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769B1 -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 Google Patents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769B1
KR100241769B1 KR1019970075179A KR19970075179A KR100241769B1 KR 100241769 B1 KR100241769 B1 KR 100241769B1 KR 1019970075179 A KR1019970075179 A KR 1019970075179A KR 19970075179 A KR19970075179 A KR 19970075179A KR 100241769 B1 KR100241769 B1 KR 100241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nnel
equalizer
channel equalizer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251A (ko
Inventor
정길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75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76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 H04L25/0305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with a recursive structure
    • H04L25/03063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with a recursive structure using fractionally spaced delay lines or combinations of fractionally and integrally spaced t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375Passband transmission
    • H04L2025/03382Single of vestigal sideb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상적인 특성에서 벗어나 왜곡된 채널을 통과한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채널의 특성을 보상함으로써 수신 측에서의 비트 검출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채널 등화기(Channel Equalizer)에 있어서, GA 표준안에 따른 데이터 프레임구조에서 필드 동기 신호중 마지막 12심볼을 제외한 820개의 심볼로 훈련열을 확장함으로써 훈련 열 다음에 입력되는 실제 정보 데이터를 등화하는 데 더 빠른 수렴 속도 및 수렴 후의 최종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필드 동기 세그먼트중 세그먼트 동기신호와 VSB 모드 데이터와 Reserved 데이터 및 의사 랜덤 수열을 포함한 심볼을 상기 훈련 열로 설정하여 오차 신호를 구하고, 그 산출한 오차신호로 채널 등화기의 탭 계수를 갱신함으로써, 실제 정보 데이터를 등화하는데 수렴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수렴 후의 최종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본 발명은 GA표준안에 따른 HDTV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상적인 특성에서 벗어나 왜곡된 채널을 통과한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채널의 특성을 보상함으로써 수신 측에서의 비트 검출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채널 등화기(Channel Equalizer)에 있어서, 필드 동기 신호중 마지막 12심볼을 제외한 820개의 심볼로 훈련열을 확장함으로써 훈련 열 다음에 입력되는 실제 정보 데이터를 등화하는 데 더 빠른 수렴 속도 및 수렴 후의 최종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선명 텔레비젼을 포함한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은 자유 공간이다. 이 채널은 매질이 없는 진공 상태인 경우에는 이상적인 체널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 전송 신호는 공기, 구름, 대기층 등의 기상 변화 또는 태양의 영향에 의해 전파되는 경로가 굴절되어 여러 개의 다중 경로(multi-path)를 거쳐 수신된다.
또한 산, 절벽, 대지 등의 지형과 숲, 건물 등에 의해 반사, 투과되어 전파되는 고정된 다중 경로와 비행기, 자동차 등에 의해 발생되는 시변화 다중 경로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다중 경로 전파는 같은 신호가 각기 다른 전파 시간을 갖는 여러 개의 경로를 거쳐 전달되므로 디지털 신호의 전송에 있어서는 고속의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인 심볼 간의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ISI)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채널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이상적인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고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왜곡을 발생하게 된다. 고선명 텔레비젼과 같은 디지털 전송 방식에 있어서는 신호의 왜곡이 수신 측에서 비트 검출 오류를 일으킴으로써 화면 전체가 복원이 불가능 하거나 전혀 다른 화상이 나타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상적인 특성에서 벗어나 왜곡된 채널을 통과한 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채널의 특성을 보상함으로써 수신 측에서의 비트 검출 오류를 감소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채널 등화기(channel equalizer)라고 한다.
신호가 전달되는 채널의 특성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하여 가변적이므로 채널 등화기는 이러한 채널 특성이 시간적 변화 또는 상황에 따른 변화에 적응하여 채널을 등화할 것이 요구되며, 이러한 등화 기법을 채널 적응 등화(adaptive channel equalization)라고 한다.
