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822B1 - 내강 확장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내강 확장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822B1
KR100241822B1 KR1019980000182A KR19980000182A KR100241822B1 KR 100241822 B1 KR100241822 B1 KR 100241822B1 KR 1019980000182 A KR1019980000182 A KR 1019980000182A KR 19980000182 A KR19980000182 A KR 19980000182A KR 100241822 B1 KR100241822 B1 KR 100241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zigzag
lumen
filament
va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5081A (ko
Inventor
안성순
김철생
최성필
박동진
김태형
송호영
송상우
Original Assignee
권병두
주식회사스텐텍
송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두, 주식회사스텐텍, 송호영 filed Critical 권병두
Priority to KR101998000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822B1/ko
Priority to US09/017,773 priority patent/US6241757B1/en
Priority to EP98400238A priority patent/EP0857471A3/en
Priority to CN98103808A priority patent/CN1203108A/zh
Priority to JP3803298A priority patent/JP2975584B2/ja
Publication of KR1999006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내강 내부에 배치되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텐트는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원통형으로서, 양 단부에 상기 필라멘트가 지그재그형으로 권선된 지그재그형 부분과, 상기 지그재그형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필라멘트가 나선형으로 권선된 나선형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지그재그형 부분은 직선부, 피크부 및 밸리부를 구비하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밴드를 형성하고, 상기 스텐트의 단부에 위치하는 밴드를 형성하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밸리부에는 인접하는 하부 밴드를 형성하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피크부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나선형 부분은 스텐트의 상부 단부의 지그재그형 부분의 최하부 밴드의 밸리부와 스텐트의 하부 단부의 최상부 밴드를 형성하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밸리부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내강 확장용 스텐트{STENT FOR EXPANDING LUMEN}
본 발명은 내강 확장용 스텐트(intervascular stent)에 관한 것이다.
협착 내강부를 팽창하기 위한 수단 또는 내강부를 통해 개방부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경우는 식도 암(esophageal carcinoma) 또는 식도 전이(metastasis)에 의하여 야기되는 악성 식도 협착 및 수술 또는 부식성 식도염에 의한 양성 협착증에 사용할 수 있거나, 혈관계, 담즙계, 누관계, 비뇨기계 및 기관지계의 협착증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협착 부위를 확장 및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풍선(balloon) 팽창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방법은 일시적인 효과로 인하여 반복적으로 시술되어야하며, 또한, 협착이 심한 환자에게는 효과가 없다.
다른 예로써, 식도 협착의 경우에 개방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환자의 식도에 여러 가지 인공 식도가 삽입되지만, 그것은 수축성과 이완성이 없기 때문에, 암에 의하여 야기된 협착 부위에 그것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식도 파열율이 높으며(30 내지 40%), 식도의 파열로 인한 사망율도 높다. 또한, 환자는 인공 식도의 내경(10 내지 12mm)이 협소하여, 음식물 섭취시에 협소한 인공 식도의 방해 때문에 음식물 등을 삼킬 때 큰 어려움을 겪는다.
상술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미국 특허 제4,214,587호에는 스텐트를 사용하여 확장된 통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장치는 통로 확장시에 일시적인 효과를 갖지만, 장시간이 지난 후에는 내강이 협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제4,580,568호에는 와이어가 폐쇄형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연속한 직선부가 밴드에 의하여 연결된 스텐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종래 스텐트는 내강에 삽입되기 위하여, 직선부가 나란히 그리고 상호 인접하여 배열되도록 작은 직경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는 직선부가 통로의 벽에 대하여 가압하여 그것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보다 큰 제2 직경으로 탄성적으로 자체 팽창가능하다. 종래 지그재그형 스텐트가 여러 가지 경우에 매우 유용한 것임이 입증되었지만, 그 성능은 스텐트의 길이가 증가할 때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자체 팽창성 스텐트는 4개의 성능 특성, 즉 스텐트가 내강벽에 부과하는 팽창력, 스텐트가 삽입 과정동안 압축될 수 있는 최소 직경, 환자의 신체 내부의 만곡 통로에 대한 스텐트의 적응성, 및 스텐트가 환자 내부의 최초 이식 지점으로부터 이동하지 않는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지그재그형 스텐트는 직선 와이어 부분으로 인해 구불구불한 환자의 내강에 대하여 용이하게 적응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짧다. 이러한 결점에 대한 한 해결책은 다수의 짧은 스텐트를 단부 대 단부로 연결하여 하나의 긴 지그재그형 스텐트 조립체를 만들어 종래 지그재그형 스텐트를 개량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량된 지그재그형 스텐트는 몇몇 용도에 대해서는 종래 지그재그형 스텐트에 비하여 개선되었지만, 종래 지그재그형 스텐트와 개량된 지그재그형 스텐트 모두의 장점을 가짐으로써 성능 특성이 향상된 신장된 자체 팽창성 스텐트의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텐트가 개발되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월(Wall) 타입의 스텐트와 쿡(Cook) 타입의 스텐트가 있다.
