 링크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시스템으로 이송하도록 무선호출 서비스 지역내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수신기 장치와; 상기 다수의 무선호출 단말기와의 양방향 무선호출을 수행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고, 가입자에 대한 무선호출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의 메모리 수단내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메시지 혹은 상기 메시지 정보 필드의 최소한 일부분을 변경하려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요청이나 관리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통신 제어수단과; 상기 통신 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 받은 가입자에 대한 무선호출 메시지와 조회된 사용자 메시지를 다수의 설정한 범위의 지역 내에 있는 다수의 무선호출 단말기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각 지역마다 위치설정된 다수의 송신기로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무선호출 단말기에 대한 순방향 무선링크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고,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시스템에 대한 역방향 무선링크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 알로하 타임슬롯을 포함하는 양방향 채널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슬롯 알로하 방식이란 일정시간 간격 마다 최소한 하나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채널에서 장치들 간의 아무런 제약과 규칙 없이 임의의 시간 간격을 택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상기 메모리 수단에 기억되는 메시지 유형은 음성 파일, 문자 파일(character code), 숫자 (BCD code), 화상, 혹은 이진 파일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셀(Cell) 과 순방향 채널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셀 구성과 주파수 할당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양방향 무선호출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순방향 및 역방향 무선링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순방향 셀구성)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셀(Cell) 과 채널의 주파수 할당을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다수의 주변기지국(3a-3i)가 서비스 지역을 빈틈없이 송신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는 중앙 무선호출 터미널(5)(3a)과 연결된다.
주변기지국(3a-3i)은 각각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주파수(f0)를 사용하여 자신의 셀(4a-4i) 내에 위치해 있는 무선호출 단말기(1a-1e)로 메시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를 갖추고 있다. 이 경우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인접되지 않은 셀, 예를들어 셀(4a)과 셀(4e)은 서로 동일한 포인트 채널 형성용 송신 주파수로서 동일하게 주파수(f0)를 사용할 수 있게 주파수가 재할당되어 있다.
(역방향 셀구성)
한편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셀 구성과 주파수 할당을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다수의 주변기지국(3a-3i)가 서비스 지역을 가능한한 빈틈없이 커버하도록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는 무선호출 터미널(5)(3a)과 연결된다.
주변기지국(3a-3i)은 각각 역방향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주파수(f5)를 사용하여 자신의 셀(4a-4i) 내에 위치해 있는 무선호출 단말기(1a-1e)로부터 전송하는 메시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수신기(2a-2d, 2a1-2e1,...)를 각 셀마다 갖추고 있으며, 각각의 수신기(2a-2d, 2a1-2e1,...)는 해당 셀내에 위치한 주변기지국(3a-3e)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
도 1a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은 일정한 서비스 지역 내에 하나 이상의 기지국(3a,3b)이 분포되어 있고, 주변기지국(3a,3b)의 각각은 다수의 수신기(2a,2b)와 연결되어 있으며, 주변기지국(3a,3b)은 양방향 무선호출 터미널(5)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무선호출 터미널(5)은 주변기지국(3a,3b)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무선호출 제어장치와, 각종 데이터 베이스를 내장하고 있는 무선호출 터미널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유선으로 연결된 공중망 교환기(6)와 공중 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7)을 통하여 다수의 전화(9a), 팩시밀리(9b), 컴퓨터(9c)와 연결되고, 인터넷망을(8a) 통하여 다수의 E-메일(e-mail)을 전송하는 인터넷 서버(8b)와 연결되어 문자,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5)은 순방향 무선링크(downlink)를 통하여 무선호출 단말기(1a-1c)에 대한 메시지를 송신하고, 역방향 무선링크(uplink)를 통하여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수신 확인(ACK),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등록 응답, 호출 메시지 조회, 삭제, 재전송 등의 사서함 정보 등를 제어할 수 있는 무선호출 단말기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므로서 양방향 무선통신이 이루어진다.