수신 신호로부터 적응적으로 채널 등화를 하기 위해서는 송신 측에서 일정 기간 동안 수신기에서 미리 알고 있는 데이터 열을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채널을 거치면서 왜곡된 데이터 펄스의 파형과 원래의 파형을 비교하여 채널의 왜곡 정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정해진 데이터 열을 전송하는 기간을 훈련 모드(training mode)라고 하고, 이기간 동안에 전송하는 데이터 열을 훈련 데이터 열(training sequence)이라고 한다. 이러한 훈련 열은 일반적으로 의사 랜덤 수열(pseudo training sequence)로 구성된다. 훈련 기간이 끝나면 훈련 데이터 열 대신에 판정된 데이터를 사용하는데 이 기간을 판정 의거 모드(DD:decision-directed mode)라고 한다.
채널 등화기에서는 이러한 훈련열을 기준신호로 정하여 등화기 출력과의 차이가 오차 신호가 되며 이 오차 신호에 의해 등화기의 탭을 갱신하게 된다.
첨부한 도면 도 1 은 일반적인 채널 등화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은 전송되는 신호(a(n))에 의한 채널 임펄스 응답(h(n))이고, 참조번호 2는 상기 채널 임펄스 응답(1)에서 출력되는 신호(x(n))와 적응 상수를 연산하여 입력되는 신호의 채널 왜곡을 적응적으로 보상해주는 적응 등화기이다.
또한, 참조번호 3은 상기 적응 등화기(2)에서 출력되는 채널 왜곡이 보상된 신호(z(n))를 양자화하여 출력(a^(n))시키는 슬라이서이며, 참조번호 4는 훈련 모드시 훈련 열을 발생하는 기준신호 발생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6은 상기 기준신호 발생부(4)에서 발생되는 훈련 열 또는 상기 슬라이서(3)에서 얻어지는 출력신호에서 상기 적응 등화기(2)에서 출력되는 왜곡 보상된 신호를 감산하여 그 결과치를 오차 신호(e(n))로 출력하는 오차 계산부이며, 참조번호 5는 상기 오차 계산부(6)에서 얻어지는 오차 신호와 상기 적응 등화기에 입력되는 신호를 연산하여 그 결과치를 적응 상수로 상기 적응 등화기(2)에 전달해주는 적응상수 갱신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채널 등화기는, 먼저, 전송 신호 a(n)이 채널의 등가 임펄스 응답(1)에 의하여 왜곡된 신호 x(n)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기내의 적응 등화기(2)는 내부의 선형 FIR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되는 신호(x(n))와 적응상수 갱신부(5)에서 얻어지는 적응 상수를 각 탭별로 승산하고, 그 결과치를 합산기로 합산하여 채널 왜곡이 보상된 신호(z(n))로 출력한다.
슬라이서(3)는 상기와 같이 적응 등화기(2)에서 채널 왜곡이 보상된 신호(z(n))를 양자화하여 출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적응 등화기(2)에 전달되는 적응 상수는 훈련 모드와 판정 의거 모드에 따라 그 적응 상수 갱신에 이용되는 오차 신호값이 각기 달라지게 되는데, 먼저 훈련 모드시에는 기준신호 발생부(4)에서 832 필드 동기 세그먼트중 700개의 심벌에 대한 데이터 열을 발생하게 되고, 오차 계산부(6)는 상기 기준신호 발생부(4)에서 발생되는 700개의 데이터 열(d(n))에서 상기 적응 등화기(2)에서 출력되는 왜곡 보상된 신호(z(n))를 감산하여 그 결과치를 오차 신호(e(n))로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오차신호는 적응상수 갱신부(5)에 전달되며, 상기 적응상수 갱신부(5)는 그 오차신호(e(n))와 상기 적응 등화기(2)에 입력되는 신호(x(n))를 연산하여 그 결과치를 이용하여 갱신된 적응 상수로 상기 적응 등화기(2)내의 각 탭(승산기)에 인가하여 왜곡된 채널 신호를 보상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훈련 기간이 끝나면 훈련 데이터 열 대신에 판정된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오차 계산부(6)에서 상기 슬라이서(3)에서 출력되는 양자화된 데이터(a^(n))에서 상기 적응 등화기(2)로부터 출력되는 왜곡 보상된 신호(z(n))를 감산하여 그 결과치를 오차신호(e(n))로 상기 적응상수 갱신부(5)에 전달해줌으로써 채널 왜곡이 보상되도록 한다.