PCT 공개팜플렛 제WO93/13825호에는 쿡 타입의 스텐트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자체 팽창성 스텐트는 다수의 밴드부로 분리되어 있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직선 와이어 부분을 갖는 신장된 지그재그 패턴으로 굴곡된 와이어와, 상기 밴드부에 인접하여 교차하는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재그 패턴은 스텐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대다수의 밴드부가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패턴이다. 상기 스텐트는 다수의 필라멘트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원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구조적인 안정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미국 특허 제4,655,771호 공보에는 월 타입의 스텐트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스텐트는 서로에 대한 본체의 단부의 축방향 이동에 의하여 가변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다수의 강체이지만 가요성이 있는 실 엘레멘트(thread element)로 구성된 가요성 튜브형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실 엘레멘트 각각은 본체의 중심선을 공통축으로 하여 나선 형상으로 연장한다. 상기 본체는 동일한 권선 방향을 갖지만 상호 축방향으로 변위된 제1 개수의 엘레멘트와, 상호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있지만 대향하는 권선 방향으로 상기 제1 개수의 엘레멘트와 교차하는 제2 개수의 엘레멘트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엘레멘트는 실질적으로 둔각으로 형성하면서 교차한다. 상기 스텐트는 전체적으로 균일하여 안정된 구조를 가지나 복원력이 약간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 지그재그형 스텐트는 팽창시에 스텐트의 길이가 감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주목적은 스텐트의 길이를 따라 구조적인 안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복원력이 우수한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강 내부에서 이동하지 않고 장기간 동안 협착 내강 부위를 팽창시키고 내강 부위를 통해 개방 통로를 유지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텐트가 이식되는 맥관계 내부의 만곡부에 잘 적응하도록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성능을 갖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내강 내부에서 그 위치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향상된 안정성을 갖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로서, 직경이 균일한 양 단부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된 제4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사시도로서, 직경이 균일한 양 단부를 제외하고 도 7에 도시된 제6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직선부
102, 102', 102″ : 피크부
104, 104', 104″ : 밸리부
Ⅰ, Ⅰ', Ⅰ″, Ⅲ, Ⅲ', Ⅲ″ : 지그재그형 부분
Ⅱ, Ⅱ', Ⅱ″ : 나선형 부분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양 단부에 상기 필라멘트가 지그재그형으로 권선된 지그재그형 부분과, 상기 지그재그형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필라멘트가 나선형으로 권선된 나선형 부분을 포함하는 스텐트가 제공된다.