도 1a에 도시된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에서 설명의 편의상 무선호출 시스템(5)과, 무선호출 시스템(5)의 단말기에 대한 RF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주변기지국(3a-3d)을 단지 하나의 무선호출 시스템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략화시켜서 표현하였고, 내부 구조를 상세블록도로서 표현하였다.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실시예인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30)(이하 단순히 "시스템"이라 약칭함)은 양방향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송수신 안테나(38), RF 송/수신부(31), 송신신호를 FSK 변조시키기 위한 엔코더(ENC)(32), 수신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코더(DEC)(33),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프로세서(CPU)(34), 사용자 사서함과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임시 저장을 위한 임시 메모리(35),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부(I/O)(36), 공중 전화 교환망(PSTN)(56)을 통한 원격 사용자와의 무선호출 접속을 중계하는 전화선 인터페이스(TEL INTR)(37), 음성(44), 문자(43), 숫자(42), E-메일(41), 혹은 이진 파일데이터(42) 등을 기억시키기 위한 메모리장치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사서함(4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30)은 공중 전화 교환망(PSTN)(56), 도시되지 않은 인터넷 또는 종합 정보 통신망(ISDN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전화(51), 컴퓨터(52)등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하나의 실시예인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10)는 무선호출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도록 송수신용 안테나(1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2)와, 상기 복조된 신호를 받아서 디코딩을 수행하여 수신된 메시지의 어드레스와 가입자 고유 어드레스(ID) 메모리(15)에 기억되어 있는 가입자의 고유 어드레스(ID)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디코더(13)와, 디코더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모든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1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PU(18)에는 가입자의 고유 어드레스(ID)가 기억되어 있는 가입자 고유 어드레스(ID) 메모리(15)와, 무선호출 단말기의 양방향 무선통신 동작을 포함한 전체적인 단말기 제어에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제어 ROM(19)과, 처리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RAM(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CPU(18)의 출력측에는 착신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LCD(Liquid Crystal Device) 혹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 표시기(21), 혹은 비프(beep) 모드에서 착신을 알리기 위한 비프음을 발생하는 부저(22), 혹은 음성모드에서 수신된 음성을 듣기 위한 스피커(23) 혹은, 사일런트 모드에서 착신을 알리기 위해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터(24), 혹은 내용을 인쇄할 수 있는 인쇄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CPU(18)의 입력측에는 키입력부(25), 혹은 음성 입력부, 혹은 필기 입력부, 혹은 바코드나 영상을 읽을 수 있는 스캐너부, 혹은 다른 입력을 이용할 수 있는 시리얼 포트, 혹은 패러랠 포트, 혹은 적외선 포트등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10)는 무선호출 시스템(30)의 사용자 사서함(4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44), 문자(43), 숫자(42), E-메일(41), 혹은 이진 파일 데이터의 메시지 종류와 전송 번호를 전송받은 경우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사용자 사서함에 대한 제어와, 각종 부가정보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메시지를 엔코딩하기 위한 엔코더(16)와, 엔코딩된 송신신호를 CPU(18)의 제어에 따라 패킷(packet)단위로 역방향 무선링크의 타임슬롯(time slot)에 실어서 전송하는 송신부(17)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의 양방향 통신과정을 하나의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순방향 프로토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호출자가 전화기(51) 또는 컴퓨터(52)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PSTN망(56)을 통하여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 무선호출 시스템(30)은 이러한 다수의 호출에 응답하여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다수의 배치(B0-Bn)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전송하며, 하나의 실시예로써 상기 각각의 배치는 N개, 예를들어 16개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16개의 프레임(F0-F15)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프레임(F0-F15)은 예를 들어 프레임 수신에 필요한 동기신호(SC)와, 단말기의 동기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신호 필드(FI)와, 메시지(MSG)로 구성되는데, 무선호출 단말기(10)는 자신이 속하는 프레임만을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그 이외의 프레임 기간 동안에는 수신부(12)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주기적인 메시지의 수신을 실행한다.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무선 호출 단말기 내부의 CPU(18)는 단말기에 설정된 착신모드에 따라 부저(22), 스피커(23) 또는 진동모터(24)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가입자에게 무선호출의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고 표시기(21)를 통하여 문자로 표시해줄 수 있다.
(역방향 프로토콜)
무선호출 단말기(10)로부터 역방향 무선링크(uplink)를 통하여 무선호출 시스템(30)에 대한 메시지 전송방법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수의 무선호출 단말기(10)로부터 역방향 무선링크접속을 위한 1사이클(cycle)(CC)(또는 1프레임) 당 타임슬롯(즉, 패킷)의 갯수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전송속도가 800bps인 경우 도 3과 같이 10개의 타임슬롯(T0-T9)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타임슬롯에는 단일 패킷이 전송된다.