고선명 텔레비젼에 관한 GA(Grand Alliance)의 표준안은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구조를 도 2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의 기본 단위인 세그먼트(segment)는 832 심벌로 이루어 져 있으며 각 세그먼트의 시작 부분에는 4개의 심벌로 이루어진 세그먼트 동기(segment sync)신호가 있다.
하나의 필드(field)는 313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고, 이중 첫 번째 세그먼트는 필드동기(field sync) 신호로써 송,수신 측에서 미리 알고있는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되므로 채널 등화기에서의 훈련 열(training sequence)로 사용할 수 있다. 주기적인 필드 동기 신호는 채널 변화에 따라 수신 측에서 심벌 오류가 발생 하는 경우에도 훈련 열을 주고 받아 변화된 채널 특성을 상쇄 할 수 있도록 등화기 탭 계수를 조절한다.
첨부한 도면 도 3은 상기와 같은 데이터 프레임에서 832심벌로 이루어진 필드 동기 세그먼트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sync : 데이터 필드 세그먼트의 세그먼트 동기 신호이고, ″1001″(0,-5,1,+5)로 정의 된다.
2) PN511, PN63 : 의사 랜덤 수열(Pseudo random sequence)로써, 특히 PN63은 기필드와 우필드를 구분하기 위하여 2번째 PN63의 극성을 반전시켜 사용한다.
3) VSB Mode : 24심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 역시 두 레벨의 일정한 값을 만족한다.
4) Reserved : 마지막 104비트중 92심볼은 예비 공간으로 연속적인 PN63 수열로 채울것이 추천되고 있으며, 나머지 12심볼은 그 이전 세그먼트의 마지막 12심볼들과 동일한 값을 갖는다.
여기서, Reserved항의 12심볼을 제외한 820개의 심볼은 +5,-5의 두 레벨의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이 하나의 필드에서 필드 동기 신호를 포함하는 첫 번째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312개의 세그먼트에 실제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존재하게 된다.
한편, 훈련 열을 이용한 채널 등화를 위해서는 송,수신 측에서 서로 아는 일정한 패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야 한다.
현재 GA에서는 주지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프레임 구조에서 의사 랜던 수열 700 심볼(PN511 + PN63 + PN63)을 채널 등화기의 훈련 열로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 등화에서 훈련 열을 사용할 경우에는 등화기의 수렴성이 보장되고 수렴 속도가 빠르다는 정점이 있으나 GA의 HDTV 시스템의 경우에는 313개의 세그먼트 중에서 하나의 세그먼트에서 700개 만을 훈련 열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었다.