상기 지그재그형 부분은 직선부, 피크부 및 밸리부를 구비하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밴드를 형성하고, 상기 스텐트의 단부에 위치하는 밴드를 형성하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밸리부에는 인접하는 하부 밴드를 형성하는 지그재그형 뿐의 피크부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나선형 부분은 스텐트의 상부 단부의 지그재그형 부분의 최하부 밴드의 밸리부와 스텐트의 하부 단부의 최상부 밴드를 형성하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밸리부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스텐트의 나선형 부분사이에 지그재그형 부분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지그재그형 부분은 스텐트의 미끄럼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말단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플래어 형상 또는 상기 나선형 부분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필라멘트는 니켈-티나늄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양 단부에 지그재그형 부분을 구비하며, 중앙에 나선형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복원력을 갖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장점과 우수한 가요성을 갖는 나선형 부분의 장점을 모두 갖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스텐트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도시된 스텐트는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다. 스텐트는 양 단부의 지그재그형 부분(Ⅰ, Ⅲ)과 중앙의 나선형 부분(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스텐트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나선형 부분의 가운데에 지그재그형 부분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다. 스텐트 상단에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부분(Ⅰ)은 다수의 직선부(100)와, 상기 직선부(100)를 연결하는 피크부(102)(본원에서 사용되는 ″피크부″라고 하는 용어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을 의미한다) 및 밸리부(104)(본원에서 사용되는 ″밸리부″라고 하는 용어는 스텐트의 길이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부분을 의미한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직선부(100), 피크부(102) 및 밸리부(104)는 하나의 밴드(A, B 또는 C)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텐트의 상하 단부에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부분(Ⅰ, Ⅲ)은 각각 3개의 밴드로 이루어져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속한 밴드(A, B, C)는 상부에 위치하는 밴드의 밸리와 하부에 위치하는 밴드의 피크간의 트위스트(twist) 방식의 결합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스텐트의 팽창과 수축시에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리는 실질적으로 직선 형태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텐트의 상단에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부분(Ⅰ)의 최하부 밴드(C)의 밸리부(104″)에는 중앙에 위치하는 나선형 부분(Ⅱ)을 이루는 필라멘트(114)가 각각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나선형 부분(Ⅱ)은, 스텐트의 상단에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부분(Ⅰ)의 최하부 밴드(C)의 마지막 피크부(102″L)에서 연장하는 필라멘트(112)가 하단에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부분(Ⅲ)의 최상부 밴드(본원에서 사용되는 ″상부″란 용어는 도 1에서 상방을 의미한다)의 밸리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되어 있고, 다시 상단에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부분(Ⅰ)의 최하부 밴드(C)의 다른 밸리(104″)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된 패턴이 반복되어 형성된 것이다. 나선형 부분(Ⅱ)을 형성하는 필라멘트(114)는 서로 비결합 상태로 교차한다.
본원의 한 특징에 따르면,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상하 단부에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밴드에 연결된 단부(108)를 두 개만 구비한다. 따라서, 스텐트에 원주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그 형상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강 내부에 배치될 때나 배치된 이후에는 내강의 조직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다.
제1밴드(A)를 형성하는 필라멘트는 제1밴드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피크부(102)와 밸리부(104)를 형성한다. 제1밴드(A)의 마지막 피크부(102L)를 형성하는 필라멘트(106)는 제2밴드(B)의 밸리부(104')를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연장하여, 제2밴드(B)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피크부(102')와 밸리부(104')를 형성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밴드(B)의 피크부(102')는 제1밴드(A)의 밸리부(104)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된다.
제2밴드(B)의 마지막 피크부(102'L)를 형성하는 필라멘트(126)는 제3밴드(C)의 밸리부(104″)를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연장하여, 제3밴드(C)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다수의 피크부(102″)와 밸리부(104″)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3밴드(C)의 마지막 피크부(102″L)를 형성하는 필라멘트(112)는 스텐트의 하단에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부분(Ⅲ)의 최상단 밸리부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된다. 물론, 본 발명의 스텐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단의 지그재그형 부분이 제조되고, 중앙의 나선형 부분이 제조된 이후에, 하단의 지그재그형 부분이 제조된다.
나선형 부분(Ⅱ)을 형성하는 필라멘트에 있어서, 스텐트의 하단을 향하는 필라멘트(114)와 상단을 향하는 필라멘트(115)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필라멘트(114, 115)가 스텐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권선되면, 필라멘트간의 교차점들에 의하여 다수의 메쉬(mesh)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선 방향으로 권선된 필라멘트중에서 최종 필라멘트(116)는 밴드(C)의 밸리(104″)에서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된 이후에, 하단을 향하여 연장한다. 상기 하방을 향하여 연장하는 필라멘트(116)는 하단의 지그재그형 부분(Ⅲ)을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제1밴드(A)를 형성하는 필라멘트의 시작 단부(108)는 소정 지점에서 고정된 필라멘트에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작 단부(108)는 제1밴드와 제2밴드의 필라멘트 연장부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되어 마무리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내강 확장용 스텐트의 상단부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스텐트의 하단에 위치하는 지그재그형 부분(Ⅲ) 역시 전술한 지그재그형 부분(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사용되는 필라멘트의 재료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비록 49 내지 58%(원자)의 Ni-Ti 합금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재료가 제안되어 있으나, 10℃ 또는 그 이하에서 오스테나이트(austenite)와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사이에서 변이가 완료되는 Ni-Ti 합금이 바람직하다. 실온의 비응력 상태에서 이러한 초탄성 합금은 오스테나이트 결정상으로 존재하며, 응력을 받으면 비선형 탄성 작용을 일으키는 응력 유발 오스테나이트-마르텐사이트 결정 변이를 보인다.