한편 단말기(10)는 순방향의 프레임 시간을 기준시점으로 유지하며, 단말기의 동기유지규칙과 시간유지규칙은 순방향 프로토콜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역방향 채널의 각 사이클(CC)은 순방향의 프레임과 일치한다. 예를들면, 제 4 프레임(F3)과 제시된 타임슬롯(T0∼T9)까지를 지정하는 역방향 사이클은 타이밍이 동일하게 설정된다.
무선호출 시스템(30)은 순방향 프레임 정보(FI)를 통하여 동기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하며, 단말기(10)는 역방향 타임슬롯의 시간을 맞추기 위하여 순방향 채널의 프레임을 읽어 프레임 정보(FI)를 통해 동기를 맞춘다. 이 경우 모든 타임슬롯 시간은 매 프레임의 블록 0시작에 같은 시작점을 참조한다. 따라서 무선호출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기와 무선호출 단말기는 동일한 타이밍 클럭으로 구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역방향 무선링크의 단위 사이클(CC) 내에 포함되는 10개의 타임슬롯(T0-T9)은 슬로트 알로하(Slotted ALOHA; 이하 "S-ALOHA"로 표시함) 프로토콜(protocol)로 운영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각각의 무선호출 단말기(10)는 랜덤하게 선정되는 역방향 타임슬롯에 자신의 정보를 패킷단위로 전송하는 것을 시도하게 된다. 선택된 타임슬롯이 다른 무선호출 단말기에 의해 충돌하지 않는 경우 무선호출 단말기(10)의 메시지는 시스템(30)로 전송된다. 그러나 랜덤한 역방향 타임슬롯이 이미 점유되어 있는 경우 정보(메시지)의 충돌이 발생하여 전송된 정보는 시스템(30)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재송신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한 기지국 시스템에 대한 역방향 프로토콜은 무선호출에 대한 수신응답 (Acknowledge - back)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수신자가 다시 전화거는 일이 불필요하게 되어 통신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무선호출 단말기의 현재위치를 확인한 이후 필요한 지역의 송신기에서만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 RF 채널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긴 파일 및 데이터를 수신할때 오류없이 상대방이 수신했는 지를 판별할 수 있고 또한 오류가 발생했을때 재 전송요구를 즉시 가능하게 하고, 종래의 단순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에서 데이터, 음성 및 화상 등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 도 4를 참고하여 상기한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한 시스템(30)에 구비된 사용자 사서함(40)에 대한 관리 혹은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가입자 사서함(40)의 관리는 메시지를 조회하거나, 재전송 요청하는 것은 해당되지 않는다. 다만, 사서함에 저장된 메시지에 대하여 무선호출 단말기에서 수정을 가할 때 관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사서함 메시지의 일부 혹은 전부 삭제 요청)
메시지를 삭제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내는 동작은 여러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삭제하는 동작이 다른 동작과 동시에 발생하는 형태, 즉 두가지 이상의 동작이 결합되어 하나의 동작처럼 나타날 수 도 있다.
메시지를 삭제하는 실시예로는 메모리영역에서 메시지 자체를 쓸모없는 값(garbage value)로 겹쳐쓰는 동작; 메모리영역에서 메시지를 가리키는 포인터의 위치를 쓸모없는 값을 가리키도록 포인터의 값을 변경하는 동작; 메모리영역에서 메시지의 이름을 삭제하는 동작; 메모리영역에서 메시지가 지워졌음과 지워지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필드를 조작하는 동작 등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제로 메시지를 삭제한 것은 아니지만, 삭제의 동작이 포함된 동작이 있을 수 있으며, 이의 실시예로는 메모리영역에서 메시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동작; 메시지가 기록된 사서함을 변경하는 동작; 메시지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다른 포인터와 교체(swap)하는 동작; 두가지이상의 메시지를 하나의 메시지로 결합하기 위해 메시지를 가공/제단하는 동작; 메시지가 저장된 메모리 영역을 바꾸는 동작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근본적으로 메시지 혹은 메시지를 표현하는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동작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즉 메모리 영역을 변경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기존 메모리 영역에서 새로운 메모리 영역으로 메시지를 복사한 뒤, 기존 메모리 영역에서 메시지를 삭제하는 동작 등이 그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사용자 사서함(40)에 예를들어 음성(44)을 남기는 경우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과정을 도 4를 참고하여 이하에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전화(51)를 사용하여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S81), 시스템(30)은 호출된 단말기(10)의 ID를 사용하여 상기한 바와같이 브로드캐스팅 방법으로 무선호출을 행한다(S82).