여기서, 훈련 신호는 그 길이에 따라 수렴 속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즉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훈련 열이 길면 길수록 훈련 열 다음에 입력되는 실제 정보 데이터를 등화는 데 더 빠른 수렴 속도 및 수렴 후의 최종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데, 종래에는 많은 훈련 열중 700개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렴 속도가 느리고 수렴 후의 최종 오차의 크기가 크다는 문제점을 발생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채널 등화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상적인 특성에서 벗어나 왜곡된 채널을 통과한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채널의 특성을 보상함으로써 수신 측에서의 비트 검출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는 채널 등화기(Channel Equalizer)에 있어서, 필드 동기 신호중 이전 세그먼트의 마지막 12 심볼과 동일한 값을 갖는 12심볼을 제외한 820개의 심볼로 훈련열을 확장함으로써 훈련 열 다음에 입력되는 실제 정보 데이터를 등화하는 데 더 빠른 수렴 속도 및 수렴 후의 최종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필드 동기 세그먼트를 훈련 열로 이용하여 탭 계수를 갱신시켜 채널 왜곡을 보상하는 채널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드 동기 세그먼트중 4심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와 24심볼의 VSB 모드와 Reserved항의 92 심볼 및 의사 랜덤 수열 700개를 포함한 총 820개의 심볼을 상기 훈련 열로 설정하여 오차 신호를 산출하고, 그 산출한 오차 신호로 훈련 모드시 상기 채널 등화기의 탭 계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훈련 모드시 사용되는 훈련 열은 832심벌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에서 마지막 8레벨 값을 갖는 12개의 심볼을 제외한 820 심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차 신호의 산출은 등화기 출력에서의 부호 비트 만을 이용하여 오차 신호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인 채널 등화기 블록 구성도,
도 2 는 GA표준안에 따른 HDTV의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
도 3 은 GA표준안에 따른 HDTV의 필드 동기 세그먼트의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선형 FIR(Finite Impulse Response)필터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채널의 등가 임펄스 응답 2:적응 등화기
3:슬라이서 4:기준신호 발생부
5:적응상수 갱신부 6:오차신호 계산부
첨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선형 FIR필터의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되는 데이터를 다수개의 지연기(7-1 ... 7-n)로 한 클럭씩 순차 지연시키는 지연부(7)와, 상기 지연부(7)내의 다수개의 지연기(7-1 ... 7-n)에서 각각 지연된 값과 적응 상수를 승산하는 다수개의 승산기(8-1 ... 8-n)로 이루어진 승산부(8)와, 상기 승산부(8)내의 다수개의 승산기(8-1 ... 8-n)에서 각각 얻어지는 값을 합산하는 합산기(9)로 구성된다.
첨부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련 열로 이용할 첫 번째 필드 동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S1)와, 훈련 열의 개수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기를 ″0″으로 초기화시키는 단계(S2)와, 임의의 훈련 열을 이용한 오차 신호를 계산하는 단계(S3)와, 상기 계산된 오차신호로 탭 계수를 갱신하는 훈련 모드 탭 계수 갱신단계(S4)와, 상기 훈련 열로 이용할 모든 훈련열의 오차신호 계산과 탭 계수 갱신이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5 - S6)와, 상기 훈련 모드가 종료되면 등화기 출력에서의 결정값을 이용한 오차 신호를 계산하는 단계(S7)와, 판정 의거 모드에서 탭 계수를 갱신하는 단계(S8)와, 다음 필드 동기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9)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형 FIR 필터를 이용한 본 발명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필드 동기 세그먼트에서 VSB Mode의 24비트, Reserved 항의 92비트는 현재 그 정확한 값은 유보된 상태이지만, 송,수신측에서 서로 아는 두 가지 레벨을 갖는 일정한 패턴으로써 채널 등화에서의 훈련 열로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등화기는 여러 가지 등화 기법이 적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알고리듬에 비하여 수식이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한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듬을 적용한다.
채널 등화기에서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와 등화기 출력의 차이가 오차 신호가 되며, 이 오차 신호에 의해 등화기의 탭을 갱신하게 된다.
먼저, 훈련 모드는 주지한 바와 같이, GA-HDTV의 데이터 프레임 중에서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820 심볼로 이루어진 필드 동기 신호(실제 832심볼임)를 훈련 열로 이용한다.
이러한 훈련 모드가 끝나면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는 판정 의거 모드에서는 등화기의 출력을 양자화(Sliceing)하여 이것을 기준 신호로 이용한다.
이 모드는 랜덤 데이터를 이용하여 채널 등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통신 채널의 왜곡이 심하여 눈 모형(eye pattern)이 열리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훈련 열을 기다리게 된다.
도 4에서 등화기 입력 신호,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및 탭 계수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x(n):시간 n에서의 등화기 입력 신호,
d(n):시간 n에서의 등화기 기준 신호,
Ci(n):시간 n 에서의 필터의 i 번째 탭 계수.
이때 N을 등화기의 탭 개수라고 하면 각각의 벡터 표현은 다음과 같다.