또한, 니티놀로 공지된 니켈-티타늄 합금과 같은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된 스텐트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스텐트는 체온에 의하여 데워지면 원래의 형상을 복원한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텐트의 메쉬 구조를 통하여 세포가 증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합체(polymer) 또는 다른 재료로 랩(wrap)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는 스텐트의 가요성과 복원력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텐트의 양 단부는 트위스트 방식으로 결합된 다수의 밴드로 구성된 지그재그형 부분을 구비하기 때문에 가요성은 약하지만 복원력이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중앙에 배치된 나선형 부분은 필라멘트가 서로 결합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복원력은 약하나 가요성은 매우 우수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스텐트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 단부에 형성된 지그재그형 부분(Ⅰ', Ⅲ')이 말단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플래어(flare) 형상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플래어 형상의 지그재그형 부분(Ⅰ', Ⅲ')이 병변 부위를 중심으로 상하에 위치하면, 스텐트는 플래어 부분에 의하여 상하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굴곡된 내강에 배치되더라도, 스텐트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나선형 부분이 충분히 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 단부에 제공된 지그재그형 부분(Ⅰ', Ⅲ')에 의하여 복원력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양 단부가 플래어 형태로 직경이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스텐트가 굴곡된 내강에서 이탈되려는 경향이 방지된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내강 내에서의 미끄럼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양 단부에 직경이 균일하게 확대된 지그재그형 부분(Ⅰ″, Ⅲ″)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체가 지그재그형 부분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양 단부는 미끄럼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말단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플래어 형상의 직경 확대부를 갖는다.
또한, 도 6에는 균일한 직경 확대부를 갖는 양 단부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스텐트의 지그재그형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지그재그형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체가 나선형 부분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내강 확장용 스텐트가 도시되어 있다.
필라멘트는 스텐트의 상단부의 제1 지점에서 하단부의 제1지점까지 1차 나선방향으로 권선되며, 상기 하단부의 제1 지점에서 벤딩되어 상기 상단부의 제2 지점까지 1차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인 2차 나선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다. 상기 1차 나선 방향과 2차 나선 방향은 실질적으로 보각(supplementary angle)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필라멘트가 동일한 벤딩 지점에서 보각 관계로 양방향으로 연장하여야 스텐트의 나선형 부분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나선형 권선이 원주 방향을 따라 수회 반복되면, 1차 나선 방향과 2차 나선 방향으로 권선된 필라멘트는 상호 교차하여 다수의 메쉬(mesh)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텐트가 내강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텐트의 양 단부는 말단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플래어 형상을 갖는다.
도 8에는 스텐트의 양 단부가 직경 확대부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양 단부에 지그재그형 부분을 구비하며, 중앙에 나선형 부분을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복원력을 갖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장점과 우수한 가요성을 갖는 나선형 부분의 장점을 모두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카테타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구불구불한 내강에 배치되더라고, 양 단부에 형성된 지그재그형 부분에 의하여 그 복원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중심부의 개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강 내부에 배치되고, 확장된 이후에 그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지그재그형 부분 또는 나선형 부분의 단부가 확대된 직경을 갖기 때문에 내강내의 소정 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0)

  1.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의 양 단부에 상기 필라멘트가 지그재그형으로 권선된 지그재그형 부분과,
    상기 지그재그형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필라멘트가 나선형으로 권선된 나선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지그재그형 부분은 직선부, 피크부 및 밸리부를 구비하며, 스텐트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밴드를 형성하고, 상기 스텐트의 단부에 위치하는 밴드를 형성하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밸리부에는 인접하는 하부 밴드를 형성하는 지그재그형 뿐의 피크부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나선형 부분은 스텐트의 상부 단부의 지그재그형 부분의 최하부 밴드의 밸리부와 스텐트의 하부 단부의 최상부 밴드를 형성하는 지그재그형 부분의 밸리부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부분사이에 추가의 지그재그형 부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지그재그형 부분은 스텐트의 미끄럼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말단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플래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 및 하단부의 지그재그형 부분은 상기 나선형 부분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니켈-티나늄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가요성 재료로 랩(wrap) 또는 피복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7.