호출을 받은 단말기(10)는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며 호출 응답을 전송한다(S83).
이경우 시스템(30)은 사서함(44)에 기억되어 있던 메시지를 해당 위치의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10)로 전송한다(S84).
가입자 사서함(44)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10)는 가입자에게 출력장치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하며, 상기 가입자 사서함(44)의 메시지를 모두 수신한 단말기(10)는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으로 수신확인(ACK)을 전송하고 통신절차를 종료한다(S85).
만일 가입자가 상기 가입자 사서함을 관리하고자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를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관리할 메시지와 관리방법에 해당하는 요청 메시지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시스템에서는 상기 가입자의 인증을 확인한 후, 인증이 옳다면 상기 가입자가 요청한 사서함 메시지 관리 방법에 따라 상기 가입자 사서함의 메시지 혹은 메시지 정보 필드의 일부 혹은 전부를 수정 혹은 변경한 뒤, 순방향으로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요청한 사서함 관리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한다. 응답으로는 ACK 혹은 NACK 가 있을 수 있다.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음성, 화상 데이터 혹은 E-메일의 데이터 혹은 이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서함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양방향 메시지 전송용 프로토콜은 무선호출 이외에도 다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방향 프로토콜로서 활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 무선호출을 실현할 수 있게 되어 이를 이용하여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무선호출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사서함에 메시지를 송신하고,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메시지 삭제, 변경, 보관, 복사, 이동 등의 사서함 정보를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 및 다수의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 구성되는 양방향 무선호출 통신 시스템에서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은 무선호출 단말기에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호출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연관되었거나 상기 단말기 내의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호출자 메시지 혹은 메시지 변경과 연관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정보 필드의 최소한 일부분을 변경하는 제어요청 메시지를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결과를 순방향 무선링크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제어 요청 메시지 전송단계는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부여되거나 단말 내의 메모리 수단에 기억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송신수단으로 상기 비밀키 자체를 나타내는 신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역방향 무선링크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은 수신한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은 인증 작업을 통해 상기 비밀키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의 가입자에 속하는 것인지 판단하고 확인되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확인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수신한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 요청 메시지를 발생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 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KR1019980031925A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KR100284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925A KR100284484B1 (ko)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925A KR100284484B1 (ko)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202A KR20000013202A (ko) 2000-03-06
KR100284484B1 true KR100284484B1 (ko) 2001-03-15

Family

ID=1954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925A KR100284484B1 (ko)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4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202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56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short message service
EP069778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two way communications between a pager device and a paging service provider
US6731942B1 (en) Two-way pager for providing communication of alphanumeric messages over the GSM/GPRS network
US6892074B2 (en) Selective message service to primary and secondary mobile stations
EP0826283B1 (en) Downloading location specific information to a selective call receiver
MXPA97008411A (es) Metodo y equipo para transferir informacionespecifica sobre ubicacion a los receptoresselectivos de llamadas
CN1117332A (zh) 无线通信系统用的报文发送系统和方法
EP0604442A4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lepoint to telepoint calling between pager equipped handsets.
CN100403658C (zh) 具有呼叫管理能力的无线通信设备及其方法
CN100474977C (zh) 用于处理呼叫的方法和系统
KR100284484B1 (ko)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부터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 대한가입자 사서함 관리방법
KR100233916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대기 통보 방법
US6253078B1 (en) Method for paging high-speed subscriber by roaming reservation in radio paging switching system
EP1072160B1 (en) A two-way pager for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 of alphanumeric messages over th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gprs) network
KR19990051732A (ko) 단문 서비스 메시지 센터에서의 방송형 단문 전송 방법
KR10025793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전문 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판매기 원격제어 방법
KR100284315B1 (ko) 양방향 무선호출용 역방향 채널의 타이밍 결정방법
KR100284314B1 (ko) 양방향 무선호출용 역방향 타임슬롯 구분할당방법
KR100278838B1 (ko)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호출시스템의 제어방법
BG99746A (bg) Система и метод за персонално повикване с предаване на обратен сигнал за потвърждение,използващи радиотелефонна система
KR20000013206A (ko)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용 역방향 무선링크의 타임슬롯지정방법
JP2950539B1 (ja) 無線呼出しシステム及び電子メール長文再送方法
KR20000071580A (ko) 단말, 원격 통신 시스템 및 접속 방법
KR100522944B1 (ko)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직접 전송 방법
JP2000358269A (ja) 無線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