X(n)=[X(n)x(n-1)...x(n- N+1)]T
C(n)=[CO(n) C1(n)... CN-1(n)]T
오차 신호
e(n)=d(n)-z(n)
여기서, 훈련 모드에서 필드 동기 신호가 등화기에 출력되는 동안 오차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는 채널을 통하여 왜곡되지 않은 훈련 열로 이루어진 기준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ROM 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훈련 모드에서의 기준 신호는 등화기에 출력되는 채널에 의하여 왜곡된 필드 동기 신호의 부호(sign)에 의하여 두 레벨(0,-5, 1,+5)중에서 하나의 값을 취한 후 등화기 출력신호와 연산하여 오차 신호를 구한다.
훈련 모드가 끝나고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는 판정 의거 모드에서는 채널 등화기 출력을 결정한 값(양자화된 값) a^(n)을 기준 신호 d(n)으로 이용하여 오차 신호를 구한다.
여기서, 필터의 탭 계수 갱신시 필터의 탭 계수 갱신식은 다음과 같다.
Ci(n+1)=Ci(n)+μe(n)+(X(n-i)) for i =0.1,...,N-1
등화기의 탭 계수를 갱신하는 동안에도 등화기는 필터링을 수행하며 이때 등화기의 출력 신호는 아래와 같다.
N-1
Figure 1019970075179_B1_M0001
i=0
상기에서 언급한 적응 상수 μ는 수렴 속도를 결정하는 인자(factor)로써 계수를 조절하는 크기를 나타낸다.
LMS 알고리듬의 수렴 특성은 주로 이 적응 상수에 의해 좌우한다.
이 값이 크면 계수를 한번 반복 계산할 때마다 계수의 변화량이 크므로 빠른 속도로 MSE(Mean Square Error)를 최소로 하는 최적의 필터 계수 Copt에 접근할 수 있으나,μ값이 적정 수준 이상으로 커지면 필터 계수는 Copt에 수렴하지 못하고 Copt를 중심으로 크게 진동하게 됨으로써 정상 상태에서의 MSE가 커지게 된다.
반면에 μ가 너무 작으면 필터 계수는 Copt에 가깝게 수렴할 수 있으나 수렴 속도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적정한 적응 상수 μ값을 설정 해야만 최적의 필터 계수를 적당한 시간 안에 추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LMS 알고리듬이 안정적으로 수렴하기 위한 μ값의 상한선은 채널 등화기 입력 신호의 자기 상관 행렬의 고유치(eigenvalue)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0〈μ〈2/λmax
여기서λmax는 채널 등화기의 입력 신호의 자기 상관 행렬의 고유치 중 가장 큰 값을 나타낸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채널 등화기 탭 계수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써, 먼저 훈련 열로 이용할 필드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훈련 열의 개수 820(4심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 + 24심볼의 VSB 모드 데이터 + Reserved항의 92 심볼 + 의사 랜덤 수열 700 = 820)을 계수하기 위한 계수기 i를 ″0″으로 초기화한 후, 채널 등화기 출력 신호중 부호비트만을 이용하여 부호비트가 ″0″일때는 +5, 부호비트가 ″1″일때는 -5값을 기준신호로하여 등화기 출력과의 차에 의하여 오차 신호를 계산한다.