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필라멘트가 지그재그형으로 권선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밴드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지그재그형 부분은 피크부와 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크는 인접한 상방의 지그재그형 부분의 밸리부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밸리부는 인접한 하방의 지그재그형 부분의 피크부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텐트가 내강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의 양 단부는 말단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플래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8.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필라멘트가 지그재그형으로 권선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밴드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지그재그형 부분은 피크부와 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피크는 인접한 상방의 지그재그형 부분의 밸리부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밸리부는 인접한 하방의 지그재그형 부분의 피크부와 트위스트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텐트가 내강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의 양 단부는 중앙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9.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스텐트의 상단부의 제1지점에서 하단부의 제1지점까지 1차 나선방향으로 권선되며, 상기 하단부의 제1지점에서 벤딩되어 상기 상단부의 제2지점까지 1차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인 나선 방향으로 권선되며,
    이러한 나선형 권선은 원주 방향을 따라 상단부와 하단부의 마지막 지점까지 반복되고, 1차 나선 방향과 2차 나선 방향으로 권선된 필라멘트는 상호 교차하여 다수의 메쉬를 형성하며,
    상기 스텐트가 내강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의 단부는 말단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는 플래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10. 단일 길이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원통형 내강 확장용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스텐트의 상단부의 제1지점에서 하단부의 제1지점까지 1차 나선방향으로 권선되며, 상기 하단부의 제1지점에서 벤딩되어 상기 상단부의 제2지점까지 1차 나선 방향과 반대 방향인 나선 방향으로 권선되며,
    이러한 나선형 권선은 원주 방향으로 상단부의 마지막 지점과 하단부의 마지막 지점까지 반복되고, 1차 나선 방향과 2차 나선 방향으로 권선된 필라멘트는 상호 교차하여 다수의 메쉬를 형성하며,
    상기 스텐트가 내강내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길이의 단부는 중앙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1019980000182A 1997-02-04 1998-01-07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10024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182A KR100241822B1 (ko) 1998-01-07 1998-01-07 내강 확장용 스텐트
US09/017,773 US6241757B1 (en) 1997-02-04 1998-02-03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EP98400238A EP0857471A3 (en) 1997-02-04 1998-02-04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CN98103808A CN1203108A (zh) 1997-02-04 1998-02-04 体腔扩张用固定模
JP3803298A JP2975584B2 (ja) 1997-02-04 1998-02-04 体腔拡張用ステン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182A KR100241822B1 (ko) 1998-01-07 1998-01-07 내강 확장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081A KR19990065081A (ko) 1999-08-05
KR100241822B1 true KR100241822B1 (ko) 2000-02-01

Family

ID=1953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182A KR100241822B1 (ko) 1997-02-04 1998-01-07 내강 확장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8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00A1 (ko) * 2009-10-07 2011-04-14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319B1 (ko) * 1999-08-05 2002-09-10 송호영 인조혈관 스텐트
KR100351317B1 (ko) * 1999-08-05 2002-09-10 송호영 인조혈관 스텐트
KR100337650B1 (ko) * 1999-08-23 2002-05-23 이수빈 이동 방지를 위한 팽창성 스텐트
KR200207213Y1 (ko) * 2000-02-07 2000-12-15 주식회사에스앤지바이오텍 인조혈관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00A1 (ko) * 2009-10-07 2011-04-14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스텐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081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1757B1 (en)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US5342387A (en) Artificial support for a blood vessel
US6146417A (en) Tubular stent
AU699485B2 (en) High strength and high density intraluminal wire stent
JP3815622B2 (ja) 膨脹可能なステント
AU712001B2 (en) An expandable endovascular stent
US5749919A (en) Resilient prosthesis for widening a channel, particularly a blood vess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4772807B2 (ja) ステントデバイス
US5683448A (en) Intraluminal stent and graft
US6287333B1 (en) Flexible stent
US5707387A (en) Flexible stent
US6059808A (en) Implantable device and delivery system to reestablish or maintain a bodily canal
US5833699A (en) Extending ribbon stent
US5503636A (en) Self-expanding stent for hollow organs
JP2002500533A (ja) 変わる拡張力を有するステント
WO1998007386A9 (en) Tubular stent
WO1996041589A1 (en) A device for implantation in a vessel or hollow organ lumen
JP2003510162A (ja) 可撓性末端管腔ステントおよび製造方法
JPH07500272A (ja) 螺旋型ステント
KR100241822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2899A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방법
CA2237756C (en) Expandable s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