이 오차 신호에 의하여 탭 계수를 갱신하며, 상기 계수기 i가 훈련 열의 개수보다 작은지를 결정하여 작다면 상기의 과정을 거치며 훈련 모드를 이용한 등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훈련 모드가 끝나고 랜덤 데이터가 입력되면 판정 의거 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등화기 출력에서 해당 오차 신호(슬라이서에서 양자화된 신호 - 채널 등화기 출력신호)를 구하여 탭 계수를 갱신하게 되며, 다음 필드 동기 신호가 입력될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훈련 열의 길이(세그먼트 심볼의 개수)를 증가 시켜 훈련 모드를 이용한 등화기의 길이를 증가시켰으며 훈련 열 다음에 입력되는 실제 정보 데이터를 판정의거 모드에 의해 등화 함으로써 수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훈련 열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수렴 후의 최종 오차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최적의 채널 왜곡 보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훈련 모드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필드 동기 세그먼트중 일부를 훈련 열로 이용하여 탭 계수를 갱신시켜 채널 왜곡을 보상하는 채널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드 동기 세그먼트중 세그먼트 동기신호와 VSB 모드 데이터와 두 레벨로 이루어진 Reserved 데이터 및 의사 랜덤 수열을 포함한 심볼을 상기 훈련 열로 설정하여 오차 신호를 구하고, 그 산출한 오차신호로 상기 채널 등화기의 탭 계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되는 훈련 열의 개수는, 4심볼의 세그먼트 동기신호와 24심볼의 VSB 모드 데이터와 Reserved항의 92 심볼 및 의사 랜덤 수열 700개를 포함한 총 82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데이터 프레임 구조에서 훈련 열로 이용할 필드동기 세그먼트 신호 구간에서는 등화기 출력의 부호 비트를, 랜덤 데이터 구간에서는 양자화된 데이터를 기준신호로 하여 등화기 출력과 선택적으로 감산하여 오차 신호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신호는 훈련 모드시 상기 채널 등화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부호 비트를 이용하여 두 레벨로 이루어진 기준신호를 구한후 등화기 출력 신호와 감산하여 그 결과치를 오차신호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 신호는 판정 의거 모드시 상기 양자화된 신호에서 상기 채널 등화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산하여 그 결과치를 오차신호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KR1019970075179A 1997-12-26 1997-12-26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KR100241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179A KR100241769B1 (ko) 1997-12-26 1997-12-26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179A KR100241769B1 (ko) 1997-12-26 1997-12-26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251A KR19990055251A (ko) 1999-07-15
KR100241769B1 true KR100241769B1 (ko) 2000-02-01

Family

ID=1952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179A KR100241769B1 (ko) 1997-12-26 1997-12-26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182A (ko) * 2002-11-08 2004-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 반송파 수신장치의 등화기 및 그의 등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251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482B1 (ko) 채널 등화기 및 채널 등화 방법
KR0144294B1 (ko) 수렴특성을 개선시킨 등화기
JPS60120610A (ja) 線形変調されたデータ記号信号を等化する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装置
US9722769B2 (en) Equalizer
KR100556403B1 (ko) Vsb 수신 시스템에서 채널 등화 장치 및 그 방법
AU2005203278A1 (en) Method for calculating filter coefficients for an equaliser in a communication receiver
JP2004503994A (ja) チャネルイコライザ
KR100451750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채널 등화 장치
KR100241769B1 (ko) 고선명 텔레비젼의 채널 등화기 탭 계수 갱신방법
KR100227804B1 (ko) 가변 적응 상수를 이용한 채널 등화기 및 채널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방법
JP2004080789A (ja) 高画質tvに使われる等化器及び等化方法
Ghosh A sign-error algorithm for blind equalization of real signals
KR100245997B1 (ko) 채널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27180A (ko) 채널등화기의 탭계수 갱신장치
KR100688442B1 (ko) 비대칭 필터 구조를 갖는 적응형 선형 채널 등화기 및이의 등화 방법
KR100525431B1 (ko) 채널 등화 장치
KR100505703B1 (ko) 채널 등화기 및 채널 등화 방법
KR20000050506A (ko) 고선명 텔레비전에서 채널 등화기의 탭 계수 갱신장치
KR100265058B1 (ko) 블라인드등화장치및방법
KR10069815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등화 장치 및 그 방법
KR0152028B1 (ko) 스펙트럼예측을이용한자력복구등화기및그의초기화방법
KR20000000573A (ko) 채널 등화기의 등화 적용 범위 가변방법
JP4775596B2 (ja) 通信受信機の等化器に使用するフィルタ係数の計算
KR20020035948A (ko) 필드 동기 신호를 이용한 채널 등화기에서의 채널 등화방법
KR960011740B1 (ko) 개선된 등화기능을 갖는 디지틀 텔레비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